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993B1 -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993B1
KR101284993B1 KR1020120033214A KR20120033214A KR101284993B1 KR 101284993 B1 KR101284993 B1 KR 101284993B1 KR 1020120033214 A KR1020120033214 A KR 1020120033214A KR 20120033214 A KR20120033214 A KR 20120033214A KR 101284993 B1 KR101284993 B1 KR 10128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document
tower
chamber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세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세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세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12003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파쇄 탑차에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을 설치하여 파쇄물의 하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안 문서 처리를 원하는 고객에게 직접 찾아가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서 보안 문서를 파쇄처리하는 등 보안 문서의 수거에서부터 파쇄, 처리까지의 전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TRUCK FOR SHREDDING PAPER AND TREATMENT SYSTEM FOR SHREDDING PAPER 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문서파쇄 탑차에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을 설치하여 파쇄물의 하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안 문서 처리를 원하는 고객에게 직접 찾아가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서 보안 문서를 파쇄처리하는 등 보안 문서의 수거에서부터 파쇄, 처리까지의 전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회사, 관공서, 문서보관소 등에서 보관하거나 작성되는 영수증 및 기밀을 요하는 각종 서류, 문서 등이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더 이상 보관이 불필요한 경우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서류 내용의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완전히 파쇄하여 처리하는 것이 원칙으로 관련법률에서도 보안 문서의 처리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문서의 처리에 있어서 일반 쓰레기와 동일하게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개인, 회사, 국사의 등의 각종 정보가 담겨 있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가 무분별하게 처리되는 과정에서 혹여 범죄자의 손에 들어가 범죄에 악용될 경우 개인, 회사, 국가적으로 그 피해는 실로 심각하지 않을 수 없으며, 날이 갈수록 각종 정보가 담겨 있는 기밀문서를 이용한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문서 처리의 중요성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 및 회사의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기밀문서는 문서파쇄기에 의해 내용을 알아볼 수 없도록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서파쇄기를 사용하여 문서를 파쇄처리할 경우 개인정보 및 기밀문서의 외부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지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문서파쇄기는 파쇄력 및 패쇄용량의 한계로 은행 및 회사 등에서 발생된 대량의 기밀문서를 파쇄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책자와 같은 파쇄대상물은 파쇄가 가능한 분량으로 하나하나 찢어서 파쇄하지 않는 이상 책자 전체를 문서파쇄기에 투입하여 한번에 파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한편, 문서파쇄기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67652호에는 『차량의 적재대에 탑재되어 문서를 파쇄하도록 된 파쇄기와, 이 파쇄기에서 배출된 종이칩을 수용하는 함체를 포함하는 문서파쇄기를 구비한 탑차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파쇄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파쇄된 종이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투입구 하부에 평행 배치되며 유압모터에 구동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축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된 다수의 커터날을 포함하며, 상기 파쇄기 본체의 배출구 내부에는 신축운동기구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밀판이 구비되어, 파쇄되어 배출되는 종이칩을 일측으로 밀어내며, 상기 파쇄기 본체의 배출구 외측에는 상기 밀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상기 밀판과 연동되는 확장밀판이 구비되어, 상기 밀판의 왕복운동시에 확장밀판이 연동되어, 배출구 전방에 쌓이는 종이칩을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기를 구비한 탑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149호에는 『한 쌍의 커터부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파쇄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 전 파쇄대상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체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여, 파쇄비용을 정확하게 정산,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인해 수요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4535호에는 『호퍼, 파쇄부 및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기물 파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 장치의 내부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호퍼로부터 인입되는 파쇄대상물을 1차 파쇄하는 1차파쇄부와; 상기 파쇄장치의 내부 하단부에 위치하며, 1차 파쇄부를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는 1차 파쇄된 상기 파쇄 대상물을 2차 파쇄하는 2차 파쇄부와; 상기 1차 파쇄부의 1차 파쇄롤 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1차 파쇄롤의 회전축에 설치된 다수의 상부파쇄 칼날과 교접하면서 파쇄 장치의 중간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는 중부파쇄 칼날이 설치된 3차 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등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38652호에는 