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642B1 -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642B1
KR101089642B1 KR1020100018174A KR20100018174A KR101089642B1 KR 101089642 B1 KR101089642 B1 KR 101089642B1 KR 1020100018174 A KR1020100018174 A KR 1020100018174A KR 20100018174 A KR20100018174 A KR 20100018174A KR 101089642 B1 KR101089642 B1 KR 10108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mobile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522A (ko
Inventor
홍제훈
Original Assignee
(주)모션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션블루 filed Critical (주)모션블루
Priority to KR102010001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6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에서 3-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치(Catch) 가능한 컨텐츠를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단말로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온 스크린 상에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됨-;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 매체 사이에 컨텐츠의 동기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Method and Recording Media for Providing 3-Screen Service}
본 발명은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동일성(identity)이 유지되면서 이종 매체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하며, 각 매체의 고유한 특징을 반영하여 컨텐츠와 인터랙션(interation) 할 수 있도록 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여러 디바이스, 미디어들이 고유한 형질이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서로의 장점을 교류하고 발전하며 융합의 관계로 진화하면서 유비쿼터스, 컨버전스, 3screen play(이하 3-스크린) 등의 개념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 3-스크린이란 AT&T의 Randall Stephenson가 CTIA Wireless 2007에서 최초로 주창한 것으로 TV, PC, 모바일을 인터넷으로 연결해 사용자들이 시간, 장소, 기기에 상관없이 매쉬업 되어 구현되는 끊김 없는(seamless)서비스를 의미한다.
3-스크린 전략은 기기적으로는 TV, 모바일, PC의 기기융합에서 진일보하여 네트워크, 컨텐츠까지 통합하는 서비스이며 3개의 주요스크린을 한번에 장악하는 트리버전스(trivergence) 모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3-스크린은 컨텐츠가 IPTV와 같은 방송 단말, 모바일(이동통신 단말) 및 퍼스널 컴퓨터(PC)에 동시에 퍼블리싱 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텐츠의 통합적 개념이다. 따라서 3-스크린 컨텐츠는 단순한 디지털 컨텐츠의 복제와 변화의 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플랫폼과 각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인터랙션 형태, 이와 수반하는 비즈니스 모델 개념과 동시에 고찰되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모든 매체에 퍼블리싱(publishing) 되는 컨텐츠는 미비한 상황이며 가장 활발한 동영상 컨텐츠도 이종 매체간 동시에 퍼블리싱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수준이다.
즉, 종래의 3-스크린 서비스는 텔레비전 컨텐츠를 단순히 모바일이나 온라인으로 동시에 유통시키거나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하는 수준이고 컨텐츠의 종류도 동영상에 집중되어 3-스크린 개념을 가진 게임이나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아직까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컨텐츠가 TV, 모바일 및 PC와 같이 이종 매체 사이에서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각 매체에 적합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에서 3-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치(Catch) 가능한 컨텐츠를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단말로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온 스크린 상에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됨-;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단말에서 3-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치(Catch) 가능한 컨텐츠를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 스크린 상에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은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V와 같은 방송 단말과 모바일 사이에 실시간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컨텐츠 디스플레이 및 캐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종 매체 사이에 컨텐츠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에서 캐치된 컨텐츠에 대해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이를 웹에서 다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의 이용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매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방송 단말 및 모바일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 및 모바일에서 컨텐츠 유도 및 캐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의 온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의 온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캐치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고유 식별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웹서버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에 관한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매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TV(100), 모바일(102) 및 퍼스널 컴퓨터(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V(100)는 방송망을 통해 방송 송출 시스템(200)으로부터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튜닝 및 디코딩하는 방송 단말이며, 통상의 텔레비전 외에,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셋탑박스 및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IPTV일 수 있다.
