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031B1 -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031B1
KR101286031B1 KR1020120033176A KR20120033176A KR101286031B1 KR 101286031 B1 KR101286031 B1 KR 101286031B1 KR 1020120033176 A KR1020120033176 A KR 1020120033176A KR 20120033176 A KR20120033176 A KR 20120033176A KR 101286031 B1 KR101286031 B1 KR 10128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theter
stent
fluid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김철생
이형수
이희관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to KR102012003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2Encapsulated stents, e.g. wire or whole stent embedded in lining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스텐트 카테터부를 통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스텐트를 공급함으로서, 특히 의과대학 학생들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혈관 스텐트 삽입술의 연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LOADING SIMULATOR FOR VASCULAR STENT}
본 발명은 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스텐트 카테터부를 통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스텐트를 공급함으로서, 특히 의과대학 학생들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혈관 스텐트 삽입술의 연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내부의 혈액, 음식물, 체액이 이동하는 내강은 동매경화, 혈전, 양성 및 악성종양, 수술 후유증 또는 병변적인 원인에 의하여 협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내 협착 부위의 개통성을 회복시켜주는 스텐트를 이용한 중제적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이 1980년대 시작하여 시행되어 왔다.
스텐트는 크게 비혈관계와 혈관계 스텐트로 구분되어 지고, 특히 혈관계 스텐트는 비혈관계, 뇌혈관, 심혈관, 일반 혈관 스텐트 등으로 세분화시킬 수 있다.
혈관 스텐트 삽입술은 관상동맥 협착을 치료하기 위하여 금속 또는 고분자 그물망을 이용한 혈관 확장술의 일종으로 자가팽창방식과 풍선 확장술이 있다.
허벅지에 3mm ~ 4mm 가량 구멍을 낸 뒤, 대퇴동맥(Femoral artery)으로 '카테터'라는 가는 관을 병변부위까지 밀어 올린 뒤 스텐트를 넣어 좁아진 혈관을 확장시키게 된다.
1994년에 Gianturco-Roubin 스텐트와, Poubin 스텐트와, Palmaz-Schatz 스텐트가 각각 FDA로부터 승인을 얻고, 현재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이 코팅된 여러 스텐트 제품들이 출시 판매되고 있고, 나악 치료용 약물 전달 스텐트나 항균성 스텐트와 같은 기능성 스텐트 관련 제품의 출시 및 관련 연구가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혈관 스텐트 삽입술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기에 전문의들만이 집도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의과대학 학생들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혈관 스텐트 삽입술의 연습을 행할 수 있는 실험 실습용 관련기구물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스텐트 카테터부를 통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스텐트를 공급함으로서, 특히 의과대학 학생들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혈관 스텐트 삽입술의 연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튜브의 내부를 따라 순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하는 보이스코일모터부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스텐트를 공급하는 스텐트 카테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생체유사체액(SBF)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코일모터부는 상기 튜브와 연통되도록 상기 튜브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모터와; 상기 보이스코일모터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여 상기 튜브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호시스와; 상기 보호시스의 내부에 상기 보호시스의 내부를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전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는 벌룬과; 상기 벌룬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텐트와; 상기 카테터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카테터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의 전단부가 상기 튜브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튜브의 내주면과 접할 시 상기 카테터의 전단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압력센서가 측정한 압력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호시스의 후측에 상기 보호시스와 함께 상기 카테터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호시스의 후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시스의 후측을 감싸는 내측관체와; 상기 내측관체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관체를 감싸는 외측관체와; 상기 외측관체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축이 구비된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튜브의 내부에 공급된 스텐트를 촬영하는 초음파 단층 촬영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튜브, 보이스코일모터 및 스텐트 카테터부는 버툴스(VIRTOOLS)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3차원 가상현실 구현프로그램에 의해 입체영상화되고, 상기 버툴스(VIRTOOLS)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3차원 가상현실 구현프로그램에 의해 입체영상화된 상기 튜브, 보이스코일모터 및 스텐트 카테터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스텐트 카테터부를 통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스텐트를 공급함으로서, 특히 의과대학 학생들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혈관 스텐트 삽입술의 연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스텐트가 튜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보호시스의 후측에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가압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이음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튜브(10), 보이스코일모터부(20) 및 스텐트 카테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튜브(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인체내부의 혈액, 음식물, 체액이 이동하는 내강을 보다 사실적으로 모사하기 위해 특히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10)는 장방형의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장방형의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튜브(10)는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장방형의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에 볼트고정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튜브(10)는 가령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튜브(110), 제 2튜브(120), 제 3튜브(130), 제 4튜브(140), 제 5튜브(150) 및 제 6튜브(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튜브(11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튜브(120)가 상기 제 1튜브(1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튜브(110)의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튜브(120)의 일측은 상기 제 1튜브(110)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튜브(130)가 상기 제 