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67B1 -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 Google Patents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67B1
KR101285167B1 KR1020130000981A KR20130000981A KR101285167B1 KR 101285167 B1 KR101285167 B1 KR 101285167B1 KR 1020130000981 A KR1020130000981 A KR 1020130000981A KR 20130000981 A KR20130000981 A KR 20130000981A KR 101285167 B1 KR101285167 B1 KR 10128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lock
flat
work table
blo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준수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102013000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1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work table for a display panel inspection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efflorescence of a display panel by having the constant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of an upper plate block part. CONSTITUTION: A work table for a display panel inspection device includes a base part (20), an upper plate block part (30), and a correction member. The upper plate block part is combined with the base part and is mounted on a display panel. A flat block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plate block part for flatness correction. The correction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block part and is used for flatness cor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art. [Reference numerals] (AA) Contact area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상판 블록부의 상면이 평탄하지 못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부위가 하얀색으로 변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워크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able for a display panel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table for preventing a whitening phenomenon in which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becomes white becaus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panel to be inspected is not flat is not fla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유기 EL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여러 단계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이때 각 제조 공정, 예컨대 납땜 등의 조립공정, 불량 요인의 수리고정 등의 공정이 진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상태를 테스트하는 소정의 점등 상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하여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양질의 제품만 출하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 display panel such as an organic EL panel is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es, and at this time, the light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is tested when each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n assembly process such as soldering or a repair process of defects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lighting state test process is performed to ensure that only good quality products that maintain a lighting stat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re always shipped.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과정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This display panel test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작업자가 테스트용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공급부로 공급하면 공급부가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작업자가 테스트부에서 테스트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장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되고 이송부는 공급부에 공급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테스트부로 이동하며 테스트부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테스트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신호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등되어 외부로 빛이 발산되고,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육안으로 보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색상, 불량, 화소율 등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을 판정하게 된다.When the operator feeds the test display panel to a supply that is level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supply is pivoted at an angle to the ground (the angle at which the operator can see the display panel tested in the test section most accurately) and the feed section The display panel supplied to the test panel is moved to the test unit. In the test unit, the display panel and the test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al signals, and the display panel is turned on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By visually checking the overall color, defect, pixel rate, etc. of the display panel, the defect of the display panel is determined.

이러한 검사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워크 테이블(work table)이며, 종래 워크 테이블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은 워크 테이블(work table)에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It is a work table used to fix the display panel in this inspection process, and the conventional work table is shown in FIG. That is, the display panel is inspected while seated on a work table.

