KR101286970B1 -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970B1
KR101286970B1 KR1020130000255A KR20130000255A KR101286970B1 KR 101286970 B1 KR101286970 B1 KR 101286970B1 KR 1020130000255 A KR1020130000255 A KR 1020130000255A KR 20130000255 A KR20130000255 A KR 20130000255A KR 101286970 B1 KR101286970 B1 KR 10128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electromagnetic wave
group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락
곽성복
주상률
이재용
부웅재
서하규
이형탁
정선경
이평찬
김유용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부품연구원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부품연구원,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5 내지 75 중량%;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 15 내지 25 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 내지 10 중량%; 비전도성 충전재 0.1 내지 5 중량%; 및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며, 경량이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가이면서 전자파 차폐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Parts for Automobi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엔진룸 및 각종 전장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여, 승객에게 유해한 전자파를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 중에 크래쉬 패드는 자동차의 각종 전기 장치나 전자 조립체를 감싸고 있는 단면적이 큰 자동차용 부품이지만, 타 부품들과는 달리 전자파차폐에 대한 시도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기존의 전자파 차폐용 소재는 전자파 차단이라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는 적합하나, 대형의 성형 구조물에 적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성형 기술적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 열적/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를 만족시키는 소재도 가격적인 제약으로 인해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전자파 차폐용 제품은 통상적으로 탄소계 분말, 탄소계 섬유, 금속계 분말, 금속계 섬유 및 금속 코팅된 무기 분말이 함유된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하지만, 탄소계 충전재들은 전자파차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고함량 처방이 필수적이지만, 수지와의 상용성 부재로 인해 인장강도 및 충격 물성의 저하를 유발하여 대형 부품 제작에 큰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 섬유 같은 탄소계 충전재는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그 적용이 쉽지 않다.
또한, 금속계 첨가제들은 전자파차폐 성능을 향상시키기가 용이하나, 일반적인 비금속계 무기 첨가제 대비 비중이 높아 최종 제품의 무게가 급격히 증가하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산업용 유리 섬유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와 혼합하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만드는 주요 원료로 사용되어 여러 용도로 응용되고 있으나, 우수한 기계적 물성에도 불구하고 전기적으로 절연이기 때문에 대전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용으로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위에서 상술한 종래 기술들은 플라스틱 보강제로서의 역할과 차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기 못하거나, 비용 증가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매우 커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지 못하다. 더욱이, 자동차 부품으로의 응용을 위해 주요한 소재 경량화 측면에서도 한계가 큰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이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가이면서 전자파 차폐효과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5 내지 75 중량%;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 15 내지 25 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 내지 10 중량%; 비전도성 충전재 0.1 내지 5 중량%; 및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딩 수지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크실렌 추출물의 극한 점도는 3.0 dl/g 이상이고, 에틸렌 함량은 3 내지 1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섬유상 충전재에 코팅되는 금속은 알루미늄(Al), 니켈(Ni),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섬유상 충전재의 표면에 전기 전도성을 보유한 금속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전자파차폐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섬유상 충전재는 유리섬유, 휘스커(Whisker), 탄소섬유, 현무암 섬유(Basalt Fib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산업적으로 가장 이용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섬유상 충전재는 금속 코팅 이전에 비닐기, 메타크릴기, 에폭시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계 성분으로 표면 처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섬유상 충전재의 직경은 5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금속 코팅의 두께는 0.2 내지 15 ㎛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의 표면 전도도는 104 S/cm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탄성체는 올레핀(Olefin) 블록, 스티렌(Styrene) 블록 및 디엔(Diene) 블록을 포함하고 5 내지 15 g/10분(230℃)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20 내지 40 중량%, 및 올레핀(Olefin) 블록, 스티렌(Styrene) 블록 및 디엔(Diene) 블록을 포함하고 30 내지 60 g/10분(230℃)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60 내지 80 중량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열가소성 탄성체를 도입함으로써,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용하기 위해 충분히 우수한 강성과 충격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비전도성 충전재는 탈크, 탄산칼슘,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마이카, 아스베스토스, 제오라이트, 규산백토, 유리섬유, 휘스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비전도성 충전제를 도입함으로써,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용화제는 실란(silane)계 기능기, 카르복실기, 또는 말레산 기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섬유상 충전재에 코팅된 금속 물질 사이의 다소 열악한 상용성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혼련과정에서 섬유상 충전재에 코팅된 금속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섬유상 충전재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사출 후에도 섬유상 충전재가 제품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경량이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가이면서 전자파 차폐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8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조성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에 따른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각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후 250톤 사출기에서 사출온도 230~250℃의 정해진 사출 조건하에서 사출하여 각종 물성 및 전자파 차폐 성능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23±2℃, 상대 습도 50±5% 하에서 48 시간 이상 방치한 후 아래 절차에 따라 물성 및 전자파차폐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성분 및 물성 측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폴리프로필렌 : 극한점도가 3.5dl/g 인 단일 중합체
2)Al-코팅된 유리섬유 : 평균직경 17㎛, 평균길이 5mm
3)열가소성 엘라스토머 : Dow사의 Engage8130
4)비전도성 충전재 : 코츠사의 KC-2000
5)실란계 커플링제 : 다우코닝사의 Z-6076
(1) 멜트인덱스(Melt Index)
ASTM D1238 법에 따라 230℃, 2.16kg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 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
ASTM D790 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4) Izod 충격 강도
ASTM D256 법에 따라 상온(23℃)에서 Notched 시험편으로 측정하였다.
(5) 열변형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ASTM D648 법에 따라 6.4 kgf/cm2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6) 전자파차폐 성능
ASTM D4935-10 법을 준용하되, 두께 3mm 원판형 시편을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13000253312-pat00001
[표 2]
Figure 112013000253312-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본원발명의 함량 범위를초과하여 사용하고 금속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를 본원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및 전자파차폐성능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비교예 1),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충격강도 및 열변형온도가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비교예 2).
또한,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비교예 3), 비전도성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굴곡강도가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비교예 4).
또한, 금속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를 본원발명의 함량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 비중이 높아지고 용융지수가 저하되고 생산원가가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으며(비교예 5), 금속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를 본원발명의 함량범위 미만으로 사용하고 상용화제를 본원발명의 함량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및 전자파차폐성능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비교예 6).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본원발명의 함량범위 미만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중이 높아지고 신율이 저하되고 생산원가가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으며(비교예 7), 금속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를 본원발명의 함량범위 미만으로 사용하고 열가소성 탄성체를 본원발명의 함량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전자파 차폐성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비교예 8).

