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302B1 -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302B1
KR101286302B1 KR1020110031747A KR20110031747A KR101286302B1 KR 101286302 B1 KR101286302 B1 KR 101286302B1 KR 1020110031747 A KR1020110031747 A KR 1020110031747A KR 20110031747 A KR20110031747 A KR 20110031747A KR 101286302 B1 KR101286302 B1 KR 10128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ync
host
content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013A (ko
Inventor
원승구
Original Assignee
원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승구 filed Critical 원승구
Priority to KR102011003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3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 서버 또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호스트 컨텐츠 및 호스트 컨텐츠 출력시 연동되는 씽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통신모듈,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 씽크 컨텐츠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 및 컨텐츠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호스트 컨텐츠를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로 출력하며,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을 통해 씽크 컨텐츠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송신하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 씽크 컨텐츠가 호스트 컨텐츠와 연동되도록 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CONTENTS PLAYING BASED INTERWORK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재생과 연동해서 각종 음성과 움직임으로 반응하는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요, 동화, 학습 및 교육, 오락 등의 어린이 관련 컨텐츠는 학습지 또는 교재 등과 같은 인쇄 매체를 통해서 제공된다.
최근에는 통신 기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유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통상 영상과 음성 등이 결합된 멀티미디어로 제공되는데,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컨텐츠는 어린이의 수준이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단순히 어린이에게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실정이다.
그 결과, 집중도가 떨어져 어린이가 쉽게 싫증을 내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장난감 등을 통해 씽크 컨텐츠를 출력하여 호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응되도록 각종 음성과 움직임을 실행하도록 하는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는 호스트 컨텐츠 및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연동하는 씽크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받아 상기 호스트 컨텐츠는 출력하고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통신모듈; 상기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 및 상기 컨텐츠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호스트 컨텐츠를 상기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 상기 씽크 컨텐츠가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연동되도록 상기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을 통해 상기 씽크 컨텐츠를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상기 씽크 컨텐츠를 확인하여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과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씽크 컨텐츠의 씽크 컨텐츠 ID를 상기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을 통해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ID는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씽크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 상기 씽크 컨텐츠를 출력하는 씽크 컨텐츠 출력부; 및 상기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씽크 컨텐츠에 따른 동작을 상기 씽크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출력부는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과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씽크 컨텐츠의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을 실행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ID는 동작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동작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컨트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시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거나 움직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므로, 어린이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더욱 재미있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가 교육 목적으로 제작될 경우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장난감 등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관리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다수 개의 장난감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씽크 컨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씽크 컨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씽크 컨텐츠 처리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구성 및 구매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및 연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의 서비스 흐름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씽크 컨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씽크 컨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10), 컨텐츠 관리 서버(20), 스마트폰(30),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를 포함한다. 컨텐츠 서버(10), 컨텐츠 관리 서버(20), 스마트폰(30) 및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상호 간에 통신망(50)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통신망(50)은 이동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컨텐츠 서버(10)와 컨텐츠 관리 서버(20) 및 스마트폰(30) 간에 각종 컨텐츠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스마트폰(30)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다. 근거리 무선통신망에는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통신망(50)을 통해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해당 컨텐츠를 통신망(50)을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서버(10)에 컨텐츠 목록 또는 컨텐츠를 요청하고, 컨텐츠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를 스마트폰(30)에 전송한다.
스마트폰(30)은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컨텐츠 서버(10)에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컨텐츠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여기서, 컨텐츠 중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고, 씽크 컨텐츠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호스트 컨텐츠에 씽크 컨텐츠가 연동되도록 씽크 컨텐츠를 출력한다.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장난감 등에 설치되어 스마트폰(30)으로부터 전송된 씽크 컨텐츠를 출력한다.
따라서, 스마트폰(30)으로 호스트 컨텐츠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가 씽크 컨텐츠에 정의된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과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특정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컨텐츠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포함한다.
호스트 컨텐츠는 스마트폰(30)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이벤트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다.