2튜브(12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2튜브(120)의 타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튜브(130)의 상측은 상기 제 2튜브(1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튜브(140)가 상기 제 1튜브(1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튜브(110)의 하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4튜브(140)의 일측은 상기 제 1튜브(110)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5튜브(150)가 상기 제 4튜브(14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4튜브(140)의 타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5튜브(150)의 하측은 상기 제 4튜브(14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6튜브(150)가 상기 제 5튜브(150) 및 상기 제 3튜브(13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5튜브(150)의 상측과 상기 제 3튜브(130)의 하측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6튜브(150)의 일측 상부는 상기 제 3튜브(130)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6튜브(150)의 타측은 상기 제 5튜브(150)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이스코일모터부(20)는 상기 튜브(10)의 제 6튜브(15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부(20)는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튜브(10)의 내부를 따라 순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30)는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스텐트(340)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인체내부의 음식물, 체액, 특히 혈액을 보다 사실적으로 모사하기 위해 공지된 생체유사체액(Simulated Body Fluid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스텐트(340)가 튜브(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이스코일모터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10), 보이스코일모터(220) 및 가압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튜브(10)의 제 6튜브(16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6튜브(16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장방형의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220)는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220)는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음성 전류와 영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 사이에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한 힘이 발생하여 스피커의 진동관이 앞뒤로 진동하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모터로서, 체적이 작고, 전기소모량이 적으며, 작동변위가 정확하고, 가격이 저렴한 점 등의 장점이 있음으로, 상기 가압판(230)을 비교적 짧은 거리로 정밀하게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판(230)은 상기 보이스코일모터(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축(22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220)의 축(221)의 일측에 수직구비된 상기 가압판(230)은 상기 튜브(10)의 제 6튜브(160)의 일측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상기 보이스코일모터(220)의 축(22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상기 제 6튜브(160) → 상기 제 5튜브(150) → 상기 제 4튜브(140) → 상기 제 1튜브(110) → 상기 제 2튜브(120) → 상기 제 3튜브(130) → 상기 제 6튜브(160) 순으로 반복적으로 순환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30)는 상기 튜브(1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호시스(310)와;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에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를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테터(320)와;
상기 카테터(320)의 전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320)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는 벌룬(330)과;
상기 벌룬(33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텐트(340)와;
상기 카테터(32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32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커넥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튜브(10)의 내부를 따라 순환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커넥터(350)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350)의 전방방향으로 밀어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카테터(320)를 전진시켜 상기 벌룬(330)과 함께 상기 스텐트(340)를 상기 튜브(10)의 내부 중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튜브(10)의 내부 중 원하는 위치로 상기 벌룬(330)과 상기 스텐트(340)가 이동된 상태에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벌룬(330)은 확장되어 상기 스텐트(340)를 상기 튜브(10)의 내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스텐트(340)가 상기 튜브(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벌룬(330)이 수축된 상태에서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커넥터(350)를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350)의 후방방향으로 당겨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에 상기 카테터(320)의 전측과 상기 벌룬(3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30)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06-0010827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제어부(6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센서(40), 진동모터(50) 및 제어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40)는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40)는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가 상기 튜브(10)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튜브(10)의 내주면과 접할 시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50)는 상기 커넥터(350)의 내부에 내장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장방형의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압력센서(40)가 측정한 압력값과 상기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모터(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40)가 측정한 압력값이 상기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50)는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커넥터(35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인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진동모터(50)가 발생시킨 진동을 전달받게 되고, 이때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커넥터(350)를 전방방향으로 미는 힘을 감소시켜 상기 카테터(320)의 전진속도를 늦출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40)가 측정한 압력값이 상기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값 이하 인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50)는 진동발생을 중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넥터(35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인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진동을 전달받지 못하게 된다.
