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895B1 -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895B1
KR101284895B1 KR1020120137318A KR20120137318A KR101284895B1 KR 101284895 B1 KR101284895 B1 KR 101284895B1 KR 1020120137318 A KR1020120137318 A KR 1020120137318A KR 20120137318 A KR20120137318 A KR 20120137318A KR 101284895 B1 KR101284895 B1 KR 10128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lastic piece
flexible hose
hose connecto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건
Original Assignee
(주)건우비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우비앤엘 filed Critical (주)건우비앤엘
Priority to KR102012013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관에 원터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신속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함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생산업체에 상당한 이윤 창출할 수 있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와 연결할 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호스 연결구(1)의 결합부재(2)와 확관부재(4) 및 잠금수단(5)으로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이며, 수밀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것이고, 분리 및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잦은 사용으로도 내부 구성이 마모되는 현상이 없으므로 버려지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Flexible hose connectors}
본 발명은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관에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결합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생산업체에 상당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각종 밸브는 유체의 유량·압력 등의 제어를 하는 장치로, 유체가 흘려 필요한 위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각종 호스를 밸브와 호스 연결구를 연결 구성한다.
상기 호스 연결구는 호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며,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37122와 같이 고정부재를 연결부재에 안착시킨 후 고정부재를 호스에 끼움 결합하여 연결부재가 공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연결부재의 전방에 패킹 및 압착링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암사나부를 밸브의 숫나사부에 체결 구성한다.
종래와 같이 구성된 호스 연결구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정 위치에 체결되지 않을 경우에 나사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패킹이 밸브와 호스 연결구가 완전 밀착되지 않을 경우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잦은 교체 작업을 할 경우 나사가 마모되어 공회전 현상이 발생되어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337122 Y1 2002.05.18. KR 20-0335337 Y1 2003.12.06. KR 20-0335338 Y1 2003.12.06.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호스 연결구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본 발명을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밸브와 호스를 결합할 시 초보자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제작가능하면서도 누수가 되지 않고 수밀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밸브의 배수관에 호스의 결합부재를 결합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외주면에 한 개 이상의 내입홈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내부로 단이 진 제1 걸림턱을 형성하며, 제1 걸림턱의 상부에 구성된 유동면과; 상기 내입홈에는 밸브와 결합한 후 누수 방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내입 구성된 고무링과; 상기 유동면에서 슬라이딩되며, 일측이 개방되게 개방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부로 확관된 탄성편을 방사상으로 수개 형성하며, 상부에는 탄성편이 일체로 연결 구성된 몸체를 구성하며, 상단에는 스토퍼를 형성한 확관부재와; 상기 탄성편의 내부 하단에는 결합부재의 제1 걸림턱이 안치되어 걸림되는 안치턱과; 상기 확관부재를 내입 구성하여 스토퍼에 걸림 구성되며, 내부 중앙에 상기 탄성편이 모아지도록 유도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한 잠금수단과;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의 끝단에는 외부로 단이 진 제2 걸림턱를 형성하고, 제2 걸림턱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편이 걸림 구성되는 걸림홈;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편의 외부 하단에는 밸브의 걸림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는 밸브의 관체에 삽입한 후 고정수단의 조작으로 결합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과정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에 호스 연결구를 분리 및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더욱 향상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잦은 사용으로 내부 구성이 마모되는 현상이 없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마모로 인해 버려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밸브에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 또는 욕실, 베란다의 벽체에 구성된 밸브(6)와 연결하여 샤워기 또는 수도꼭지 등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호스(10)의 끝단에 구성된다.
상기 호스(10)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여 필요한 위치에 연결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자유자재로 휘어지게 구성되고, 끝단에는 호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결합부재(2)를 구성하며, 상기 끝단 외주면에는 결합부재(2)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 고정된 고정커버(11)를 구성한다.
상기 결합부재(2)는 하부 외주면에 한 개 이상의 내입홈(21)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단이 진 제1 걸림턱(22)과 제1 걸림턱(22)의 상부에 하부 외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유동면(23)을 형성한다.
상기 내입홈(21)에는 밸브(6)와 결합한 후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입 구성된 고무링(3)을 형성한다.
상기 유동면(23)에는 확관부재(4)와 잠금수단(5)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 구성된다.