또한, TV(100)는 상품 홍보 행사 등을 위해 공공장소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대형 스크린은 방송 송출 시스템(200)에 연결될 필요는 없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TV가 인터넷에 연결된 IPTV를 포함하는 방송 단말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모바일(102)은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이다. 또한, 모바일(102)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202)로 소정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104)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202)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통상적인 데스크탑, 노트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단말이 IPTV로 구현되는 경우, 방송망은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으며, IPTV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202)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는 TV(100), 모바일(102) 및 PC(104) 와 같은 각각 이종 매체의 특징을 반영한다.
TV(100)는 린백(lean back) 형태의 수동성이 강한 고전적인 매체이고, 그 때문에 시청자는 새로운 것을 학습하려 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모바일의 매뉴얼을 열심히 익히는 모습과는 상반되는 현상이다.
한편, 모바일(102)은 현재 가장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디바이스이고 가장 대표적인 개인 디바이스이다. 휴대성으로 인하여 다른 디바이스와는 전혀 다른 인터랙션(interaction)과 개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04)는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디바이스이다. 퍼스널 컴퓨터(104)는 TV의 기능 및 모바일의 기능을 모두 유연하게 수용가능하며 한 명 또는 두세 사람이 동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넷과의 연결은 다른 디바이스에 비해 가장 안정적이며 여러 가지 플랫폼의 적응력도 가장 좋다. 모바일은 씻포워드(sit forward)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이지만 PC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오랜 시간 동안 씻포워드(sit forward)할 수 있으며 복잡하고 대량의 정보를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는 TV(100), 모바일(102) 및 퍼스널 컴퓨터(104) 사이에서 컨텐츠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며, 각 매체에서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인터랙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는 이종 매체간에 실시간 동기화되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심리스(seamless)한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모바일(102)로 이동할 수 있으며, 모바일(102)로 이동한 컨텐츠는 역시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웹서버(20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는 단지 다른 매체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각 매체의 특징은 반영하여 서로 다른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에 대해 방송 단말(100)은 여러 사용자(즉, 여러 모바일(102))이 동시에 컨텐츠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며, 모바일(102)에서는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모바일(102)에서 웹서버(202)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102)을 통해 획득한 컨텐츠는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와 공존하게 되며,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104)를 통해 웹서버(202)에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와 공존하고 있는 자신의 컨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와 소정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가 방송 단말(100), 모바일(102) 및 퍼스널 컴퓨터(104)에서 인터랙션 되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컨텐츠가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는 객체(하기에서 물고기로 설명됨)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방송 단말 및 모바일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방송 단말 및 모바일 사이의 동기화에 의해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단말(100)은 온 스크린 상에 소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0).
여기서, 온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500)와 같이 온 스크린 상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객체(object)일 수 있으며, 모바일(102)에 의해 캐치(catch)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캐치(catch)는 방송 단말(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모바일(102)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컨텐츠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매체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에서와 같이, 모바일(102)에서 캐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캐치 전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던 매체에서는 해당 컨텐츠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된 컨텐츠는 방송 단말(10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모바일(102)에서 캐치가 이루어진 후에 방송 단말(100)에 컨텐츠가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단말(100) 및 모바일(102) 각각에는 3-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3-스크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방송 단말(100)에 인접한 모바일(102)에서 3-스크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단계 302), 방송 단말(100)과 모바일(102)는 실시간 동기화가 진행된다(단계 304).
단계 304에서, 방송 단말(100) 및 모바일(102)은 TCP 방식의 소켓 통신을 통해 상대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소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102)에는 모바일(102)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한 센서는 공지의 자이로 센서, 중력 가속도 센서 또는 모션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 단말(100)와 모바일(102) 사이에 실시간 동기가 이루어진 이후, 모바일(102)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모바일의 위치 정보는 방송 단말(100)로 전송한다(단계 306).
