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381B1 -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 Google Patents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381B1
KR101284381B1 KR1020110125674A KR20110125674A KR101284381B1 KR 101284381 B1 KR101284381 B1 KR 101284381B1 KR 1020110125674 A KR1020110125674 A KR 1020110125674A KR 20110125674 A KR20110125674 A KR 20110125674A KR 101284381 B1 KR101284381 B1 KR 10128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terial discharge
membranes
discharge passag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409A (ko
Inventor
보 씬 지안
야우-신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캠리 패킹 인더스트리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리 패킹 인더스트리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캠리 패킹 인더스트리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5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에 관한 것이며,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에는 2개의 외막(바깥쪽 필름), 2개의 내막(안쪽 필름), 재료 저장 구역, 재료 방출 통로, 그리고 통로 내의 굴곡부, 입구, 출구, 절개부 등이 있다. 여기서 재료 저장 구역은 열봉합 방법으로 2개의 외막을 접착시켜 형성된다. 2개의 내막은 2개의 외막 사이에 위치하며, 열봉합 방법으로 이 2개의 내막과 2개의 외막을 접착시켜 재료 방출 통로를 형성하거나, 열봉합 방법으로 2개의 내막을 접착시켜 재료 방출 통로가 2개의 내막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2개의 내막의 안쪽 면을 열봉합하되 접착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 출구 및 절개부가 2개의 내막 및 2개의 외막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절개부가 2개의 내막과 분리될 때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가 노출되도록 한다. 그 특징으로는 재료 저장 구역이 외부 힘의 압력을 받아 눌려지는 경우 액체가 상승하며, 2개의 외막은 액체의 압력을 받아 바깥으로 열려서 자동으로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를 열개 된다. 그러면 액체는 재료 방출 통로의 굴곡부를 따라 출구로 흘러가게 된다.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액체가 재료 저장 구역으로 다시 되돌아갈 때 생기는 반작용 흡인력으로 인해 재료 방출 통로 굴곡부의 2개의 내막은 반작용력에 의해 서로 흡착하여 재료 방출 통로를 닫게 된다. 즉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액체가 순간적으로 굴곡부에서 재료 저장 구역으로 떨어질 때 반작용력이 생겨서 재료 방출 통로를 폐쇄하는 효과가 생기며, 또한 굴곡부가 2개의 내막이 굴곡된 부위에서 흡착하도록 하기 때문에 폐쇄 효과를 더욱 강화하게 된다.

Description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Automatic liquid stop bag with bent portion}
본 발명은 액체 용기 구조, 구체적으로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음료 또는 액체상 식품이나 세척용품은 주로 병 마개가 있는 플라스틱 패트 병 형식의 용기를 사용한다. 현재 흔히 볼 수 있는 패트 병 구조는 일체성형식 병으로서 병의 본체(11) 내에 액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본체 상단 부분에는 액체를 붓거나 빨대를 넣어 음료를 빨아 마실 수 있도록 병 마개 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전 세계에서 일 년에 사용하는 패트 병 용기의 수량은 수 천억 개에 달하며, 사용 후 폐기되는 용기는 환경 보호에 있어서 매우 큰 도전이다. 그리고 빈 병의 운송, 폐기, 재활용 등 문제의 후속 처리는 상당히 불편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환경 보호 문제에 호응하기 위해 액체를 포장할 수 있는 유연한 포장백 구조가 있는 데, 소비자 음료를 마시거나 액체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이 유연한 포장백을 절개하면 틈이 생겨 액체를 밖으로 부어 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유연한 포장백 구조는 열린 틈을 다시 봉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지퍼 백을 사용해야 하며, 그렇다 하더라도 지퍼 백을 완전히 닫지 않거나 닫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 역시 내용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그리고 지퍼백은 유출 방지 기능을 보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절개를 한 경우 반드시 조심스럽게 보관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만약 엎질러 지는 경우, 포장백 내의 액체가 절개된 틈을 통해 누출되어 오염이나 불필요한 낭비를 야기하게 된다. 이는 실로 불편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 특허 5,529,224호(신청일: 1994년 5월 27일)에서는 자동 닫기식의 액체 배분 포장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포장에는 액체 용기 1개와 자동 페쇄 밸브 평판 통로가 1개 있다. 