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406A -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406A
KR20110023406A KR1020090081267A KR20090081267A KR20110023406A KR 20110023406 A KR20110023406 A KR 20110023406A KR 1020090081267 A KR1020090081267 A KR 1020090081267A KR 20090081267 A KR20090081267 A KR 20090081267A KR 20110023406 A KR20110023406 A KR 2011002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digital broadcast
control
broadcast receiv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179B1 (ko
Inventor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8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179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812288.8A priority patent/EP2474158A4/en
Priority to DE202010018471.1U priority patent/DE202010018471U1/de
Priority to CN201410455102.2A priority patent/CN104301641A/zh
Priority to PCT/KR2010/005720 priority patent/WO2011025275A2/en
Priority to CN201080031722.3A priority patent/CN102474577B/zh
Priority to EP16002443.6A priority patent/EP3151547B1/en
Priority to US12/871,742 priority patent/US8826341B2/en
Publication of KR2011002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406A/ko
Priority to US14/339,218 priority patent/US9529453B2/en
Priority to US14/524,725 priority patent/US9124918B2/en
Priority to US14/866,255 priority patent/US95944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복잡한 리모컨을 단순화할 수 있고, 또한 리모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제고할 수가 있다.
스크린 리모컨, 공간 리모컨

Description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리모컨 (remote controller)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송출하므로,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하고 데이터 손실이 적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은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의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채널이나, 기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 예컨대 리모컨 (remote controller)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하는 채널 및 기능 등이 증 가함에 따라, 상기 채널 및 기능 등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하나의 리모컨을 구현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문제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상기 채널 및 기능 등을 처리할 수 있는 리모컨 버튼을 모두 상기 하나의 리모컨 내에 탑재하는 것은 어려워 지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해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등에서 제공하는 복잡한 기능 등을 보다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모컨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공간 리모컨 및 스크린 리모컨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과, 그리고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하는 복잡한 채널 및 기능 등을 보다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모컨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 및 스크린 리모컨의 대응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실질적으로 전술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판매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성하는 각 블록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듈 (module) 로 설계 가능하며, 상기 모듈은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영상/음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170), 음성출력부(175), 그리고 제어부(180) 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디스플레이(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 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입력부(110)는, 예컨대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 그리고 무선신호 입력부(114) 등을 포함한다.
상기 튜너부(111)는, 예컨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element)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구현되는 오브젝트(object)의 타입은, 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메뉴,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스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등이 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이하에서 후술할 다른 도면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대체하여,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대체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중 일부 화면 영역에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리모컨(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등에서 도시된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포인팅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팅이 상기 스크린 리모컨내의 특정 컨트롤 영역 내에 위치하면, 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선택된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스크린 리모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스크린 리모컨의 외관을 동시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2)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은,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소정 명령이 엽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공간 리모컨(201)이 앞뒤로 이동할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인터가 스크린 리모컨(도 2 및 도 3에서 'a' 로 표시)의 특정 영역내에서만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거나, 정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function)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과 스크린 리모컨을 대응시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고 기존의 리모컨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리모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어서,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의 위치에 따라,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스크린 리모컨의 내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리모컨(201)은,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그리고 제어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한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push) 동작을 통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가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가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제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공간 리모컨(201)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 리모컨(201)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부(280)는, 공간 리모컨(201)과 페어링(paring)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 리모컨(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51)와, 좌표값 산출부(154), 디스플레이 모듈(155), 판단 모듈(156), 그리고 제어 모듈(157)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해 공간 리모컨(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해 공간 리모컨(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51) 또는 수신 모듈(미도시)는, 공간 리모컨(201)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7)은,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상기 컨트롤 영역 및 상기 컨트롤 영역과 대응되어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요약 설명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만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 위치한 상황에서, 특정 버튼 신호(예컨대, '확인' 버튼 신호)가 인가된 경우를,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은, 채널 번호, 오디오의 크기, 장르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공간 리모컨과 스크린 리모컨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리모컨 구조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고, 디지털 방송의 수많은 채널 및 다양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 통신부(151)를 통해 수신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안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 y)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입력된 공간 리모컨(201) 전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 부(180)는, 공간 리모컨(2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공간 리모컨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 및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공간 리모컨(201)으로부터 수신한 포인팅 신호의 궤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그리고 기저장된 문자 인식 규칙에 근거하여 판단시, 상기 표시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에 대응하는 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문자와 관련된 방송 목록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방송 목록은,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채널 번호 및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프로그램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에 해당하는 문자가 "3" 인 경우, 상기 문자 "3"을 포함하는 채널 번호인 "3", "31", "33", "39" 등의 방송 목록을 표시할 수가 있으며, 또는 상기 표시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에 해당하는 문자가 "뉴"인 경우, 상기 문자 "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명인 "9시 뉴스", "MMM 뉴스", "경제 뉴스" 등의 방송 목록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전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보충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한다(S601). 한편, 예를 들어 상기 S601 단계는, 상기 컨트롤 영역 및 상기 컨트롤 영역과 대응되어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요약 설명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은, 예를 들어 채널 번호, 오디오의 크기, 장르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가 있다.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한다(S602). 이어서,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3). 한편, 예를 들어 상기 S603 단계는,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만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 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한다(S60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전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보충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문자 인식 규칙을 메모리에 기저장하고 있다(S701). 다만, 상기 문자 인식 규칙이라 함은,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로 표시된 이미지 형상을 상기 사용자 등이 의도한 문자로 자동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종래에 알려진 문자 인식 규칙을 차용할 수도 있고, 또는 하기 후술하는 프로세스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입력 받고(S702), 상기 입력된 포인팅 신호의 좌표값을 확인한다(S703).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확인된 좌표값에 따라 표시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4).