『이동하면서 문서를 세절하도록 한 문서파쇄기를 구비한 탑차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 배치되도록 구비하여 각종문서를 세절하도록 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 의해 세절된 폐지를 배출 및 적층하도록 한 보관함을 형성한 문서파쇄부와; 상기 문서파쇄부의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파쇄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어부의 전기신호를 유압신호로 변환하도록 형성한 유압변환기와; 일측은 상기 유압변환기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문서파쇄기의 파쇄기와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유압변환기의 유압신호에 따라 상기 파쇄기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파쇄기를 작동되도록 형성한 유압장치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기를 구비한 탑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문서 파쇄기를 장착 차량이 문서의 파쇄를 원하는 장소로 직접이동하여 문서를 차량 내에서 파쇄한 다음 차량을 집하장소로 이동하여 파쇄물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문서 파쇄기를 장착한 차량은 차량으로부터 파쇄물의 하역시 롤러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파쇄물을 하역하였으나, 파쇄물의 하역작업중에 롤러컨베이어의 롤러에 파쇄물이 들러붙거나 롤러 사이의 틈으로 파쇄물이 들어가 롤러컨베이어의 오작동 또는 고장을 일으키는 일이 빈번한 등 파쇄물의 하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파쇄물을 집하장소에 보관함에 있어서 파쇄물이 일정형태가 아니므로 파쇄물을 파쇄된 상태 그대로 창고에 보관할 수 없어 차량으로부터 하역한 파쇄물을 압축장치를 사용하여 압축한 다음 정형화된 형태로 만들어서 창고에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이 파쇄물 적재실에 쌓이면서 차체 중량에 의해 압축되어 한데 엉켜 딱딱해지고 중량이 과도해져 파쇄물이 롤러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롤러컨베이어의 롤러가 헛 바퀴가 도는 등 파쇄물 하역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현재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보안 문서 처리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에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파쇄물 하역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문서파쇄 탑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재실에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하여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를 원스톱으로 처리하여 보안 문서 처리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고객에게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운전석 뒤쪽에 구획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파쇄기가 설치되는 파쇄실; 파쇄실 뒤쪽에 구획되면서 파쇄기에서 배출된 파쇄물이 적재되는 적재실; 파쇄실과 적재실 사이에 설치되어 파쇄실과 적재실을 구획하는 것으로서 파쇄실에 장착된 파쇄기의 배출부 끝단과 대응하는 하부 일단 부위에 파쇄실과 적재실을 연결하는 배출통로가 구비되는 격벽; 적재실의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재실의 좌, 우 양측을 개폐하는 윙; 적재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물의 하역을 위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제공한다.
또한, 격벽의 상부 일단에는 적재실에 적재된 파쇄물의 적재상태를 파쇄실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마련되고, 적재실 쪽 격벽 상단에는 적재실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되며, 조명수단은 형광등, 백열등, 엘이디 램프, 삼파장 램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재실의 좌, 우 양쪽으로 설치되는 윙은 파쇄물의 적재시 파쇄물이 적재실 밖으로 배출되는 않도록 적재실의 양측을 막고 있다가 파쇄물의 하역시에는 상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면서 열림이 바람직하다.
또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은 적재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실에 설치되는 파쇄기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물을 담을 수 있도록 전면이 막힌 자루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파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격벽 쪽 본체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격벽의 배출통로를 거쳐 파쇄기의 배출부에 연결되는 주입부와, 격벽 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파쇄물용 톤백과; 파쇄물용 톤백의 고리를 걸 수 있도록 고리에 대응하여 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고리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파쇄물용 톤백은 원통형 자루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은 적재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운데 부위가 좌, 우 양쪽으로 분할구성되면서 경첩에 연결되는 승강판; 승강판 아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로드가 승강판의 가운데 위부와 연결되어 로드의 신축에 따른 승강판 가운데 부위의 승강작동으로 승강판 위에 적재된 파쇄물에 충격을 가하여 승강된 승간판의 경사면을 따라 파쇄물이 적재실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승강판의 저면에는 승강판의 승강작동시 적재실의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에 의해 파쇄대상물 수거요청이 이루어지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문서파쇄 탑차를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로 이동하는 제1단계;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에 비치된 콘솔에서 파쇄대상물을 수거한 다음 수거한 파쇄대상물을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로 운반하는 제2단계;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에 장착되어 있는 파쇄기로 수거한 제2단계의 파쇄대상물을 파쇄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파쇄대상물의 파쇄과정을 통해 얻은 파쇄물이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에 적재된 상태로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를 파쇄물 하역장소로 이동하는 