Claims (14)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5 내지 75 중량%;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 15 내지 25 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 내지 10 중량%;
    비전도성 충전재 0.1 내지 5 중량%; 및
    실란(silane)계 기능기를 포함하는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딩 수지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크실렌 추출물의 극한 점도가 3.0 dl/g 이상이고, 에틸렌 함량이 3 내지 15 중량%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알루미늄(Al), 니켈(Ni),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충전재가 유리섬유, 휘스커(Whisker), 탄소섬유, 현무암 섬유(Basalt Fib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충전재가 금속 코팅 이전에 비닐기, 메타크릴기, 에폭시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계 성분으로 표면 처리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충전재의 직경이 5 내지 100 ㎛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의 두께가 0.2 내지 15 ㎛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의 표면 전도도가 104 S/cm이상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가 올레핀(Olefin) 블록, 스티렌(Styrene) 블록 및 디엔(Diene) 블록을 포함하고 5 내지 15 g/10분(230℃, 2.16 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20 내지 40 중량%, 및 올레핀(Olefin) 블록, 스티렌(Styrene) 블록 및 디엔(Diene) 블록을 포함하고 30 내지 60 g/10분(230℃, 2.16 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60 내지 80 중량 % 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충전재가 탈크, 탄산칼슘,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마이카, 아스베스토스, 제오라이트, 규산백토, 유리섬유, 휘스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2. 삭제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크래쉬 패드.
KR1020130000255A 2013-01-02 2013-01-02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KR10128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255A KR101286970B1 (ko) 2013-01-02 2013-01-02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255A KR101286970B1 (ko) 2013-01-02 2013-01-02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970B1 true KR101286970B1 (ko) 2013-07-23

Family

ID=4899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255A KR101286970B1 (ko) 2013-01-02 2013-01-02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9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30B1 (ko) * 2014-01-13 2014-07-28 톱텍에이치앤에스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막
KR101428423B1 (ko) * 2013-11-15 2014-08-08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열가소성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료
KR20160134240A (ko) 2015-05-15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22303A (ko)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네오엔프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460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60083972A (ko) * 2003-09-02 2006-07-2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폴리머,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10078265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2158648A (ja) * 2011-01-31 2012-08-23 Japan Polypropylene Corp 電磁波シールド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460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60083972A (ko) * 2003-09-02 2006-07-2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폴리머,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10078265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2158648A (ja) * 2011-01-31 2012-08-23 Japan Polypropylene Corp 電磁波シールド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423B1 (ko) * 2013-11-15 2014-08-08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열가소성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료
KR101424030B1 (ko) * 2014-01-13 2014-07-28 톱텍에이치앤에스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막
KR20160134240A (ko) 2015-05-15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22303A (ko)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네오엔프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1587B1 (en) Composite resin composition
KR101286970B1 (ko)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JP5671822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51813B1 (en) Composite resin molded bod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asing member using same
WO2008126029A2 (en)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ic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CN110857350B (zh) 复合树脂成形体
CN111117199A (zh) 石墨烯增强聚碳酸酯导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820522A (zh) 一种硫酸钙晶须增强增韧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7210595A (ja) 複合樹脂成型体
JP4160138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および成形品用材料、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1143344A (ja) 繊維複合樹脂組成物
KR20090067820A (ko)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JP4725050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組成物
KR101355026B1 (ko) 성형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2977570A (zh) 阻燃的不饱和聚酯模塑料的制备方法
JP597272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2993664A (zh) 阻燃的不饱和聚酯模塑料
KR10135469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KR102213536B1 (ko) 방열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015597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9456532A (zh) 一种玻纤增强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070159A (zh) 一种用于汽车保险杆的低后收缩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00002116A (ko)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EP3168258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2006257114A (ja) コンミテータ用フェノール樹脂成形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