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439B1 - 자외선살균소독기 - Google Patents

자외선살균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439B1
KR101281439B1 KR1020100113718A KR20100113718A KR101281439B1 KR 101281439 B1 KR101281439 B1 KR 101281439B1 KR 1020100113718 A KR1020100113718 A KR 1020100113718A KR 20100113718 A KR20100113718 A KR 20100113718A KR 101281439 B1 KR101281439 B1 KR 10128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locking
sterilizer
coupled
transpar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518A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0011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시 자외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살균소독기는, 전면이 개방된 살균실(11)을 여닫게 본체(10)에 설치하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도어(30)와, 탄성재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부(311)에 결합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차단부(42)를 구비하는 차단부재(40) 및 단면이 "U"자형으로 되게 탄성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단부(312)에 결합하면 전면부는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면부는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투명판의 전면 외주연과 밀착되게 하는 패킹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살균소독기{Ultraviolet rays sterilizer}
본 발명은 자외선살균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시 자외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살균소독기는 UV-C(단파)의 자외선 중에서 가장 살균력이 강한 253.7㎚의 자외선이 풍부하게 발생하는 자외선살균램프를 이용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곰팡이 등 대부분의 세균을 살균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식품·의료·화장품·전자공업 등의 여러 분야에는 물론이고 음료수나 실내 공기의 살균 등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러한 기능을 갖는 자외선살균소독기로는 전면이 개방된 살균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천장에 부설되는 자외선살균램프 및 상기 개방된 전면을 여닫게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살균실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프레임의 내주면에 투명판의 외주면을 접착고정시켜 되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한 구조로 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자외선살균소독기는 가동할 때 자외선살균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이 본체와 도어의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전면 외주연과 맞닿게 되는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 벨벳이나 융단과 같이 표면에 짧은 털이 촘촘히 돋게 짠 직물을 띠 형태로 재단하여 두께가 얇은 면상으로 된 차단재를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였는데, 이렇게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었기 때문에 두께가 얇거나 두껍게 도포되는 등의 도포상태에 따라 면상으로 된 차단재의 높낮이가 다르게 되므로 비록 그 높낮이의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하여도 도어를 닫았을 때 차단재와 본체의 전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자외선이 누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게 되는 매우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단재가 면상의 직물로 되는 것이므로 접착제가 굳으면 함께 딱딱하게 되므로 차단기능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은 물론 도어를 여닫을 때마다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도어 프레임의 내주면에 외주연을 결합한 다음 후면 외주연부를 실리콘으로 접착고정한 투명판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실리콘이 부분적으로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투시창을 통한 자외선의 누출현상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이 누출되는 자외선에 사용자의 눈이나 피부가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면 각막염이나 피부 염증이 발생하게 되었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실명하게 되거나 피부암 등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시 자외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이 장기간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한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면이 개방된 살균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천장에 부설되는 자외선살균램프 및 상기 개방된 전면을 여닫게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살균실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프레임의 내주면에 투명판의 외주면을 접착고정시켜 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외선살균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부를 형성하여 몸체부의 후단에 차단부가 일체로 연장된 차단부재를 결합고정하여 도어를 닫으면 차단부가 압축되면서 본체의 전면 외주연에 밀착되어 자외선이 누출될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투명판의 외주면을 결합하는 프레임의 내주면 전단부에는 "U"자 형태로 된 패킹부재를 결합한 다음 그 후면에 투명판의 전면 외주연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후면 외주연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내주면 사이를 실리콘으로 접착고정하여 투명판의 전·후면 외주연이 패킹부재와 실리콘의 사이에 매립되는 상태로 밀착고정되게 함으로써 자외선이 누출될 틈새가 근본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부재를 천연 또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차단부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으로 되게 형성하여 도어를 닫아서 상기 차단부가 압착되면 자체 탄성과 공동에 수용되어 압축되는 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밀착되게 하므로 밀폐기능이 더욱 확실하게 수행되도록 구성한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의 결합홈부에 결합하는 차단부재의 몸체부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를 몸체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하는 결합홈부에 결합하면 자체 탄성과 관통공에 수용되어 압축되는 공기의 반반력에 의해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킹부재를 천연 또는 합성고무 등의 타성재로 형성함으로써 투명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밀착상태는 물론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완충시켜 주게 하므로 상기 투명판의 접착고정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한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살균소독기는, 도어를 닫으면 차단부재의 차단부가 압축되면서 본체의 전면 외주연에 밀착되어 자외선이 누출될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투시창을 형성하는 투명판의 전·후면 외주연이 패킹부재와 실리콘의 사이에 매립되는 상태로 밀착고정되게 하여 자외선이 누출될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가동시 자외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부재의 차단부는 그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으로 되게 형성함으로써 도어를 닫아 상기 차단부가 압착되면 자체 탄성과 공동에 수용되어 압축되는 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밀폐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패킹부재는 자체 탄성에 의해 투명판과의 접촉부분과 밀착됨과 동시에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밀폐부재에 의한 투명판의 접착고정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의 누출을 차단하는 기능이 장기간 변함없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그 수명단축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가 적용되는 자외선살균소독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서 일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측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서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측 단면도