방송 단말(100)은 모바일(102)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스크린 상에 모바일 위치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600)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8).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단말(100)은 모바일(102)로부터 수신된 초기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온 스크린의 중앙 영역에 캐치 인터페이스(600)를 디스플레이하고, 모바일(102)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상기한 캐치 인터페이스(600)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캐치 인터페이스(600)는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캐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캐치 인터페이스(600)의 사이즈는 모바일 스크린의 사이즈와 미리 설정된 비율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방송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캐치 인터페이스(600)가 모바일 스크린이 그대로 투영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캐치 인터페이스(600)의 사이즈는 모바일 스크린의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또는 모바일 스크린의 가로 및 세로 길에 대해 동일한 비율로 커지거나 작아진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단말(100)은 컨텐츠 및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바일(102)로 전송한다(단계 310).
모바일(102)은 상기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 컨텐츠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312), 컨텐츠가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도 7과 같이 모바일 스크린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314).
상기에서는 모바일(102)에서 캐치 인터페이스(600)내에 컨텐츠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를 모바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방송 단말(100)에서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에만 컨텐츠 위치 정보를 모바일(102)로 전송하고, 이에 모바일(102)이 모바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 및 모바일에서 컨텐츠 유도 및 캐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방송 단말 및 모바일에서의 실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후에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가 이동 가능한 객체인 경우, 모바일(102)은 방송 단말(100)로 컨텐츠 움직임 유도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400).
여기서, 컨텐츠 움직임 유도 정보에는 방송 단말(100)이 컨텐츠의 움직임 유도 요청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커맨드 정보 및 움직임 유도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스크린 상에 컨텐츠 유도 메뉴(도 7의 700) 선택 후, 모바일 스크린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한 터치에 따른 컨텐츠 움직임 유도 정보가 방송 단말(100)로 전송된다.
콘텐츠 유도 정보에는 모바일 스크린의 터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방송 단말(100)은 터치 위치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의 위치로 컨텐츠가 움직이도록 제어한다(단계 402).
단계 402은 컨텐츠가 캐치 인터페이스(600)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 컨텐츠가 위치하는 동안 사용자는 캐치 메뉴(도 7의 702) 선택이 있는 경우(단계 404), 모바일(102)은 컨텐츠를 캐치한다(단계 406).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치는 소정 컨텐츠를 이종 매체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모바일(102)에서 컨텐츠 캐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모바일(102)은 방송 단말(100)로 캐치 정보를 전송하며(단계 408), 이후, 방송 단말(100)은 온 스크린 상에서의 캐치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한다(단계 410).
한편, 모바일(102)을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 캐치를 해제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캐치가 해제되는 경우, 방송 단말(100)은 온 스크린 상에 캐치된 컨텐츠를 다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102)에서 컨텐츠 캐치가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성장 가능한 동물 캐릭터인 경우, 모바일(102) 내에서 컨텐츠의 스킨(skin)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게 먹이를 주거나 놀아주는 행위를 통해 컨텐츠를 성장시킬 수 있으며, 게임 캐릭터의 경우 경험치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바일(102)에서 컨텐츠 캐치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캐치된 컨텐츠를 웹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웹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단계 412), 모바일(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식별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800)를 모바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414).
고유 식별자 입력이 완료된 후(단계 416), 모바일(102)은 네트워크를 통해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컨텐츠를 웹서버(202)로 전송한다(단계 418).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를 위한 고유 식별자는 복수의 컨텐츠가 공존하는 웹 상에서 자신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며, 또한,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04)를 통해 웹서버(202)에 접속하여 자신의 컨텐츠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 인증 처리를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고유 식별자는 모바일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04)를 통해 고유 식별자를 입력하여 웹서버(202)에 접속하는 경우, 웹서버(202)는 현재 등록된 복수의 컨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04)로 전송한다.
