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357B1 -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 Google Patents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357B1
KR101286357B1 KR1020130027338A KR20130027338A KR101286357B1 KR 101286357 B1 KR101286357 B1 KR 101286357B1 KR 1020130027338 A KR1020130027338 A KR 1020130027338A KR 20130027338 A KR20130027338 A KR 20130027338A KR 101286357 B1 KR101286357 B1 KR 10128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eal
user
food
electron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윤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호 filed Critical 윤태호
Priority to KR102013002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10Devices for counting or marking the number of consumptions
    • A47G23/12Consumption counters combined with table-ware or table-ser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6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caloric intake, e.g. diet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 A47G2200/186Time meter; ti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음식과 닿는 부위로 구성되는 식사도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식사도구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 모듈, 및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INTERACTIVE CUTLERY RESPONDS TO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사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의식주는 인간 생활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특히 그 중에서 식(食)은 인간의 생존과 바로 직관된 문제로 그 중에서도 특히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태어나서 엄마 젖을 떼는 순간부터 생을 마감하는 그날까지 식(食)은 우리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이유식을 처음 먹는 아기부터 식사를 배우는 유아, 식사 예절이 필요한 어린이, 몸이 불편한 어르신 등등 식사와 관련되어 있는 식사 도구는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하며 항상 필요한 도구라 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나열한 여러 가지 경우 외에도 식사와 관련된 도구의 쓰임은 다양하며 단순히 음식을 담거나 음식을 집거나 뜨거나 하는 음식 섭취 이외의 용도인 미적 용도나 식사에 필요한 다양한 활동에 필요하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2309호(발명의 명칭: 다용도 식사 도구, 공개일자: 2008년 7월 2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의 식사도구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음식 섭취의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이나 음성 등의 사운드, 진동, 엘이디 점멸 기능 등을 제공하여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으로써 반응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음식과 닿는 부위로 구성되는 식사도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식사도구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 모듈, 및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엘이디 점멸 신호를 발생하는 발광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하되, 무접점(무선), 전원잭, 또는 USB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듈은 식탁 위에 식탁보 형태로 지원되는 무선 패드 충전기에 상기 식사도구가 놓이면, 자기유도, 자기공명 또는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기술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가능한 배터리 외에도, 건전지나 수은전지 등의 탈착식 혹은 1회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회로는 식탁 위에 차려진 음식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음식물 영상과 기 저장된 음식물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음식물에 해당하는 식사 메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검출된 식사 메뉴별로, 초기에 촬영된 음식물의 양과 이후에 촬영된 음식물의 양을 비교하여 줄어든 양을 토대로 칼로리를 계산하는 연산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은 상기 칼로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운동 종목이나 운동 방법을 음성 안내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음식물의 촬영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모듈; 및 상기 타이머 모듈을 통해 측정된 촬영 시간을 기록하는 메모리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음식물의 줄어든 양, 및 상기 기록된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사 속도 및 식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식사 속도 및 상기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사 정보를 기록하되, 상기 식사 정보에 포함된 내용별로 각 수치에 따른 올바른 식사 방법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오디오 모듈은 상기 식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올바른 식사 방법에 관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의 식사도구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음식 섭취의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이나 음성 등의 사운드, 진동, 엘이디 점멸 기능 등을 제공하여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으로써 반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회로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사도구를 충전하는 일례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식사도구의 몸체부를 이루는 모듈끼리 연결될 때의 결합 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전자회로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100)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120), 및 상기 몸체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음식과 닿는 부위(11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10) 및 전자회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210)는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210)는 다양한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데, 예컨대 상기 전자회로(220)를 통해 무접점(무선) 충전, 충전 잭이나 USB를 통한 유선 충전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220)는 상기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전자회로(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 모듈(310), 오디오 모듈(320), 진동 모듈(330), 발광 모듈(340), 