제4단계;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를 하역장소으로 이동한 다음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에 설치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으로 파쇄물을 하역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는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는 콘솔 내부 바닥에 설치된 가압판에 설정된 중량만큼 파쇄대상물이 적재되면 파쇄대상물의 중량을 가압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량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감지한 중량데이터를 중앙처리모듈로 보내는 단계; 중앙처리모듈이 중량감지센서로부터 받은 파쇄대상물의 중량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파쇄대상물의 중량에 부합하면 통신모듈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해 파쇄대상물 수거대행업체의 단말기 또는 수거담당자의 단말기로 파쇄대상물의 수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솔에는 파쇄대상물의 배출을 위한 개폐문이 설치되며 이 개폐문에는 파쇄대상물 수거담당자가 신원확인수단을 콘솔 일단에 설치된 리더기에 대면 제어부에서 신원확인수단의 정보를 판독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정보와 일치하면 콘솔의 개폐문을 개방하는 전자개폐장치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솔 내부에는 콘솔 내부로 투입되는 파쇄대상물이 저장되는 수거 백이 설치되며 이 수거 백에는 리더기에 의해 판독되는 바코드가 부착되고, 수거 백에 부착된 바코드에는 수거장소의 주소 정보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은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에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파쇄물 하역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적재실에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하여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를 원스톱으로 처리함에 따라 보안 문서 처리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콘솔에 설치된 전자개폐장치의 작동 흐름도.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는, 운전석 바로 뒤쪽에 파쇄기(30)가 설치되는 파쇄실(10)과, 파쇄실(10) 바로 뒤쪽에 파쇄기(30)의 배출부(31)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물(90)이 적재되는 적재실(20)과, 적재실(20)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윙(50)과, 적재실(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물(90)을 적재실(20)로부터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파쇄실(10)은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기(3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문서 파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쇄기(30)와 문서 파쇄에 필요한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적재실(20)은, 파쇄기(30)에 의해 파쇄 처리된 파쇄물(90)이 적재되는 장소로서 좌, 우 양측에는 적재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문의 역할을 하는 윙(50)이 설치되며, 파쇄실(10)과 적재실(20)은 격벽(60)에 의해 구획된다.
윙(50)은, 적재실(20)의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물(90)의 하역 전에는 적재실(20)의 좌, 우 양측을 막고 있다가 파쇄물(90)의 하역시에는 문서파쇄 탑차의 지붕과 연결된 상단의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격벽(60)은, 파쇄실(10)과 적재실(20) 사이를 구획하는 벽으로서 하부 일단에는 파쇄실(10)에 설치된 파쇄기(30)의 배출부(31)로부터 파쇄물(90)이 배출되는 배출통로(61)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통로(61)는 파쇄물(90)이 배출되는 파쇄기(30)의 배출부(31)에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격벽(60) 상부 일단에는 파쇄실(10)에서 적재실(20) 내부로 파쇄물(90)이 적재되는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투시창(62)이 마련되며, 격벽(60)의 적재실(20) 쪽 상단 일측에는 적재실(20) 내부를 조명하는 형광등, 백열등, 엘이디 램프, 삼파장 램프 등과 같은 조명수단(63)이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수단(63)은 윙(50)이 닫힌 상태의 어두운 적재실(20) 내부를 조명하기 때문에 투시창(62)을 통해 적재실(20) 내부에 적재된 파쇄물(90)의 적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까지 설명한 구성은 도 1, 2의 톤백에 따른 하역장치(41)가 적재실(20)에 설치된 문쇄파쇄 탑차와, 도 3 내지 5의 승강판에 따른 하역장치(42)가 적재실(20)에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모두 동일하다.
이하 톤백에 따른 하역장치(41)의 구성과 승강판에 따른 하역장치(42)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톤 이하의 소형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파쇄물(90)을 수납하는 파쇄물용 톤백(411)과, 파쇄물용 톤백(411)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홀더(41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파쇄물용 톤백(411)은 파쇄물(90)이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굴려서 윙(50)이 개방된 적재실(20)의 좌, 우측 어느 한쪽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전면이 막힌 원통형 자루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412)와, 파쇄물(90)을 본체(412) 내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격벽(60) 쪽 본체(412)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격벽(60)의 배출통로(61)를 지나 파쇄기(30)의 배출부(31)와 연결되는 주둥이 형태의 주입부(413)와, 격벽(60) 쪽 본체(412)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고리(414)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쇄물용 톤백(411)의 일단에는 내부의 파쇄물(90)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출구는 지퍼, 조임 끈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홀더(415)는, 파쇄물용 톤백(411)의 고리(414)를 걸어서 파쇄물용 톤백(411)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하는 것으로서 적재실(20) 쪽 격벽(60) 가장자리를 따라 파쇄물용 톤백(411)에 형성된 고리(414)에 대응하는 수만큼 형성된다.