상기 판단 결과(S704)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바로 직전에 검색되었던 방송 목록을 표시하고(S705), 반면 상기 판단 결과(S704)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방송 목록을 표시한다(S706). 다만, 상기 방송 목록을 표시시, 채널번호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EPG 등에서 제공되는 방송 부가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과 스크린 리모컨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듀얼 리모컨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리모컨에 부착된 수많은 버튼들을 모두 제거할 수가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리모컨을 사용자의 나이, 취향 등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기능이 수시로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경우, 기존 리모컨의 하드웨어 내지는 버튼을 수정할 필요가 없이, 간단히 스크린 리모컨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것만으로, 전술한 상황들을 모두 대처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발명은 모두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 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성하는 각 블록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스크린 리모컨의 외관을 동시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스크린 리모컨의 내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6)

  1.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영역 및 상기 컨트롤 영역과 대응되어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요약 설명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만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은,
    채널 번호, 오디오의 크기, 장르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기저장된 문자 인식 규칙에 근거하여 판단시, 상기 표시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에 대응하는 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문자와 관련된 방송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목록은,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채널 번호 및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프로그램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7.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그리고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컨트롤 영역 및 상기 컨트롤 영역과 대응되어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요약 설명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만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은,
    채널 번호, 오디오의 크기, 장르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그리고
    기저장된 문자 인식 규칙에 근거하여 판단시, 상기 표시된 포인팅 신호의 궤적에 대응하는 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문자와 관련된 방송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목록은,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채널 번호 및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프로그램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또는 BBTV (BroadBand TeleVis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4. 스크린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중 일부 화면 영역에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팅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내의 특정 컨트롤 영역 내에 위치하면 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실행 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리모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모컨은 포인팅 신호를 출력하는 공간 리모컨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081267A 2009-08-31 2009-08-31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58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67A KR101589179B1 (ko) 2009-08-31 2009-08-31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DE202010018471.1U DE202010018471U1 (de) 2009-08-31 2010-08-26 Digitalsendungsempfänger, der von einer Bildschirm-Fernbedienung und einer Raumfernbedienung gesteuert wird
CN201410455102.2A CN104301641A (zh) 2009-08-31 2010-08-26 由屏幕遥控器和空间遥控器控制的数字广播接收器及其控制方法
PCT/KR2010/005720 WO2011025275A2 (en) 2009-08-31 2010-08-26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0812288.8A EP2474158A4 (en) 2009-08-31 2010-08-26 A DIGITAL RADIO RECEIVER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SCREEN AND A ROOM-REMOTE CONTROL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CN201080031722.3A CN102474577B (zh) 2009-08-31 2010-08-26 由屏幕遥控器和空间遥控器控制的数字广播接收器及其控制方法
EP16002443.6A EP3151547B1 (en) 2009-08-31 2010-08-26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871,742 US8826341B2 (en) 2009-08-31 2010-08-30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339,218 US9529453B2 (en) 2009-08-31 2014-07-23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524,725 US9124918B2 (en) 2009-08-31 2014-10-27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866,255 US9594437B2 (en) 2009-08-31 2015-09-25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67A KR101589179B1 (ko) 2009-08-31 2009-08-31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06A true KR20110023406A (ko) 2011-03-08
KR101589179B1 KR101589179B1 (ko) 2016-02-12

Family

ID=4362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67A KR101589179B1 (ko) 2009-08-31 2009-08-31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8826341B2 (ko)
EP (2) EP2474158A4 (ko)
KR (1) KR101589179B1 (ko)
CN (2) CN104301641A (ko)
DE (1) DE202010018471U1 (ko)
