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530A -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530A
KR20010016530A KR1020000077874A KR20000077874A KR20010016530A KR 20010016530 A KR20010016530 A KR 20010016530A KR 1020000077874 A KR1020000077874 A KR 1020000077874A KR 20000077874 A KR20000077874 A KR 20000077874A KR 20010016530 A KR20010016530 A KR 2001001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oy
computer
signal
digit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722B1 (ko
Inventor
조순영
문정호
이인섭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조순영
주식회사 이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영, 주식회사 이플래닛 filed Critical 조순영
Priority to KR102000007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7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530A/ko
Priority to US09/922,883 priority patent/US200200770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완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컴퓨터에는 디지털 컨텐츠와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완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통신 포트,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 스피커, 모터 구동 장치, 모터, LED/조명 기기, LED/조명기기 제어 장치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PC 화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LED/조명 제어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등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PC 화상 데이터는 컴퓨터의 화면으로 출력시키고 다른 제어 데이터들은 각각 패킷화하여 완구로 전송하며, 상기 패킷화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컴퓨터와 실시간 연동되는 완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TOY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고, 다운로드받은 디지털 컨텐츠를 컴퓨터 및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완구에서 서로 실시간 연동하여 실행하는 완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가 생겨나게 되었다. 디지털 컨텐츠의 예로서 음악 파일인 MP3 파일등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컴퓨터상에서 실행하거나 별도의 디지털 컨텐츠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갖고 있거나 디지털 컨텐츠 플레이어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고, 이를 컴퓨터나 상기 플레이어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완구를 살펴 보면, 로봇, 자동차 등의 완구들이 모터를 이용해 움직이거나 완구내에 장착된 메모리와 스피커를 이용해 소리를 출력하는 것들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완구는 메모리의 용량이 적고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 동작이나 출력되는 소리가 매우 단순하고, 그 결과 종래의 완구는 아이들에게 금방 싫증을 나게 하거나 장기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기술을 완구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 특허 출원 제99-0027814호의 "완구용 동작 제어 장치"가 그 예이다. 이 발명은 완구용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컴퓨터에서 작성되어 전송된 프로그램에 따라 완구의 모터 구동 작동부를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으며, 또한 완구를 통한 프로그램 습득 효과를 거둘수 있어서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완구용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발명에 따른 완구는 컴퓨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완구내의 저장부(60)에 저장한 뒤, 상기 컴퓨터와는 전혀 무관하게(stand alone) 혼자서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명은 완구내에 일정 크기이상의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야 하며, 다운로드받는 디지털 컨텐츠의 사이즈도 완구의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컨텐츠와 동작 코드 테이블을 다운로드받고,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을 완구의 저장 장치로 다운로드시키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컴퓨터상에서 실행시키면, 컴퓨터의 화상, 음성, 에니메이션과 같은 멀티미디어 출력과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완구로 다운로드시키지 않고 완구를 구동시킬 동작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운드 데이터만을 컴퓨터로부터 완구로 실시간으로 전송시키면서 상기 완구와 컴퓨터를 서로 연동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소량의 메모리만을 구비한 완구가 이보다 큰 사이즈의 디지털 컨텐츠를 구동시킬 수 있는 완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일부 부품이나 완구의 교체없이도 완구 내부의 동작 코드 테이블을 자동으로 업그레이드시킴으로써, 같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동작을 할 수 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완구나 로봇에 있어서, 입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에 따라 완구나 로봇의 입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입의 움직임을 매우 자연스럽게 하는 모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및 컴퓨터와 실시간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구성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구성이며, 도 2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사운드 데이터 풀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LED 제어 데이터 및 조명 제어 데이터들의 패킷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에 있어서, 다운로드 제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상기 완구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a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9b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완구에 사용되는 모터 제어 장치의 회로도.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완구로 이루어지는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화상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컴퓨터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내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는 컴퓨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코드 데이터는 패킷화하여 상기 완구로 전송시키며,
상기 완구는,
상기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포트와,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하여,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완구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장치와, 상기 완구의 각 부위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완구는 동작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완구의 동작 및 음성 출력이 상기 컴퓨터 화면과 서로 동기화되어 연동된다.