파쇄물용 톤백(411)의 고리(414)를 고리홀더(415)에 건 다음 고리홀더(415)로부터 고리(414)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도 2와 같이 고리홀더(415)의 레버(416)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대로 파쇄물용 톤백(411)의 하역시에는 고리(414)가 고리홀더(415)에서 쉽게 빠질 수 있도록 레버(416)를 원상태로 회전시킨다.
다음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톤 이상의 중, 대형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재실(20) 바닥에 설치되는 승강판(421)과, 승강판(421)을 들어올리는 승강실린더(423)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승강판(421)은 적재실(20) 내부 바닥에 부합하는 크기로 가운데 부분이 좌, 우로 분할 구성되는 것으로서, 승강판(421)의 상승시 가운데 부위가 자연스럽게 접어질 수 있도록 가운데 부위가 줄 경첩 등과 같은 경첩(422)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경첩(422)은 승강판(421)의 분할된 가운데 라인을 따라 전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분할된 승강판(421)의 가운데 부위의 상승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더불어 승강판(421)의 분할된 가운데 부위로 파쇄물(90)의 찌꺼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승강실린더(423)는, 승강판(421) 아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로드가 승강판(421)의 가운데 부위와 연결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423)의 로드가 신장되면 “∧”와 같이 분할된 승강판(421)의 가운데 부위가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양쪽 끝단이 안쪽으로 좁혀지게 된다.
이러한 승강판(421)의 승강작동을 통해 파쇄물(90)에 충격이 가해진다. 즉 파쇄물(90)은 적재실(20)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가압되어 딱딱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역작업이 쉽지 않다. 그러나 승강실리더(423) 로드의 신축작동에 의해 분할된 승강판(421)의 가운데 위부가 “∧”와 같이 상승하면서 파쇄물(90)에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고 이에 가압된 파쇄물(90)에 크랙(crack)이 발생하여 상승된 승강판(421)의 “∧”와 같은 경사면을 따라 파쇄물(90)을 쉽게 하역할 수 있다.
한편, 승강판(421)의 안정적인 승강작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승강판(421)의 양쪽 저면에는 도 5과 같이 승강판(421) 아래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24)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42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는 적재실(20)에 설치된 톤백에 따른 하역장치(41)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장치(42)를 통해 적재실(20) 내부의 파쇄물(90)을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파쇄물(90)의 하역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의 하역과정을 설명한다. 도 1, 2와 같이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를 수거한 다음 파쇄실(10)로 운반하여 보안 문서를 파쇄실(10)에 설치된 파쇄기(30)에 투입하여 파쇄한다.
파쇄기(30)에 투입된 보안 문서는 파쇄처리되어 파쇄기(30)의 배출부(31)를 통해 파쇄물(90)로 배출되고, 파쇄기(30)의 배출부(31)를 통해 배출된 파쇄물(90)은 격벽(60)의 배출통로(61)를 지나 배출부(31)와 연결설치된 주입부(413)를 따라 적재실(20)에 설치된 파쇄물용 톤백(41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파쇄물용 톤백(411)은 고리(414)가 파쇄실(10)과 적재실(20)을 구획하는 격벽(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리홀더(415)에 안정적으로 걸려있어 파쇄물용 톤백(411) 내부로 파쇄물(90)이 유입되는 과정에서도 파쇄물용 톤백(411)이 과도하게 흔들리거나 틀어지지 않으며, 문서파쇄 탑차의 운행시에도 파쇄물용 톤백(411)의 안정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파쇄물(90)이 파쇄물용 톤백(411)에 완전해 채워지면 파쇄기(30)의 작동을 정지한 다음 문서파쇄 탑차를 운행하여 하역장소로 이동한다. 문서파쇄 탑차가 하역장소에 도착하면 적재실(20) 좌, 우 양쪽으로 윙(50)을 열고 고리홀더(415)의 레버(416)를 파쇄물용 톤백(411) 고리(414)를 분리하기 쉽도록 회전시켜 고리홀더(415)에서 고리(414)를 완전히 분리한다.
