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264B1 - 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264B1
KR101282264B1 KR1020060096256A KR20060096256A KR101282264B1 KR 101282264 B1 KR101282264 B1 KR 101282264B1 KR 1020060096256 A KR1020060096256 A KR 1020060096256A KR 20060096256 A KR20060096256 A KR 20060096256A KR 101282264 B1 KR101282264 B1 KR 10128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rol area
touch screen
process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321A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50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linear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방송채널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마련되어, 화면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이동 중 터치스크린의 입력방법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MEDIA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영상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처리장치 110 : 수신부
120 : 튜너 130 : 영상처리부
140 : 오디오처리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터치스크린부 170 : 속도센서
180 : 저장부 190 :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중 터치스크린의 입력방법을 개선한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 중 이동용 또는 휴대용 영상처리장치로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네비게이션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단순한 경로 안내 기능 이외에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기능, DVD(Digital Versatile disc) 기능, MPEG 플레이어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기능들 중에서, 특히 DMB 수신 기능은 실시간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차량으로 이동 중에도 자주 사용하게 된다.
DMB는 음성 및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또는 휴대용 및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이다.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 뉴스, 위치 등의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 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10a)이 DMB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20)에 표시하고 있다. 터치스크린(20)은 손가락(40)으로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장착한 화면이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대부분의 네비게이션(10a)이 터치스크린(20)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20)의 메뉴조작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즈 메뉴(30)의 표시영역이 너무 작아, 차량의 이동 중 에 사용자가 정확히 원하는 메뉴를 터치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는 사이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 중 터치스크린의 입력방법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방송채널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마련되어, 화면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고, 제어부는, 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제어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속도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제어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영역에 채널제어영역을 설정하고, 채널제어영역이 터치될 경우, 튜너를 해당 채널제어영역의 기능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오디오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어 영역에 음량제어영역을 설정하고, 음량제어영역이 터치될 경우, 오디오처리부를 해당 음량제어영역의 기능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네비게이션이나 PDA 및 핸드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된 DMB수신 네비게이션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00)는 수신부(110)와, 튜너(120)와, 영상처리부(130)와,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스크린부(160)와,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처리장치(100)는 오디오처리부(140)와, 속도센서(170)와, 저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튜너(120)에 제공한다. 예컨대, 수신부(110)는 안테나로 구현되어, DMB를 수신한다.
튜너(120)는 방송채널을 튜닝한다. 튜너(120)는 수신부(110)에 수신된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하고, 디지털 영상신호와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채널메뉴를 터치하여, 튜너(120)를 통해 방송채널을 튜닝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방송채널의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예컨대, 영상처리 부(130)는 튜너(120)로부터 입력된 DMB 영상신호를 디코딩한다.
오디오처리부(140)는 튜너(12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에 기초하여 음성데이터를 복호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음량메뉴를 터치하여 오디오처리부(24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DMB를 수신하는 영상처리장치(100)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각각의 디코더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처리부(130)에서 제공된 영상데이터 또는 메뉴정보를 표시하며, 터치스크린부(160)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치스크린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에 마련되어, 화면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한다. 터치스크린부(160)는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을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스크린부(160)는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190)는 터치스크린부(160)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영역을 설정한다. 각각의 제어영역은 터치스크린부(160)의 일정영역에 설정되어, 특정 기능과 대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네비게이션(10a)은 터치스크린(20) 상에 표시된 윈도우즈 메뉴(30)를 터치하여 채널이나 음량을 제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1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화면에 넓게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채널이나 음량을 보다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체화면을 4등분하여, 상위영역(21)은 채널UP영역으로, 하위영역(22)은 채널DOWN영역으로, 우측영역(23)은 음량UP영역으로, 좌측영역(24)은 음량DOWN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중에 영상처리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제어영역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화면 모드에서 제어영역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화면 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전체가 100% 영상으로만 표시된, 윈도우즈가 표시되지 않은 화면 모드를 말한다. 윈도우즈 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즈에 영상이 표시되는 모드를 말한다. 윈도우즈 모드에서 제어영역이 설정될 경우, 윈도우즈 메뉴에 의한 제어영역과 전체화면에 설정된 제어영역이 겹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90)는 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부(160)의 화면에 제어영역을 설정한다. 이동모드는 전체화면에 넓게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채널이나 음량 등을 보다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동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면 바람직하다. 예컨대, 수동으로 이동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이동모드 버튼(5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윈도우즈 메뉴(30)에 이동모드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장치(100)는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90)는 속도센서(170)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화면에 제어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값이 30Km/h인 경우, 차량의 속도가 30Km/h을 넘게 되면, 자동으로 터치스크린부(160)에 제어영역이 설정된다. 또한, 전체화면 모드로 영상이 표시될 경우, 자동으로 제어영역이 설정되게 하면 편리하다.