해당 통로에는 액체 용기에 인접한 입구가 1개 있어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1개의 구멍과 1개의 첫 번째 시트형 유닛, 1개의 두 번째 시트형 유닛이 있다. 이 중에서 첫 번째 시트형 유닛과 두 번째 시트형 유닛은 원래의 평명 위치와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가 있는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된다. 그리고 충분한 탄력이 있어 액체 용기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상대방에게서 떨어져 두 유닛 사이에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된다. 외부의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최소한 1개의 시트형 유닛은 충분한 탄력이 있어 첫 번째 시트형 유닛과 두 번째 시트형 유닛이 원래의 평면위치로 되돌아가 서로 밀봉하게 된다. 이외에 가로 방향의 너비가 입구의 가로 방향의 너비보다 큰 구멍, 자동 폐쇄 밸브 평판 통로 사이에 추가적 부분 입구와 구멍이 있으며, 그 중에 가로 방향의 너비가 가로 방향의 너비 및 입구 너비보다 큰 구멍이 1개 있다. 해당 특허의 특징은 첫 번째 시트형 유닛과 두 번째 시트형 유닛이 반드시 일정한 탄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탄력이 있는 재질로 첫 번째 시트형 유닛과 두 번째 시트형 유닛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러면 제조 생산에 있어서 작업 절차가 늘어나고 재질의 탄력성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그리고 탄력 피로가 발생하면 액체가 누출되는 가능성이 있고, 탄력이 너무 세면 액체가 흘러나오지 못할 가능성이 생기고 완전한 자동 폐쇄를 이루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는 실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1. 미국 특허 5,529,22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기존 기술의 결점을 개선하고 시트형 탄력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양호하고 오래 지속 될 수 있는 밀봉 효과를 보유하는 일종의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을 제공한다. 이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에는 2개의 외막(바깥쪽 필름) 안에 너비는 같으나 약간 짧은 2개의 내막(안쪽 필름)이 설치되었으며, 열봉합 방법으로 2개의 외막과 2개의 내막 접착시켜 충전 구역, 재료 저장 구역, 재료 방출 구역이 형성된다. 재료 방출 구역에는 열봉합을 통해 최소한 입구 한 개, 굴곡부 한 개, 출구 한 개가 있는 재료 방출 통로가 형성되어 2 개의 외막과 점선 열봉합으로 절개부를 형성한다. 이 4개의 막에서 입구와 출구를 열봉합할 때 특별히 분리판을 두거나 내열 재료를 입구 및 출구에 미리 도포하여 외막 열봉합 시 내막의 안쪽은 접착되지 않지만 각 내막이 상응하는 외막과 접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열봉합 점선과 절개구가 있는 절개부는 2개의 내막 한 쪽에 위치하며, 절개부가 2개의 내막과 분리될 때 재료 방출 통로의 출구가 노출된다.
2개의 외막이 외부의 힘에 의해 눌려질 때, 압력에 의해 백 속의 액체가 상승하며, 상승하는 액체는 외막을 밀어 외막이 바깥쪽을 향해 당겨져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가 자동적으로 열린다. 그러면 액체가 입구에서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를 통해 재료 방출 통로를 흘러 들어가 출구를 통해 흘러나오게 된다. 외부의 힘이 해소되면, 액체가 재료 저장 구역으로 환류하는 반작용력으로 인해 흡입력이 생기며, 또한 재료 방출 통로에 특별히 굴곡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력이 굴곡부를 따라 굽으며 반작용력이 강화되어 유출 방지 효과가 발생하며, 2개의 내막은 흡입력으로 인해 서로 흡착되어 재료 방출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은 엎질러질 때 외부 압력이 없기 때문에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가 열리지 않는다. 그리고 재료 방출 통로 굴곡부의 2개의 내막은 여전히 같이 붙여져 있기 때문에 재료 방출 통로를 단단히 폐쇄하여 액체가 재료 방출 통로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사용 시 재료 저장 구역을 짜기만 하면 2개의 외막이 재료 저장 구역을 밀어서 액체가 상승하며, 외부 압력을 받지 않는 부위의 2개의 외막은 바깥쪽으로 당겨져 자연히 2개의 내막 입구 부위를 당겨서 자동적으로 입구가 열리게 한다. 그리고 액체는 압력으로 인해 재료 방출 통로를 통해 밖으로 흘러나온다.
본 발명의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은 사용이 간편하고 환경을 보호하여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회전식 마개가 필요 없고 손으로 눌러서 액체의 흐름 속도와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 후 자동적으로 폐쇄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은 엎질러지더라도 액체가 유출되는 형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은 2개의 내막과 2개의 외막으로 기존의 액체 병 포장 및 회전식 마개의 효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로서 제조 원가가 저렴할 뿐 아니라 사용도 편리하며 폐기시 2짝의 막만 있는 백이기 때문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재료 절약, 폐기물 감소 등 장점이 있다. 이는 실로 기존의 액체 포장 방법을 대체하는 가장 좋은 해결방법이다.