그런 다음 파쇄물용 톤백(411)을 적재실(20) 좌, 우 어느 한쪽으로 굴려서 적재실(20)로부터 하역한다. 하역이 완료된 파쇄물용 톤백(411)은 하역 장소에 보관해 두었다가 파쇄물(90)의 최종 처리를 위한 업체에서 일괄 수거한다.
한편, 내부에 파쇄물(90)이 담긴 파쇄물용 톤백(411)은 원통 형태로 굴리기가 쉬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적재실(20)로부터 하역이 가능하며, 파쇄물(90)을 파쇄물용 톤백(411)에 담긴 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며 보관에 있어 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않는 등 하역과 보관에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는 1.2톤 이하의 소형 차량으로서 도로가 좁고 교통 여건이 좋지않은 도심 등과 같은 장소의 파쇄물(90) 처리에 적합하다.
다음은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의 하역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5와 같이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를 수거한 다음 파쇄실(10)로 운반하여 보안 문서를 파쇄실(10)에 설치된 파쇄기(30)에 투입하여 파쇄한다.
파쇄기(30)에서 파쇄된 파쇄물(90)은 파쇄기(30)의 배출부(31)를 거쳐 격벽(60)의 배출통로(61)를 통해 적재실(20)에 적재된다. 파쇄물(90)이 적재실(90)의 적재용량만큼 채워지면 문서파쇄 탑차를 운행하여 하역 장소로 이동한다.
하역 장소에 도착하면 문서파쇄 탑차를 정차한 다음 적재실(20) 좌, 우 양쪽의 윙(50)을 개방한다. 이때, 적재실(20)에 적재된 파쇄물(90)은 적재되는 과정에서 가압되어 딱딱해진 상태로 윙(50)을 개방하더라도 적재실(20) 밖으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
윙(50)이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판(421)을 들어올려 파쇄물(90)을 하역한다. 즉, 승강실린더(423)의 로드가 신장되면 “∧”와 같이 분할된 승강판(421)의 가운데 부위는 상승하고 승강판(421)의 양쪽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좁혀지게 된다. 승강판(421)의 가운데 부위가 상승함에 따라 적재실(20)에 적재된 파쇄물(90)에 충격이 가해져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한두 차례의 승간판(421)의 상승 작동을 통해서는 파쇄물(90)에 충격이 크게 전달되지 않아 딱딱해진 파쇄물(90)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파쇄물(90)에 크랙이 발생할 때까지 승강판(421)의 상승작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이 승강판(421)의 반복적인 승강작동을 통해 크랙이 발생한 파쇄물(90)은 점차 분리되면서 “∧”와 같은 상승된 승단판(421) 양쪽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힘을 가하여 밀면 적재실(20) 밖으로 쉽게 하역할 수 있다.
한편, 승강판(421)의 상승시 승강판(421)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425)는 적재실(20) 바닥의 가이드레일(424)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승강판(421)의 안정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는 3.5톤 이상의 중, 대형 차량으로서 빌딩 등과 같이 대형 건물에서 배출되는 보안 문서의 출장 파쇄처리에 적합하다.
다음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또한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을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하여 원스톱으로 보안 문서를 파쇄처리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반적인 문서 세단기로는 파쇄가 어려운 책이나 두꺼운 보안 문서 등과 같은 파쇄대상물(100)의 처리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요청에 따라 파쇄대상물(100) 수거지역으로 문서파쇄 탑차를 이동하는 제1단계(S100)와, 파쇄대상물(100) 수거지역에서 파쇄대상물(100)을 수거하여 문서파쇄 탑차로 운반하는 제2단계(S200)와, 파쇄기(30)로 파쇄대상물(100)을 파쇄하는 제3단계(S300)와, 파쇄물(90)을 실은 문서파쇄 탑차를 하역장소로 이동하는 제4단계(S400)와, 하역수단을 이용하여 파쇄물(90)을 하역하는 제5단계(S5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단계는 파쇄대상물(100) 수거 알림서비스에 의해 파쇄대상물(100) 수거요청이 이루어지면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가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과 같은 파쇄대상물(100) 수거지역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는 파쇄대상물(100)의 수거장소에 비치된 콘솔(200)에서 파쇄대상물(100)을 수거한 다음 수거한 파쇄대상물(100)을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로 운반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는 파쇄대상물(100)을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의 파쇄실(10)에서 수거한 파쇄대상물(100)을 파쇄기(30)로 파쇄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는 파쇄한 파쇄물(90)이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20)에 적재된 상태로 문서파쇄 탑차를 하역장소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제5단계는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을 사용하여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20)로부터 파쇄물(90)을 하역하는 단계이다.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는, 도 7과 같이 콘솔(200) 내부 바닥에 설치된 가압판(301)에 미리 설정된 중량만큼 파쇄대상물(100)이 적재되면 파쇄대상물(100)의 중량을 가압판(3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량감지센서(302)에서 감지하여 파쇄대상물(100)의 중량데이터를 중앙처리모듈(303)로 보내는 단계와, 중앙처리모듈(303)이 파쇄대상물(100)의 중량데이터를 확인한 다음 미리 설정된 파쇄대상물(100)의 수거 중량에 부합할 경우 통신모듈(304)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해 파쇄대상물 수거대행업체의 단말기 또는 수거담당자의 단말기로 파쇄대상물(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통신모듈(304)과 연계되는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파쇄대상물 수거대행업체의 단말기 또는 수거담당자의 단말기는,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IPTV와 같은 유선단말이나, 무선단말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단말인 경우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예컨대 노트북,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거담당자의 단말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임이 바람직하다.