이때, 상기 완구는 상기 메모리내에 동작 코드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캐릭터 ID,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 동작 코드, 각 동작 코드에 해당하는 모터의 제어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완구의 동작 코드 테이블 버젼과 상기 컴퓨터 상에 저장된 동작 코드 테이블 버젼을 비교하고, 만약 완구의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이 상기 컴퓨터 상의 그것보다 낮으면, 상기 컴퓨터 상의 동작 코드 테이블을 상기 완구내에 장착된 메모리로 다운로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구는 동작 로봇과 무대 장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작 로봇은 상기 동작 제어 테이블이 기록된 전기적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메모리 및 모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무대 장치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정의 영역에 음향 데이터 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 풀은 제1 음향 데이터 ID 및 각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제1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를 음향 데이터 풀로부터 구하고 상기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를 상기 완구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완구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면, 각 입력에 해당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이벤트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완구에 장착된 사용자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시작, 정지 등을 알리는 신호 또는 동작 로봇의 착탈 여부를 알리는 신호등이 있다.
전술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b) 증폭된 상기 음성 신호의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를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엔벨로프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하는 단계
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모터 제어 방법은 말하는 로봇 또는 완구의 입을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음성 신호는 상기 로봇 또는 완구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완구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데이터 및 동화를 구연하기 위하여 필요한 음향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전송받음으로써, 완구내에 디지털 컨텐츠를 전부 저장할 대량의 메모리가 필요없으며, 완구의 동작, 음향 출력 및 조명 제어 등이 컴퓨터의 화상 출력 및 음향 출력과 실시간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연동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 및 완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시스템에 대한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 및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퓨터와 완구는 유선 인터페이스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페이스도 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1 실시예는 화상 데이터(210), 제1 음향 데이터(216), 제2 음향 데이터(212), 동작 제어 데이터(214)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218)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들의 기록 순서는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는 이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게 된다. 이때, 상기 동작 로봇의 캐릭터 ID에 해당하는 새로 갱신된 동작 코드 테이블도 함께 다운로드받게 된다.
도 2b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상 데이터, 제2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LED/조명 제어 데이터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영역내에 사운드 데이터 풀 및 음향 데이터 ID를 더 구비한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운드 데이터 풀은 음향 데이터 ID 및 각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들을 구비한다. 이때, 하나의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는 완구에 대해 동시에 동작되는 신호들이다. 즉, 디지털 컨텐츠의 일정 영역에 사운드 데이터 풀을 구비하고, 사운드 데이터 풀의 키워드역할을 하는 음향 데이터 ID를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컨텐츠(112)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동작 로봇의 캐릭터 ID에 해당하는 동작 코드 테이블과 함께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며,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 및 동작 코드 테이블은 상기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완구내의 메모리로 다운로드된다.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제2 음향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구동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하여 각각 출력되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는 각각 패킷화되어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완구로 전송된다. 이들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만약, 판독한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가 음향 데이터 ID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음향 데이터 풀에서 상기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들을 각각 패킷화하여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완구로 전송한다. 음향 데이터 풀을 더 구비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고 구동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300)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프로그램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디지털 컨텐츠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오는 디지털 컨텐츠 판독기(310),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들을 데이터의 종류에 부합되게 컴퓨터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PC 화면 출력부(320)와 PC 스피커 출력부(322), 데이터 패킷 전송부(324) 및 다운로드 제어부(330), 입력 신호 실행부(340)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 신호 실행부(340)는 상기 완구로부터 상기 컴퓨터로 이벤트 또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이벤트의 종류 및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운로드 제어부(330)의 동작도 후술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 410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여 로딩한 후, 단계 420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한다.
다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화상 데이터이면(단계 430),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단계 432),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제2 음향 데이터이면(단계 440), 제2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컴퓨터에 장착된 스피커로 출력시킨다(단계 442).