그 특징으로는 재료 저장 구역이 외부 힘의 압력을 받아 눌려지는 경우 액체가 상승하며, 2개의 외막은 액체의 압력을 받아 바깥으로 열려서 자동으로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를 열개 된다. 그러면 액체는 재료 방출 통로의 굴곡부를 따라 출구로 흘러가게 된다.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액체가 재료 저장 구역으로 다시 되돌아갈 때 생기는 반작용 흡인력으로 인해 재료 방출 통로 굴곡부의 2개의 내막은 반작용력에 의해 서로 흡착하여 재료 방출 통로를 닫게 된다. 즉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액체가 순간적으로 굴곡부에서 재료 저장 구역으로 떨어질 때 반작용력이 생겨서 재료 방출 통로를 폐쇄하는 효과가 생기며, 또한 굴곡부가 2개의 내막이 굴곡된 부위에서 흡착하도록 하기 때문에 폐쇄 효과를 더욱 강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와 그 효능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클립 체인을 나타내는 도.
도 2a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절개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절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c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양상을 나타내는 도.
도 2d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양상을 나타내는 도
도 3a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3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양상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입구가 열리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의 입구가 열린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a, 2a, 2b는 본 발명의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의 첫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2개의 내막을 수평으로 설치한 것이다. 도 2c와 2d는 첫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2개의 내막을 수평으로 설치한 다른 실시 양상이다.
본 발명의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흐름 방지백(1)에는 2개의 외막(2a, 2b), 2개의 내막(1a, 1b), 재료 저장 구역(4), 충전 구역(5), 재료 방출 구역(6), 재료 방출 통로(8), 절개부(10)가 포함된다.
2개의 외막(2a, 2b)은 위 아래로 겹쳐져 열봉합 방법으로 접착시켜 주머니 모양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저장 구역(4)은 열봉합 방법으로 2개의 외막(2a, 2b)을 접착시켜 이 2개의 외막(2a, 2b) 사이에 형성되어 액체(9)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재료 저장 구역(4)은 열봉합 방법으로 형성된 열봉합선 3b, 3c, 3d 사이에 위치한다.
충전 구역(5)은 2개의 외막(2a, 2b) 사이에 위치하며, 3b, 3c, 3d를 열봉합하여 재료 저장 구역(4)의 한 쪽에 형성되어 액체(9)를 재료 저장 구역(4)로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액체(9)가 재료 저장 구역(4)에 충전된 후, 밀폐용 부품으로 2개의 외막(2a, 2b)을 접착하여 충전 구역(5)을 밀폐한다. 여기서 밀폐용 부품은 열봉합 방법으로 형성한 열봉합선(3a)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로 국한하지 않는다. 도 1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 부품은 클립 체인(3h)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액체(9)를 충전한 후 클립 체인(3h)으로 밀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재료 방출을 순조롭게 하려면 충전을 완료하고 밀폐할 때 입구(81)와 같은 높이에 있는 부위에 열봉합선(3f)를 만들 수 있다. 그 목적은 백 내의 액체가 압력으로 인해 상승할 때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보다 높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면 액체가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에서 출구(82)로 흘러나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재료 방출 구역(6)은 2개의 외막(2a, 2b) 사이에 있으며 재료 저장 구역(4) 한 쪽 편에 설치된다. 여기서 열봉합선(3e)로 재료 방출 구역(6)과 충전 구역(5)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내막(1a, 1b)은 2개의 외막(2a, 2b) 사이에 있으며, 이 2개의 외막(2a, 2b)과 수평으로 나열되고 재료 방출 구역(6)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2개의 내막(1a, 1b)의 너비는 2개의 외막(2a, 2b)과 같고, 길이는 2개의 외막(2a, 2b)보다 짧다. 그래서 2개의 내막(1a, 1b)의 좌 우 양측과 상단은 모두 2개의 외막(2a, 2b)과 정렬되어 2개의 내막(1a, 1b)의 한 쪽이 재료 방출 구역(6)으로 돌출되며, 2개의 내막(1a, 1b)의 다른 한쪽은 충전 구역(5)에 위치한다. 단 본 발명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외막(2a, 2b) 내에 2개의 내막(1a, 1b)을 끼워 재료 방출 구역(6)을 구성하며, 열봉합 방법으로 재료 방출 통로(8)를 형성한다. 재료 방출 통로(8)는 입구(81), 굴곡부(84), 출구(82)로 구성된다. 열봉합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1) 2개의 내막(1a, 1b)을 개별적으로 열봉합하여 굴곡부(84)를 형성한 후 2개의 외막(2a, 2b)과 함께 충전 구역(5) 및 재료 방출 구역(6)의 분계선과 출구, 입구를 열봉합한다. (2) 2개의 내막(1a, 1b)과 외막 하나(2a 또는 2b)를 열봉합하여 굴곡부(84)를 형성한 후 나머지 외막(2b 또는 2a)과 함께 충전 구역(5) 및 재료 방출 구역(6)의 분계선과 출구, 입구를 열봉합한다. (3) 2개의 내막(1a, 1b)과 2개의 외막(2a, 2b)을 열봉합하여 (a) 충전 구역(5)와 재료 방출 구역(6)의 분계선을, (b)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 굴곡부(84), 출구(82)를 형성한다. 이 세 가지 방법의 목적은 굴곡부(84) 내의 2개의 내막(1a, 1b)을 강화하여 액체가 재료 저장 구역(4)으로 환류할 때 반작용력이 일어나 이 2개의 내막(1a, 1b)이 서로 흡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흡착력의 세기는 흡착 시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제 (1) 방식은 굴곡부(84)의 2개의 내막(1a, 1b)이 2개의 외막(2a, 2b)과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활동 공간이 크고 흡착력이 세다.
