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773B1 -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773B1
KR101281773B1 KR1020110089674A KR20110089674A KR101281773B1 KR 101281773 B1 KR101281773 B1 KR 101281773B1 KR 1020110089674 A KR1020110089674 A KR 1020110089674A KR 20110089674 A KR20110089674 A KR 20110089674A KR 101281773 B1 KR101281773 B1 KR 10128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servoir
cleaning device
roll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196A (ko
Inventor
양경식
이종남
박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8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7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연료 또는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지지 롤러와 리턴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연료 또는 원료를 담아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 구동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부; 구동풀리부에 설치되어,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1차로 제거하기 위한 1차 클리닝 장치; 및 1차 클리닝 장치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1차 클리닝 장치에서 제거되지 않은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2차 클리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CLEANING DEVICE OF BELT SURFACE}
본 발명은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클리닝 장치를 통과한 후에도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 설비의 벨트는 연료 또는 원료를 담아서 연속적으로 이송됨으로써 연료 또는 원료를 사용 장소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료 또는 원료의 수송시에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클리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또는 원료를 담아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10)와, 상기 벨트(10)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부(20)와, 상기 구동풀리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10)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30)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구동풀리부(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벨트(10)가 일방향으로 이동한 후 리턴 롤러(40)로 되돌아 간다. 이때, 상기 벨트(10)가 상기 구동풀리부(20)를 지날 때 상기 클리너(30)가 상기 벨트(10)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클리너(30)는 상기 벨트(10)의 표면과 단순히 접촉되어 상기 벨트(10)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상기 벨트(10)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클리너(30)를 통과한 후에도 상기 벨트(10)의 표면에 여전히 미세한 착분이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벨트 표면에 남아 있는 미세한 착분은, 상기 벨트가 구동풀리부를 통과한 후 이송 설비 주변, 즉 리턴 롤러에 분진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설비 자체를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1차 클리닝 장치를 통과한 후에도 벨트 표면에 남아 있는 미세한 착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설비 주변의 분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설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또는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지지 롤러와 리턴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연료 또는 원료를 담아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
구동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부;
상기 구동풀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1차로 제거하기 위한 1차 클리닝 장치; 및
상기 1차 클리닝 장치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1차 클리닝 장치에서 제거되지 않은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2차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차 클리닝 장치는 상기 리턴 롤러와 상기 리턴 롤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2차 클리닝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의 물 상부에 부상되고, 상기 벨트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개의 클리닝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볼은 구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클리닝 볼이 상기 저수조의 물 위에 부상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내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수세하기 위한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벨트를 상기 저수조의 물 위로 눌러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싱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2차 클리닝 장치는, 상기 클리닝 볼이 벨트 표면과 접촉시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결 발생 장치는, 상기 저수조의 내, 외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부; 및 상기 물결 발생부를 저수조의 내, 외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결 발생부는 상기 저수조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 외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 롤러와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 롤러; 및
상기 피동 롤러와 상기 로드를 서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피동 롤러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로드의 왕복 운동으로 변경시켜주는 크랭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1차 클리닝 장치를 통과한 후에도 벨트 표면에 남아 있는 미세한 착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설비 주변의 분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설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 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 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는, 연료 또는 원료를 담아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100)와, 상기 벨트(100)를 구동시키는 구동풀리부(200)와, 상기 구동풀리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100)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1차로 제거하기 위한 1차 클리닝 장치(300)와, 상기 1차 클리닝 장치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1차 클리닝 장치에서 제거되지 않은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2차 클리닝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100)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 롤러(110)와 리턴 롤러(1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부(200)는 상기 벨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구동 롤러(21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2차 클리닝 장치(400)는 상기 리턴 롤러(120)와 상기 리턴 롤러(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클리닝 