퍼스널 컴퓨터(10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때, 각 컨텐츠에는 고유 식별자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유 식별자를 통해 자신이 캐치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웹서버(202)는 퍼스널 컴퓨터(104)로부터 움직임 유도와 같은 소정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04)에서 입력한 고유 식별자를 갖는 컨텐츠에 대해서만 소정 위치로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웹서버(202)는 복수의 컨텐츠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104)에서 모바일(102)로 컨텐츠의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 웹서버(202)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번호로 컨텐츠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웹서버(202)가 퍼스널 컴퓨터(104)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를 모바일(102)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102)을 통해 웹서버(202)에 접속하여 컨텐츠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에 컨텐츠가 모바일(102)로 이동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매체에 맞추어 존재하던 컨텐츠에 연결관계와 상호작용 개념을 도입하여 각 매체에서 개별로 존재하던 컨텐츠가 마치 하나의 유기체처럼 구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새로운 컨텐츠 이용방식은 효과적이고 다양한 마케팅적 요소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적 3-스크린 컨텐츠는 모바일(102)로의 이동으로 인해 휴대성이 보장되며, 또한 웹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휴대성 및 웹으로의 이동성은 다양한 마케팅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품 홍보 행사에서 대형 스크린(방송 단말, 100)을 통하여 모바일(102)로 획득한 컨텐츠는 특정 상품의 구매 시 제시하여 할인을 받게 하거나 웹쇼핑 시 포인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매체의 게이트(gate)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102)에서 획득된 컨텐츠를 방송 단말(100)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방송 단말(100)에서는 상기한 컨텐츠를 이와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102)에서 이동한 컨텐츠가 특정 VOD 식별 아이콘인 경우, 방송 단말(100)은 상기한 컨텐츠가 모바일(102)로부터 이동하면 상기한 컨텐츠에 상응하는 VOD의 상세 정보 출력 또는 VOD 구매를 위한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02)는 모바일(1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퍼스널 컴퓨터(104)로 상기한 컨텐츠 관련 상품 구매를 위한 페이지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100) 및 모바일(102)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은 제어부(1000), 통신부(1002), 방송 신호 처리부(1004) 및 온 스크린(10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0)에는 3-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며, 제어부(1000)는 통신부(1002)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모바일(102)의 존재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모바일(102)과 실시간 동기화를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02)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102)과 통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WIFI(Wireless lan) 프로토콜을 통해 모바일(102)과 통신할 수 있다.
그밖에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바이너리 CDMA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처리부(1004)는 튜닝 및 디코더를 포함하며, 소정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온 스크린(1006)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 스크린(1006)에는 3-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통신부(1002)를 통해 모바일(102)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온 스크린(1006) 상에 모바일(102)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600)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치 인터페이스(600)는 모바일 스크린과 동기화된 영역으로서,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온 스크린(1006) 상에서의 컨텐츠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그 위치 정보를 통신부(1002)를 통해 모바일(102)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000)는 모바일(102)로부터 컨텐츠 움직임 유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가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며, 모바일(102)에서 컨텐츠의 캐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온 스크린(1006)에서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중지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중지는 화면 상에서 컨텐츠를 제거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은 제어부(1100), 통신부(1102), 움직임 감지부(1104) 및 모바일 스크린(110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0)에는 3-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어부(1100)는 통신부(1102)를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방송 단말(100)과 실시간으로 동기를 맞추게 된다.
통신부(1102)는 방송 단말(100)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하도록 설정된다.