상기 확관부재(4)는 일측이 개방되게 개방부(4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부로 확관되면서 넓어지도록 탄성편(42)을 방사상으로 수개 형성하며, 상부에는 탄성편(42)이 일체로 연결된 몸체(43)를 구성하며, 상단에는 잠금수단(5)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44)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편(42)의 외주면에는 밸브(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45)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결합부재(2)가 안치되는 안치턱(46)을 형성한다.
상기 잠금수단(5)은 확관부재(4)가 내입 구성되도록 관통공(51)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밀거나 댕길 수 있도록 돌출부(52)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51)의 하부에는 벌어진 탄성편(42)이 모아지도록 유도하는 경사면(53)을 구성한다.
상기 관통공(51)의 상부에는 확관부재(4)의 스토퍼(44)가 안치되어 걸림되도록 안치부(54)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6)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61)를 구성하고, 호스(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관(62)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관(62)은 호스(10)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내부에 배수공(62a)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62a)의 끝단에는 단이 진 제2 걸림턱(62b)과 배수공(6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홈(62c)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공(62a)에 결합부재(2)의 하부를 내입한 후 상기 걸림홈(62c)에 확관부재(4)의 탄성편(42)를 걸림 구성하면, 본 발명은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1)는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6)와 연결할 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밸브(6)와의 연결 방법은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이 결합 구성되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밸브(6)의 배수공(62a)에 결합부재(2)를 결합 구성하고, 동시에 확관부재(4)가 결합된 잠금수단(5)을 걸림홈(62c)에 내입하면, 확관부재(4)가 제2 걸림턱(62b)에 걸림되어 더 이상 배수공(62a) 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멈춤 상태에서 잠금수단(5)의 돌출부(52)를 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확관부재(4)의 스토퍼(44)까지 당기면, 확관부재(4)의 탄성편(42)은 관통공(51)의 경사면(53)에 따라 탄성편(42)이 점점 외부로 확관되고, 잠금수단(5)의 안치부(54)가 스토퍼(44)에 걸림되어 멈추게 되면, 탄성편(42)은 밸브(6)의 걸림홈(62c)에 내입되어 걸림 현상이 일어나고, 호스(10)를 상방으로 당기면 잠금수단(5)과 호스(10)의 고정커버(11)가 거리(H)만큼 이격되며, 동시에 탄성편(42)의 내부에 형성된 안치턱(46)에 결합부재(2)의 제1 걸림턱(22)이 내입되어 가압하며, 탄성편(42)은 수축되지 않고 확관된 상태에서 걸림홈(62c)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수압이 발생되더라도 호스(10)가 이탈되지 않고 누수 현상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밸브(6)에서 호스 연결구(1)를 분리할 경우에는 밸브(6) 쪽으로 호스(10)를 밀어 넣으면, 탄성편(42)의 내부에서 결합부재(2)의 제1 걸림턱(22)이 이탈되어 탄성편(42)이 자유롭게 수축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잠금수단(5)을 손을 잡고 밸브(6) 쪽으로 밀어 넣으면, 확관부재(4)의 탄성편(42)이 잠금수단(5)의 관통공(51)으로 삽입되며, 여러 개의 탄성편(42)이 수축되어 모아진 상태에서 호스(10)를 잡고 밸브(6) 밖으로 당기면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1)는 도 4와 같이 사용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과정이 복잡하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터치 방식으로 초보자라도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으로 결합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잦은 사용으로도 내부 구성이 마모되는 현상이 없으므로 버려지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재(2)에 고무링(3)을 구성하여 높은 유압이 발생하더라도 누수 현상이 없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1)는 각종 유체의 유량·압력 등을 제어하는 밸브(6)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호스(10)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호스 및 관의 연결구를 제조하는 업체에 접목하여 관련산업 발전에 크게 일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1: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2: 결합부재
21: 내입홈 22: 제1 걸림턱
23: 유동면 3: 고무링
4: 확관부재 41: 개방부
42: 탄성편 43: 몸체
44: 스토퍼 45: 걸림돌기
46: 안치턱 5: 잠금수단
51: 관통공 52: 돌출부
53: 경사면 54: 안치부
6: 밸브 61: 손잡이
62: 배수관 62a: 배수공
62b: 제2 걸림턱 62c: 걸림홈
10: 호스 11: 고정커버
H: 거리

Claims (5)

  1.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손잡이(61)를 구성하고, 호스(10)와 연결되는 배수관(62)이 구성된 밸브(6)와;
    상기 호스(10)의 끝단에 고정커버(11)를 가압하여 고정 구성된 결합부재(2)와;