디스플레이 모듈(350), 충전 모듈(360), 카메라 모듈(370), 연산 모듈(380), 메모리 모듈(385), 타이머 모듈(390), 및 제어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은 상기 식사도구(100)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근접 거리는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의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 '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은 상기 식사도구(100)가 상기 사용자의 입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거나 접촉하는 경우에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320)은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 모듈(320)은 상기 식사도구(100)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상기 메모리 모듈(38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이나 음악 등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330)은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한다. 즉, 상기 진동 모듈(330)은 상기 식사도구(100)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상기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340)은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엘이디 점멸 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발광 모듈(340)은 상기 식사도구(100)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상기 엘이디 점멸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50)은 상기 식사도구(100)의 동작과 관련한 사항이나 콘텐츠 등을 텍스트나 그래픽, 영상 등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50)은 상기 오디오 모듈(320)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의 내용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듈(360)은 상기 배터리(210)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하되, 무접점(무선), 전원잭, 또는 USB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21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듈(360)은 식탁 위에 식탁보 형태로 지원되는 무선 패드 충전기(미도시)에 상기 식사도구(100)가 놓이면, 자기유도, 자기공명 또는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기술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21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370)은 식탁 위에 차려진 음식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음식물 영상과 기 저장된 음식물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음식물에 해당하는 식사 메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의 대상인 음식물 영상은 상기 메모리 모듈(385)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380)은 상기 검출된 식사 메뉴별로, 초기에 촬영된 음식물의 양과 이후에 촬영된 음식물의 양을 비교하여 줄어든 양을 토대로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모듈(320)은 상기 칼로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운동 종목이나 운동 방법을 음성 안내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모듈(380)은 상기 사용자의 식사에 따라 줄어든 음식물의 양 및 상기 타이머 모듈(390)에 의해 기록된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사 속도 및 식사량 등의 식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모듈(320)은 상기 식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385)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올바른 식사 방법에 관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모듈(385)은 상기 식사 속도 및 상기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사 정보를 미리 기록하되, 상기 식사 정보에 포함된 내용별로 각 수치에 따른 올바른 식사 방법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385)은 상기 타이머 모듈(390)을 통해 측정된 촬영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385)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성이나 음악 등의 사운드를 미리 저장하거나, 상기 비교의 대상인 음식물 영상을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 모듈(390)은 상기 카메라 모듈(370)과 연동하여 상기 음식물의 촬영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시간의 측정 값은 상기 연산 모듈(380)이 상기 사용자의 식사 속도 및 식사량 등을 포함하는 식사 정보를 산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5)는 상기 전자회로(220), 즉 상기 근접센서 모듈(310), 상기 오디오 모듈(320), 상기 진동 모듈(330), 상기 발광 모듈(34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50), 상기 충전 모듈(360), 상기 카메라 모듈(370), 상기 연산 모듈(380), 상기 메모리 모듈(385), 상기 타이머 모듈(39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사도구를 충전하는 일례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 위의 식탁매트(패드) 겸 충전 패드(410) 위에 숟가락이나 포크 등의 식사도구(420)를 올려 놓으면, 상기 식사도구(420)를 올려 놓으면 자동으로 충전된다.
이때, 상기 식사도구(420)는 내부에 탑재된 충전 모듈을 통해 자기유도, 자기공명 또는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기술을 이용해 내부에 탑재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식사도구의 몸체부를 이루는 모듈끼리 연결될 때의 결합 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는 입에 닿는 부위(510)와, 입에 닿지 않는 부위(520), 즉 손에 닿는 부위인 몸체부로 나뉠 수 있다.
이 두 개의 부분(510, 520)은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에 닿지 않는 부위(520)인 몸체부는 2개 이상의 기능을 가진 모듈(610, 620, 630, 640)을 연결하여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인 입에 닿지 않는 부위(52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거나, LED만 있거나, LED와 사운드 기능의 모듈 조합으로 구성되는 등의 다양한 연결 조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610, 620, 630, 640)끼리 연결될 때의 결합 부위(710)의 단면 구성을 살펴보면, 가운데는 전원과 데이터 선(720)이 지나가고, 양 옆에는 자석이 위치한다. 상기 자석은 강력한 끌림으로 상기 모듈(610, 620, 630, 640)끼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듈(610, 620, 630, 640)의 결합은 자석 결합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나사의 스크류처럼 돌려서 끼워 결합하거나, 버튼을 밀어서 결합하거나, 고정 장치에 의해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의 기능 및 사용법 등에 대해 부연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는 이유식을 시작하는 아기, 밥을 먹기 시작하는 아이, 식사예절을 배워야 할 어린이, 몸이 불편한 장애인, 지능이 모자라는 사람, 치매 등으로 식사가 불편한 노인, 사랑하는 연인 사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기본 동작
1. 숟가락/정가락을 입에 넣거나 입에 가까이 가져다 대면 음악이나 사운드가 나온다.