이와 동시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제1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 중의 하나이면(단계 450), 이를 패킷화하여 상기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완구로 전송시킨다(단계 452). 다음, 디지털 컨텐츠가 종료되었으면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도 5a 내지 도 5d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형성된 각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5a는 동작 제어 데이터에 대한 패킷으로서, 통신 헤더 및 동작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동작 제어 데이터는 원하는 동작에 대하여 기설정되어 완구에 장착된 메모리내에 기록된 동작 코드 테이블의 데이터 코드를 나타낸다.
도 5b는 조명 제어 데이터에 대한 패킷으로서, 통신 헤더, 시작 RGB값, 종료 RGB값, 시간 및 반복 횟수로 이루어지며, 이는 정해진 시간내에서 반복 횟수만큼 시작 RGB 값에서 종료 RGB 값으로 변화하게 된다.
도 5c는 LED 제어 신호에 대한 데이터 패킷으로서, 통신 헤더, 반복 횟수, LED 온/오프, 시간, …, LED 온/오프, 시간으로 이루어지며, LED 온/오프는 일정 길이를 갖는 bit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데이터가 1이면 켜고 0이면 끈다. 그리고, 명령 수신 순간부터 상대적 시간에 일치시켜 각각의 LED를 온/오프하는 것을 반복 횟수만큼 한다.
도 5d는 제1 음향 데이터의 패킷으로서, 통신헤더, 제1 음향 데이터, 시간, 제어 명령, …, 시간, 제어명령으로 이루어지며, 제1 음향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진행되는 시간에 동기화되어 제어명령이 실행됨으로써 말하는 동작 로봇이 구현된다. 이때, 제어 명령이라 함은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말하는 것으로써, 이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가 출력됨과 동시에 동작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및 조명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들이다.
도 6은 상기 다운로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600 및 단계 610에서,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완구로부터 완구의 캐릭터 ID 및 상기 완구내의 메모리에 기록된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전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는다.
다음, 단계 620에서, 완구로부터 수신된 캐릭터 ID 및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전과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상기 컴퓨터 상에 저장된 동작 로봇의 캐릭터 ID 및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전과 서로 비교한다.
이때, 단계 630에서, 만약 캐릭터 ID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완구의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전이 상기 컴퓨터상의 그것보다 낮으면, 단계 640에서 다운로드 개시 코드를 상기 완구쪽으로 전송한다. 다음, 단계 650에서, 완구로부터 수신 준비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캐릭터 ID에 해당하는 동작 코드 테이블을 완구내에 장착된 메모리로 다운로드시킨 후(단계 660), 종료한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완구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구는 통신 포트(710), 마이크로프로세서(720),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750), 스피커(754), 엔벨로프 검출기(756), A/D 컨버터, 모터 구동 장치(760), 모터(762), LED/조명기기 구동 장치(770), LED 또는 조명기기(772), 입력 장치(740), 메모리(730, 73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완구는 무대장치부와 동작 로봇으로 나뉘어 이루어지되, 상기 동작 로봇은 무대장치부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로봇을 무대 장치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캐릭터의 동작 로봇으로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코드 테이블은 동작 로봇의 캐릭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동작 코드 테이블을 동작 로봇내에 장착된 메모리에 기록하여 둠으로써, 동작 로봇이 다른 캐릭터의 동작 로봇으로 교체되면 동작 코드 테이블도 동작 로봇과 함께 교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대 장치부는 통신 포트와, 상기 완구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와,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와, 모터 구동 장치와, LED/조명 기기 구동 장치와, LED/조명 기기와,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포트(710)는 상기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720)는 완구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프로세서와, 패킷 디코더부와, 입력 처리부와, 모터 제어부와, 음향 데이터 처리부와 LED/조명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통신 프로세서(820)는 상기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계속 저장한 후 패킷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패킷을 후술되는 패킷 디코더부로 출력하거나, 입력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 쪽으로 송신한다.
