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172B1 -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172B1
KR101284172B1 KR1020130014932A KR20130014932A KR101284172B1 KR 101284172 B1 KR101284172 B1 KR 101284172B1 KR 1020130014932 A KR1020130014932 A KR 1020130014932A KR 20130014932 A KR20130014932 A KR 20130014932A KR 101284172 B1 KR101284172 B1 KR 101284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repair structure
drain portion
lay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철
민경순
민재오
민귀성
Original Assignee
민경철
민귀성
민재오
민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철, 민귀성, 민재오, 민경순 filed Critical 민경철
Priority to KR102013001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CW)의 벽면이나 바닥의 누수지점(L)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누수지점(L)을 지나면서 평면과 단면이 각각 지그재그(zigzag)와 V자 형상인 V자수로(V); 상기 V자수로(V)의 끝단에 설치되는 배수부(U); 및, 상기 V자수로(V) 및 상기 배수부 위로 포설되는 방수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수지점(L)에서 누수되는 물이 상기 V자수로(V)를 따라 상기 배수부에 모이고, 모인 물을 배수시킨 후 상기 배수부를 밀폐수단으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the improved waterproofing rep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보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압이 작용하며 누수가 되는 곳에서 간단한 구조로 지그재그(zigzag)로 누수되는 물을 유도하고 배수한 후 방수층을 형성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실이나 옥상 등에는 지하수나 빗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구조물(CW)의 외부면에 필수적으로 방수공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구조물(CW)의 소성수축균열, 건조수축균열,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 부등침하에 의한 균열 등으로 누수가 발생 된다.
특히 콘크리트구조물(CW) 배면의 되메우기 토사와 접하는 옹벽 및 배수갑문 날개, 벽체 및 구체 등에는 방수공사를 하여도 방수액 자체가 강도를 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되메우기 토사에 의해 방수 부위가 필연적으로 손상을 입게 되어 누수를 유발하게 된다.
이때 방수막 손상 및 균열 원인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 여러 종류의 방수공법을 적용하여도 구조물 시공 완료 후 누수를 잡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지금까지 방수공사의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구조물의 누수지점을 보수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설계변경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콘크리트구조물 외면에 돌출부위 없이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CW)의 벽면이나 바닥의 누수지점(L)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누수지점(L)을 지나면서 평면과 단면이 각각 지그재그(zigzag)와 V자 형상인 V자수로(V); 상기 V자수로(V)의 끝단에 설치되는 배수부(U); 및, 상기 V자수로(V) 및 상기 배수부 위로 포설되는 방수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수지점(L)에서 누수되는 물이 상기 V자수로(V)를 따라 상기 배수부에 모이고, 모인 물을 배수시킨 후 상기 배수부를 밀폐수단으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콘크리트구조물의 누수지점을 보수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설계변경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기존의 콘크리트구조물 외면에 돌출부위 없이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최종 완성된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시공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CW)의 벽면이나 바닥의 누수지점(L)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누수지점(L)을 지나면서 평면과 단면이 각각 지그재그(zigzag)와 V자 형상인 V자수로(V); 상기 V자수로(V)의 끝단에 설치되는 배수부(U); 및, 상기 V자수로(V) 및 상기 배수부 위로 포설되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수지점(L)에서 누수되는 물이 상기 V자수로(V)를 따라 상기 배수부에 모이고, 모인 물을 배수시킨 후 상기 배수부를 밀폐수단으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V자수로(V)의 천공각(α)과 천공깊이(d)는 각각 45~60도 및 2~3cm 이고 상기 배수부(U)의 천공각(α`)과 천공깊이(d`)는 각각 45~60도 및 3~5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자수로(V)는 균열과 누수부위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지그재그(zigzag)로 형성되어 누수로 인한 수압을 강제로 감소시키고 새로운 유로를 형성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V자수로(V)의 천공각(α)과 상기 배수부(U)의 천공각(α`)은 누수된 물의 흐름을 고려할 때 약 45~60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U)의 천공깊이(d`)는 상기 V자수로(V)의 천공깊이(d) 보다 약 2cm 정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보강캡(200) 끝단 외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모인 물이 고이게 하므로써 집수 및 배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도 1에서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배수부(U)에 끝단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중공이 있고 외면에 슬릿(210)이 형성된 보강캡(200);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머리부(110)와 나사산(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사못(100); 상기 나사산(120)의 외부면을 감싸는 방수테입(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은 상기 보강캡(200)과 배수부(U) 사이에는 밀폐재(300)가 충진되며, 상기 배수부(U)에 모인 물을 상기 슬릿(210)과 중공을 통하여 배수하고 상기 나사못(100)의 머리부(110)를 돌려 체결하여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210)은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자 또는 +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상기 밀폐재(300)는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 또는 공업용 실리콘 등 신축성과 내구성이 보장되는 재료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방수테잎(130)은 흔히 Thread Seal Tape으로 통용되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못(100)의 외주면에서 수압에 의한 방수기능을 보강한다.