2. 숟가락/정가락을 입에 넣거나 입에 가까이 가져다 대면 음악이나 사운드와 함께 진동 그리고 LED 점멸된다.
3. 아이들이 좋아하는 뽀로로 노래나 밥먹기 편안한 클래식 등을 나오게 할 수 있다.
4. 숟가락/정가락 손잡이 부분이나 몸통 부분에 외형을 변형시키지 않게 가늘고 얇은 배터리와 전자회로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5. 배터리는 무접점(무선)충전을 지원하며, 돌려서 뚜껑을 여는 식으로 몸체와 뚜껑을 돌리면 방수가 되는 전원 잭을 가진이다. 무접점 충전하거나 전원잭을 통하여 어댑터 충전하거나 USB 충전을 한다.
6. 콘텐츠를 다운받거나 수정하는 등의 콘텐츠 관리기능과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등에 필요한 동작은 위의 USB 연결 단자를 이용하거나 무선 통신(블루투스 혹은 Wi-Fi 혹은 3G,LTE 등의 데이터통신 등)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다.
7. PC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콘텐츠나 프로그램을 다운받거나, 모니터나 스마트TV와 연결하여 콘텐츠를 작동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8. 무접점(무선)충전기는 식탁 위에 식탁보 형태로 지원될 수 있다. 이 무선충전 식탁보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기만 해도 충전이 된다.
9.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의 식사도구, 밥그릇, 국그릇 등의 식사도구
접시 등의 식사도구, 개인식탁 매트 등의 식사도구 등등 다양한 식사와 관련된 도구를 모두 이용한다.
10. 메모기능 - 보이스 레코드
-> 엄마가 아이에게 식사 시 들려주는 이야기
-> 남편이 아내에게 식사 시 들려주는 이야기
-> 자식이 부모님께 식사 시 들려주는 이야기 등을 메모하여 들려주거나 전달하는 기능
11. Wi-Fi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스마트 TV 를 컨트롤 하거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사진, 음악, 동영상, 파일 등을 공유하는 기능
12. 한 개 이상의 식사 도구와 서로 통신하여 대화하는 재미있는 기능
즉, 젓가락 두짝이 붙어 있을 때 나오는 소리나 진동 등의 반응
숟가락과 젓가락이 붙어 있을 때 나오는 소리나 진동 등의 반응
숟가락과 밥그릇이 붙어 있을 때 나오는 소리나 진동 등의 반응
13. 밥먹는 모습을 서버에 기록하여 밥을 얼마나 천천히 먹는지 꼭꼭 씹어 먹는지 기록해주는 기능
14. 밥먹은 내용을 기록하여 전체 먹은 메뉴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칼로리까지 계산해주는 기능
15. 위의 기능과 더불어 먹은 음식과 칼로리 계산 후 적절한 운동과 운동 방법을 정시하거나 추천해주는 기능
16. 음식 조절해야 되는 환자나 노인 혹은 어린이 들의 식사량 통계와 올바른 식사 방법과 식사 메뉴 추천 기능
-> 국을 너무 많이 먹습니다. 조금 줄이세요.
-> 국이 짭니다 조금 싱겁게 드세요
-> 이 음식은 맵습니다. 지금 드시면 안됩니다.
-> 오늘 전체 3000칼로리 드셨습니다. 운동은 자전거 30분 혹은 런닝머신 45분 타십시오.
17. 숟가락이나 젓가락, 포크 등의 개체의 부분 부분을 모듈화 하여, 카메라, LCD, 스피커 등등을 착탈할 수 있는 기능
18. 모듈 중 홀로그램이나 LED 빔 등을 쏘아서 보여줄 수 있는 기능
19. 모듈 중 음식의 간이나 맵기 등의 요리에 필요한 조리를 도와주는 기능
구조 및 기능
1. 온도유지기능
1-1. 보온 기능을 가지는 접시와 그릇
2. 자석으로 결합되는 구조
2-1. 숟가락/젓가락/포크는 음식과 닿는 부위 + 몸체 부위로 나눈다.