이때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커넥터(350)를 전방방향으로 미는 힘을 증대시켜 상기 카테터(320)의 전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센서(40)가 측정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에게 진동을 전달하는 상기 진동모터(50)를 통해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상기 커넥터(350)를 전방방향으로 미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전진 중인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가 필요이상으로 상기 튜브(1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튜브(10)의 내주면을 훼손시킬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보호시스(310)의 후측에 가압부(7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가압부(70)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시스(310)의 후측에는 상기 보호시스(310)와 함께 상기 카테터(320)를 가압하는 가압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70)가 상기 보호시스(310)와 함께 상기 카테터(320)를 가압하는 가압세기는 상기 가압부(70)가 상기 보호시스(310)와 함께 상기 카테터(320)를 가압하여도 상기 카테터(320)가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는 정도의 가압세기면 족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70)는 내측관체(710), 외측관체(720) 및 스텝모터(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관체(710)는 탄성력을 지닌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관체(710)는 상기 보호시스(310)의 후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시스(310)의 후측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외측관체(720)는 장방형의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외측관체(720)는 상기 내측관체(7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관체(7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스텝모터(730)는 상기 외측관체(720)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축(731)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축(731)의 회전수를 정밀제어할 수 있는 공지된 리니어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텝모터(730)는 장방형의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모터(730)의 축(731)은 상기 외측관체(720)의 내측으로 점차 전진하여 상기 보호시스(310)의 일측과 상기 카테터(320)를 상기 외측관체(720)의 타측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커넥터(350)를 상기 커넥터(350)의 전방방향으로 보다 강한 힘으로 밀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넥터(350)의 후방방향으로 상기 커넥터(350)를 보다 강한 힘으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320)의 전진 및 후진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스텝모터(730)의 축(731)이 상기 외측관체(720)의 외부방향으로 점차 후진하여 상기 보호시스(310)의 일측과 상기 카테터(320)를 상기 외측관체(720)의 타측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한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약한 힘으로도 상기 커넥터(350)를 상기 커넥터(350)의 전방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밀거나 상기 커넥터(350)의 후방방향으로 상기 커넥터(350)를 보다 원활히 당길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카테터(320)의 전진 및 후진 속도가 상대적으로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음파 단층 촬영기(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단층 촬영기(80)는 초음파를 통해 상기 튜브(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공급된 상기 스텐트(340)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상기 초음파 단층 촬영기(80) 또한,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초음파 단층 촬용기(80)가 촬영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공급된 상기 스텐트(340)는 컴퓨터 모니터 등을 포함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지된 버툴스(VIRTOOLS)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3차원 가상현실 구현프로그램(90)에 의해 상기 튜브(10), 보이스코일모터(20) 및 스텐트 카테터부(30)는 3D입체영상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툴스(VIRTOOLS)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3차원 가상현실 구현프로그램(90)에 의해 3D입체영상화된 상기 튜브(10), 보이스코일모터(20) 및 스텐트 카테터부(30)는 컴퓨터 모니터 등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화면출력될 수 있고,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행하는 스텐트 시술과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화면출력하는 입체영상을 주시하면서 실제 인체의 내강내에 상기 스텐트(340)를 시술하는 듯한 느낌으로 스텐트(340) 시술연습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이음부(90)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의 스텐트 시술연습이 완료된 후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공급된 상기 스텐트(340)를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가령 상기 튜브(10)의 제 4튜브(140)의 일측과 상기 제 1튜브(110)의 하측 사이에는 상기 제 4튜브(140)의 일측과 상기 제 1튜브(110)의 하측을 서로 연결시키는 이음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90)는 상기 튜브(10)와 동일하게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음부(90)는 이음튜브(910), 상측 보조이음튜브(920), 하측보조이음튜브(930) 및 패킹부재(9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음튜브(91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보조이음튜브(920)는 상기 