도 4는 최종 완성된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은 제1혼화재층(410); 유리섬유층(420); 제2혼화재층(430); 및, 도료층(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섬유층(420)은 수압작용 부위의 보강용으로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시공된다.
상기 도료층(440)은 젤코트(gel coat) 등의 통상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신축 저항성과 방수면에 대한 자외선 차단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주변 미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자유로운 색상 등을 표현한다.
상기 혼화재층(410, 430)에 사용되는 혼화재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액상 수지와 미세립자(clay 또는 silt질 계열의 점토입자) 그리고 유기과산화물 등이 포함된 것으로 방수 기능 및 고강도를 발현하며 특허 제10-0965200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시공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시공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콘크리트구조물(CW)에 누수가 발생한 장면이고, 도 6 및 7은 각각 하기 (1) 누수지점건조단계 및 (8) 방수층시공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시공을 마친 표면을 촬영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시공방법은 (1) 콘크리트구조물(CW)의 균열부위 및 누수지점(L)을 건조시키는 누수지점건조단계; (2) 상기 균열부위 및 누수지점(L)에 혼화재를 도포하는 혼화재도포단계; (3) 정확한 누수지점(L)을 확인하는 누수지점확인단계; (4) 다수개의 누수지점(L)을 지나면서 평면과 단면이 각각 지그재그(zigzag)와 V자 형상인 V자수로(V)를 천공하는 V자수로시공단계; (5) 상기 V자수로(V)를 밀폐재로 밀폐하는 V자수로밀폐단계; (6) 상기 배수부(U) 내부면에 밀폐재를 도포하고 상기 보강캡(200)을 삽입하는 보강캡삽입단계; (7) 상기 방수테잎(130)이 감싸진 상기 나사못(100)을 상기 보강캡(200)에 체결하는 나사못체결단계; 및, (8) 상기 V자수로(V) 및 상기 배수부 위로 상기 방수층을 시공하는 방수층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CW)에 혼화재 등의 방수액이 침투하여 균열 및 공극을 메워주고, 방수층 자체가 팽창율이 큰 고강도를 발현하기 때문에 토압의 측방 유동 및 지반 거동에 대한 구조물 균열을 제어하고, 온도변화에 의한 환경적 요인의 수축팽창에 대한 균열제어기능 효과가 매우 좋다. 따라서 모체 침투식 특수방수공법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건물 옥상이나 벽체는 물론 지하실 주차장의 상부 및 벽체, 바닥등에도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를 하게 되는데, 100% 방수기능을 발휘한다.
특히 노후 콘크리트는 표면이 산화되어 조그마한 외부 충격에도 콘크리트 입자가 힘없이 깨어지고 강도를 잃고 파괴 되면서 많은 균열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방수 공법을 적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표면의 강도 상승은 물론 콘크리트 표면 마모율 저감효과 기능 까지 발휘 된다.