움직임 감지부(1104)는 모바일(102)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으로 동기가 맞추어진 후, 제어부(1100)는 움직임 감지부(1104)에서 감지된 모바일(1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통신부(1102)를 통해 모바일 위치 정보를 방송 단말(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위치 정보의 전송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 단말(100)의 온 스크린 상에 소정 사이즈의 캐치 인터페이스(600)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100)는 방송 단말(100)로부터 온 스크린 상에서의 컨텐츠 위치 정보가 수신하며, 만일 컨텐츠의 위치가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렌더링(rendering)을 통해 모바일 스크린(1106) 상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다. 이때, 제어부(1100)는 캐치 인터페이스(600) 내에서의 컨텐츠의 위치와 동일한 모바일 스크린 상의 위치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사용자의 캐치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0)는 캐치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 단말(100)로 전송하며, 또한, 사용자의 웹으로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고유 식별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스크린(1106)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고유 식별자 입력 완료 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0)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컨텐츠를 웹서버(202)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102)에서 캐치된 컨텐츠는 다시 방송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반대로 웹으로 전송된 컨텐츠 역시 다시 모바일(10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모바일 단말에서 3-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치(Catch) 가능한 컨텐츠를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단말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온 스크린 상에 상기 모바일단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됨-;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움직임이 가능한 객체이며,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위치와 동기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로 상기 컨텐츠의 움직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움직임 유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는 상기 모바일 단말 스크린의 사이즈와 미리 설정된 비율 차이를 가지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이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 스크린 중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정보가 상기 움직임 유도 정보로서 상기 방송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의 상기 터치된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컨텐츠가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스크린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캐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의 캐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온 스크린 상에서 상기 컨텐츠를 제거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캐치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온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된 컨텐츠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컨텐츠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사용자의 접속 요청 시 상기 고유 식별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은 실시간 동기화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1. 방송 단말에서 3-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캐치(Catch) 가능한 컨텐츠를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 스크린 상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스크린 상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컨텐츠의 캐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온 스크린 상에서 상기 컨텐츠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움직임이 가능한 객체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움직임 유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내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움직임 유도 정보는 움직임 유도 커맨드 정보 및 움직임 유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캐치된 컨텐츠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가 부여된 컨텐츠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는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캐치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단계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과 실시간 동기화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캐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18174A 2010-02-26 2010-02-26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08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74A KR101089642B1 (ko) 2010-02-26 2010-02-26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74A KR101089642B1 (ko) 2010-02-26 2010-02-26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522A KR20110098522A (ko) 2011-09-01
KR101089642B1 true KR101089642B1 (ko) 2011-12-06

Family

ID=4495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174A KR101089642B1 (ko) 2010-02-26 2010-02-26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460B1 (ko) * 2011-01-18 2013-11-04 주식회사 팬택 영상 객체와 실시간 대응하는 객체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901B1 (ko) * 2011-10-12 2014-02-04 (주)모션블루 N-스크린 환경에서 체감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434718B1 (ko) * 2011-10-12 2014-09-25 (주)모션블루 N-스크린 환경에서 이동 단말을 이용한 체감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60673B1 (ko) * 2013-02-06 2015-10-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션 매칭을 이용하는 컨텐츠 동기화 서버 및 컨텐츠 동기화 방법
KR101987999B1 (ko) * 2015-05-08 2019-09-30 전자부품연구원 주변 기기 연동형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076206B1 (ko) * 2015-05-13 2020-02-12 전자부품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460B1 (ko) * 2011-01-18 2013-11-04 주식회사 팬택 영상 객체와 실시간 대응하는 객체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522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546B2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JP6306512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089642B1 (ko) 3-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WO2017133500A1 (zh) 应用程序的处理方法和装置
US10271105B2 (en) Method for playing video, cli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7036269A1 (zh) 信息展示项展示方法、装置及多媒体播放设备
KR20180132158A (ko)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00463A1 (en) Collaborative home retailing system
KR20140011857A (ko)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30043935A (ko) 디바이스 간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50378664A1 (en) Method for rendering data in a network and associated mobile device
WO2019119643A1 (zh) 移动直播的互动终端、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140226A1 (zh) 视频处理方法及其设备
CN111880845A (zh) 控制目标应用的方法、系统及装置
KR101278721B1 (ko)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KR101357901B1 (ko) N-스크린 환경에서 체감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9640136B (zh) 一种控制电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JP2020088865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及び該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KR20130061501A (ko) 이종의 디바이스상에서 다중 시나리오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700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단말과 외부장치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1800010B1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
KR101800011B1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JP6897925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プログラム
WO2017101352A1 (zh) 视频节目互动方法及设备
CN104468692B (zh) 通信管理设备、终端、系统、方法、程序和信息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