재료 방출 통로(8) 내의 입구(81), 출구(82) 열봉합 방법:
입구(81), 출구(82)의 예정된 위치에 미리 내열 재료를 도포하거나 2개의 외막(2a, 2b)과 2개의 내막(1a, 1b)에서 출구(82)와 입구(81)를 열봉합할 때 예정된 위치에 분리판을 두어 열봉합 시 2개의 내막(1a, 1b)의 안쪽이 서로 접착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각 내막(1a와 1b)의 바깥쪽은 개별적으로 2개의 외막(2a 및 2b)과 접착하여 외막(2a 및 2b)이 압력을 받아 위로 밀릴 때 밖으로 확장된다. 이때 이들은 2개의 내막(1a, 1b)에 개별적으로 접착되었기 때문에 이 2개의 내막(1a, 1b)의 접착되지 않은 안쪽을 당겨서 입구(81)와 출구(82)를 형성하게 된다.
재료 방출 통로(8) 내에는 최소한 한 개의 굴곡부(84)가 설치되며, 모양은 S자형, 각을 진 모양, 아치형, 번개형, W자형 등이 될 수 있다. 이 굴곡부(84)의 목적은 굴곡부위의 흡입력에 저항력이 생기는 것을 강화하여, 그것이 굴곡 내 2개의 내막(1a, 1b)이 서로 흡착하는 효과를 강화하여 자동 폐쇄 및 흐름 정지를 강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굴곡부(84) 내에 울타리(85)가 설치되어 있어, 압력이 없을 때 흐름을 저지한다. 이 역시 폐쇄 기능을 강화하는 방편 중 하나이다. 출구(82)에 바짝 인접한 외막에 절개부(10)를 설치하는 데, 이는 점선을 미리 열봉합한 절개선(10a)과 미리 설치된 절개구(10b)로 구성된다.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에 액체를 충전하고 밀폐하면 완전히 밀폐된 액체 저장백이 형성된다. 사용 시 10b 부위에서 절개하면 2개의 내막 재료 방출 통로(8)의 출구(82)가 노출된다. 백에 압력을 가하면 백 내부의 액체(9) 수위가 상승하여 2개의 외막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자연적으로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가 당겨져 열리고 액체가 재표 방출 통로(8)의 입구(81)를 따라 굴곡부(84)를 흘러서 출구(82)로 흘러나가게 된다.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액체(9)는 순식간에 굴곡부(84)에서 재료 저장 구역(4)으로 환류한다. 이때 반작용 흡입력이 생기며 재료 방출 통로(8)의 2개의 내막(1a 및 1b)은 흡입력으로 인해 서로 흡착되어 재료 방출 통로(8)를 폐쇄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굴곡부(84)가 없기 때문에 2개의 내막(1a 및 1b)의 굴곡 위치(84)에서의 흡착을 더욱 곤고하게 하여 폐쇄 작용을 강화한다. 만약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이 엎질러지는 경우, 외부 압력이 없기 때문에 액체(9)는 2개의 외막(2a, 2b)을 열 수 없으므로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는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백이 엎질러져도 액체(9)는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을 실제로 사용할 때 이러한 장점은 더욱 돋보이게 된다.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의 첫 번째 실시 에의 다른 실시 양상: 2개의 내막을 수평으로 설치, 여러 개의 입구.
첫 번째 실시 예에서, 2개의 내막(1a 및 1b)은 수평으로 2개의 외막(2a 및 2b)내에 끼워지고 열봉합 방법으로 재료 저장 구역(4), 충전 구역(5), 재료 방출 구역(6)을 형성하고 재료 방출 구역(6)에 두 개의 입구(81)가 있는 재료 방출 통로(8)와 최소한 한 개의 굴곡부(84)를 형성하며, 절개부(10)를 설치한다. 여기서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를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중앙에 설치하였다. 절개부(10) 역시 상단에 설치하였다. 자세한 그림은 도 2C, 2D를 참고한다.