장치(400)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410)와, 상기 저수조의 물 상부에 부상되고, 상기 벨트(100)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개의 클리닝 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410)의 측면에는 상기 저수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12)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412)에는 저수조 내부로 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공급 밸브(4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410)의 하단에는 상기 저수조(4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416)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416)에는 상기 저수조(410) 내부의 물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418)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 볼(420)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벨트 표면과 접촉될 수 있으면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클리닝 볼(420)은 상기 저수조(410)의 물 위로 통과하는 상기 벨트(100) 표면과 계속하여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410)의 상부에 가득히 배치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볼(420)은 구형으로 형성된 본체(421)와, 상기 클리닝 볼(420)이 저수조(410)의 물 위에 부상 가능하게 상기 본체(421)의 내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중공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422)에는 상기 클리닝 볼을 물 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422)의 내부 중앙 하단부에는 상기 클리닝 볼의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중심추(4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추(424)는 상기 클리닝 볼의 중심을 잡아주면서 클리닝 볼이 저수조 물 위로 부상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일정한 크기의 이하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볼(420)의 본체(4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벨트(100)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수세하기 위한 부직포(426)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426)는 상기 벨트(100) 표면과 접촉되어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효과적으로 수세할 수 있도록 거친 표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410)의 상부에는 상기 벨트(100)를 상기 저수조(410)의 물 위로 눌러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싱롤러(43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싱 롤러(430)는 상기 저수조(410)의 상부에 한 개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벨트(100)를 상기 저수조의 물 위로 효과적으로 눌러주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4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2차 클리닝 장치(400)는 상기 클리닝 볼이 벨트 표면과 접촉시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410)에 저장된 물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결 발생 장치(500)는 상기 저수조의 내, 외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410)의 내부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부(510)와, 상기 물결 발생부(510)를 상기 저수조(410)의 내, 외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작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결 발생부(510)는 상기 저수조(410)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삽입구멍(512)과; 상기 삽입구멍(51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410)의 내, 외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로드(514)와; 상기 로드(514)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514)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410)의 내부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 부재(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410)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구멍(512)에 삽입된 로드(514)의 외주면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5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520)는 상기 구동 롤러(210)와 연결 부재(522)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롤러(2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 롤러(524)와;
상기 피동 롤러(524)와 상기 로드(514)를 서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피동 롤러(524)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로드(514)의 왕복운동으로 변경시켜주는 크랭크축(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의 작용에 대해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2차 클리닝 장치(400)의 공급 밸브(414)를 열어서 공급관(412)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410) 내부에 일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저수조(410)의 상부에서 클리닝 볼(420)이 중심추(424)에 의하여 중심을 잡으면서 부상되는 부력에 의하여 클리닝 볼(420)이 상기 벨트(100)에 접촉될 때까지 물을 공급한 후 공급관(412)의 공급 밸브(414)를 닫아 준다.
그리고, 상기 푸싱롤러(430)가 상기 벨트(100)를 상기 저수조(410)의 물 위로 눌러주어 상기 벨트(100)와 상기 클리닝 볼(420)이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되도록 조절한다.
이 때, 상기 클리닝 볼(420)은 중심추(424)에 의하여 중심을 잡으면서 중공부(422)에 의한 자체의 부력 때문에 상기 저수조(410)의 상부에 부상되어, 상기 클리닝 볼(420)의 부직포(426)가 상기 벨트(100)의 표면과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롤러(21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롤러(2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 풀리부(2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벨트(100)는 지지 롤러(110)와 리턴 롤러(12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연료 또는 원료를 이송한 후 상기 구동풀리부(200) 쪽으로 이동한 후 상기 구동풀리부(200)를 통과한 후 상기 리턴 롤러(120)로 되돌아 간다.
