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339B1 -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339B1
KR101285339B1 KR1020110067578A KR20110067578A KR101285339B1 KR 101285339 B1 KR101285339 B1 KR 101285339B1 KR 1020110067578 A KR1020110067578 A KR 1020110067578A KR 20110067578 A KR20110067578 A KR 20110067578A KR 101285339 B1 KR101285339 B1 KR 10128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guide
stand
detec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05A (ko
Inventor
안판순
Original Assignee
(주)메디엔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엔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메디엔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10067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39B1/ko
Priority to CN201210022456.9A priority patent/CN102860832B/zh
Publication of KR2013000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종래에 U자형 엑스선 진단기기에 있어서는 다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무게가 무겁고, 디텍터암과 튜브암의 거리 조절에 한계가 있어 층고가 낮은 건물이나 차량에서는 사용에 한계가 있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로서, 디텍터부를 포함하는 디텍터암, 및 X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튜브암을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사이에는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디텍터암과 튜브암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A multifuctional stand for X-ray device}
본 발명은 의료용 진단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엑스선(X-ray) 촬영 거리(SID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의료용 진단기기는 피대상물체를 엑스레이촬용하여, 피대상물체의 환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획득한 영상을 판독하여 진단할 수 있는 기기로서, 엑스선 진단기기의 일예로서, X선 디텍터와 X선 발생부가 C형 아암의 양단에 부착되어 C형 아암이 회전하면서 환자를 촬영하는 기기가 알려져 있다.
C형 아암이 설치된 엑스선 진단기기의 경우, 환자를 세워놓고 촬영할 수도 있고, 거동이 매우 불편한 환자인 경우 환자를 테이블에 누인 상태에서 테이블을 C형 아암의 굴곡된 부분에 통과시키고, C형 아암 회전시켜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X선 디텍터가 테이블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X선 발생부가 테이블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하여 촬영이 가능하다.
한편, X선 촬영 진단기기는 X선 공급원, 즉 X선 발생부와 디텍터까지의 거리인 촬영 거리(SID 거리)를 일정 범위 내에서 확보하여야 하는 바, 일반적으로 1000~ 1800mm가 확보되어야 하며, 환자를 세운 상태에서의 스탠딩 모드에서는 1800mm, 환자를 테이블에 누인 상태에서의 테이블 모드에서는 1000mm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C형 아암이 설치된 엑스선 진단기기의 경우에는 건물 천정고가 적어도 2.5m 이상이 되어야 C형 아암이 회전하면서 스탠딩 모드와 테이블 모드 촬영이 모두 가능했으므로, 일반적인 층고의 건물에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층고의 한계를 개선시키고자 한 것이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2417호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암구조를 갖는 의료용 진단기기"이나, 이를 보면, X선발생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아암과 디텍터부를 이동시키는 제2아암이 각각 모터를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음이 명시되어 있고, 단순히 제1아암과 제2아암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으며, 제1아암과 제2아암의 거리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제1아암과 제2아암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제1아암과 제2아암의 두 거리의 합보다는 이를 더 축소시키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2, 3개의 모터로 튜브암과 디텍터암을 따로따로 조절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로 인한 장비 자체의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디텍터암과 튜브암 부분이 개별적으로 움직이므로 대용량의 모터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모터가 하중을 모두 받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차량과 같이 높이가 아주 낮은 경우에 있어서는 U 또는 C형암이 설치된 엑스선 진단기기의 경우에는 이를 설치하지 못하거나 천정 높이를 개조하여 설치해야 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해결하지 못했던 모터에 중량 및 튜브암과 디텍터암간의 거리의 축소에 한계에 따른 차량과 같이 층고가 매우 낮은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있어 촬영모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텍터암과 튜브암이 서로 하나의 기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겹쳐서 이동되므로 디텍터암과 튜브암 자체의 길이중 어느 하나의 더 긴 거리까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더 짧은 거리에서도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차량과 같이 천정이 매우 낮은 곳에도 이를 설치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환자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디텍터암과 튜브암의 거리를 조절하는 모터의 개수를 한개로 함으로써 전체적 기기의 무게가 감소시키고, 스탠드의 하단부에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용 X선 촬영기로 활용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탠드에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다단으로 높낮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높이가 낮은 차량에서 환자가 서서 찍는 스탠드모드 촬영뿐만 아니라, 아암의 거리 및 스탠드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아암을 회전시켜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의 테이블모드 촬영도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스탠드 하단부에 설치된 레일부를 따라 스탠드가 이동가능하여 환자가 누운 베드를 용이하게 이동가능한 공간확보를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디텍터부를 포함하는 디텍터암, 및 X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튜브암을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사이에는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디텍터암과 튜브암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텍터암은 상기 디텍터부가 부착된 제1아암부와 제1가이드가 부착된 제2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암은 X선 발생부가 부착된 제3아암부와 제2가이드가 부착된 제4아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부와 제2아암부는 L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3아암부와 제4아암부도 L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아암부와 제3아암부와 서로 마주보고 있어, L자형의 제1, 2아암부와, 또 다른 L자형의 제3, 4아암부가 서로 U 또는 C자형 