액체(9)가 충전 구역(5)에서 재료 저장 구역(4)으로 흐른 뒤, 밀폐용 부품으로 충전 구역(5)을 밀폐한다. 도 4A와 4B에 표시된 것처럼, 사용 시 압력을 가해 재료 저장 구역(4)의 2개의 외막(2a, 2b)을 눌러서 액체(9)가 2개의 내막(1a, 1b)의 첫째 측면 1d로 흘러가도록 압박할 때, 첫째 측면 1d의 2개의 외막(2a, 2b)은 외막 2a와 2b를 따라 바깥쪽을 향해 열리고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를 자동으로 열고 액체(9)가 입구(81)로부터 재료 방출 통로(8)로 흘러들어가고 재료 방출 통로(8)의 굴곡부를 따라 흐르고 출구(82)를 통해 흘러나가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이다: 수직식 내막의 유출 방지 구조.
2개의 비교적 좁은 내막이 수직 방식으로 2개의 외막 내의 한 쪽 편에 설치되고, 이 4개의 막의 상단을 동시에 열봉합 한다. 열봉합선 3b, 3c, 3d, 3f는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백 본체(1)를 형성한다. 이 백 본체를 다음으로 나눈다: 충전 구역(5), 재료 방출 구역(8), 재료 저장 구역(4), 열봉합선(3e), 그리고 재료 방출 구역에서 최소한 입구(81), 굴곡부(84) 및 출구(82)가 포함된 재료 방출 통로를 형성한다. 입구(81) 및 출구(82)가 열봉합 상태에 처해 있을 때, 2개의 내막(1a, 1b) 안쪽에 분리판을 넣거나 미리 내열재료를 도포하여 열봉합 시 2개의 내막(1a, 1b)이 마주 보는 안쪽은 접착되지 않지만 2개의 내막(1a, 1b)이 각기 상응하는 2개의 외막(2a, 2b)와는 서로 열봉합으로 접착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출구(82) 외막에 절개선(10a)이 있는 절개부와 절개될 수 있는 절개구(10b)를 설치하고, 액체 충전이 끝나면 충전 구역(3a)를 열봉합하여 완전 밀폐된 액체 백으로 만든다. 이 백을 사용하는 경우 절개구(10b)를 절개하면 출구(82)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백이 엎질러질 때 저장된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료 방출 통로 굴곡부(84) 내에 열봉합으로 울타리(85)를 설치하여 흐름 정지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수직식 2개의 내막(1a, 1b)의 재료 방출 구역(6)을 4개의 막(1a, 1b, 2a, 2b) 한 측 중간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재료 방출 구역의 구조는 상단에 설치되었을 때와 같다. 즉, 여전히 재료 방출 통로가 있으며, 최소한 입구(81), 굴곡부(84), 출구(82),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절개부(10)가 있다.
도 3b 참고: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양상: 입구 두 개, 여러 개의 굴곡이 있는 재료 방출 통로.
본 발명은 수직식 유출 방지 구조에 입구 두 개를 설치하여 액체 저장 백 내의 액체가 흘러나오는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는 것도 제시한다. 즉 2개의 외막 내 한 측에 2개의 수직식 내막을 설치하고 열봉합 방법으로 3c, 3b, 3d, 그리고 3f를 열봉합 하여 액체를 담글 수 있는 액체 저장백(1)과 백 안에 충전 구역(5), 재료 저장 구역(4), 재료 방출 구역(6)을 형성한다. 그리고 2개의 내막 안쪽에 입구를 미리 설정하고 출구 부위에는 내열재료를 도포하거나 열봉합 시 분리판으로 분리하여 해당 구역의 내막의 마주보는 안쪽이 열봉합 시 접착되지 않도록 하되 내막에 3f를 열봉합 하여 두 개의 입구, 즉 위의 입구(81)와 아래 입구(81'), 그리고 재료 방출 통로(84)를 형성한다. 재료 방출 통로에는 굴곡 부위가 여러 개 있는데 모두 궁극적으로 하나의 출구(82)로 집합하게 된다. 그리고 2개의 외막의 예정된 출구 부위에 절개 열봉합선(10a)과 절개구(10b)를 설치한다. 액체 백의 액체 충전이 끝나면 3a를 열봉합 하여 완전 밀폐된 액체 백으로 만든다. 이 백을 실제로 사용할 때는 절개구(10b)에서 곧장 절개한다. 즉 2개의 내막(1a, 1b)의 출구(82)가 노출되도록 하고 2개의 외막의 바깥 주머니에 압력을 가해 액체가 상승하여 압력을 받지 않은 외막이 열리게 한다. 그러면 내막 입구 부위와 열린 외막이 접착되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입구(82)가 열려서 액체(9)가 재료 방출 통로(8)를 향해 출구(82) 쪽으로 흘러나오도록 한다. 압력이 해제되면 액체(9)는 재료 방출 통로(8)로 환류하여 반작용력이 생겨서 재료 방출 통로(8)의 2개의 내막(1a, 1b)이 서로 흡착하여 밀폐되고 따라서 유출 방지 목적이 달성된다.