상기 패킷 디코더부(830)는 상기 통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디코딩하고, 상기 패킷이 제1 음향 데이터이면 음향 데이터 처리부로, 동작 제어 데이터이면 모터 제어부로, LED/조명 제어 데이터이면 LED/조명 제어부로 각각 전송한다.
상기 입력 처리부(810)는 내부 이벤트 또는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각 이벤트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내부 이벤트는 컴퓨터의 화면과 스피커로 각각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 완구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 및 완구의 동작이 서로 동기화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신호 및 상기 동작 로봇이 상기 무대 장치부로부터 착탈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신호이며,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는 상기 완구에 장착된 사용자 조작 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즉 컨텐츠의 시작, 중지,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컨텐츠 판독기의 시작 등을 알리는 신호이다.
상기 모터 제어부(840)는 상기 패킷 디코더부로부터 출력된 동작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코드에 해당하는 모터의 위치 및 시간 데이터를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로부터 판독한 다음, 상기 위치 및 시간 데이터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구하고, 상기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 장치로 출력시킨다.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부(850)는 상기 패킷 디코더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사운드 디코터로 출력시킨다.
상기 LED/조명 제어부(860)는 상기 패킷 디코더로부터 출력된 LED/조명 제어 데이터로부터 LED/조명 제어 신호를 구한 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LED/조명기기 구동장치로 출력시킨다.
전술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완구로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완구의 동작 및 말하는 모양 등이 제어된다.
다음, 상기 메모리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메모리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메모리는 동작 코드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메모리는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재기록가능한 EEPROM이다.
상기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75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여 사운드 증폭기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증폭시킨 후 스피커(754)로 출력시킨다.
한편, 엔벨로프 검출기(756)는 상기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를 검출하고, A/D 컨버터(758)는 엔벨로프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변환된 음성 신호는 동작 로봇의 입을 움직이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모터 구동 장치(76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킨다.
상기 LED/조명 기기 구동 장치(77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LED/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LED 또는 조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LED/조명 제어 신호는 LED의 밝기 또는 색깔 등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이다.
상기 입력 장치(740)는 사용자 조작 버튼으로서 외부 입력이 발생할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이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작 로봇은 복수 개의 모터, 스피커 및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상기 완구의 캐릭터 ID,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 동작 코드, 각 동작 코드에 해당하는 모터의 제어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구는 컴퓨터로부터 동작 제어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전송받으면, 동작 제어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동작 코드를 구하고, 이 동작 코드를 키워드로 하여 동작 코드 테이블로부터 상기 동작 코드에 해당하는 모터 제어 데이터들을 불러온다. 상기 모터 제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동작 로봇내에 있는 모터들을 제어한다.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이 연동되는 컴퓨터상에 저장된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보다 낮으면,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새로운 버젼의 동작 코드 테이블이 상기 제2 메모리로 다운로드된다. 따라서, 기존의 완구 시스템을 교체하지 않고도 동작 코드 테이블을 새로이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754)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음향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모터(762)는 상기 동작 로봇의 각 부위에 장착되어, 동작 로봇의 팔 다리 등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작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 코드 테이블로부터 구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모터들 중 동작 로봇의 입과 연결된 모터는 음성 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모터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모터 제어 장치는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1000)와, 다이오드(1010)와, 저역 통과 필터 회로(1020)로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제어 장치는 상기 A/D 컨버터를 더 구비한다.
도 9a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순차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9b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일정 시간간격마다 인터럽트로 처리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패킷을 디코딩하여(단계 960) 패킷의 데이터가 무엇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수신된 패킷이 음향 데이터이면 데이터를 저장하고(단계 962 및 단계 964), 수신된 패킷이 동작 제어 데이터이면 동작 모드를 설정하며(단계 970 및 단계 972), 수신된 패킷이 LED/조명 제어 데이터이면 LED/조명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980 및 단계 982).