WO (1) WO201102527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332A (ko) * 2017-10-12 2019-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353490B2 (en) 2015-12-04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996B1 (ko) * 2011-09-02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기기 리스트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TW201337639A (zh) * 2012-03-09 2013-09-16 Utechzone Co Ltd 指向性影像操控裝置及其方法
US9432608B2 (en) * 2012-03-29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US20130271371A1 (en) * 2012-04-13 2013-10-17 Utechzone Co., Ltd. Accurate extended poi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SG11201408663PA (en) 2012-06-26 2015-02-27 Vodoke Asia Pacific Ltd A remote controller
KR101365614B1 (ko) * 2012-08-23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커넥티트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839398B (zh) * 2012-11-20 2017-12-29 华为终端有限公司 遥控器的键值信息处理方法及控制设备、遥控器
CN103414947B (zh) * 2013-07-26 2017-05-17 未来电视有限公司 数字电视epg文件管理的实现方法和装置
US10063802B2 (en) * 2013-08-2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KR102082653B1 (ko) * 2013-10-10 2020-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N103716673B (zh) * 2013-12-20 2017-01-25 深圳泰山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体感方式的点击按钮操控方法及系统
CN103809856A (zh) * 2014-02-24 2014-05-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第一电子设备
JP6675062B2 (ja) * 2015-03-27 2020-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20160366481A1 (en) * 2015-06-12 2016-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oriented input and output
CN105516753B (zh) * 2015-12-02 2018-09-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电视装置及系统
KR102521343B1 (ko) * 2016-04-25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52482B1 (ko) * 2016-05-16 2018-06-11 (주)휴맥스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2362850B1 (ko) * 2017-04-14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402513B1 (ko) 2017-09-15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4258089A3 (en) * 2018-08-08 2023-12-13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On-screen item grid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and ancillary device
CN111866566B (zh) * 2019-04-25 2022-06-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和图像显示系统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44U (ko) * 1999-05-24 2000-12-26 우영하 슬러지내 철분스케일 자동연속분리장치
US20060288370A1 (en) * 2005-05-10 2006-12-21 Rothschild Leigh M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P2056596A1 (en) * 2007-10-30 2009-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023A (en) * 1990-09-24 1992-11-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evious channel feature in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multiple rf inputs
US20020010918A1 (en) 1994-12-28 2002-01-24 E-Guid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 television on-screen guide
KR0147662B1 (ko) * 1995-08-31 1998-09-15 김광호 더블데크 비디오테이프레코더와 cd-ok 시스템 일체형 더블/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송신그래픽을 이용한 제어방법
JPH09130695A (ja) * 1995-11-02 1997-05-16 Toshiba Corp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WO1997029589A1 (fr) * 1996-02-09 1997-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epteur de television
KR19990008903U (ko) 1997-08-13 1999-03-05 전주범 위성방송 수신기의 가상 리모콘
US6346891B1 (en) * 1998-08-31 2002-02-12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with handling sensor in remote control device
JP2000242427A (ja) * 1999-02-22 2000-09-08 Hitachi Ltd 会議支援方法および装置
US7102616B1 (en) * 1999-03-05 2006-09-05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pointing capacity
FR2802653B1 (fr) * 1999-12-21 2003-01-24 Poseidon Procede et systeme pour detecter un objet devant un fond
GB0007242D0 (en) 2000-03-24 2000-05-17 Tvcompass Com Ltd Remote control devices
US7009626B2 (en) * 2000-04-14 2006-03-07 Picsel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graphical data and digital document processing
US7057670B2 (en) * 2000-04-27 2006-06-06 Dan Kikinis Cursor control system
US6501516B1 (en) * 2000-06-16 2002-12-31 Intel Corporation Remotely controlling video display devices
US6750801B2 (en) * 2000-12-29 2004-06-1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directional mode indicator
US6724368B2 (en) * 2001-12-14 2004-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television receiver
US20030121059A1 (en) 2001-12-21 2003-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minder message to display
US20030196199A1 (en) 2002-04-11 2003-10-16 Era Digital Media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user for watching DTV over the Internet
GB2391148B (en) * 2002-07-19 2006-01-04 Autodesk Canada Inc Selecting functions via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40123320A1 (en) * 2002-12-23 2004-06-24 Mike Dail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guide for multimedia selection
US7233316B2 (en)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US20040268393A1 (en) * 2003-05-08 2004-12-30 Hunleth Frank A. Control framework with a zoom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organizing, selecting and launching media items