씽크 컨텐츠는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로써,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와 컨트롤 씽크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씽크 컨텐츠는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되어 호스트 컨텐츠 출력시 연동되는 컨텐츠이다. 따라서, 스마트폰(30)이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가 호스트 컨텐츠에 연동되어 씽크 컨텐츠에 따른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컨텐츠에 연동되어 씽크 컨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일 예로, 호스트 컨텐츠가 유아용 애니메이션인 경우, 씽크 컨텐츠는 유아용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30)에서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동작이 있으면, 이 동작에 대응하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에서는 해당 캐릭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음성, 움직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해당 캐릭터의 동작과 연동된다.
호스트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벤트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는 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이면, 씽크 컨텐츠는 타임 씽크 컨텐츠가 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동영상과 정지영상, 음성 등이 포함된다.
타임 씽크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시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을 기반으로 씽크가 일치되어 출력되는 컨텐츠이다. 타임 씽크 컨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와 움직임, 발광 등의 동작을 실행하는 컨트롤 씽크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임 씽크 컨텐츠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씽크 ID와, 타임 정보, 씽크 컨텐츠 ID,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한다.
타임 씽크 ID는 씽크 컨텐츠를 식별하도록 한다.
타임 정보는 씽크 컨텐츠의 출력 시간을 정의한다.
씽크 컨텐츠 ID는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와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와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는 해당 타임 정보에 출력할 동작 정보를 식별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는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다.
컨트롤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는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움직임, 발광 등의 컨트롤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이벤트 씽크 컨텐츠는 이벤트 컨텐츠 출력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기반으로 씽크가 일치되어 출력되는 컨텐츠이다. 일 예로, 이벤트 컨텐츠가 교육용 컨텐츠일 경우로써,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벤트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컨텐츠 출력시, 특정 질문에 대한 이벤트로써, 답변이 있거나, 또는 정답 여부에 따라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벤트 씽크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와 컨트롤 씽크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컨트롤 씽크 컨텐츠는 움직임, 발광 등의 동작을 포함한다.
이벤트 씽크 컨텐츠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씽크 ID와, 이벤트 정보, 씽크 컨텐츠 ID,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씽크 ID는 씽크 컨텐츠를 식별하도록 한다.
이벤트 정보는 호스트 컨텐츠의 이벤트를 정의한다.
씽크 컨텐츠 ID는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와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와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는 해당 이벤트에 출력할 동작 정보를 식별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는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다.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는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움직임, 발광 등의 컨트롤 정보를 포함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관리부(11),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 및 컨텐츠 전송부(13)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는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저장한다.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는 다수 개가 저장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1)는 컨텐츠 서버(10)를 전반적으로 관리한다.
컨텐츠 관리부(11)는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서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읽어들여 컨텐츠 전송부(13)를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0)가 컨텐츠 목록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새로운 컨텐츠가 저장되거나, 주기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컨텐츠 목록을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목록을 이용하여 컨텐츠 목록을 새롭게 구성하고, 컨텐츠 목록 구성이 완료됨을 응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30)을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접속할 경우, 새롭게 구성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전송부(13)는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20)와 컨텐츠 서버(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컨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이동 통신망을 운영 및 관리하는 통신 사업자 등에 설치되어 컨텐츠 서버(10)와 스마트폰(30)을 연계시킨다.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서버(1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목록을 구성하고, 컨텐츠 구매에 따른 요금을 부가한다. 아울러,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컨텐츠 관리 서버(20)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지 않고, 컨텐츠 서버(10)에 직접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관리 서버(20)의 트래픽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럭 구성도이다.
스마트폰(30)은 컨텐츠 서버(10) 또는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컨텐츠를 요청한다. 아울러, 전송된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고, 씽크 컨텐츠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전송한다.
이러한 스마트폰(30)은 컨텐츠 통신모듈(31),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32), 컨텐츠 저장부(33),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34), 입력부(35) 및 컨텐츠 처리부(36)를 포함한다.