2-2. 몸체 부위는 배터리 장착 부위 + 진동 부위 + 스피커 부위 + LED 부위 + LCD 디스플레이 부위 + 유선 충전용 전원 연결 부위
2-3. + (카메라 모듈 / 센서) 등의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부위
3. 사용자의 상태나 반응에 따라 달리 반응하는 기능
3-1. 특정 음악/LED불빛/진동/사운드 등에 따라 특정 연령 혹은 대상자의 예상되는 반응이 나올 경우 계속 혹은 다음 단계의 액션을 보여주고, 예상되는 반응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역시 반대의 다음 단계의 액션을 보여준다.
4. 인터랙티트 기능
4-1. 식사도구와 사람의 1:1 다이렉트 인터랙티브
4-2. 식사도구와 사람과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1:1:1 인터랙티브
5. 카메라 모듈
5-1. 카메라 모듈로 음식 사진을 찍어서 스마트 디바이스나 웹이나 클라우드로 옮기는 기능
5-2. 음식을 찍어서 자동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로 옮기면, 자동으로 음식을 디텍트하고 상위의 전체 음식의 칼로리를 계산해주는 기능
5-3. LCD 디스플레이에 해당 음식을 카메라로 비추면 음식의 간 상태나 조리 상태 혹은 익은 상태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보여주는 기능
5-4. LCD 디스플레이에 해당 음식을 카메라로 비추면 음식의 칼로리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주는 기능
6. 기존의 식사도구에 장착 형 구조
6-1. 기존의 숟가락/젓가락/포크에 입히거나 씌워서 장착하는 구조 및 기능
무접점 무선 충전 이용
1. 기존의 무접점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식탁 자체를 무선 패드로 만드는 방법
2. 식탁 위에 접시나 그릇을 놓기 위한 개인 식탁 패드를 무선 패드로 만드는 방법
3. 그릇이나 접시를 무선 패드로 만드는 방법
-> 이 방법은 그릇을 분리 또는 합체할 수 있도록 하여, 그릇 부위와 무선 충전 부위, 사운드/LED/진동 등의 기능을 하는 전자부 등으로 분리하여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4. 또는 자기공명방식이나 전자기파방식을 활용할 수 도 있다.
5.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전력 소스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되는 그릇이나 접시 또는 숟가락 젓가락 등의 식사 도구에 가는 막대 형식으로 배터리를 몸체에 삽입하거나, 얇은 종이 형태의 배터리를 말아서 몸체에 삽입하는 형식의 배터리를 갖는다.
6. 무선 방식은 위의 방식으로 하고, 유선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도 있다.
이유식을 시작하는 아기
1. 이유식을 잘 먹지 않는 아기에게 호기심을 유발한다.
2. 이유식을 뜬 숟가락 아랫 부분 혹은 테두리 부분 혹은 숟가락이 입에 들어갔을 때 입술에 닫는 몸통의 마디 부분에 센서를 활용하여
- 입에 가까이 가져갔는지
- 기울기가 입에 가져가기 위해 반대로 기울어 졌는지
- 가만히 쥐고 있지 않고 들고 있는지, 뜨고 있는지
- 입 안에 들어가서 캄캄해지거나
- 입술이나 입 안이나 혀에 닿아서 센싱을 했는지
등등을 체크하여 현재 이유식을 먹고 있는지 뜨고 있는지 가만히 들고만 있는지 놓여있는지 밥그릇에 있는지 등을 체크하는 기능
3. 위의 여러 가지 동작 중 각각의 동작에서
- LED를 빛 내거나 끄거나
- 소리를 내거나 끄거나
- 진동을 내거나 멈추거나
- 충전을 하거나 멈추거나
- 데이터를 받거나 멈추거나
등의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4. 식사에 흥미가 없는 유아나 어린이 등에게 식사에 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재미를 주고 식사 예절을 도와주어 건강한 식사 생활을 이끌어주는 기능
밥을 먹기 시작하는 아이
1. 밥을 먹기 시작하는 아기는 숟가락, 젓가락질, 포크질 등이 서툴다.
