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262B1 -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262B1
KR101285262B1 KR1020110142553A KR20110142553A KR101285262B1 KR 101285262 B1 KR101285262 B1 KR 101285262B1 KR 1020110142553 A KR1020110142553 A KR 1020110142553A KR 20110142553 A KR20110142553 A KR 20110142553A KR 101285262 B1 KR101285262 B1 KR 10128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opening
present
mooring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478A (ko
Inventor
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14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2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및 해양 유속과 파고, 파향, 주기 등의 파랑(波浪)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점축부(漸縮部)(11)가 형성된 부이(buoy)(10) 중심부에 개구부(12)를 관통 형성하고 개구부(12)에 센서(31) 및 송신부(32)를 설치한 후 점축부(11)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계류(繫留)하되, 점축부(11)의 표면에 완충대(15)를 부착하거나 점축부(11) 전방측에 다수의 진동판(41)을 설치하여 유송잡물(流送雜物)(99)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교량 등의 고정구조물이나 선박의 동원 없이도 하천 및 해양 유속은 물론 파고, 파향 및 주기 등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교량이나 선박 등 대규모 구조물로 인한 측정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송잡물(99)의 충돌로부터 부이(10) 및 관측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SHOCK ABSORBING TYPE FLOW VELOCITY AND WAVE METER}
본 발명은 하천 및 해양 유속과 파고, 파향, 주기 등의 파랑(波浪)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점축부(漸縮部)(11)가 형성된 부이(buoy)(10) 중심부에 개구부(12)를 관통 형성하고 개구부(12)에 센서(31) 및 송신부(32)를 설치한 후 점축부(11)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계류(繫留)하되, 점축부(11)의 표면에 완충대(15)를 부착하거나 점축부(11) 전방측에 다수의 진동판(41)을 설치하여 유송잡물(流送雜物)(99)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천 및 해양의 유속측정은 표류 부표의 이송속도를 목측(目測)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의 봉부자(棒浮子)를 투입하고 이송속도를 측정하여 수심별 유속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하천 및 해양을 막론하고 수심별 유속 분포가 균일할 수 없으므로 표면유속만으로는 전체 유속분포를 파악할 수 없으며, 하천의 홍수유속 측정시 주로 사용되는 봉부자의 경우 표면유속에 의한 측정오차가 수반될 뿐 아니라, 다점 유속 즉, 특정 수심의 유속은 측정할 수 있으나 통상 3점 정도의 유속만을 획득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음향도플러유속계 또는 광학도플러유속계 등 수심별 유속분포 파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정도(精度) 또한 우수한 유속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유속계는 교량 또는 선박 등 유속계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물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량 또는 선박 등 유속계가 설치되는 구조물은 그 구조물 자체의 규모가 주변 유체의 흐름 양태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측정 자체의 정도는 우수하나 측정치가 해당 수역의 실질적 거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교량 등 고정 시설물을 확보하기 어려운 해양 유속측정의 경우 선박을 이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선박과 유속계를 충분히 이격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선박의 운항으로 인한 측정오차가 수반될 수 밖에 없다.