그리고 액체 백(1)이 외부 압력을 받을 때 백 내부 액체가 상승하여 수위가 3f보다 높아 충전 부위까지 무효 압력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해 충전이 끝난 후 3a 부위를 열봉합 할 뿐 아니라 3f와 같은 높이로 근처에 열봉합을 하나 추가하여 액체 수위가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액체의 방출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6 참고: 본 발명인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의 세 번째 실시 예.
본 실시 예와 첫 번째 실시 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2개의 내막(1a, 1b)의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내막(1a, 1b)의 한 측이 2개의 외막(2a, 2b)로부터 돌출하여 2개의 외막(2a, 2b)이 노출된다. 그리고 재료 방출 통로(8)의 출구(82)는 2개의 외막(2a, 2b) 밖에 위치한다.
도 7 참고: 본 발명인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의 네 번째 실시 예.
본 실시 예와 첫 번째 실시 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2개의 내막(1a, 1b)의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내막(1a, 1b)을 조금 짧은 작은 박막체로 바꾸고, 2개의 내막(1a, 1b)으로 구성된 작은 박막체로 이전의 수평식 또는 수직식으로 2개의 외막(2a, 2b) 내에 설치된 2개의 내막(1a, 1b)을 대체한다. 이 작은 박막체는 2개의 외막(2a, 2b)과 3c, 3b, 3d를 열봉합 하는 방식으로 백 본체(1), 나아가서 열봉합선(3e), 둘째 측면(1e)의 열봉합선, 열봉합선(3f)을 형성하고,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와 내막 내의 안쪽을 향해 접착되지 않은 입구(81)와 출구(82)를 형성하고, 재료 방출 통로(8)의 굴곡부(84), 굴곡부(84)의 울타리(85), 그리고 열봉합 절개부의 점선(10a), 절개구(10b)를 형성한다. 이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의 충전이 끝나면 충전 구역(5)를 열봉합선(3a)으로 밀폐한다. 사용할 때는 절개구(10b)에서 절개한다. 그러면 외막의 점선이 재료 방출 통로의 출구(82)가 노출되고 백 안의 액체를 짜서 흘러나오게 하고,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액체 흐름이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백이 엎질러지더라도 외부 압력이 없기 때문에 재료 방출 통로(8)의 입구(81)가 열리지 않고 재료 방출 통로(8) 내 굴곡부의 2개의 내막(1a, 1b)은 여전히 서로 흡착하기 때문에 밀폐 상태가 형성되어 백 안의 액체가 재료 방출 통로를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로 압력을 사용해서 백 안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압력이 해제되면 액체가 아래로 내려와서 재료 방출 통로(8)에 반작용력이 일어나게 하여 굴곡부(84)의 내막이 서로 흡착해서 외부 공기가 백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백 안에는 항상 공기가 부족한 상태를 유지한다. 충전된 것이 액상 식품일 경우, 산소가 부족하면 액체 백 안의 산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보존기간이 일반 병 포장보다 훨씬 오래간다.
도 8 참고: 본 발명인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의 다섯 번째 실시 예.
본 실시 예와 첫 번째 실시 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2개의 내막(1a, 1b)을 수직 또는 수평 방식으로 2개의 외막(2a, 2b) 안에 끼우지 않고, 오히려 2개의 외막(2a, 2b) 내의 2개의 내막(1a, 1b)을 확대하여 자체적으로 열봉합 하여 재료를 충전할 수 있는 안쪽 주머니(4')를 형성하며. 이 백은 2개의 외막(2a, 2b)의 상단과 결합하고 외막의 하단은 독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4개의 막의 상단은 여전히 3e, 3f를 열봉합 하여 충전 구역(5)과 재료 저장 안쪽 주머니(4'), 재료 방출 통로(8), 입구(81)와 출구(82) 및 재료 방출 통로(8) 내의 굴곡부(84), 굴곡부(84) 내의 울타리(85)를 형성하고 2개의 내막(1a, 1b)의 안쪽 면은 접착하지 않지만 각각 2개의 외막(2a, 2b)과 연결된다. 외부 압력이 안쪽 주머니 본체의 액체가 상승하여 3f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f 부근의 열봉합 범위를 확대하고 유선형으로 만들어 공기 저항력을 줄이는 제방을 형성하면 백 안의 액체가 입구(81)를 흘러나갈 때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외막은 하단에서 내막 백 본체와 분리될 수 있다. 그래서 열봉합으로 하나의 독립된 안으로 접는 백을 형성하거나 2개의 박막체로 열봉합 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이 2개의 내막 안쪽 주머니(4')의 받침 구역(41)이 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을 일어선 모양으로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관한 내용은 위에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본 기술과 내용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약간의 변경과 수정을 한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한 특허 신청 범위에서 정의한 것에 기준한다.