파쇄대상물(100) 수거 요청은,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를 통해 받을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고객이 직접 파쇄대상물의 수거대행업체로 전화를 하거나 수거대행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파쇄대상물(100)의 수거 요청을 할 수도 있다.
한편,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에 비치되는 콘솔(200)은 도 8과 같이 내부에 투입된 파쇄대상물(100)의 배출을 위한 개폐문이 설치되고, 개폐문은 전자도어록 등과 같은 전자개폐장치(403)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솔(200)의 개폐문은 보안을 위하여 파쇄대상물 수거담당자가 휴대한 전자카드 등과 같은 신원확인수단(401)을 콘솔(200) 일단에 설치된 리더기(402)에 대었을 때 제어부에서 전자카드(401)의 정보를 판독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일치하면 콘솔(200)의 개폐문이 열리게 된다. 이는 보안을 요하는 문서가 들어있는 콘솔(200)을 수거담당자 아닌 다른 사람이 함부로 열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 신원확인수단(401)은 파쇄대상물 수거담당자의 신원정보가 담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카드 또는 전자칩이 내장된 전자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거담당자가 별도의 전자카드(401)를 소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최근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칩을 내장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으로 콘솔(200)의 개폐문을 개폐할 수도 있다.
또한, 콘솔(200) 내부에는 도 8과 같이 수거 백(201)이 설치되어 있어 파쇄대상물(100)을 콘솔(200)에 투입하면 파쇄대상물(100)이 수거 백(201) 안으로 바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파쇄대상물(100)이 자루 형태의 수거 백(201)에 담겨있어 수거담당자가 파쇄대상물(100)을 문서파쇄 탑차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수거 백(201)에는 리더기에 의해 판독되는 바코드(202)가 부착된다. 바코드로는 복수의 바(bar)로 정보를 표현하는 1차원 바코드와 한글, 한자, 그림, 그래픽도 표현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리더기가 없이는 판독이 어려운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코드(202)에는 파쇄대상물(100)의 수거장소의 주소, 또는 수거빌딩의 층수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202)의 정보는 파쇄대상물 수거 대행업체의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파쇄대상물(100)의 수거장소, 파쇄대상물의 수거날짜, 파쇄대상물(100)의 처리에 따른 요금청구 등과 같은 고객관리 정보로 활용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은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이 설치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하여 원스톱으로 보안 문서를 안전하게 파쇄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의 파쇄대상물(100)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8과 같이 파쇄대상물(100) 수거 알림서비스에 의해 파쇄대상물 수거대행업체 또는 수거담당자가 파쇄대상물(100)의 수거 요청을 받으면 문서파쇄 탑차가 파쇄대상물(100) 수거장소로 이동한다.
문서파쇄 탑차가 파쇄대상물(100)의 수거장소에 도착하면 파쇄대상물(100)의 수거장소에 비치된 콘솔(200)에서 파쇄대상물(100)을 수거한다. 즉, 수거담당자는 콘솔(200)에서 파쇄대상물(100)을 수거하기 위하여 본인의 신원정보가 담긴 신원확인수단(401)을 콘솔(200)의 리더기(402)에 대면 제어부에서 신원확인수단(401)에 담긴 정보를 판독하여 콘솔(200)의 전자개폐장치(403)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수거담당자는 전자개폐장치(403)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콘솔(200)의 개폐문을 열고 콘솔(200) 내부에서 파쇄대상물(100)이 담긴 수거 백(201)을 꺼내어 문서파쇄 탑차로 운반한다.