이음튜브(9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음튜브(910)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보조이음튜브(920)는 상기 튜브(10)의 제 1튜브(11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보조이음튜브(930)는 상기 이음튜브(9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음튜브(910)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보조이음튜브(930)는 상기 튜브(10)의 제 4튜브(14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9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940)는 상기 상측 보조이음튜브(920)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 보조이음튜브(930)의 외주면을 각각 감싼 상태로 상기 상측 보조이음튜브(920)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 보조이음튜브(93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보조이음튜브(920)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 보조이음튜브(930)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패킹부재(940)는 각각 상기 튜브(10)의 제 1튜브(110)의 하측 내주면 및 상기 튜브(10)의 제 4튜브(140)의 일측 내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튜브(10)의 내부를 따라 순환이동하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10)의 제 1튜브(110)와 제 4튜브(140) 사이에서 상기 이음부(90)를 분리한 후 의과대학 학생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은 후크 등을 포함한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공급된 상기 스텐트(340)를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30)를 통해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상기 스텐트(340)를 공급함으로서, 특히 의과대학 학생들 등을 포함한 비전문의들이 혈관 스텐트 삽입술의 연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튜브, 20; 보이스코일모터부,
30; 스텐트 카테터부.

Claims (8)

  1.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튜브(10)의 내부를 따라 순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하는 보이스코일모터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스텐트(340)를 공급하는 스텐트 카테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30)는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호시스(310)와;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에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를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테터(320)와;
    상기 카테터(320)의 전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320)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는 벌룬(330)과;
    상기 벌룬(33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텐트(340)와;
    상기 카테터(32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32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커넥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가 상기 튜브(10)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튜브(10)의 내주면과 접할 시 상기 카테터(320)의 전단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0)와;
    상기 커넥터(350)에 구비되는 진동모터(50)와;
    상기 압력센서(40)가 측정한 압력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모터(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2.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튜브(10)의 내부를 따라 순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하는 보이스코일모터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스텐트(340)를 공급하는 스텐트 카테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텐트 카테터부(30)는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호시스(310)와;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에 상기 보호시스(310)의 내부를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테터(320)와;
    상기 카테터(320)의 전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320)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는 벌룬(330)과;
    상기 벌룬(33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텐트(340)와;
    상기 카테터(32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32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커넥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시스(310)의 후측에 상기 보호시스(310)와 함께 상기 카테터(320)를 가압하는 가압부(70)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70)는 상기 보호시스(310)의 후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시스(310)의 후측을 감싸는 내측관체(710)와;
    상기 내측관체(7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관체(710)를 감싸는 외측관체(720)와;
    상기 외측관체(720)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축(731)이 구비된 스텝모터(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생체유사체액(SB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모터부(20)는 상기 튜브(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튜브(10)에 구비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모터(220)와;
    상기 보이스코일모터(220)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여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하는 가압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공급된 스텐트(340)를 촬영하는 초음파 단층 촬영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 보이스코일모터(20) 및 스텐트 카테터부(30)는 버툴스(VIRTOOLS)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3차원 가상현실 구현프로그램(90)에 의해 입체영상화되고,