도 1을 참조하면 워크 테이블은 상판 블록부(1)와 베이스부(2)로 구성되며 상판 블록부(1)와 베이스부(2)는 나사체결에 의해서 서로 결합 되거나 나사 풀림에 의해서 결합 해제된다. 이렇게 나사 체결하는 이유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와 상응하는 상판 블록부(1)를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기 위해서이다.Referring to FIG. 1, the work table includes a top plate block part 1 and a base part 2, and the top plate block part 1 and the base part 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ing or are uncoupled by screw loosening. . The reason for the screw fastening is to inspect the display panels of various sizes by replacing the top block portion 1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이러한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의 재질은 알루미늄(예를 들어, Al6061)으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의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불소 코팅을 수행한다. 불소 코팅은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의 표면을 샌드브라스트 등으로 거칠게 만드는 표면처리공정과, 불소를 함유한 접착제를 부가하는 접착제 코팅공정과,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의 표면에 코팅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접착제가 부착된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을 가열 처리하는 소결 공정과, 소결 공정 후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을 냉각하는 냉각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에 접착제를 부착한 다음, 접착제가 부착된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에 불소를 코팅하는 불소 코팅공정과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에 부착된 불소를 약 130~150℃ 정도로 가열하여 불소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중합공정과, 이후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으로 이루어진다.The material of the upper plate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is made of aluminum (for example, Al6061). In order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of the upper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made of aluminum, fluorine coating is performed. The fluorine coating includes a surface treatment step of roughening the surface of each of the top block part 1 and the base part 2 by sandblasting, an adhesive coating step of adding an adhesive containing fluorine, and a top block part 1 And a drying step of drying the adhesive coated on each surface of the base part 2, a sintering step of heating the upper plate block part 1 and the base part 2 to which the adhesive is attached, and a top block after the sintering step. Repeating the cooling process of cooling each of the part 1 and the base part 2, attaching an adhesive to each of the upper block part 1 and the base part 2, and then attaching the adhesive to the upper block part 1 And a fluorine coating step of coating fluorine on each of the base parts 2 and a polymerization step of heating the fluorine attached to each of the upper block part 1 and the base part 2 to about 130 to 150 ° C. to form a fluorine polymer. After that, to cool each of the upper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It consists of each process.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 블록부(1), 베이스부(2)를 불소 코팅하기 위해서 상판 블록부(1) 및 베이스부(2) 각각에 부착된 불소를 약 130~150℃ 정도로 가열하기 때문에 상판 블록부(1), 베이스부(2)에 뒤틀림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luorine the top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the fluorine attached to each of the top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is heated to about 130 to 150 ° C. Distortion occurs in the upper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이렇게 뒤틀린 상태의 상판 블록부(1)와 베이스부(2)를 체결하는 경우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상판 블록부(1)의 상면이 평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서 상면이 평탄하지 않은 상판 블록부(1)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 안착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들뜨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부위가 하얀색으로 변하는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upper block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2 are fastened in the twisted stat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1 on which the display panel to be inspected is placed is not flat. As a result, when the display panel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1 having an uneven top surface, a part of the display panel is lifted, and a whiten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turns whit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2016호(공개일: 2011년 03월 30일)가 있다.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2016 (published: March 30, 2011).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상판 블록부의 상면이 평탄하지 않은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 안착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들뜨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부위가 하얀색으로 변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워크 테이블이 제안된다.
The work table for preventing whitening phenomenon in which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panel turns white when the display panel is lifted up when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block portion where the upper surface block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panel to be inspected is placed is not flat is proposed. do.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은, 베이스부; 와 하면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상판 블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의 평탄도 보정을 위한 평탄블록이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된다.Work table for display pane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includes a top block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and at least one flat block for correcting flatness of the top surface of the top block portion is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op block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은, 상기 평탄블록 하면과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의 평탄도 보정에 이용되는 보정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work table for the display panel inspe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rre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to correct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는 상기 평탄 블록이 삽입되는 평탄블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flat block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lat block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탄블록은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전기적인 접촉영역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적인 접촉영역 및 상기 전기적인 접촉영역 이외의 비접촉 영역에도 부착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flat block may be attached to an electrical contact area with the display pan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art or to a non-contact area other than the electrical contact area and the electrical contact area.

상기 평탄 블록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 방지체, 대전 방지 코팅된 알루미늄 및 대전 방지 코팅된 스틸(stee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at block may be made of any one of an antistatic member for antistatic, antistatic coated aluminum, and antistatic coated ste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 평탄도 보정을 위한 평탄블록이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부착하여 상판 블록부의 상면의 평탄도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부위가 하얀색으로 변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ork table for the display pane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lat block for flatness correction is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op block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seated so that the flatness of the top surface of the top block portion is fix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itening phenomenon in which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panel turns white.

도 1은 종래 워크 테이블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탄블록과 상판 블록부 사이의 부착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ork tab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rk t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the attachment between the flat block and the upper block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10)은 베이스부(20)와 상판 블록부(30)가 서로 결합 되어 이루어진다.2 and 3, in the work tab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20 and the upper plate block part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상판 블록부(30)는 하면이 베이스부(20)와 결합되며 상면(31)에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안착 된다. 상기 상판 블록부(30)의 하면과 베이스부(20)는 나사체결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upper plate block portion 30 has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20 and a display panel (not show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3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and the base portion 20 may be coupled by scre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20)와 상판 블록부(30)는 종래와 같이 정전기 방지를 위해서 불소 코팅이 이루어지는 경우 불소 코팅을 위해서 가해지는 열로 인해서 형태가 뒤틀려질 수 있다. The base part 20 and the upper block part 30 may be distorted due to heat applied for fluorine coating when fluorine coating is performed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as in the prior art.