구조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에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에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제2가이드에 설치된 랙기어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기어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을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한 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한 개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이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거리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이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채널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채널을 따라 상기 제2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닿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의 일면에 랙기어가 상기 가이드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거리 조절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는 제1스프로킷이고,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의 양 끝단에 제2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스프로킷,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제2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U 또는 C자형 구조물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스탠드와 연결된 것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U 또는 C자형 구조물은 상기 스탠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는 하단부에 레일부가 포함되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는 디텍터부를 포함하는 디텍터암, 및 X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튜브암을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사이에는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디텍터암과 튜브암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며,상기 기어는 한 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텍터암은 상기 디텍터부가 부착된 제1아암부와 제1가이드가 부착된 제2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암은 X선 발생부가 부착된 제3아암부와 제2가이드가 부착된 제4아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부와 제2아암부는 L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3아암부와 제4아암부도 L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아암부와 제3아암부와 서로 마주보고 있어, L자형의 제1, 2아암부와, 또 다른 L자형의 제3, 4아암부가 서로 U 또는 C자형 구조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U 또는 C자형 구조물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스탠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U 또는 C자형 구조물은 상기 스탠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는 하단부에 레일부가 포함되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텍터암과 튜브암을 구동시키는데 한개의 모터만을 사용하고, 서로간의 중량을 이용한 중량 보정기능을 갖고 있어 모터의 용량이 줄어듬으로 차량과 같이 바닥부재가 견고하지 못해 무거운 엑스선 진단기기는 탑재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에도 탑재가능하고, 튜브암과 디텍터암간의 거리의 축소에 한계에 따른 차량과 같이 층고가 매우 낮은 곳에도 설치가능하며 다양한 각도에서의 환자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탠드의 하단부에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에 탑재하여 스탠드를 자유롭게 이동시켜가면서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환자가 누운 테이블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여 엑스선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탠드에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다단으로 높낮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높이가 낮은 차량에서 환자가 서서 찍는 스탠드모드 촬영뿐만 아니라, 아암의 거리 및 스탠드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아암을 회전시켜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의 테이블모드 촬영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텍터암과 튜브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기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에 스탠드가 결합 설치된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이 설치되고, 레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는 C형 구조물이 설치되고, 레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의 이동,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텍터암과 튜브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1)는 디텍터부(100)를 포함하는 디텍터암(10) 및 X선 발생부(200)를 포함하는 튜브암(20)을 포함하고,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의 사이에는 기어(30)가 설치되어,기어(30)의 회전에 따라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디텍터암(10)은 L자형의 꺽임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L자형에서 디텍터부(100)가 부착된 부분을 제1아암부(110)로 정의하고, 디텍터암(10)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가이드(120)가 부착된 부분을 제2아암부(130)로 정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1에 따르면, 디텍터암(10)은 제1아암부(110)와 제2아암부(130)가 서로 직각을 이루며 L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디텍터암(10)의 제1아암부(110)와 제2아암부(130)가 반드시 직각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꺽임구조를 형성한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의 L자형 구조란 제1아암부(110)와 제2아암부(130)가 서로 꺽임구조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정의한다.
디텍터암(10)과 마찬가지로 튜브암(20)도 X선 발생부(200)가 부착된 제3아암부(210)와 튜브암(20)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제2가이드(220)가 부착된 제4아암부(230)를 포함하며, 제3아암부(210)와 제4아암부(230)도 L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L자형 구조는 제1아암부(110)와 제2아암부(130)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서로 꺽임구조를 형성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제2아암부(130)와 제4아암부(230)는 기어(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L자형의 제1아암부(110)와 제2아암부(130)와, 또 다른 L자형의 제3아암부(210)와 제4아암부(230)가 서로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기어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아암(130)에 부착된 제1가이드(120)와, 제4아암(230)에 부착된 제2가이드(220)에 랙기어(50)가 설치형성되고, 이들 랙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30)는 피니언 기어이다.