단계 910에서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사운드 디코더의 버퍼가 풀(full)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20). 사운드 디코더 버퍼가 풀이 아니면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30). 만약 데이터 스트림이 끝나지 않았으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 패킷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40). 상기 재생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고(단계 950), 그렇지 않으면 다음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고(단계 942) 단계 910으로 되돌아간다.
도 9b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순차적인 동작 루틴과는 별도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는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다. 이는 모터의 제어, LED의 제어 및 조명 기기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이들은 정확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터럽트 루틴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면, 25ms 간격으로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도록 설정한 다음, 타이머 인터럽트에서는 A/D 변환을 시작한다. A/D 변환되는 신호는 엔벨로프 검출기의 출력 및 각 모터의 위치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A/D 변환이 끝나면 A/D 변환 종료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도 9b의 모터 제어, LED 제어 및 조명 기기 제어 루틴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모터 제어, LED 점멸 및 조명 제어는 정확하게 25ms 시간 간격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 입력 장치인 스위치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외부 인터럽트 루틴을 사용한다. 따라서, 스위치 중 어느 한 버튼이라도 눌러지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스위치의 상태를 읽어온 후 그 값을 통신 프로세서를 통하여 컴퓨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컴퓨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인터럽트 루틴을 실행시킨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컴퓨터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통신 포트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수신되는데, 한 바이트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확보해 둔 버퍼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패킷의 마지막 바이트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러면, 도 9a의 흐름도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이 플래그를 검사함으로써 알 수 있게 된다. 패킷 디코딩이 종료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패킷 플래그를 다시 0으로 리셋시켜야 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모터 제어 장치 중 상기 동작 로봇의 입을 움직이는 모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계 1100에서, 컴퓨터로부터 완구로 전송되는 제1 음향 데이터가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며, 상기 증폭기는 차동 증폭기(OP Am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성 신호가 0.7볼트보다 낮으면, 증폭기 후단에 있는 다이오드의 출력이 0볼트가 되고, 그 결과 엔벨로프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단계 1110에서,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다이오드를 통과시킴으로써, 음성 신호 중 마이너스 성분을 제거시킨다. 단계 1120에서, 그 출력 신호를 커패시터와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음성 신호의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를 검출한다.
다음, 단계 1130에서, 검출된 엔벨로프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단계 1140에서 변환된 신호를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한다.
전술한 모터 제어 장치는 로봇이나 완구의 입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입력 신호로서 로봇이나 완구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음성 신호의 크기에 따라 입의 움직이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말하는 로봇이나 완구의 입 모양이 출력되는 음성에 따라 변하게 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로봇이나 완구의 말하는 모양이 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PC 상에서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의 음성, 화상, 애니메이션의 멀티미디어가 구현되고, 완구는 상기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와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동화를 재미있게 구연하면서 팔과 다리 등을 움직임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많은 호기심을 갖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시스템은 동화 등을 재미있게 구연하는 동작 로봇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화면에는 동화책의 주인공의 캐릭터와 배경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동작 로봇은 컴퓨터의 화면에 대응되는 동화를 구연하면서 다양한 동작과 무대 조명 효과를 가짐으로써, 동화의 재미를 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학 시스템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즉, 컴퓨터 화면으로 화상이나 외국어로 된 자막이 디스플레이되고, 완구는 컴퓨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자막 데이터에 해당하는 외국어를 발음함으로써, 어린이나 초보자들이 장난감을 보면서 재미있게 어학을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구 시스템은 완구가 컴퓨터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출력시키게 함으로써, 상기 완구의 동작이나 음성 출력은 컴퓨터의 화면과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로봇을 무대장치부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하고, 동작 로봇내에 장착된 메모리에 동작 코드 테이블을 기록하여 둠으로써, 새로운 캐릭터의 동작 로봇으로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이 기록되는 메모리를 전기적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EEPROM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버젼의 동작 코드 테이블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받아 동작 로봇의 동작 코드 테이블을 새로운 버젼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하드웨어의 교체없이도 로봇내의 메모리에 기록된 동작 코드 테이블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완구의 입을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음성 출력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동화 구연시에 보다 자연스러운 입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동화 구연 장치에 응용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재미있게 동화책을 읽어주고 보여줄 수 있게 된다.