컨텐츠 통신모듈(31)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통신망(50)을 통해 컨텐츠를 요청하고, 컨텐츠 관리 서버(20) 또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호스트 컨텐츠와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수신한다.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32)은 씽크 컨텐츠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스마트폰(30)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 사이의 케이블이 필요없어 스마트폰(30)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컨텐츠 저장부(33)는 컨텐츠 통신모듈(31)로부터 입력된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저장한다.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34)는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 경우, 호스트 컨텐츠에 따라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35)는 사용자의 각종 명령을 입력한다. 입력부(35)는 터치 방식으로 설치되어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 처리부(36)는 입력부(35)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스마트폰(30)을 제어한다. 입력부(35)로부터 컨텐츠 목록 제공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통신모듈(31)을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여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34)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컨텐츠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통신모듈(31)에서 수신된 호스트 컨텐츠를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34)로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컨텐츠 처리부(36)는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32)을 통해 씽크 컨텐츠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하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에서 씽크 컨텐츠를 호스트 컨텐츠와 연동되도록 한다.
특히, 컨텐츠 처리부(36)는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34)를 통해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씽크 컨텐츠의 씽크 ID를 확인한다. 이 경우, 씽크 ID의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이 되거나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때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이 되거나 또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씽크 컨텐츠 ID를 씽크 컨텐츠 통신모듈(31)을 통해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전송한다.
이때,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씽크 컨텐츠 ID를 수신하여 해당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을 실행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스마트폰(30)에서 호스트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호스트 컨텐츠에 씽크되어 씽크 컨텐츠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러한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어린이나 유아 등이 선호하는 장난감에 추가적으로 더 설치되거나, 장난감일 수도 있다.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41), 제어부(42), 씽크 컨텐츠 저장부(43) 및 씽크 컨텐츠 출력부(44)를 포함한다.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41)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 ID를 수신한다.
씽크 컨텐츠 저장부(43)는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41)에서 수신한 씽크 컨텐츠를 저장한다.
씽크 컨텐츠 출력부(44)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 ID가 전송되면, 이 씽크 컨텐츠 ID에 의해 식별된 동작 정보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씽크 컨텐츠 출력부(44)는 씽크 컨텐츠의 동작 정보에 따라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 및 움직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씽크 컨텐츠 출력부(44)는 영상 출력부(441), 음성 출력부(442) 및 움직임 구동부(443)를 포함한다.
영상 출력부(44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441)는 LCD(Lu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442)는 다양한 음성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성의 예로써, 효과음이나 대사, 음악, 배경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움직임 구동부(443)는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가 장난감인 경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를 움직이게 하거나, 장난감 등에 별도로 설치되어 장난감 등을 움직이게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움직임 구동부(44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 또는 빛을 발광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난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은 현재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움직임의 예로서, 장난감이 로보트인 경우, 로보트의 관절을 움직이거나, 발광시키는 작동이 포함된다.
제어부(42)는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41)에서 수신된 씽크 컨텐츠에 따른 동작을 씽크 컨텐츠 출력부(44)를 통해 실행한다.
제어부(42)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씽크 컨텐츠가 송신되면,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41)이 씽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씽크 컨텐츠 저장부(43)에 저장한다.
이후, 씽크 컨텐츠 ID가 전송되면, 이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 출력부(44)를 통해 동작을 실행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구성 및 구매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텐츠 목록 구성 및 구매 과정은 우선, 컨텐츠 관리부(11)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컨텐츠가 저장되거나 등록되면, 해당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전송하고,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컨텐츠 목록 구성을 요청한다(S100).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서버(1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목록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목록을 구성한다(S102).
아울러,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목록 구성이 완료됨을 응답한다(S104).
이후, 스마트폰(30)이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로그인하고(S106),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면(S108),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 목록을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한다(S110).
스마트폰(30)은 컨텐츠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30)을 통해 컨텐츠 목록을 확인하게 된다.
스마트폰(30)은 컨텐츠 목록 중에서 컨텐츠가 선택되는 지를 확인하고(S112), 이때,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의 구매를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요청한다(S114).