그뿐 아니라, 교량 및 선박 등의 구조물은 일종의 방파(防波) 또는 소파(消波)구조물로서 거동할 수 있으므로 파랑(波浪) 측정에서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부표 하부에 유속계 등 측정장치를 결속하여 표류식 또는 계류식으로 운용하고 측정치를 전송하거나 추후 기록매체를 수거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표류식의 경우 망실될 위험이 클 뿐 아니라 제한된 측점상 유속측정이 필요한 하천에서는 표류식 측정 불가능하며, 계류식 부표의 경우에도 유수압(流水壓)으로 인한 계류삭(19) 파단 및 망실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파손 또는 망실 위험은 유속측정 뿐 아니라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한 파고, 파향, 주기 등의 파랑(波浪) 관측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존재하는 문제점으로서, 하천에 비하여 접근성이 현저하게 낮은 해양 관측에 있어서 파손 및 망실로 인한 피해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부표 하부에 유속계를 설치하는 경우 유속계의 상측 수역 즉, 표면유속 및 수면 직하부 유속의 측정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파랑 측정에 있어서도 파랑에 의한 부표의 운동을 부표에 결속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가 긴밀하게 추종하기 어려우므로 측정 정도 확보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수면에 부유(浮遊)하는 부이(10)의 일단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어 말단에 첨부(尖部)가 형성되는 점축부(漸縮部)(11)가 구성되고, 부이(10)의 중심부에는 부이(10)를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개구부(12)에는 부이(10) 하부 수역의 유속 및 파랑을 측정하는 센서(31)가 설치되고, 부이(10)의 점축부(11)의 표면에는 유송잡물(流送雜物)(99)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대(緩衝帶)(15)가 흘수선(吃水線)을 따라 부착되며, 부이(10)는 점축부(11)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부이(10)의 점축부(11) 상부에는 부이(10) 전방측으로 돌출된 브래킷(43)이 설치되며, 브래킷(43)의 선단에는 수평 지지빔(42)이 설치되고, 지지빔(42)에는 다수의 진동판(41)이 하방으로 설치되며, 부이(10)는 점축부(11)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교량 등의 고정구조물이나 선박의 동원 없이도 하천 및 해양 유속은 물론 파고, 파향 및 주기 등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교량이나 선박 등 대규모 구조물로 인한 측정오차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측정 설비의 무인화를 통한 상시측정이 가능하여, 방대한 측정자료를 효율적으로 축적할 수 있고, 대규모 관측망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유송잡물(99)의 충돌로부터 부이(10) 및 관측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절단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5는 진동판이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5 실시예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인 부이(buoy)(10)와 부이(10)에 탑재되는 측정 및 통신장비인 센서(31) 및 송신부(32)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부이(10)는 부력을 발현하여 수면에 부유(浮遊)하는 부체(浮體)로서, 적어도 일단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어 말단에 첨부(尖部)가 형성되는 점축부(漸縮部)(11)가 구성되어, 평면상 선박의 선체(船體)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부이(10)의 중심부에는 부이(10)를 상하로 완전하게 관통하는 개구부(開口部)(12)가 형성된다.
또한, 부이(10)의 점축부(11)의 표면에는 유송잡물(流送雜物)(99)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대(緩衝帶)(15)가 흘수선(吃水線)을 따라 부착되는데, 완충대(15)는 고무 또는 스펀지 등 외력 작용시 변형특성 및 복원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부이(10) 저면에는 계류고리(18)가 설치되고, 이 계류고리(18)에는 해저 또는 하상의 앵커, 중량물 또는 고정시설물과 연결된 계류삭(19)이 결속되어 부이(10)의 표류를 억제한다.
이러한 본 발명 부이(10)의 점축부(11)는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부이(10)에 작용하는 유수압(流水壓)을 저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추진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예리하게 구성된 선박의 선수부와 같은 작용을 하지만, 선박의 경우 자력 추진 또는 예인에 의한 수역내 이동과정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반면, 본 발명의 부이(10)는 계류된 상태에서 하천유하 또는 조류에 의한 유수압에 저항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부이(10)의 첨축부는 상류측에만 형성되어도 유수압에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나,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이(10) 전단 및 후단 모두에 점축부(11)를 형성함으로써 부이(10) 후단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와류현상 및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부이(10) 중심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는 도 3에서와 같이, 부이(10)를 상하로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 개구부(12)에 음향도플러유속계 또는 광학도플러유속계 등의 유속측정용 센서(31)나, 가속도센서 등의 파랑측정용 센서(31)와, 측정치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32) 등을 설치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센서(31)는 개구부(12)를 통하여 부이(10) 직하부 수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방(下方)으로 설치되며, 송신부(32)는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부이(10)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 3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측정 중 센서(31)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직교 회동축을 통하여 힌지(hinge) 연결된 장착대(20), 회동링(21) 및 회동판(22)을 구성하고, 회동판(22)에 센서(31) 및 송신부(32)를 설치하게 된다.