1: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1a/1b:내막(안쪽 필름)
1d:첫째 측면 1e:둘째 측면
2a/2b :외막(바깥쪽 필름) 3a/3b/3c/3d/3e/3f:열봉합선
3h:클립 체인 4:재료 저장 구역
4':안쪽 주머니 41:받침 구역
5:충전 구역 6:재료 방출 구역
8:재료 방출 통로 81:입구
82:출구 84:굴곡부
85:울타리 9:액체
10:절개부 10a:절개선
10b:절개구

Claims (14)

  1. 2개의 외막, 2개의 내막, 1개의 재료 저장 구역, 1개의 재료 방출 통로, 1개의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외막은 위 아래로 겹쳐져 열봉합 방법으로 접착시켜 주머니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2개의 내막은 위 아래로 2개의 외막 사이에 겹쳐지며, 상기 2개의 내막 사이에 미리 분리판을 설치하거나 내열재료를 도포하며,
    상기 1개의 재료 저장 구역은 상기 2개의 외막을 접착하여 상기 2개의 외막 사이에 형성되어 액체 저장에 사용되며,
    상기 1개의 재료 방출 통로는 상기 2개의 내막을 접착하여 상기 2개의 내막 사이에 형성되되, 최소한 1개의 입구, 1개의 굴곡부, 1개의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내막은 각 외막과 열봉합으로 접착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1개의 절개부는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출구 부위에 위치하고 절개 후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출구가 노출되며,
    상기 재료 저장 구역이 외부 압력을 받으면 액체가 상승하여 상기 2개의 외막이 액체 압력으로 인해 밖으로 열려서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가 열리고, 액체가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굴곡부를 따라 상기 출구로 흐르며, 압력이 해제되면 액체가 상기 재료 방출 통로로 환류할 때의 반작용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굴곡부의 2개의 내막이 서로 흡착되어 상기 재료 방출 통로를 폐쇄하고,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액체가 순간적으로 굴곡부에서 재료 저장 구역으로 떨어질 때 반작용력이 생겨서 재료 방출 통로를 폐쇄하게 되며, 또한 굴곡부가 2개의 내막이 굴곡된 부위에서 흡착하도록 하기 때문에 폐쇄를 더욱 강화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1개의 충전 구역과 1개의 재료 방출 구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1개의 충전 구역은, 상기 2개의 외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재료 저장 구역 한 쪽에 설치되어 액체를 상기 재료 저장 구역에 충전하는 데 사용되고, 액체를 상기 재료 저장 구역에 충전한 후 밀폐용 부품으로 상기 2개의 외막을 접착시켜 상기 충전 구역을 밀폐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1개의 재료 방출 구역은, 상기 2개의 외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재료 저장 구역 한 쪽에 설치되고, 재료 방출 구역에서 충전 구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부품은 열봉합 방법으로 형성된 열봉합선 1개 또는 클립 체인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내막의 한 측이 상기 재료 방출 구역에서 돌출하여 해당 2개의 내막의 한 측이 상기 충전 구역 또는 재료 저장 구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2개의 내막을 열봉합으로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방출 통로는 상기 2개의 내막과 2개의 외막을 동시에 열봉합으로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방출 통로는 상기 2개의 내막과 1개의 외막을 동시에 열봉합으로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입구, 굴곡부와 출구는 상기 2개의 내막과 외막은 동시에 열봉합으로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9. 청구항 1에 있어서,
    여러 개의 울타리를 포함하며,
    상기 여러 개의 울타리는 상기 재료 방출 통로에 위치하며 액체가 재료 방출 통로에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내막의 한 측이 상기 2개의 외막에서 돌출하여 외막을 노출시키며, 상기 재료 방출 통로의 출구는 상기 2개의 외막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열봉합 방법으로 상기 2개의 외막을 접착시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재료 저장 구역을 받치는데 사용되는 1개의 받침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열봉합으로 상기 2개의 내막을 접착시켜 형성하는 1개의 안쪽 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열봉합 방법으로 상기 2개의 내막을 접착하여 재료 방출 통로가 이 2개의 내막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며,
    재료 저장 구역은 열봉합 방법으로 상기 2개의 외막을 접착하여 이 2개의 외막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14. 청구항 1에 있어서,
    2개의 내막 사이에 받침 구조를 미리 설치하거나 내열재를 도포하여,
    상기 받침 구조를 설치하거나 상기 내열재를 도포한 부분은 열봉합 시 접착되지 않기때문에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KR1020110125674A 2010-11-30 2011-11-29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KR101284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9141564 2010-11-30
TW099141564 2010-11-30
TW100119929 2011-06-08
TW100119929A TWI414456B (zh) 2010-11-30 2011-06-08 Automatic liquid stop bag with bent pa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409A KR20120059409A (ko) 2012-06-08
KR101284381B1 true KR101284381B1 (ko) 2013-07-09

Family

ID=4504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74A KR101284381B1 (ko) 2010-11-30 2011-11-29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57844B1 (ko)
JP (2) JP2012116570A (ko)