Claims (30)

  1.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완구로 이루어지는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화상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컴퓨터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내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는 컴퓨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코드 데이터는 패킷화하여 상기 완구로 전송시키며,
    상기 완구는,
    상기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포트와,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하여,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완구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장치와,
    상기 완구의 각 부위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완구는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완구의 동작 및 음성 출력이 상기 컴퓨터 화면과 서로 동기화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상기 메모리내에 동작 코드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캐릭터 ID,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 동작 코드, 각 동작 코드에 해당하는 모터의 제어 데이터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완구의 동작 코드 테이블 버젼과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동작 코드 테이블 버젼을 비교하고, 만약 완구의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이 상기 컴퓨터 상의 그것보다 낮으면, 상기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코드 테이블을 상기 완구내에 장착된 메모리로 다운로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동작 로봇과 무대 장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작 로봇은 상기 모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무대 장치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상기 동작 로봇내에 장착된 전기적으로 재기록가능한 메모리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메모리는 완구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정의 영역에 음향 데이터 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 풀은 제1 음향 데이터 ID 및 각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제1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를 음향 데이터 풀로부터 구하고 상기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제어 데이터를 상기 완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면, 각 입력에 해당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이벤트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완구에 장착된 사용자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시작, 정지 등을 알리는 신호 또는 동작 로봇의 착탈 여부를 알리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제2 음향 데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2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상기 완구로 전송하며,
    상기 완구는 LED 또는 조명 기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받은 LED/조명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LED 또는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시스템.
  12. 무대장치부와 동작로봇으로 이루어지고, 컴퓨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구동되는 완구에 있어서,
    상기 무대장치부는
    상기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포트와,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음향 데이터, 동작 제어 신호 또는 LED/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완구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사운드 디코더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상기 LED/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LED 및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LED/조명기기 구동장치와,
    외부로부터 각 이벤트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로봇은
    상기 동작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코드 테이블이 기록된 제2 메모리와,
    상기 동작로봇의 각 부위에 장착된 복수개의 모터와,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로봇은 상기 무대장치부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동작 로봇의 캐릭터 ID,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 각각의 동작에 따른 상기 동작로봇내에 장착된 모터들의 위치와 시간 데이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은 상기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음향 데이터의 파형으로부터 엔벨로프를 검출하고, 검출된 엔벨로프를 상기 동작로봇의 입과 연결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스위치 또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의 각 이벤트에 해당하는 코드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계속 저장한 후 패킷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패킷을 패킷 디코더부로 출력하거나, 입력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 쪽으로 송신하는 통신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패킷을 모터 제어부, 음향 데이터 처리부 또는 LED/조명 제어부로 전송하는 패킷 디코더부와,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의 각 이벤트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입력처리부와,
    상기 패킷 디코더부로부터 출력된 동작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코드에 해당하는 모터의 위치 및 시간 데이터를 상기 동작 코드 테이블로부터 판독한 다음, 상기 위치 및 시간 데이터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구하고, 상기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 장치로 출력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패킷 디코더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사운드 디코터로 출력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패킷 디코더로부터 출력된 LED/조명 제어 데이터로부터 LED/조명 제어 신호를 구한 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LED/조명기기 구동장치로 출력하는 LED/조명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완구.
  19.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b) 증폭된 상기 음성 신호의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를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엔벨로프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 방법은 말하는 로봇 또는 완구의 입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음성 신호는 상기 로봇 또는 완구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방법.
  22.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의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를 검출하는 통과 필터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의 엔벨로프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 장치는 로봇이나 완구에 장착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장치.