즉, 중심부에 대구경 원형 절개부가 형성된 장착대(20), 장착대(20)의 원형 절개부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링(21) 및 회동링(2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판(22)을 구성하고, 장착대(20)의 원형 절개부 내주면과 회동링(21)의 외주면을 회동링(21)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축으로 연결하며, 회동링(21)의 내주면과 회동판(22)의 외주면을 회동판(22)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축으로 연결하되 회동판(22)의 회전축과 회동링(21)이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부이(10)가 요동하여도 회동판(22) 및 센서(31) 등은 요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이(10)는 도 4에서와 같이, 점축부(11)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계류되는데, 말단이 예리한 점축부(11)로 인하여 부이(10)가 평면상 선체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 부이(10)에 작용하는 유수압(流水壓)이 현격하게 저감되므로, 안정적인 계류가 가능할 뿐 아니라 부이(10) 및 부속 장치의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부이(10)가 계류된 상태에서 각종 유송잡물(99)이 부이(10)와 충돌하는 경우, 우선 점축부(11) 표면에 부착된 완충대(15)와 충돌하고 완충대(15)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부이(10) 및 탑재된 관측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선체형 부이(10)와 완충대(15)를 통하여 유송잡물(99)로 인하여 부이(10)에 작용하는 충격을 상당 수준 저감할 수는 있으나, 일회성 변형만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대(15)만으로는 완충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부이(10)의 점축부(11) 전방측에 다수의 진동판(41)을 배치하여, 유송잡물(99)이 일단 진동판(41)에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진동판(41)의 변형 및 진동을 유발하고 이 과정에서 충돌 에너지가 소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부이(10)의 점축부(11) 상부에는 부이(10) 전방측으로 돌출된 브래킷(43)을 설치하고, 브래킷(43)의 선단에는 수평 지지빔(42)을 설치하며, 지지빔(42)에는 다수의 진동판(41)을 하방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진동판(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금속제 대상체(帶狀體)로 구성되며, 진동판(41)의 하단은 수면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부이(10)의 점축부(11)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43), 지지빔(42) 및 진동판(41)의 자중으로 인한 불균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부이(10) 후방측에 균형추(49)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부이(10)에 접근한 유송잡물(99)은 일단 진동판(41)과 충돌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진동판(41)이 변형되면서 대부분의 충격은 흡수되는데, 유송잡물(99)의 통과 후, 진동판(41)이 탄성복원 및 진동하면서 충돌에너지가 소진되어 부이(10)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10 : 부이(buoy)
11 : 점축부(漸縮部)
12 : 개구부
15 : 완충대(緩衝帶)
18 : 계류(繫留)고리
19 : 계류삭(繫留索)
20 : 장착대
21 : 회동링
22 : 회동판
31 : 센서
32 : 송신부
41 : 진동판
42 : 지지빔
43 : 브래킷
49 : 균형추
99 : 유송잡물(流送雜物)

Claims (2)

  1. 삭제
  2. 수면에 부유(浮遊)하는 부이(10)의 일단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어 말단에 첨부(尖部)가 형성되는 점축부(漸縮部)(11)가 구성되고;
    부이(10)의 중심부에는 부이(10)를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개구부(12)에는 부이(10) 하부 수역의 유속 및 파랑을 측정하는 센서(31)가 설치되고;
    부이(10)의 점축부(11) 상부에는 부이(10) 전방측으로 돌출된 브래킷(43)이 설치되며;
    브래킷(43)의 선단에는 수평 지지빔(42)이 설치되고, 지지빔(42)에는 다수의 진동판(41)이 하방으로 설치되며;
    부이(10)는 점축부(11)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KR1020110142553A 2011-12-26 2011-12-26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KR10128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53A KR101285262B1 (ko) 2011-12-26 2011-12-26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53A KR101285262B1 (ko) 2011-12-26 2011-12-26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78A KR20130074478A (ko) 2013-07-04