이렇게 뒤틀린 상태의 베이스부(20)와 상판 블록부(30)가 서로 결합 되어 워크 테이블(10)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 평탄도가 일정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평탄도가 일정치 않은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들뜨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부위에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base portion 20 and the upper block portion 30 in the twisted st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work table 10,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may not be constant. As a result, a part of the display panel seated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plate block portion 30 whose flatness is not uniform is lifted, and whitening occurs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따라서 이러한 백화현상을 없애기 위해서는 평탄도가 일정치 않은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을 평탄도가 일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such whitening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art 30 whose flatness is not constant constant.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에 평탄 블록들(32, 33, 34, 37)을 부착하여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의 평탄도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평탄 블록들(32, 33, 34, 37) 각각은 나사(미도시) 체결 등에 의해서 상판 블록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에 평탄 블록들(32, 33, 34, 37)이 삽입되는 평탄블록 삽입홈들이 형성되어, 평탄 블록들(32, 33, 34, 37)에 평탄블록 삽입홈들에 삽입된 후 부착됨으로써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보정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평탄 블록(32)은 평탄블록 삽입홈(36)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평탄블록(33)은 평탄블록 삽입홈(35)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평탄블록(37)은 평탄블록 삽입홈(38)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는 평탄블록들(32, 33, 34, 37)이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전기적인 접촉 영역에 부착된 경우이다. To this e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flat blocks 32, 33, 34, 37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Flatness is made constant. Each of the flat blocks 32, 33, 34, 37 may be coupled to the top block part 30 by a screw (not shown) fastening or the like. In FIGS. 2 and 3, flat block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flat blocks 32, 33, 34, and 37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thereby providing the flat blocks 32, 33, and 34. , 37) is inserted into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s and then attached to the flat block 31 so that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is constantly corrected. For example, the flat block 32 may b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flat block inserting groove 36, and the flat block 33 may b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flat block inserting groove 35 and the flat block 37 may be attached to the flat block inserting groove 35. It may be inserted into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38 and attached. 2 and 3 is a case where the flat blocks 32, 33, 34, 37 are attached to the electrical contact area with the display panel.

하지만, 평탄블록들(32, 33, 34, 37)이 부착되는 각각의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의 평탄도가 일정치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의 평탄도가 일정치 않을 수 있다. 평탄블록들(32, 33, 34, 37)과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 사이에 보정 부재(후술함)가 개재됨으로써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의 평탄도가 보정될 수 있다. However, the flatness of the top surface 31 of each top block portion 30 to which the flat blocks 32, 33, 34, 37 are attached may not be constant. For this reason,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may not be constant.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lat blocks 32, 33, 34, 37 and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by a correction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rrected.

이러한 평탄블록들과 상판 블록부(30)의 상면(31) 사이에 보정 부재가 개재되어 상판 블록부(30)의 상면의 평탄도가 보정되는 것에 대한 예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보정 부재는 필러 게이지 등일 수 있다.An example of correcting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by interposing a correction member between the flat blocks and the upper surface 31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is illustrated in FIG. 6. In this case, the correction member may be a filler gauge or the like.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는 평탄 블록이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 형성된 평탄블록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lat block is inserted into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도 6의 (a)는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 전체의 평탄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보정 부재(84)를 평탄블록(80)의 하면과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 전체에 걸쳐서 개재한 경우이다.FIG. 6A illustrates that when the flatness of the entire bottom surface 82 of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83 is not constant, the correction member 84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block 80 and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83. It is the case where it interposes over the whole bottom surface 82 of ().

도 6의 (b)는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의 왼쪽 일부 영역의 평탄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보정 부재(85)를 평탄블록(80)의 하면과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의 왼쪽 일부 영역에 개재한 경우이다.FIG. 6B illustrates that when the flatness of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82 of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83 is not constant, the correction member 85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block 80 and the flat block 80. It is a case where it interposes in the partial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82 of the groove | channel 83.

도 6의 (c)는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의 오른쪽 일부 영역의 평탄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보정 부재(86)를 평탄블록(80)의 하면과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의 오른쪽 일부 영역에 개재한 경우이다.FIG. 6C illustrates that the correcting member 86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block 80 and the flat block when the flatness of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urface 82 of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83 is not constant. It is the case where it interposes in the partial area of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urface 82 of the groove | channel 83.

도 6의 (d)는 도 6의 (a) 내지 (c)와 달리, 보정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서, 상판 블록부(81)의 상면의 평탄도가 일정하도록, 평탄블록(80)의 하면을 연마작업을 통해서 평탄도가 일정치 않은 평탄블록 삽입홈(83)의 바닥면(82)과 연마작업이 이뤄진 평탄블록(80)의 하면을 결합하기 전 평탄블록 삽입홈(83)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6의 (d)의 경우에 평탄블록(80)의 하면과 평탄블록 삽입홈의 바닥면은 나사체결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IG. 6D illustrates a bottom surface of the flat block 80 such that the flatness of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81 is constant without intervening the correction member, unlike FIGS. 6A to 6C. The state inserted into the flat block inserting groove 83 before the bottom surface 82 of the flat block inserting groove 83 in which the flatness is not uniform through the polishing opera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block 80 in which the polishing was made. The figure which show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Figure 6 (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block 8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block insertion groove may be coupled by scre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평탄블록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 방지체, 대전 방지 코팅된 알루미늄 또는 대전 방지 코팅된 스틸(steel)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 방지체에는 냉간금형용 합급공구강(예로, SKD11)이 있으나 정전기 방지를 위한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The flat block may be made of an antistatic body for antistatic, antistatic coated aluminum or antistatic coated steel, or the like. The antistatic body includes a cold mold alloy hole (for example, SKD11), but any material may be used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상기 상판 블록부(30)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plate block portion 30 may be made of aluminum in which an oxide film is formed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또한 상기 베이스부(20)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art 20 may be made of aluminum having an oxide film formed thereon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이에 따라서 종래와 달리 상기 상판 블록부(30) 및 베이스부(20)는 불소코팅을 하는 대신 산화 피막만 형성하므로 종래 불소 코팅했을 때보다 상판 블록부(30) 및 베이스부(20)의 뒤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unlike the prior art, the upper block portion 30 and the base portion 20 form only an oxide film instead of fluorine coating, so that the distortion of the upper block portion 30 and the base portion 20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luorine coating. Can be minimized.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크 테이블(50)은 베이스부(60)와 상판 블록부(70)가 서로 결합 되어 이루어진다.4 and 5, the work table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upling the base portion 60 and the upper plate block portion 70 to each other.