이에 따라,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요금을 부과하여 컨텐츠 구매를 처리하고(S116), 선택된 해당 컨텐츠의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응답한다(S118).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30)에서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컨텐츠를 구매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폰(30)에서 컨텐츠 서버(10)에 직접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30)은 컨텐츠의 구매가 완료되면,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다. 이를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텐츠 다운로드 과정은 우선, 스마트폰(30)은 컨텐츠가 선택되면(S200), 선택된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요청한다(S202).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컨텐츠 목록을 체크하여 해당 컨텐츠가 컨텐츠 목록에 리스트업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S204).
확인 결과, 컨텐츠가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컨텐츠 서버(10)에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다(S206).
컨텐츠 서버(1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있으면,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고(S208),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송신한다(S210).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서버(10)에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스마트폰(30)으로 송신한다(S212).
이에 따라, 스마트폰(30)은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다(S214).
스마트폰(30)은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후, 컨텐츠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고, 이때,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가 연동한다. 이를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및 연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텐츠 출력 및 연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폰(30)은 컨텐츠 관리 서버(20)로부터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수신한 상태에서, 입력부(35)로부터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출력 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확인한다(S300).
이때, 입력부(35)로부터 컨텐츠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에 씽크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서, 해당 씽크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지 여부를 요청한다(S302).
여기서, 씽크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씽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씽크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호스트 컨텐츠의 제목이나, 씽크 컨텐츠에 대한 제목 등과 같이 호스트 컨텐츠에 대응되는 씽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가 씽크 컨텐츠 저장 여부 확인을 요청받으면, 씽크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씽크 컨텐츠가 기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S304), 씽크 컨텐츠 저장 여부 확인 결과를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한다(S306).
스마트폰(30)은 씽크 컨텐츠의 저장 여부를 확인(S308)하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에 씽크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씽크 컨텐츠를 읽어들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S310).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씽크 컨텐츠를 저장한다(S312).
이후, 스마트폰(30)은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씽크 컨텐츠의 씽크 ID를 확인하여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이 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씽크 컨텐츠 ID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S316).
이때,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 ID를 수신하고, 씽크 컨텐츠에서 해당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동작을 실행한다(S318).
한편, 스마트폰(30)은 씽크 컨텐츠의 저장 여부를 확인(S308)하여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에 씽크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면,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한다(S314).
스마트폰(30)은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씽크 컨텐츠의 씽크 ID를 확인하여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이 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씽크 컨텐츠 ID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S316).
이때,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 ID를 수신하고, 씽크 컨텐츠에서 해당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동작을 실행한다(S318).
이때, 스마트폰(30)은 씽크 컨텐츠가 타임 씽크 컨텐츠일 경우, 타임 씽크 ID가 확인되면, 이 타임 씽크 ID의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에 해당 씽크 컨텐츠 ID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
이 경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씽크 컨텐츠 ID가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이면, 해당 멀티미디어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고, 씽크 컨텐츠 ID가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이면, 해당 컨트롤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이는 씽크 컨텐츠가 이벤트 씽크 컨텐츠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스마트폰(30)은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이 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씽크 컨텐츠 ID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전송하고,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씽크 컨텐츠 ID를 수신할 때마다 해당 동작 정보를 읽어들여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호스트 컨텐츠와 씽크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식은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를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스마트폰(30)에서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특정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한다(S400).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해당 컨텐츠가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지 컨텐츠 목록을 체크한다(S402).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해당 컨텐츠 목록에 대해서 컨텐츠 서버(10)에 컨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고(S404), 컨텐츠 서버(10)는 해당 컨텐츠를 추출(S406)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20)에 송신한다(S408).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 서버(1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스마트폰(30)으로 송신한다(S410).