즉,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에 설치된 랙기어(50)는, 기어(30),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려 있고,
피니언 기어가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랙기어(50)와 피니언기어의 맞물림 회전에 의해 디텍터암(10)은 도면의 상부방향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튜브암(20)은 도면의 하부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반대로 피니언 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랙기어(50)와 피니언기어의 맞물림 회전에 의해 디텍터암(10)은 도면의 하부방향으로 내려가게 되고, 튜브암(20)은 도면의 상부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제1가이드(120)가 설치된 디텍터암(10)이 하강할 때 내려오는 힘은 기어(30)를 거쳐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제2가이드(220)가 설치된 튜브암(20)을 밀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하나의 도르레를 사이에 둔 양 쪽에 줄로 연결된 추와 같이 하나의 추가 내려가면 반대편의 추는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기어(3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된 제1가이드 (120)와 제2가이드가(220)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기어(3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는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를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를 가지고 구동시킬 때보다 모터의 부하량이 훨씬 작아도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 (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가이드(120)가 설치된 디텍터암(10)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힘은 기어(30)를 통해 제2가이드(220)가 설치된 튜브암(20)을 상승시키는 힘으로써 작용하므로 종래의 디텍터암과 튜브암을 별개의 모터 별개의 디텍터암과 튜브암의 하중을 모두 이겨내면서 이동하는 부하량에 비해 모터의 부하량이 훨씬 작아도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모터의 부하량 감소와 구동모터를 한 개만 사용해도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을 동시에 이동시켜 촬영거리(SID 거리)를 조절하게 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어(30)를 사이에 둔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이 서로 맞물려 회전 이동하는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가이드부(70)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가이드부(70)의 중앙 부근에 기어(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70)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는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에 형성된 랙기어(50)와 맞물려 회전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랙기어(50)가 가이드부(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피니언 기어는 한 개의 구동모터(60)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한 개의 구동모터(60)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가이드(120)에 결합된 랙기어(50)와 제2가이드 레일(220)에 결합된 랙기어(50)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도면을 기준으로 기어(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가이드(120)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가이드(220)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이 나란히 중립위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였다면, 서로 거리가 멀어져 일정 수준의 촬영거리(SID거리)를 요구하는 촬영모드를 만들기 위한 구동이고,
촬영모드를 마치고,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을 회전시켜 새로운 촬영모드 전환, 예를 들면 환자가 서서 촬영하는 스탠딩 모드에서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촬영하는 테이블 모드로 전환이 천정의 높이가 낮은 장소에서도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70)는 제1 채널(310)과 제2 채널(320)이 평행하게 가이드부(7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1채널(310)을 따라 제1가이드(1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채널(320)을 따라 제2가이드 (2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채널(310)과 제2채널(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로서 I 형 채널일 수 있고, I 형 채널 외부로 I 형 채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 'ㄷ'자형 채널로 되어 I형 채널 외부를 감싸면서 이동되고, 'ㄷ'자의 양 끝단에는 다시 돌출부가 있어 I 형 채널의 플랜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는(220)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인 중공의 사각형 형상이라고 할 수 있고, 가이드부(70)에 설치된 제1채널(310)과 제2채널(320)은 I 형채널로 I형 채널의 상하부에 플랜지를 중공의 사각형 형상의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가 감싸고, I형 채널의 상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앙부에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의 사각형 형상의 홈이 위치하여 서로 이탈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의 사이에는 기어(30)가 위치하고 있는데,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50)가 설치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한 기어(30)가 서로 맞닿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가이드(120)와 제2가이드(220)는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하나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랙기어(50)는 제1가이드(120), 제2가이드(220)가 연속적인 일체형이든,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구성되든 가이드부(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야 기어(30)와 맞물려 연속적으로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랙기어(50)와 기어(30)가 맞물려 연속적으로 회전 이동시 원활한 회전이동을 위해 가이드부(70)는 제1가이드(120)와 상기 제2가이드(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텍터암(20)과 상기 튜브암(30)의 거리 조절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 기어(8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어(80)도 피니언 기어이나 보조 기어(80)에는 별도의 구동모터가 설치되지 않고, 기어(30)에만 구동모터(60)가 설치되어 회전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의한 디텍터암(10)과 튜브암(20)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어(30)가 제1스프로킷(미도시)으로 대체되고, 제2아암부(130)와 제4아암부(230)의 양 끝단에 제2스프로킷(미도시)을 설치하여 제1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제1스프로킷에 구동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즉, 1개의 모터를 회전시켜 제1스프로킷의 양 쪽에 평행하게 위치된 튜브암과 디텍터암이 체인을 통해 서로 이동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에 스탠드가 결합 설치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70)는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스탠드(90)와 연결되고, 스탠드(90)의 하단부는 바닥과 고정설치된다.