즉, 본 방수 공법은 방수면 표면강도가 강하며, 콘크리트 표면과 부착성능이 뛰어나, 균열을 제어하고 내구성과 방수기능을 더욱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의 신속성, 간편성, 경제성, 견고성, 단열성, 신축 저항성, 및 고강도 기능을 가진 모체 침투식 특수방수 기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W: 콘크리트구조물
L: 누수지점
V: V자수로
U: 배수부
100: 나사못
110: 머리부
120: 나사산
130: 방수테잎
200: 보강캡
210: 슬릿
300: 밀폐재
410: 제1혼화재층
420: 유리섬유층
430: 제2혼화재층
440: 도료층

Claims (6)

  1. 콘크리트구조물(CW)의 벽면이나 바닥의 누수지점(L)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누수지점(L)을 지나면서 평면과 단면이 각각 지그재그(zigzag)와 V자 형상인 V자수로(V);
    상기 V자수로(V)의 끝단에 설치되는 배수부(U); 및,
    상기 V자수로(V) 및 상기 배수부 위로 포설되는 방수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수지점(L)에서 누수되는 물이 상기 V자수로(V)를 따라 상기 배수부에 모이고, 모인 물을 배수시킨 후 상기 배수부를 밀폐수단으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방수층은,
    제1혼화재층(410);
    유리섬유층(420);
    제2혼화재층(430); 및,
    도료층(4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배수부(U)에 끝단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중공이 있고 외면에 슬릿(210)이 형성된 보강캡(200);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머리부(110)와 나사산(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사못(100);
    상기 나사산(120)의 외부면을 감싸는 방수테입(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캡(200)과 배수부(U) 사이에는 밀폐재(30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수부(U)에 모인 물을 상기 슬릿(210)과 중공을 통하여 배수하고 상기 나사못(100)의 머리부(110)를 돌려 체결하여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V자수로(V)의 천공각(α)과 천공깊이(d)는 각각 45~60도 및 2~3cm 이고 상기 배수부(U)의 천공각(α`)과 천공깊이(d`)는 각각 45~60도 및 3~5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5. 제3항에서,
    상기 V자수로(V)의 천공각(α)과 천공깊이(d)는 각각 45~60도 및 2~3cm 이고 상기 배수부(U)의 천공각(α`)과 천공깊이(d`)는 각각 45~60도 및 3~5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6. 제3항의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1) 콘크리트구조물(CW)의 균열부위 및 누수지점(L)을 건조시키는 누수지점건조단계;
    (2) 상기 균열부위 및 누수지점(L)에 혼화재를 도포하는 혼화재도포단계;
    (3) 정확한 누수지점(L)을 확인하는 누수지점확인단계;
    (4) 다수개의 누수지점(L)을 지나면서 평면과 단면이 각각 지그재그(zigzag)와 V자 형상인 V자수로(V)를 천공하는 V자수로시공단계;
    (5) 상기 V자수로(V)를 밀폐재로 밀폐하는 V자수로밀폐단계;
    (6) 상기 배수부(U) 내부면에 밀폐재를 도포하고 상기 보강캡(200)을 삽입하는 보강캡삽입단계;
    (7) 상기 방수테잎(130)이 감싸진 상기 나사못(100)을 상기 보강캡(200)에 체결하는 나사못체결단계; 및,
    (8) 상기 V자수로(V) 및 상기 배수부 위로 상기 방수층을 시공하는 방수층시공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30014932A 2013-02-12 2013-02-12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932A KR101284172B1 (ko) 2013-02-12 2013-02-12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932A KR101284172B1 (ko) 2013-02-12 2013-02-12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172B1 true KR101284172B1 (ko) 2013-07-09

Family

ID=4899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932A KR101284172B1 (ko) 2013-02-12 2013-02-12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536B2 (ja) * 1987-04-21 1996-10-23 富士技研興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構築体の漏水止工法
KR20010087415A (ko) * 2001-06-07 2001-09-15 한광모 배면방수 그라우팅용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KR20090119008A (ko) * 2008-02-26 2009-11-19 김의연 복합방수시공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복합방수층 구조
KR20110006477A (ko) * 2009-07-14 2011-01-20 (주) 캐어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536B2 (ja) * 1987-04-21 1996-10-23 富士技研興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構築体の漏水止工法
KR20010087415A (ko) * 2001-06-07 2001-09-15 한광모 배면방수 그라우팅용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KR20090119008A (ko) * 2008-02-26 2009-11-19 김의연 복합방수시공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복합방수층 구조
KR20110006477A (ko) * 2009-07-14 2011-01-20 (주) 캐어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CN103015538B (zh) 一种混凝土结构变形缝的防渗装置及渗漏治理方法
CN106149764B (zh) 一种预制拼装综合管廊承插口防水结构
CN110878700B (zh) 一种隧道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05557856U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JP2000282493A (ja) 止水遮断装置
CN105297782A (zh) 一种地下混凝土结构伸缩缝治理结构及施工方法
CN209385153U (zh) 隧道管片漏水处的封堵构造
CN109629845A (zh) 混凝土结构接缝部位漏水处理装置及其施工方法
KR20160046750A (ko)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차단용 신축이음재
CN105780940A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KR101284172B1 (ko) 개량형 방수 보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29362B1 (ko)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CN203113385U (zh) 一种基坑围护地下连续墙与地下室结构外墙之间的防水构造
CN102296618A (zh) 一种锚杆穿越地下连续墙的套管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CN105239732B (zh) 一种防雨水渗漏的伸出屋面管的施工方法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03716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보수 공법
CN211735533U (zh) 一种地下室顶板后浇带防水结构
CN204898740U (zh) 一种中埋式止水带
CN106836462A (zh) 地下室外扩结构施工缝的处理方法及防水结构
KR101497228B1 (ko)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KR20040016004A (ko) 건축 구조물의 이음부위 방수공법
KR102116912B1 (ko) 에어 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