2. 따라서 식사도구에서 나오는 적절한 안내음에 따라 식사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식사예절을 배워야 할 어린이
1. 어린 아이들은 밥투정을 하거나 밥을 정대로 먹지 않는다
2. 이런 어린이 들을 위하여 올바른 식사예절에 관한 안내 음성을 안내해주는 기능
3. 잘못된 습관을 보일 때 알려주는 경고음 기능
4. 예절대로 잘 먹고 있을 때 칭찬해주고 격려 해주는 사운드나 진동, LED 등의 반응을 해주는 기능
몸이 불편한 장애인
1.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편하게 식사할 수 있게 음악을 제공하거나
2. 식사시 소리, 진동, LED 불빛 등이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알리거나 호출하는 기능
3. 장애인들끼리 대화하거나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능
지능이 모자라는 사람
1. 지능이 조금 모자라는 사람에게 식사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기능
2. 식사 예절이나 식사 시 불편함이 없도록 도와 주는 기능
치매 등으로 식사가 불편한 노인
1. 치매 등으로 불편 하신 노인에게 치매를 예방하거나 치유를 도와주는 식사 방법을 제공하는 기능
2. 치매 노인 식사 시 불편하지 않게 안내해주거나 음악을 틀어주거나 라디오를 제공하거나 하는 기능
사랑하는 연인 사이
1. 사랑하는 연인에게 도시락을 싸주고 숟가락을 제공할 때
2. 숟가락이나 젓가락에 사랑의 메시지를 담아서 식사할 때 음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기능
3. 홀로그램이나 흘러가는 문장을 입력하여 스위치를 누르거나 식사 시에 자동으로 보여주는 기능
무접점 충전 방식
1. 무접점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기능
2. 밥그릇이나 접시를 충전기로 사용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충전되는 기능
3. 개인 식탁 매트를 충전기로 사용하여 밥그릇이나 접시 또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을 충전하는 기능
4. 무접점 충전을 하면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관리하는 기능
5. 충전이 지원되는 접시에 LCD 기능이 있어 음식을 먹으면 줄어드는 양을 보여주는 기능
6. 밥이 줄어들면서 재미있는 동영상이나 음악 또는 뉴스 기사 등을 보여주는 기능
7. 음식이 담아 있지 않을 때에는 식사도구의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캠핑, 등산, 낚시 등 야외활동 용
1. 야외에서 식사할 때 음악이나 동영상을 홀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기능
2. 야외에서 식사할 때 라디오를 들려주는 기능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배터리
220: 전자회로
310: 근접센서 모듈
320: 오디오 모듈
330: 진동 모듈
340: 발광 모듈
350: 디스플레이 모듈
360: 충전 모듈
370: 카메라 모듈
380: 연산 모듈
385: 메모리 모듈
390: 타이머 모듈
395: 제어부

Claims (10)

  1.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음식과 닿는 부위로 구성되는 식사도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식사도구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면 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 모듈, 및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는
    식탁 위에 차려진 음식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음식물 영상과 기 저장된 음식물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음식물에 해당하는 식사 메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검출된 식사 메뉴별로, 초기에 촬영된 음식물의 양과 이후에 촬영된 음식물의 양을 비교하여 줄어든 양을 토대로 칼로리를 계산하는 연산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모듈은
    상기 칼로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운동 종목이나 운동 방법을 음성 안내를 통해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근접센서 모듈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엘이디 점멸 신호를 발생하는 발광 모듈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하되, 무접점(무선), 전원잭, 또는 USB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듈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식탁 위에 식탁보 형태로 지원되는 무선 패드 충전기에 상기 식사도구가 놓이면, 자기유도, 자기공명 또는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기술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식사도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외에도, 건전지나 수은전지를 포함하는 탈착식 혹은 1회용 배터리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음식물의 촬영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모듈; 및
    상기 타이머 모듈을 통해 측정된 촬영 시간을 기록하는 메모리 모듈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음식물의 줄어든 양, 및 상기 기록된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사 속도 및 식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식사 속도 및 상기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사 정보를 기록하되, 상기 식사 정보에 포함된 내용별로 각 수치에 따른 올바른 식사 방법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오디오 모듈은