문서파쇄 탑차에 수거 백(201)이 도착하면 파쇄실(10)에서 수거 백(201)에 담긴 파쇄대상물(100)을 꺼내어 파쇄기(30)로 파쇄한다. 파쇄대상물(100)의 파쇄가 완료되면 적재실(20)에 파쇄물(90)이 적재된 상태로 파쇄물(90) 하역장소로 문서파쇄 탑차를 이동한다.
문서파쇄 탑차가 하역장소에 도착하면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20) 좌, 우 양쪽의 윙(50)을 개방한 다음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을 사용하여 적재실(20)로부터 파쇄물(90)을 하역한다.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41)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42)을 이용한 파쇄물(90)의 하역과정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바 파쇄물(90) 하역과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은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등 문서파쇄 처리를 원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대상물의 처리 시스템은 빌딩 등의 경우에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예를 들어 아파트와 같은 경우 같은 방법으로 아파트의 시공단계에서 집안 현관에 붙박이 형태로 세단기 또는 콘솔을 설치하여 개인정보가 담긴 우편물 등을 세단기로 파쇄하거나 파쇄가 어려운 것은 콘솔에 투입하여 위에서 설명한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출장 처리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객이 보안 문서의 처리를 요청하면 문서파쇄 탑차를 파쇄대상물 수거장소로 이동하여 파쇄대상물을 수거장소에서 직접 파쇄처리하는 등 문서파쇄 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파쇄실 20:적재실 30:파쇄기
31:배출부 41: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42: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
50:윙 51:힌지축 60:격벽
61:배출통로 62:투시창 63:조명수단
90:파쇄물 100:파쇄대상물 200:콘솔
201:수거 백 202:바코드 301:가압판
302:중량감지센서 303:중앙처리모듈 304:통신모듈
401:신원확인수단 402:리더기 403:전자개폐장치
411:파쇄용물용 톤백 412:본체 413:주입부
414:고리 415:고리홀더 416:훅
421:승강판 422:경첩 423:승강실린더
424:가이드레일 425:가이드롤러

Claims (15)

  1. 운전석 뒤쪽에 구획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파쇄기가 설치되는 파쇄실;
    파쇄실 뒤쪽에 구획되면서 파쇄기에서 배출된 파쇄물이 적재되는 적재실;
    파쇄실과 적재실 사이에 설치되어 파쇄실과 적재실을 구획하는 것으로서 파쇄실에 장착된 파쇄기의 배출부 끝단과 대응하는 하부 일단 부위에 파쇄실과 적재실을 연결하는 배출통로가 구비되는 격벽;
    적재실의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재실의 좌, 우 양측을 개폐하는 윙;
    적재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물의 하역을 위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벽의 상부 일단에는,
    적재실에 적재된 파쇄물의 적재상태를 파쇄실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재실 쪽 격벽 상단에는,
    적재실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조명수단은,
    형광등, 백열등, 엘이디 램프, 삼파장 램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재실의 좌, 우 양쪽으로 설치되는 윙은,
    파쇄물의 적재시 파쇄물이 적재실 밖으로 배출되는 않도록 적재실의 양측을 막고 있다가 파쇄물의 하역시에는 상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면서 열림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은,
    적재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실에 설치되는 파쇄기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물을 담을 수 있도록 전면이 막힌 자루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파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격벽 쪽 본체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격벽의 배출통로를 거쳐 파쇄기의 배출부에 연결되는 주입부와, 격벽 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파쇄물용 톤백과;
    파쇄물용 톤백의 고리를 걸 수 있도록 고리에 대응하여 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고리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파쇄물용 톤백은,
    원통형 자루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은,
    적재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운데 부위가 좌, 우 양쪽으로 분할구성되면서 경첩에 연결되는 승강판;
    승강판 아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로드가 승강판의 가운데 위부와 연결되어 로드의 신축에 따른 승강판 가운데 부위의 승강작동으로 승강판 위에 적재된 파쇄물에 충격을 가하여 승강된 승간판의 경사면을 따라 파쇄물이 적재실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승강판의 저면에는,
    승강판의 승강작동시 적재실의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