스마트폰(30)은 컨텐츠 관리 서버(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서, 컨텐츠 중 호스트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고(S412), 씽크 컨텐츠를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로 송신한다(S414).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스마트폰(30)은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씽크 컨텐츠의 씽크 ID를 확인하여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이 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씽크 컨텐츠 ID를 송신한다(S412,S414).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4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씽크 컨텐츠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을 실행하여 씽크 컨텐츠를 출력한다(S416).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컨텐츠 서버 11: 컨텐츠 관리부
12: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3: 컨텐츠 전송부
20: 컨텐츠 관리 서버 30: 스마트폰
31: 컨텐츠 통신모듈 32: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
33: 컨텐츠 저장부 34: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
35: 입력부 36: 컨텐츠 처리부
40: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 41: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
43: 씽크 컨텐츠 저장부 42: 제어부
44: 씽크 컨텐츠 출력부 441: 영상 출력부
442: 음성 출력부 443: 움직임 구동부

Claims (19)

  1. 삭제
  2. 호스트 컨텐츠 및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연동하는 씽크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받아 상기 호스트 컨텐츠는 출력하고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씽크 컨텐츠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통신모듈; 상기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 상기 씽크 컨텐츠를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 및 상기 컨텐츠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호스트 컨텐츠를 상기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 상기 씽크 컨텐츠가 상기 호스트 컨텐츠와 연동되도록 상기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을 통해 상기 씽크 컨텐츠를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상기 씽크 컨텐츠를 확인하여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과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씽크 컨텐츠의 씽크 컨텐츠 ID를 상기 씽크 컨텐츠 송신모듈을 통해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ID는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처리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씽크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 상기 씽크 컨텐츠를 출력하는 씽크 컨텐츠 출력부; 및 상기 씽크 컨텐츠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씽크 컨텐츠에 따른 동작을 상기 씽크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출력부는 씽크 컨텐츠 출력 시간과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씽크 컨텐츠의 씽크 컨텐츠 ID의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을 실행하며, 상기 씽크 컨텐츠 ID는 동작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컨트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31747A 2011-04-06 2011-04-06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KR10128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47A KR101286302B1 (ko) 2011-04-06 2011-04-06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47A KR101286302B1 (ko) 2011-04-06 2011-04-06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13A KR20120114013A (ko) 2012-10-16
KR101286302B1 true KR101286302B1 (ko) 2013-07-15

Family

ID=4728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747A KR101286302B1 (ko) 2011-04-06 2011-04-06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530A (ko) * 2000-12-18 2001-03-05 조순영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KR20020015184A (ko) * 2000-08-21 2002-02-27 구자홍 게임을 이용한 완구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80107988A (ko) * 2008-03-10 2008-12-11 주식회사 케이티 넷토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184A (ko) * 2000-08-21 2002-02-27 구자홍 게임을 이용한 완구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10016530A (ko) * 2000-12-18 2001-03-05 조순영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KR20080107988A (ko) * 2008-03-10 2008-12-11 주식회사 케이티 넷토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13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9594B2 (ja) 映像再生方法及び装置
CN108027664B (zh) 统一的虚拟现实平台
CN102819969B (zh) 多媒体教育平台的实现方法及多媒体教育平台系统
US20160121229A1 (en) Method and device of community interaction with toy as the center
WO2012105318A1 (ja) 入力支援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記録媒体
CN102508863A (zh) 一种在线课件制作系统及方法
KR100881723B1 (ko) 미디어 실감 재현을 위한 디바이스 연동/제어 정보 생성장치 및 방법
US201800896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user experience for consumer products
CN106664318A (zh) 用于计算和娱乐装置的移动播放接收器
KR101357901B1 (ko) N-스크린 환경에서 체감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286302B1 (ko)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KR101980520B1 (ko)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83127B1 (ko) 방송 컨텐츠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컨텐츠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4810A (ko) 방송 컨텐츠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컨텐츠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6989B1 (ko) 콘텐츠 재생 기기 간의 연동 시스템
KR20130100813A (ko) e-Book 기반 온라인 방송 학습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14576A1 (en)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vice
JP2008022121A (ja) 動画・音声オンデマンド配信システム
KR20140093398A (ko) Mpeg-v 기반 이동단말 환경을 위한 실감미디어 재현 방법 및 장치
KR101821491B1 (ko) 블루투스 통신기반 스마트폰과 iptv 게임 테스트베드 시스템의 연동방법
KR20200053748A (ko) 전자펜과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폐쇄형 상호작용 멀티미디어 콘텐츠 놀이 학습 시스템
KR101320076B1 (ko) 언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40051040A (ko)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079256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记录介质
US2023038858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