속도센서(170)는 이동 속도를 측정한다. 속도센서(170)는 영상처리장치(10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영상처리장치(100)가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차속센서를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자동차에는 주로 리드형 속도계가 많이 사용된다. 속도계 케이블 1회전 당 4번의 디지털 펄스가 컴퓨터에 입력되면, 이 신호를 기초로 하여 공전 속도 및 연료 분사량을 조절한다. 리드 스위치 타입은 운전석 계기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속도계에 내장되어 있다. 차속센서의 종류는 리드 스위치 타입(0~12V), 홀 타입(0~5V), 마그네틱 타입(0~20V) 등이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메뉴에 대한 좌표정보와, 각각의 메뉴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이동모드일 경우의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영역의 영역정보와 이동속도의 기준값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제품출하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장치에 방송신호가 수신되고(S10), 수신된 신호는 영상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되어 디코딩된다(S20). 영상을 표시하기 전에, 이동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0). 이동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전체화면을 4등분하여 제어영역을 설정한다(S4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영역(21)은 채널UP영역으로, 하위영역(22)은 채널DOWN영역으로, 우측영역(23)은 음량UP영역으로, 좌측영역(24)은 음량DOWN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화면 모드로 영상을 표시한다(S50).
제어영역이 터치될 경우, 해당 제어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된다(S60).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한 제어영역이 음량UP영역이면, 음량을 키우고, 해당 제어영역이 채널DOWN영역이면, 채널을 낮춘다. 단계 S30에서, 이동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속도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70). 이동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단계 S40을 수행한다. 예컨대, 기준값이 30Km/h인 경우, 차량의 속도가 30Km/h을 넘게 되면, 자동으로 제어영역이 설정된다. 단계 S70에서, 이동속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윈도우즈 메뉴에 따라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윈도우즈 모드가 실행된다(S80).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 등에 설치된 영상처리장치나 PDA, 핸드폰 등의 휴대용 영상처리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중 터치스크린의 입력방법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방송채널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마련되어, 화면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상기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화면에 상기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영역에 채널제어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채널제어영역이 터치될 경우, 상기 튜너를 해당 채널제어영역의 기능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영역에 음량제어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음량제어영역이 터치될 경우,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해당 음량제어영역의 기능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20060096256A 2006-09-29 2006-09-29 영상처리장치 KR10128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256A KR101282264B1 (ko) 2006-09-29 2006-09-29 영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256A KR101282264B1 (ko) 2006-09-29 2006-09-29 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21A KR20080030321A (ko) 2008-04-04
KR101282264B1 true KR101282264B1 (ko) 2013-07-10

Family

ID=3953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256A KR101282264B1 (ko) 2006-09-29 2006-09-29 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2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6837A (ja) * 2004-09-16 2006-03-30 Sharp Corp 携帯型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6837A (ja) * 2004-09-16 2006-03-30 Sharp Corp 携帯型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21A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86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rminal operation method
EP2330486B1 (en) Image display device
US927102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630825B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비하는 차량용 텔레비전의 방송채널자동 변경 장치 및 방법
JP468331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30002576A1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US20120242577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cursor on a screen
US20130176246A1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110023406A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US7957883B2 (en) Handheld inform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4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KR100924532B1 (ko) 차량용 비디오 인터페이스의 ir 제어신호에 의한 외부 주변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866088A (zh) 汽车娱乐主机、汽车娱乐主机控制方法及装置
JP5701452B2 (ja) 情報機器および操作画面の表示方法
US7835763B2 (en)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282264B1 (ko) 영상처리장치
JP2009163435A (ja) 情報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KR20070067297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JP2015090575A (ja) 電子装置、操作ボタンの候補選択方法及び候補選択プログラム
US9400568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54886B1 (ko) 디엠비 수신장치를 갖는 디엠비 마우스
JP2010004091A (ja) 放送受信装置
KR20110058348A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3663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채널 전환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3771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