  25. 화상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코드 데이터를 구비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a) 상기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제1 음향 데이터 및 동작 코드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하여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작동 기기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a) 단계와 (b) 단계는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캐릭터 ID에 해당하는 동작 코드 테이블과 함께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기로부터 작동 기기의 캐릭터 ID 및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 상에 저장된 캐릭터 ID 및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과 상기 작동기기로부터 수신된 캐릭터 ID 및 동작 코드 테이블의 버젼을 비교하는 단계와.
    만약, 캐릭터 ID가 서로 상이하면, 다운로드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와,
    만약 캐릭터 ID가 동일하고, 상기 작동기기의 동작 코드 테이블 버젼이 상기 컴퓨터 상에 저장된 동작 코드 테이블 버젼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컴퓨터 상의 동작 코드 테이블을 상기 작동기기내에 장착된 메모리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28. 제25항,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LED/조명 제어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상기 작동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9. 제25항,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제2 음향 데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컴퓨터내에 장착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0. 제25항,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음향 데이터 ID 및 음향 데이터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풀은 각 음향 데이터 ID에 해당하는 음향 데이터, 동작 코드 데이터 및 LED/조명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00077874A 2000-12-18 2000-12-18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KR10036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874A KR100360722B1 (ko) 2000-12-18 2000-12-18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US09/922,883 US20020077021A1 (en) 2000-12-18 2001-08-06 Toy system cooperating with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874A KR100360722B1 (ko) 2000-12-18 2000-12-18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073A Division KR20020048843A (ko) 2001-03-19 2001-03-19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530A true KR20010016530A (ko) 2001-03-05
KR100360722B1 KR100360722B1 (ko) 2002-11-13

Family

ID=1970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874A KR100360722B1 (ko) 2000-12-18 2000-12-18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20077021A1 (ko)
KR (1) KR10036072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96A (ko) * 2001-06-13 2001-08-22 노대현 컴퓨터를 이용한 완구
KR20020051050A (ko) * 2000-12-22 2002-06-28 강대희 마스코트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03850A (ko) * 2001-07-04 2003-01-14 세라에스이(주) 음성 출력 및 작동 완구
KR20030013768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네이트시스템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
KR20030030603A (ko) * 2001-10-12 2003-04-18 김동원 이동통신체계를 이용한 완구로의 음성정보 송신방법
KR20040009533A (ko) * 2002-07-24 2004-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랜을 이용한 지능형 장난감의 업데이트 서비스 방법
KR100425246B1 (ko) * 2001-05-04 2004-03-30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무선조작 로봇 제어 시스템
KR20040033517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위프랜 웹을 응용한 토이 제어 시스템 및 토이 제어 방법
KR100775131B1 (ko) * 2006-04-18 2007-11-08 이노메탈이지로봇(주) 오디오 신호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8069365A1 (en) * 2006-12-04 2008-06-12 Simlab Co., Ltd. Toy robot using 'personal media' website
KR100946556B1 (ko) * 2008-09-08 2010-03-11 김동천 디지털 스포트라이트
KR101286302B1 (ko) * 2011-04-06 2013-07-15 원승구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KR101400892B1 (ko) * 2012-10-22 2014-05-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용 통신망을 이용하는 유아용 탑승 완구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7044B2 (en) * 2002-08-26 2007-11-20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synchronize processors in toys
KR100497310B1 (ko) * 2005-01-10 2005-06-23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네트워크 기반의 로봇 시스템에서 동작 정보 포함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선택 및 재생 방법
KR20080085049A (ko) * 2005-12-20 2008-09-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KR20090065212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 채팅 시스템 및 방법