KR (1) KR101284381B1 (ko)
MY (1) MY159344A (ko)
TW (1) TWI414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3629A (zh) * 2018-11-20 2019-03-29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袋
US11845588B2 (en) 2020-08-05 2023-12-19 Illinois Tool Works Inc. Pouch enclosure with filling sl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8217A1 (de) * 1995-12-08 1997-06-11 Bayyomi, Fawzi Ali Verpackungsbehälter mit flexiblen Wandungen
JPH11193039A (ja) * 1998-01-06 1999-07-21 Ueno Hiroshi 注出機能付包装袋
EP1577223A1 (en) * 2002-11-22 2005-09-21 Toyo Seikan Kaisha, Ltd. Packaging bag with self-closeable outflow 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ckaging bag
WO2010123581A2 (en) 2009-04-23 2010-10-28 H.J. Heinz Company Multi-function condimen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0273Y2 (ko) * 1977-10-24 1982-07-02
JP2975834B2 (ja) * 1993-10-15 1999-11-10 株式会社ヤマガタグラビヤ 流動性物質包装体、該包装体の製造方法、該包装体用包装袋並びに該包装袋の製造方法
US5529224A (en) 1993-11-01 1996-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closing liquid dispensing package
JP3032245U (ja) * 1996-05-02 1996-12-17 カウパック株式会社 易引裂開口性液状流動性物包装袋
JP2000128193A (ja) * 1998-10-29 2000-05-09 Sanko Kikai Kk 密封シール袋
JP4667598B2 (ja) * 2000-11-22 2011-04-13 カウパック株式会社 流体包装袋
JP4490045B2 (ja) * 2002-05-15 2010-06-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多重袋
JP4996815B2 (ja) * 2003-07-31 2012-08-08 二瀬 克規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US20070281058A1 (en) * 2005-11-23 2007-12-06 Fred Fulcher Utility package for heating or cooling liquids and food
JP4394729B2 (ja) * 2008-05-12 2010-01-06 株式会社悠心 液体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JP2010095272A (ja) * 2008-10-15 2010-04-30 Yushin:Kk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および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8217A1 (de) * 1995-12-08 1997-06-11 Bayyomi, Fawzi Ali Verpackungsbehälter mit flexiblen Wandungen
JPH11193039A (ja) * 1998-01-06 1999-07-21 Ueno Hiroshi 注出機能付包装袋
EP1577223A1 (en) * 2002-11-22 2005-09-21 Toyo Seikan Kaisha, Ltd. Packaging bag with self-closeable outflow 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ckaging bag
WO2010123581A2 (en) 2009-04-23 2010-10-28 H.J. Heinz Company Multi-function condimen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12270B2 (ja) 2015-05-07
KR20120059409A (ko) 2012-06-08
EP2457844B1 (en) 2013-09-11
EP2457844A1 (en) 2012-05-30
JP2014065539A (ja) 2014-04-17
TWI414456B (zh) 2013-11-11
MY159344A (en) 2016-12-30
JP2012116570A (ja) 2012-06-21
TW201221436A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948B1 (en) Automatic liquid stop bag with bent portion
TWI400181B (zh) 用於將出水口安裝於彈性薄囊袋的方法
US3144976A (en) Liquid filled pouch with straw
US4452378A (en) Gussetted bottom pouch
US20100021089A1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US20100084436A1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KR20080076970A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US9561947B2 (en) Method of removing headspace from a filled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a valve
KR101284381B1 (ko) 굴곡부가 있는 자동 액체 유출 방지 기능백
JP2011020735A (ja) 詰替え容器
US11111066B2 (en) Composite pack for filling liquid material
JP6094128B2 (ja) スパウトとこのスパウトを取り付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4699463B2 (ja) 注ぎ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注ぎ出し部材
JP2012111502A (ja) 紙容器の再封性開封装置
JPH0761453A (ja) 包装袋
JP3608357B2 (ja) 開口維持部材付パウチ
CN102530362B (zh) 液体止流袋
JP7384010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EP2014574A2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s ou matériaux pulvérulents avec système de distribution
US20140117013A1 (en) Transportation and storage system for bagged fluids
AU2022422273A1 (en) Flexible packaging for a liqu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packaging
US20140219585A1 (en) Multi-Chamber Bag
KR200209216Y1 (ko) 포장용 파우치
JP6229380B2 (ja) 包装物
JP2013028384A (ja) 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