    상기 밸브(6)의 배수관(62)에 호스(10)의 결합부재(2)가 결합 구성되는 통상적인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는 외주면에 한 개 이상의 내입홈(21)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내부로 단이 진 제1 걸림턱(22)을 형성하고, 제1 걸림턱(22)의 상부에 구성된 유동면(23)을 형성하며,
    상기 내입홈(21)에 밸브(6)와 결합한 후 누수 방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내입된 고무링(3)과;
    상기 유동면(23)에서 슬라이딩되며, 일측이 개방되게 개방부(4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부로 확관된 탄성편(42)을 방사상으로 수개 형성하며, 상부에는 탄성편(42)이 일체로 연결 구성된 몸체(43)를 구성하며, 몸체(43)의 상단에는 스토퍼(44)를 형성한 확관부재(4)와;
    상기 탄성편(42)의 내부에는 결합부재(2)의 제1 걸림턱(22)이 안치되어 걸림되는 안치턱(46)과;
    상기 확관부재(4)를 내입 구성하여 확관부재(4)의 스토퍼(44)에 걸림 구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편(42)이 모아지도록 유도되는 관통공(51)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돌출부(52)를 형성한 잠금수단(5)과;
    상기 배수관(62)의 내부에는 배수공(62a)을 형성하고, 배수공(62a)의 끝단에는 외부로 단이 진 제2 걸림턱(62b)를 형성하고, 제2 걸림턱(62b)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편(42)이 걸림 구성되는 걸림홈(62c);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42)의 외부 하단에는 밸브(6)의 걸림홈(62c)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4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51)의 하부에는 확관된 탄성편(42)이 모아지도록 유도하는 경사면(5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밸브(6)의 배수관(62)과 호스(10)의 결합부재(2)를 끼움 결합한 후 호스(10)를 상방으로 당기면 잠금수단(5)과 호스(10)의 고정커버(11)가 거리(H)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51)의 상부에는 확관부재(4)의 스토퍼(44)가 안치되어 걸림되도록 안치부(5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KR1020120137318A 2012-11-29 2012-11-29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KR10128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18A KR101284895B1 (ko) 2012-11-29 2012-11-29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18A KR101284895B1 (ko) 2012-11-29 2012-11-29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895B1 true KR101284895B1 (ko) 2013-07-10

Family

ID=489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18A KR101284895B1 (ko) 2012-11-29 2012-11-29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8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073A (ja) * 1994-03-24 1995-10-13 Showa Alum Corp パイプ接続装置
WO2008111514A1 (ja) 2007-03-12 2008-09-18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2009002479A (ja) 2007-06-25 2009-01-08 Yokohama Rubber Co Ltd:The ワンタッチ継手
KR20100022176A (ko) * 2008-08-19 2010-03-02 유성석 쐐기형 연결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073A (ja) * 1994-03-24 1995-10-13 Showa Alum Corp パイプ接続装置
WO2008111514A1 (ja) 2007-03-12 2008-09-18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2009002479A (ja) 2007-06-25 2009-01-08 Yokohama Rubber Co Ltd:The ワンタッチ継手
KR20100022176A (ko) * 2008-08-19 2010-03-02 유성석 쐐기형 연결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8871A1 (en) Quick connection coupling
TWM519708U (zh) 排水控制閥結構
KR20210060934A (ko) 꼬임방지 기능을 갖는 수도배관용 고압호스 연결구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085452B1 (ko) 급수 개폐 장치
KR101284895B1 (ko)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RU2653884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легкой установки и отсоединения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крана
US20110219526A1 (en) Plunger
CN109237174A (zh) 一种快速拔插接头
KR102105499B1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AU2016100210B4 (en) Method of isolating stop cock valve use
JP6909451B2 (ja) 管体の接続構造
KR20070065764A (ko) 다용도 코크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KR101402480B1 (ko) 세면대용 팝업 관연결장치
US10865923B2 (en) Push-fit fitting and end bushing for use therewith
KR20150004585A (ko) 파이프 고정이 용이한 배관 커플러
KR20130031505A (ko) 나사결합 기능을 갖는 물 꼭지 및 호스
CN209054222U (zh) 一种快速拔插接头
KR200482163Y1 (ko) 싱크대 배수호스용 멀티 커플링 어셈블리
CN209876235U (zh) 连接组件、管路组件和卫浴设备
KR20090007037U (ko) 호스 연결구의 결합이 용이한 수도콕
KR200427150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20110009602A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