또한, 스탠드(90)에 대해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서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가슴을 촬영하는 스탠딩 모드와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의 테이블 모드에서의 촬영이 모두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형 구조물이 설치되고, 레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90)의 하단부는 레일부(400)을 포함하여 스탠드(90)가 레일부(300)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또한, 스탠드(90)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가능하다.
스탠드 하단부분을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과 같이 천정이 낮은 공간에서도 스탠드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을 이용하여 디텍터암(10)의 제2아암부(130)와 튜브암(20)의 제4아암부(230)가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위치시키도록 거리를 조절가능하므로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을 통해서도 제2아암부(130)와 제4아암부(230) 중 더 긴 하나의 아암부의 길이까지 최소로 줄인 상태에서 스탠드(90)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을 회전시키면 천정이 낮은 공간에서 다양한 모드에서의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과 같은 높이가 낮은 공간에서 천정의 개조없이 촬영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간이 협소하여 대부분 차량내에서는 흉부 촬영만이 가능했으나 스탠드(90)의 하단부가 레일부(300)와 연결되어 있어,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스탠드(90)를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시켜가면서 환자가 누운 테이블을 이동시킬 수 있어 테이블 모드의 촬영도 가능하다.
특히, 차량에 U 또는 C자형 구조물이 설치된 엑스선 진단기기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U 또는 C자형 구조물의 무게가 무거워 차량의 차체 하단에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으나, 본 발명은 디텍터암과 튜브암을 구동시킴에 있어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고, 디텍터암과 튜브암의 서로의 무게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무게 보정 기능이 있어 소형 모터를 채택해도 되므로 무게가 가벼운 엑스선 진단기기를 제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에 탑재하는데에도 문제가 없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는 C형 구조물이 설치되고, 레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의 이동,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1)는 하단부에 설치된 레일부(300)가 좌우이동가능하고, 스탠드(90)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은 스탠드(90)에 대해 회전가능하여 다양한 포지션의 환자 촬영이 가능하고,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의 제2아암부(130)과 제4아암부(230)이 길이 조절가능하게 이동가능하여 신장, 압축되어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U 또는 C자형 구조물(40)의 거리 조절과, 스탠드(90)의 높이 조절을 통해 천정이 낮은 차량과 같은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10: 디텍터암
20: 튜브암 30: 기어
40: U 또는 C자형 구조물 50: 랙기어
60: 구동모터 70: 가이드부
80: 보조 기어 90: 스탠드
100: 디텍터부 110: 제1아암부
120: 제1가이드 130: 제2아암부
200: X선 발생부 210: 제3아암부
220: 제2가이드 230: 제4아암부
300: 레일부 310: 제1채널
320: 제2채널

Claims (19)

  1. 디텍터부를 포함하는 디텍터암, 및 X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튜브암을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사이에는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디텍터암과 튜브암이 이동되며,
    상기 디텍터암은 상기 디텍터부가 부착된 제1아암부와 제1가이드가 부착된 제2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암은 X선 발생부가 부착된 제3아암부와 제2가이드가 부착된 제4아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부와 제2아암부는 L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3아암부와 제4아암부도 L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아암부와 제3아암부와 서로 마주보고 있어,
    L자형의 제1, 2아암부와, 또 다른 L자형의 제3, 4아암부가 서로 U 또는 C자형 구조물를 형성하며,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에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에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제2가이드에 설치된 랙기어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기어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을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이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거리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한 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한 개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이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채널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채널을 따라 상기 제2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닿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의 일면에 랙기어가 상기 가이드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텍터암과 상기 튜브암의 거리 조절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제1스프로킷이고,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의 양 끝단에 제2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스프로킷, 상기 제2아암부와 제4아암부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제2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U 또는 C자형 