US20050073497A1 (en) * 2003-09-12 2005-04-07 Taek Sung Kim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sensing motion
US7209116B2 (en) * 2003-10-08 2007-04-24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 device having integrated mouse and remote control capabilities
FR2862469B1 (fr) * 2003-11-14 2006-06-30 Sagem Procede de commande d'un appareil de restitution audio/video via une interface restreinte
US20050132420A1 (en) * 2003-12-11 2005-06-16 Quadrock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with television content
JP2007535773A (ja) * 2004-04-30 2007-12-06 ヒルクレスト・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由空間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JP2005328379A (ja) * 2004-05-14 2005-11-24 Toshiba Corp 入力ガイド表示操作システム
JP2006001203A (ja) 2004-06-18 2006-01-05 Toyo Mach & Metal Co Ltd 成形機システム
JP4455185B2 (ja) * 2004-06-29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1098424A (zh) * 2006-06-30 2008-01-02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运用屏幕视控的电视控制系统及其方法
US8194034B2 (en) * 2006-12-20 2012-06-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US8443397B2 (en) * 2006-12-27 2013-05-14 Kyocera Corporat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1336223B1 (ko) * 2007-01-26 2013-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JP2008263308A (ja) * 2007-04-10 2008-10-30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20080301735A1 (en) * 2007-05-31 2008-12-04 Christian Thomas Chicles User interface screen magnifying glass effect
US8739213B2 (en) * 2007-06-29 2014-05-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for past current and future programming
US20100299710A1 (en) * 2007-09-20 2010-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and video apparatus and input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201210349Y (zh) * 2008-02-27 2009-03-18 刘烽 基于动作感应的互动电视用户界面遥控系统
US20090288041A1 (en) * 2008-05-14 2009-11-19 Amy Herrman Dewar Methodology to Create a Logical Landing Zone Surrounding an Object to React to Determined HTML Events
US8310602B2 (en) * 2008-12-16 2012-11-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active remote control
US20100192181A1 (en) * 2009-01-29 2010-07-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Navigate an Electonic Program Guide (EPG) Display
CN101488030A (zh) * 2009-02-10 2009-07-2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显示屏调整装置以及方法
KR101570696B1 (ko) 2009-05-29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44U (ko) * 1999-05-24 2000-12-26 우영하 슬러지내 철분스케일 자동연속분리장치
US20060288370A1 (en) * 2005-05-10 2006-12-21 Rothschild Leigh M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P2056596A1 (en) * 2007-10-30 2009-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3490B2 (en) 2015-12-04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041332A (ko) * 2017-10-12 2019-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275A2 (en) 2011-03-03
US9594437B2 (en) 2017-03-14
EP2474158A4 (en) 2014-09-24
US20140337891A1 (en) 2014-11-13
US20110055865A1 (en) 2011-03-03
KR101589179B1 (ko) 2016-02-12
US20160011679A1 (en) 2016-01-14
US8826341B2 (en) 2014-09-02
CN104301641A (zh) 2015-01-21
CN102474577B (zh) 2014-10-15
EP3151547B1 (en) 2019-04-10
DE202010018471U1 (de) 2016-12-19
EP3151547A1 (en) 2017-04-05
US20150046948A1 (en) 2015-02-12
US9529453B2 (en) 2016-12-27
EP2474158A2 (en) 2012-07-11
CN102474577A (zh) 2012-05-23
WO2011025275A3 (en) 2011-06-30
US9124918B2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3406A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564785B1 (ko)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가이드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152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27102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483936B2 (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6585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508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1599530B1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599531B1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596841B1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201601475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74939B1 (ko)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08015A (ko)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41834A (ko)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20110077359A (ko) 영상 표시 장치의 설정 메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KR20110040077A (ko)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20080011818A (ko)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osd를 표시하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방법
KR20120047566A (ko)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JP2010541324A (ja) 遠隔被制御システムの待ち時間を改善する遠隔制御装置及び方法
KR2011000893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47464A (ko) 영상 신호 녹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