    상기 식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올바른 식사 방법에 관한 음성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KR1020130027338A 2013-03-14 2013-03-14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KR10128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38A KR101286357B1 (ko) 2013-03-14 2013-03-14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38A KR101286357B1 (ko) 2013-03-14 2013-03-14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357B1 true KR101286357B1 (ko) 2013-07-15

Family

ID=4899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38A KR101286357B1 (ko) 2013-03-14 2013-03-14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3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9086A1 (en) * 2013-12-24 2015-06-25 Hong Soon Kim Utensil comprising sensor
KR20170001207U (ko) * 2015-09-25 2017-04-04 라온상사 주식회사 기능성 젓가락
KR101869652B1 (ko) * 2017-06-25 2018-07-19 서정수 음향기기 기능의 식탁보
KR101887982B1 (ko) * 2017-11-24 2018-08-13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버터 스틱 장치
KR20220018192A (ko) 2020-08-06 2022-02-15 (주)아비브랜드 어린이 식사 도우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86Y2 (ja) * 1990-10-22 1995-05-17 宣明 手塚 メロディスプーンまたはフォーク
KR20080073277A (ko) * 2008-07-21 2008-08-08 양두영 음식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스푼
KR20080074001A (ko) * 2007-02-07 2008-08-12 노재규 다이어트용 음식조절기
JP2012138040A (ja) * 2010-12-28 2012-07-1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86Y2 (ja) * 1990-10-22 1995-05-17 宣明 手塚 メロディスプーンまたはフォーク
KR20080074001A (ko) * 2007-02-07 2008-08-12 노재규 다이어트용 음식조절기
KR20080073277A (ko) * 2008-07-21 2008-08-08 양두영 음식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스푼
JP2012138040A (ja) * 2010-12-28 2012-07-1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9086A1 (en) * 2013-12-24 2015-06-25 Hong Soon Kim Utensil comprising sensor
KR20170001207U (ko) * 2015-09-25 2017-04-04 라온상사 주식회사 기능성 젓가락
KR200485329Y1 (ko) * 2015-09-25 2017-12-26 라온상사 주식회사 기능성 젓가락
KR101869652B1 (ko) * 2017-06-25 2018-07-19 서정수 음향기기 기능의 식탁보
KR101887982B1 (ko) * 2017-11-24 2018-08-13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버터 스틱 장치
KR20220018192A (ko) 2020-08-06 2022-02-15 (주)아비브랜드 어린이 식사 도우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9162B2 (ja) 食事摂取の監視及び調節を行うための食器
US11029193B2 (en) Smart diaper changing pad
JP671953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286357B1 (ko) 사용자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식사도구
US9930980B2 (en) Beverage container
US10748403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nabled monitoring system
US20150105608A1 (en) Infant Sleeping Aid and Infant-Bed Accessory
JP6311018B2 (ja) 放送制御方法、装置および端末
CN109976517A (zh) 向电子设备的用户提供预激提示
KR102304744B1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111853B (zh) 儿童保育支持用程序、儿童保育支持方法、儿童保育支持系统和婴幼儿用监测装置
KR20160113092A (ko) 상호 작용식 장난감
CN109756834A (zh) 一种音频骨传导处理方法、装置和系统
Seiderer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 multi-device nutrition logger
CN104991472B (zh) 多功能智能碗系统
WO2015184824A1 (zh) 多功能躺椅及其控制方法
KR102289828B1 (ko) 사용자 행동에 반응하는 식사 도구,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US9144272B2 (en) Intelligent bracelet for attracting a baby's attention
RU138813U1 (ru) Тарелка с интерактивным дисплеем
JP2018033568A (ja) 食生活管理装置
WO2018127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data collection, and related charging station and system
JP6691979B2 (ja) 授乳管理機能を有するスマートはかり
WO2011092584A1 (en) Toilet seat and media unit
KR2017006105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US20090160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powering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