구조물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스탠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 또는 C자형 구조물은 상기 스탠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하단부에 레일부가 포함되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67578A 2011-07-07 2011-07-07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KR10128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578A KR101285339B1 (ko) 2011-07-07 2011-07-07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CN201210022456.9A CN102860832B (zh) 2011-07-07 2012-02-01 X射线摄影用多功能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578A KR101285339B1 (ko) 2011-07-07 2011-07-07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05A KR20130005905A (ko) 2013-01-16
KR101285339B1 true KR101285339B1 (ko) 2013-07-11

Family

ID=4744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578A KR101285339B1 (ko) 2011-07-07 2011-07-07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5339B1 (ko)
CN (1) CN102860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647A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리스템 다양한 촬영 모드로 촬영 가능한 엑스선 촬영장치
KR101611682B1 (ko) 2013-04-19 2016-04-15 주식회사 리스템 다양한 촬영 모드로 촬영 가능한 엑스선 촬영장치
CN104458770A (zh) * 2013-09-13 2015-03-25 青岛天盾橡胶有限公司 一种便携式矿用巨型子午线轮胎胎体无损检测检测仪
CN106691481A (zh) * 2016-12-30 2017-05-24 莱福医疗设备有限公司 数字化x射线摄影系统
KR102487236B1 (ko) * 2020-10-15 2023-01-11 (주)신영포엠 일자형 아암구조를 갖는 x선 촬영용 스탠드
KR102572436B1 (ko) * 2022-11-09 2023-08-29 이자성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가이드 램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058A (ja) 2005-11-08 2007-05-3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00030780A (ko) * 2008-09-11 2010-03-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준단색 엑스선 촬영장치
KR20110044479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쎄크 X선 검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042935B1 (ko) * 2009-01-20 2011-06-20 주식회사바텍 경량 x선 촬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5757A (en) * 1990-06-20 1992-10-13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diagnosing apparatus
CN2648919Y (zh) * 2003-09-02 2004-10-20 梁景尧 座椅的调整轨道
CN100586507C (zh) * 2004-07-23 2010-02-03 吴大可 三维适形近距离放射治疗集成系统
CN100512757C (zh) * 2006-04-13 2009-07-15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X射线检测设备和x射线成像设备
CN101553170B (zh) * 2006-11-24 2011-11-09 株式会社岛津制作所 X射线透视摄影装置
KR100946999B1 (ko) * 2009-03-10 2010-03-10 (주)메디엔인터내셔날 레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촬영장치
CN101856235A (zh) * 2010-06-30 2010-10-13 深圳市蓝韵实业有限公司 一种经济型x射线摄影系统的旋转臂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058A (ja) 2005-11-08 2007-05-3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00030780A (ko) * 2008-09-11 2010-03-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준단색 엑스선 촬영장치
KR101042935B1 (ko) * 2009-01-20 2011-06-20 주식회사바텍 경량 x선 촬영장치
KR20110044479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쎄크 X선 검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60832B (zh) 2015-03-25
CN102860832A (zh) 2013-01-09
KR20130005905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39B1 (ko)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KR100946999B1 (ko) 레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촬영장치
JP5670317B2 (ja) 医用画像撮影装置用寝台
WO2008062531A1 (fr) Equipement radiographique à rayons x
KR101105625B1 (ko) 2단 길이 조정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
CN203369915U (zh) 可升降的放射诊断床
US7785006B2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with length-adjustable arm structure
KR20150050820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검출기 암 및 이를 구비한 레일시스템
US11931191B2 (en) Ct imaging apparatus
CN201453285U (zh) 一种数字x线摄影机架
CN108652673A (zh) 乳腺b超检查系统及检查方法
CN111759631A (zh) 病床结构及具有其的医用设备
US9681848B2 (en) X-ray diagnostic system
KR10084914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암구조를 갖는 의료용 진단기기
CN209770394U (zh) 一种悬吊式数字化x射线摄影设备
JP6425901B2 (ja) X線診断装置
KR20220062040A (ko) 무단 시준을 갖는 미니 c-아암 촬상 시스템
CN220205084U (zh) 一种c形臂刹车装置
EP3733073A1 (en) Multifunctional radiography, tomography and fluoroscopy device
EP2095768A1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with length-adjustable arm structure
CN215078746U (zh) 一种支持断层融合摄影的多功能诊断床
CN220228493U (zh) 一种电动控制成像板和x射线源的升降机构
RU2814479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компьютерной томографии
CN112869886B (zh) 一种乳腺肿瘤定位检测装置
CN211979386U (zh) 一种医疗补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