상기 상판 블록부(70)는 하면이 베이스부(60)와 결합되며 상면(71)에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안착 된다. 상기 상판 블록부(70)의 하면과 베이스부(60)는 나사체결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upper plate block portion 70 has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60 and a display panel (not show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7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and the base portion 60 may be coupled by scre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60)와 상판 블록부(70)는 종래와 같이 정전기 방지를 위해서 불소 코팅이 이루어지는 경우 불소 코팅을 위해서 가해지는 열로 인해서 형태가 뒤틀려질 수 있다. The base part 60 and the upper block part 70 may be distorted due to heat applied for fluorine coating when fluorine coating is performed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as in the prior art.

이렇게 뒤틀린 상태의 베이스부(60)와 상판 블록부(70)가 서로 결합 되어 워크 테이블(50)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 평탄도가 일정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평탄도가 일정치 않은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들뜨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부위에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base portion 60 and the upper block portion 70 in the twisted st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work table 50,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may not be constant.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seated on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having uneven flatness is lifted, and whitening occurs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따라서 이러한 백화현상을 없애기 위해서는 평탄도가 일정치 않은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을 평탄도가 일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such whitening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art 70 whose flatness is not constant constant.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에 평탄 블록들(72, 73, 74, 75, 76, 77, 78)을 부착하여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의 평탄도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평탄 블록들(72, 73, 74, 75, 76, 77, 78) 각각은 나사(미도시) 체결 등에 의해서 상판 블록부(7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전기적인 접촉영역의 경우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에 평탄 블록들(72, 73, 74)이 삽입되는 평탄블록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전기적인 비접촉 영역인 경우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으로부터 단차 형성된 단차면(71)에 평탄 블록들(75, 76, 77, 78)이 부착됨으로써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보정되도록 하고 있다. To this e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flat blocks 72, 73, 74, 75, 76, 77, 78 to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the upper block portion 70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71 of is kept constant. Each of the flat blocks 72, 73, 74, 75, 76, 77, and 78 may be coupled to the top block portion 70 by a screw (not shown). 4 and 5, in the electrical contact area with the display panel, flat block insertion grooves in which flat blocks 72, 73, and 74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and the display is formed. In the case of the non-electrical contact area with the panel, the flat block parts 75, 76, 77, and 78 are attached to the stepped surface 71 formed stepped from the top surface 71 of the top block part 70, thereby allowing the top block part 70 to be attached.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71 of is fixed to be constant.

하지만, 평탄블록들(72, 73, 74)이 부착되는 각각의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 또는 평탄블록들(75, 76, 77, 78)이 부착되는 상판 블록부(70)의 단차면(79)의 평탄도가 일정치 않을 수 있다. 이는 결국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의 평탄도가 일정치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평탄블록들(72, 73, 74)과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 사이 또는 평탄블록들(75, 76, 77, 78)과 상판 블록부(70)의 단차면(79) 사이에는 상기 보정 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상판 블록부(70)의 상면(71)의 평탄도가 보정될 수 있다.
However, the upper surface 71 of each upper block portion 70 to which the flat blocks 72, 73, and 74 are attached, or the upper block portion 70 to which the flat blocks 75, 76, 77, and 78 are attached. The flatness of the stepped surface 79 may not be constant. This may result in an uneven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Between the flat blocks 72, 73, 74 and the top surface 71 of the top block portion 70 or between the flat blocks 75, 76, 77, 78 and the stepped surface 79 of the top block portion 70. Since the correction member 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71 of the upper block portion 70 may be corrected.