WO2010021592A1 (en) * 2008-08-22 2010-02-25 Anthony Michael Jeff & Ng Lily Trading As Day2Day Trading Asia Integrated audio device for action figur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354918B2 (en) * 2008-08-29 2013-01-15 Boyer Stephen W Light, sound, and motion receiver devices
JP6986579B2 (ja) * 2018-05-11 2021-12-22 株式会社バンダイ 主玩具
KR20200082997A (ko) * 2018-12-31 2020-07-08 광주과학기술원 무빙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빙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693A (en) * 1987-01-08 1989-07-11 Smith Engineering Video based instructional and entertainment system using animated figure
KR950703393A (ko) * 1992-10-19 1995-09-20 제프리 스코트 쟈니 영상신호 및 무선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말하는 제어장치
CA2163316A1 (en) * 1994-11-21 1996-05-22 Roger L. Collins Interactive play with a computer
US6553410B2 (en) * 1996-02-27 2003-04-22 Inpro Licensing Sarl Tailoring data and transmission protocol for efficient interactive data transactions over wide-area networks
US6012961A (en) * 1997-05-14 2000-01-11 Design Lab, Llc Electronic toy including a reprogrammable data storage device
JP4366617B2 (ja) * 1999-01-25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
JP3212578B2 (ja) * 1999-06-30 2001-09-25 インタロボット株式会社 身体的音声反応玩具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050A (ko) * 2000-12-22 2002-06-28 강대희 마스코트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25246B1 (ko) * 2001-05-04 2004-03-30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무선조작 로봇 제어 시스템
KR20010079096A (ko) * 2001-06-13 2001-08-22 노대현 컴퓨터를 이용한 완구
KR20030003850A (ko) * 2001-07-04 2003-01-14 세라에스이(주) 음성 출력 및 작동 완구
KR20030013768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네이트시스템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
KR20030030603A (ko) * 2001-10-12 2003-04-18 김동원 이동통신체계를 이용한 완구로의 음성정보 송신방법
KR20040009533A (ko) * 2002-07-24 2004-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랜을 이용한 지능형 장난감의 업데이트 서비스 방법
KR20040033517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위프랜 웹을 응용한 토이 제어 시스템 및 토이 제어 방법
KR100775131B1 (ko) * 2006-04-18 2007-11-08 이노메탈이지로봇(주) 오디오 신호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8069365A1 (en) * 2006-12-04 2008-06-12 Simlab Co., Ltd. Toy robot using 'personal media' website
KR100946556B1 (ko) * 2008-09-08 2010-03-11 김동천 디지털 스포트라이트
KR101286302B1 (ko) * 2011-04-06 2013-07-15 원승구 컨텐츠 출력 기반의 연동 장치
KR101400892B1 (ko) * 2012-10-22 2014-05-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용 통신망을 이용하는 유아용 탑승 완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722B1 (ko) 2002-11-13
US20020077021A1 (en)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722B1 (ko)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US74773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and storing interactive device content using the horizontal overscan portion of a video signal
EP2345471B1 (en) Interactive toy and entertainment device
US7565063B2 (en) Media formatting and system for interactive game programming
US6246927B1 (en) Inter-cooperating toys
WO2002039243A1 (fr) Dispositif recepteur de signal de telecommande
CN104867511A (zh) 卡拉ok互动关键词特效系统
CN105719518A (zh) 智能儿童早教机
US20010027397A1 (en) Education system with voice recognition using internet
KR100352028B1 (ko)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KR20040033517A (ko) 웹을 응용한 토이 제어 시스템 및 토이 제어 방법
KR101419038B1 (ko) 시나리오 명령을 통한 완구의 제어 시스템
KR20020013601A (ko) 인터랙티브 디지털 인형
KR20030016404A (ko) 콘텐트의 실시간 스트림들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디바이스
EP0860764A1 (en) Syste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vailable on video and/or audio equipment by graphical display
KR20020038284A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유아용 멀티미디어 학습방법 및 학습기
JP2021067878A (ja) 音声再生システム、音声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21092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유아교육장치 및 그 방법
JP4517751B2 (ja) マルチメディア実行システム及び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実行方法
KR100390517B1 (ko) 통합 사운드 카드를 이용하여 전,후방 음향 출력을 동시에발생하는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
Zhang Multimedia System for Learning Natural Forestry Knowledge
KR20040053783A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WO2006127673A1 (en) Self-contained interactive multimedia presentation system
KR20090013284A (ko)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4350A (ko) 플래시 방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