  10.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에 의해 파쇄대상물 수거요청이 이루어지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문서파쇄 탑차를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로 이동하는 제1단계;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에 비치된 콘솔에서 파쇄대상물을 수거한 다음 수거한 파쇄대상물을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로 운반하는 제2단계;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에 장착되어 있는 파쇄기로 수거한 제2단계의 파쇄대상물을 파쇄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파쇄대상물의 파쇄과정을 통해 얻은 파쇄물이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에 적재된 상태로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를 파쇄물 하역장소로 이동하는 제4단계;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를 하역장소으로 이동한 다음 제1단계에 따른 문서파쇄 탑차의 적재실에 설치된 톤백에 따른 하역수단 또는 승강판에 따른 하역수단으로 파쇄물을 하역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파쇄대상물의 수거장소는,
    회사, 공동주택, 빌딩, 아파트, 관공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파쇄대상물 수거 알림서비스는,
    콘솔 내부 바닥에 설치된 가압판에 설정된 중량만큼 파쇄대상물이 적재되면 파쇄대상물의 중량을 가압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량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감지한 중량데이터를 중앙처리모듈로 보내는 단계;
    중앙처리모듈이 중량감지센서로부터 받은 파쇄대상물의 중량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파쇄대상물의 중량에 부합하면 통신모듈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해 파쇄대상물 수거대행업체의 단말기 또는 수거담당자의 단말기로 파쇄대상물의 수거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콘솔에는,
    파쇄대상물의 배출을 위한 개폐문이 설치되며 이 개폐문에는 파쇄대상물 수거담당자가 신원확인수단을 콘솔 일단에 설치된 리더기에 대면 제어부에서 신원확인수단의 정보를 판독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정보와 일치하면 콘솔의 개폐문을 개방하는 전자개폐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콘솔 내부에는,
    콘솔 내부로 투입되는 파쇄대상물이 저장되는 수거 백이 설치되며 이 수거 백에는 리더기에 의해 판독되는 바코드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수거 백에 부착된 바코드에는,
    수거장소의 주소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파쇄 탑차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KR1020120033214A 2012-03-30 2012-03-30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KR10128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214A KR101284993B1 (ko) 2012-03-30 2012-03-30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214A KR101284993B1 (ko) 2012-03-30 2012-03-30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993B1 true KR101284993B1 (ko) 2013-07-10

Family

ID=4899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214A KR101284993B1 (ko) 2012-03-30 2012-03-30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9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202A (ja) 2003-09-05 2005-03-31 Nakabayashi Co Ltd 廃棄物破砕車
KR20050075503A (ko) * 2004-01-15 2005-07-21 장병문 광고용 차량
JP2006326404A (ja) 2005-05-23 2006-12-07 Kyoei Shigen Kanri Center Ogoori:Kk 破砕作業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202A (ja) 2003-09-05 2005-03-31 Nakabayashi Co Ltd 廃棄物破砕車
KR20050075503A (ko) * 2004-01-15 2005-07-21 장병문 광고용 차량
JP2006326404A (ja) 2005-05-23 2006-12-07 Kyoei Shigen Kanri Center Ogoori:Kk 破砕作業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641B2 (en)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having a monitor
US20100102126A1 (en) Container security system
KR100973548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20120031933A (ko) 무게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1746048A1 (en) Urban plant for the collection and temporary storage of glass
MX2007016280A (es) Maquina de cajero automatico con transportador de pila para deposito de billetes en masa.
KR20220164234A (ko) 페트병 회수 장치 및 페트병 회수 시스템
US20170295980A1 (en) Parcel depository
KR20210035372A (ko) 플라스틱 쓰레기 수거시스템 및 방법
CN108171898A (zh) 快递智能收件系统及方法
KR101284993B1 (ko) 문서파쇄 탑차 및 이를 이용한 문서파쇄 처리시스템
KR101558853B1 (ko) 자동압축 세절기
CN203786825U (zh) 一种自付费的储物控制系统
US20050051650A1 (en) Paper shredding vehicle
KR20090128712A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및 쓰레기투입방법
US20090065616A1 (en) Paper shredding truck
US7997515B2 (en) Self-contained roll-off shredding compactor system
CN109292293A (zh) 一种社区智能化垃圾分类回收系统
CN212276516U (zh) 一种资料收发装置
JP3203718U (ja) 書類棚を備える保管庫
US20130199422A1 (en) Device for handling coins
CN107796505A (zh) 一种联单磅秤及其垃圾分类系统
KR101873044B1 (ko) 문서 세단기의 급지 가이드 장치
JP3203352U (ja) 逆流防止機能を備える保管庫
CN103942887A (zh) 一种自付费的储物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