이러한 평탄블록들(72, 73, 74, 75, 76, 77, 78)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 방지체, 대전 방지 코팅된 알루미늄 또는 대전 방지 코팅된 스틸(steel)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 방지체에는 냉간금형용 합급공구강(예로, SKD11)이 있으나 정전기 방지를 위한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The flat blocks 72, 73, 74, 75, 76, 77, and 78 may be made of an antistatic body, an antistatic coated aluminum, an antistatic coated steel, or the like for antistatic. The antistatic body includes a cold mold alloy hole (for example, SKD11), but any material may be used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상기 상판 블록부(70)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block portion 70 may be made of aluminum in which an oxide film is formed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또한 상기 베이스부(60)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art 60 may be made of aluminum having an oxide film formed thereon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이에 따라서 종래와 달리 상기 상판 블록부(70) 및 베이스부(60)는 불소코팅을 하는 대신 산화 피막만 형성하므로 종래 불소 코팅했을 때보다 상판 블록부(70) 및 베이스부(60)의 뒤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unlike the prior art, since the upper block portion 70 and the base portion 60 form only an oxide film instead of fluorine coating, the upper block portion 70 and the base portion 60 are warp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fluorine coating. Can be minimiz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5)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에 있어서,
베이스부; 와
하면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상판 블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의 평탄도 보정을 위한 평탄블록이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며,
상기 평탄블록 하면과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의 평탄도 보정에 이용되는 보정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
In the work table for display panel inspection device,
A base portion; Wow
A bottom surface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includes a top block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seated,
At least one flat block for correcting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And a corre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and used to correct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 블록부의 상면에는 상기 평탄 블록이 삽입되는 평탄블록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at block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lat block is insert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탄블록은 상기 상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전기적인 접촉영역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적인 접촉영역 및 상기 전기적인 접촉영역 이외의 비접촉 영역에도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flat block is attached to the electrical contact area with the display panel of the upper surface or to the display panel insp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non-contact area other than the electrical contact area and the electrical contact area. Work t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 블록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 방지체, 대전 방지 코팅된 알루미늄 및 대전 방지 코팅된 스틸(stee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at block is a work table for a display panel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antistatic, antistatic coated aluminum and antistatic coated steel (steel) for antistatic.
KR1020130000981A 2013-01-04 2013-01-04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KR101285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81A KR101285167B1 (en) 2013-01-04 2013-01-04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81A KR101285167B1 (en) 2013-01-04 2013-01-04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167B1 true KR101285167B1 (en) 2013-07-11

Family

ID=4899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981A KR101285167B1 (en) 2013-01-04 2013-01-04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74B1 (en) * 2022-08-24 2023-06-13 주식회사 디팜스 Test carrier jig plate having ESD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085A (en)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디이엔티 Work table for flat display panel tester
JP2010053894A (en) 2008-08-26 2010-03-11 Micronics Japan Co Ltd Table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height adjusting table using same
KR20110068204A (en)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Stage and dispens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085A (en)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디이엔티 Work table for flat display panel tester
JP2010053894A (en) 2008-08-26 2010-03-11 Micronics Japan Co Ltd Table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height adjusting table using same
KR20110068204A (en)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Stage and dispenser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74B1 (en) * 2022-08-24 2023-06-13 주식회사 디팜스 Test carrier jig plate having ESD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188B1 (en) Display panel aging test system and method
KR100951461B1 (en) Apparatus for edge defect of glass substrate and monitoring process
KR101234088B1 (en) Array test apparatus
KR101301517B1 (en) Substrate test apparatus for LCD and substrate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101285167B1 (en) Work table of display panel tester
KR101865363B1 (en) Method for judging quality of LED module and Apparatus for judging quality of LED module
US7211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ity and brightness correction in an OLED display
KR20100019188A (en) Method for dispensing paste using substrate inspection data
KR20160031142A (en) Mura Detecting Device
CN104503112A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array substrate
KR20200072117A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sealer application, and sealer application system
TW201715244A (en) Testing apparatus for LED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LED device
KR101722403B1 (en) the pin block with adjustable pitch control
KR1011629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rray substrate
CN106157822A (en) The restorative procedure of LED screen
KR20090116279A (en) Worktable of display panel testing device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KR101918109B1 (en) Light source module, and vision inspection module having the same
KR101269446B1 (en) Apparatus for testing and repairing of substrate
KR20150081798A (en) Method of inspecting display cells
KR101269443B1 (en) Apparatus for testing and repairing of substrate
JP6287570B2 (en) Optical device inspection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inspection method
KR102602881B1 (en) Inspection Method of 7-segment Display Device
KR101935074B1 (en) Method of inspecting display cells
CN218916578U (en) Thermocouple fixing device of diffusion furnac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20289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