상기 벨트(100)가 상기 구동풀리부(200)를 통과할 때, 상기 1차 클리닝 장치(300)는 상기 벨트(100)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1차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물결 발생 장치(500)의 작동부(520)의 피동 롤러(524)가 연결부재(522)에 의하여 상기 구동 롤러(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동 롤러(524)의 회전 운동은 크랭크축(526)에 의하여 물결 발생부(510)의 로드(514)의 왕복으로 운동으로 변경되고, 상기 로드(514)가 저수조(410)의 측면에서 상기 저수조(410)의 내, 외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에 따라 물결 발생부(510)의 물결 발생 부재(516)가 상기 저수조(410) 내부에서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저수조(410) 내부에 물결을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1차 클리닝 장치(300)를 통과한 벨트(100)는, 상기 리턴 롤러(120)와 상기 리턴 롤러(1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2차 클리닝 장치(400)의 저수조(410) 물 상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벨트(100)가 상기 저수조(410)의 물 상부를 통과하면, 상기 벨트(100)는 푸싱롤러(430)에 의하여 눌러지면서 상기 저수조(410)의 물 상부에 부력에 의하여 부상되어 있는 클리닝 볼(420)의 부직포(426)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클리닝 볼(420)은 물결 발생 부재(516)에 의한 물결 발생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410)의 물 상부에서 유동 상태로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클리닝 볼(420)의 부직포(426)에는 물에 젖어 있으므로, 상기 벨트(100)의 표면은 클리닝 볼(420)의 부직포(426) 및 물과 접촉된 상태로 되는데, 상기 1차 클리닝 장치(300)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상기 벨트의 표면에 남아 있는 미세한 착분 등은 물에 의하여 수세됨과 아울러 상기 클리닝 볼(420)의 부직포(426)와 접촉에 의하여 상기 벨트(100)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볼(420)의 부직포(426)는 상기 저수조(410)의 물 상부에서 유동 상태로 상기 벨트(100)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 벨트(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2차 클리닝 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벨트(100)의 표면에 남아 있는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한 후 상기 저수조(410)의 물을 배출하려면, 드레인 밸브(418)를 열어서 배출관(416)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4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는, 1차 클리닝 장치를 통과한 후에도 벨트 표면에 남아 있는 미세한 착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설비 주변의 분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설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벨트 200: 구동풀리부
300: 1차 클리닝 장치 400: 2차 클리닝 장치
410: 저수조 420: 클리닝 볼
500: 물결 발생 장치 510: 물결 발생부
520: 작동부

Claims (10)

  1. 연료 또는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지지 롤러와 리턴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연료 또는 원료를 담아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
    구동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부;
    상기 구동풀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1차로 제거하기 위한 1차 클리닝 장치; 및
    상기 1차 클리닝 장치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1차 클리닝 장치에서 제거되지 않은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2차 클리닝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2차 클리닝 장치는 상기 리턴 롤러와 상기 리턴 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2차 클리닝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의 물 상부에 부상되고, 상기 벨트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개의 클리닝 볼을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볼은 구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클리닝 볼이 상기 저수조의 물 위에 부상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내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착분 등을 수세하기 위한 부직포가 부착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벨트를 상기 저수조의 물 위로 눌러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싱롤러가 설치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클리닝 장치는, 상기 클리닝 볼이 벨트 표면과 접촉시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 발생 장치는, 상기 저수조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 발생부; 및 상기 물결 발생부를 저수조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 발생부는 상기 저수조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외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물결을 발생하기 위한 물결발생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 롤러와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 롤러; 및
    상기 피동 롤러와 상기 로드를 서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피동 롤러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로드의 왕복 운동으로 변경시켜주는 크랭크축을 포함하는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KR1020110089674A 2011-09-05 2011-09-05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KR101281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74A KR101281773B1 (ko) 2011-09-05 2011-09-05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74A KR101281773B1 (ko) 2011-09-05 2011-09-05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96A KR20130026196A (ko) 2013-03-13
KR101281773B1 true KR101281773B1 (ko) 2013-07-02

Family

ID=4817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674A KR101281773B1 (ko) 2011-09-05 2011-09-05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619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벨트 이송물 적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22A (ko) * 2002-07-09 2004-01-16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미세분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22A (ko) * 2002-07-09 2004-01-16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미세분진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619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벨트 이송물 적재장치
KR102249944B1 (ko) * 2019-09-19 2021-05-1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벨트 이송물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96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382B2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CN206541804U (zh) 基板处理系统
KR100958793B1 (ko) 웨이퍼 쉽핑박스의 세정을 위한 박스 크리너
US10170343B1 (en) Post-CMP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brush self-cleaning function
KR20100096904A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81773B1 (ko) 벨트 표면의 클리닝 장치
KR101816692B1 (ko) 기판 처리 시스템
CN109585263A (zh) 用于清洁晶圆的方法
TW201628547A (zh) 小型洗碗機
US10525736B2 (en) Recording apparatus
JP2018118230A (ja) 洗浄装置、洗浄方法
KR20110066275A (ko)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세척장치
KR101786485B1 (ko) 화학 기계적 연마시스템
CN209031163U (zh) 一种用于野木瓜加工的清洗装置
JP2007143502A (ja) 作物洗浄装置
CN110391170B (zh) 一种晶圆夹持机械手臂及其清洗晶圆的方法
CN114649245B (zh) 一种用于承载和清洁硅片的装置
JP2013220484A (ja) 研削装置
CN102435058A (zh) 干燥设备、去光阻设备及干燥方法
JP2001179188A (ja) ディスク洗浄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ディスク洗浄装置
JP7288370B2 (ja) ウェーハ洗浄機構
JP2023050877A (ja) 洗浄装置
CN203884643U (zh) 用于榨菜深度除杂装置
KR102081652B1 (ko) 탈지용액 저장탱크의 거품 제거장치
JP2016036785A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