KR101285262B1 true KR101285262B1 (ko) 2013-07-15

Family

ID=4898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53A KR101285262B1 (ko) 2011-12-26 2011-12-26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13B1 (ko) 2015-10-12 2017-02-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익을 구비한 수중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파랑-유속 관측방법 및 그 장치
WO2020182231A3 (zh) * 2019-03-13 2020-10-22 江苏科技大学 一种打桩船及其姿态调整、定位控制和打桩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81B1 (ko) * 2014-07-28 2014-09-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KR102193216B1 (ko) * 2019-10-11 2020-12-18 동강엠텍(주)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의 파손 방지 및 진단 장치
CN111486825B (zh) * 2020-04-18 2021-01-12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湍流观测系统
CN112798809B (zh) * 2021-01-13 2022-04-22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河道信息采集用水流流速传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90U (ja) * 1991-10-14 1993-04-27 幹治 石田 船舶衝突用緩衝構造
JP2007321481A (ja) 2006-06-02 2007-12-13 Hitachi Zosen Corp 係留装置
KR20100095188A (ko) * 2009-02-20 2010-08-30 오션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10134008A (ko) * 2010-06-08 2011-12-14 최강섭 유체 흐름의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부양체(浮揚體)를 포함하는 수직축 방식의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90U (ja) * 1991-10-14 1993-04-27 幹治 石田 船舶衝突用緩衝構造
JP2007321481A (ja) 2006-06-02 2007-12-13 Hitachi Zosen Corp 係留装置
KR20100095188A (ko) * 2009-02-20 2010-08-30 오션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10134008A (ko) * 2010-06-08 2011-12-14 최강섭 유체 흐름의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부양체(浮揚體)를 포함하는 수직축 방식의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13B1 (ko) 2015-10-12 2017-02-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익을 구비한 수중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파랑-유속 관측방법 및 그 장치
WO2020182231A3 (zh) * 2019-03-13 2020-10-22 江苏科技大学 一种打桩船及其姿态调整、定位控制和打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78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262B1 (ko)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US8814469B2 (en) Articulated bed-mounted finned-spar-buoy designed for current energy absorption and dissipation
KR20190012039A (ko) 교각보호대
KR20150092781A (ko) 유속 측정장비용 계류식 선체형 부이
KR101033111B1 (ko) 멀티빔 음향측심기 구조물을 장착한 해양지형조사선
KR101019657B1 (ko) 음파 유속계의 계류 장치
CN209211396U (zh) 一种悬浮式防船撞多层耗能装置
KR20130074436A (ko) 선체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JP6640421B1 (ja) 自体浮力型弾性波探査モジュールを含む弾性波探査装置及びその方法
CN202574571U (zh) 一种测流平台
CN210294526U (zh) 一种适合单向水流的高承台桥墩局部冲刷在线监测平台
CN111301613A (zh) 一种用于海洋浮标的锚系机构
JP2007253752A (ja) 杭式係留装置
CN107202905B (zh) 一种adcp水下垂直度调整装置
CN214375260U (zh) 一种应用于海底探测的多波束测深仪
KR20180137819A (ko) 수심 측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선박
CN210689774U (zh) 一种船舶液位测量装置
KR101901817B1 (ko) 해양구조물의 와류유발운동 감소를 위한 장치
JP4830269B2 (ja) 係留センサ測位方法および装置
KR102667511B1 (ko) 해양 관측정보의 릴레이식 송수신 네트워크를 구비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1126000B1 (ko) 부유식 무선 해양 모니터링 자료 송신기
JP6725812B2 (ja) ブイ式波高計測装置
McCullough Problems in measuring currents near the ocean surface
CN212981134U (zh) 一种测深仪的固定装置
CN212500897U (zh) 一种浮标内的adcp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