    상기 버툴스(VIRTOOLS)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3차원 가상현실 구현프로그램에 의해 입체영상화된 상기 튜브(10), 보이스코일모터(20) 및 스텐트 카테터부(30)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7. 삭제
  8. 삭제
KR1020120033176A 2012-03-30 2012-03-30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KR10128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76A KR101286031B1 (ko) 2012-03-30 2012-03-30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76A KR101286031B1 (ko) 2012-03-30 2012-03-30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031B1 true KR101286031B1 (ko) 2013-07-19

Family

ID=4899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76A KR101286031B1 (ko) 2012-03-30 2012-03-30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0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3579A (zh) * 2017-09-12 2017-11-28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下肢血管支架生理变形模拟装置
CN115672431A (zh) * 2022-10-18 2023-02-03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体外循环及管腔内介入的离体血管恒温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055A (en) * 1985-06-24 1987-02-10 Saliterman Steven S Hemodynamic monitoring trainer
JP2000342692A (ja) * 1999-06-04 2000-12-12 Univ Waseda 人工冠動脈及び冠動脈ステント性能評価シミュレータ
JP2005337758A (ja) 2004-05-24 2005-12-08 Tissue Engineering Initiative Co Ltd 人工血管のコンプライアンス評価用の装置及び方法
KR20120009379A (ko) * 2010-07-21 2012-02-01 주식회사 비티 가상현실과 햅틱기술이 적용된 주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055A (en) * 1985-06-24 1987-02-10 Saliterman Steven S Hemodynamic monitoring trainer
JP2000342692A (ja) * 1999-06-04 2000-12-12 Univ Waseda 人工冠動脈及び冠動脈ステント性能評価シミュレータ
JP2005337758A (ja) 2004-05-24 2005-12-08 Tissue Engineering Initiative Co Ltd 人工血管のコンプライアンス評価用の装置及び方法
KR20120009379A (ko) * 2010-07-21 2012-02-01 주식회사 비티 가상현실과 햅틱기술이 적용된 주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3579A (zh) * 2017-09-12 2017-11-28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下肢血管支架生理变形模拟装置
CN107403579B (zh) * 2017-09-12 2019-08-3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下肢血管支架生理变形模拟装置
CN115672431A (zh) * 2022-10-18 2023-02-03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体外循环及管腔内介入的离体血管恒温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903B2 (en) Imaging method for catheter simulator
JP6317885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EP1975596A2 (en) Anatomically compliant AAA mode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e for In vitro simulated device testing
JP6408838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EP1814097A2 (en) AAA model for fatigue testing
JP5749909B2 (ja) 模擬人体
DK2330978T3 (en) LINES TO SURROUND A BODY PART IN AN IMAGE PROCEDURE
IL174007A0 (e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ly supporting an electrophysiology catheter application in the heart
KR101286031B1 (ko) 혈관용 스텐트 로딩 시뮬레이터
JP2017086413A (ja) X線画像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x線画像の処理方法、およびステント治療支援システム
US8855745B2 (en) Mammography installation
JP7134687B2 (ja) X線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EP24775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an examination object
Ren et al. Human-compliant body-attached soft robots towards automatic cooperative ultrasound imaging
KR102232226B1 (ko) 윤활층과 탄력층을 포함하는 인공혈관 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Unno et al. Virtual angioscopy using 3-dimensional rotat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for endovascular assessment
Tabaczynski Mechanical assessment of 3D printed patient specific phantoms for simulation of minimally invasive image guided procedures
Sun et al. 3D printed models of complex anatomy in cardiovascular disease
CN110123372A (zh) 医用图像诊断装置以及x射线照射控制装置
Micheletti et al. In-Situ laser fenestration of endovascular stent-graft in abdonimal aortic aneurysm repair (EVAR)
Karstensen et al. Facile Testbed for Robotic X-ray based Endovascular Interventions
CN106137485B (zh) 球囊以及支架输送系统
CN116801934A (zh) 脉冲球囊导管系统及其使用方法
Couto Organic structures under pressure-Experimental validation of a testing device with application to arterial and vascular mechanics
Attia et al. Feasibility of stent-graft placement with real-time MR fluoroscopy in a nonrigid aortic phant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