도 3은 도 2a,b에서 차단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a,b에서 패킹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살균소독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가 적용되는 자외선살균소독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서 일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측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a,b에서 차단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a,b에서 패킹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살균소독기는, 전면이 개방된 살균실(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 천장에 부설되는 자외선살균램프(20) 및 상기 개방된 전면을 여닫게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살균실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투시창(30a)을 구비하는 도어(30)를 포함하여 된다.
본체(10)는 장방체로 형성되며, 살균실(11)에는 살균소독대상물이 식판이나 컵 등일 때에는 선반(12)을 설치하고, 위생복이나 앞치마 등일 때에는 옷걸이를 설치하는 등 그 용도에 필요한 기구를 설치하면 된다.
도어(30)의 프레임(31)은 판재를 장방형으로 되게 구부려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면의 중간에는 결합홈부(311)를 형성하고, 서로 합쳐지게 각각 수직으로 연장하는 전면과 후면의 내단부(312)는 스폿용접하여 접합한다.
그리고, 결합홈부(311)에는 천연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는 차단부재(40)를 결합한다.
차단부재(40)는, 결합홈부(311)에 결합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차단부(42)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부재(40)를 결합홈부(311)에 결합할 때에는 접착제(40a)를 사용하여 몸체부(41)를 결합고정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폭(f)을 결합홈부의 상하폭보다 조금 크게 하는 반면에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411)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폭들의 차이에 비례하는 상태로 몸체부가 압축되면서 결합홈부에 결합되게 하여도 된다.
이렇게 압축되는 상태로 결합하면,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의 작용으로 몸체부(41)는 결합홈부(311)에 단단히 결합고정된다.
차단부(42)는 몸체부(41)의 후단에 지름(d)이 상기 몸체부의 상하폭보다 큰 반원형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421)으로 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41)를 결합홈부(33)에 결합하면 상하폭(f)과 지름(d)의 차이에 비례하여 차단부(42)의 전면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 상하를 연결하게 형성되는 단턱(44)들이 상기 결합홈부의 후단 상하면에 받쳐지게 됨과 동시에 차단부(42)는 후방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차단부재(40)가 결합된 도어(30)를 닫으면 차단부(42)는 압축되면서 상기 도어와 본체(10)의 사이에 개재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차단부는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본체의 전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밀착되기 때문에 자외선이 본체와 도어의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30)를 열면 압착되었던 차단부(42)는 자체 탄성에 의해 신속하게 반 원형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몸체(41)의 후단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4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은, 도어(30)를 닫아서 차단부(42)가 압착될 때 공동(421)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가 모두 빠져나가지 않고 홈(43)에 잔류하게 하여 상기 차단부의 내면과 몸체부(41)의 후단면이 서로 완전히 흡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열었을 때 차단부가 신속히 복원되게 함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흡착으로 인한 부분적인 변형이 초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투시창(30a)은, 프레임(31)의 내단부(312)에 결합하면 전면부(51)는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면부(52)는 후방으로 노출되는 "U"자 형태의 패킹부재(50)와, 상기 패킹부재의 후면부(52)에 전면 외주연을 밀착하며 판유리 등으로 되는 투명판(32)과, 상기 투명판의 후면 외주연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와 고정하는 밀폐부재(60)로 도어(30)에 설치된다.
패킹부재(50)는 천연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며, 자체 탄성에 의해 후면부(52)가 투명판(32)의 전면 외주연에 밀착되어 자외선이 누출될 수 있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30)를 여닫을 때마다 발생하게 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투시창(30a)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지지하는 작용도 한다.
밀폐부재(60)는 접착성과 밀폐작용이 양호한 실리콘 등으로 되며, 투명판(32)의 후면 외주연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31)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와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투명판(32)은 그 전후면 외주연이 패킹부재(50)와 밀폐부재(60)에 의해 프레임(31)의 내주면에 단단히 고정설치되며, 이에 따라 투시창(30a)은 근본적으로 자외선이 누출될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도어(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살균소독기는, 가동시 도어(10)를 닫으면 본체(10)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후면 사이는 차단부재(40)에 의해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되고, 또한, 투시창(30a)은 투명판(32)의 전후면 외주연을 패킹부재(50)와 밀폐부재(60)로 밀착 고정되어 자외선이 외부로 전혀 누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본체 11 : 살균실
20 : 살균램프 30 : 도어
31 : 프레임 32 : 투명판
40 : 차단부재 41 : 몸체부
42 : 차단부 43 : 홈
50 : 패킹부재 60 : 밀폐부재
311 : 결합홈부 411 : 관통공
421 : 공동

Claims (3)

  1. 전면이 개방되고 천장에는 자외선살균램프(20)가 설치되는 살균실(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살균실(11)의 개방된 전면을 여닫게 본체(10)에 설치되며 투명판(32)으로 형성되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30)의 후면에 결합하는 차단부재(40)와, 상기 투명판(32)의 외주연을 밀폐시켜 주는 패킹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외선살균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도어(30)의 프레임(31) 후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311)에 결합되며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411)이 형성된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되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421)으로 되는 차단부(42)와, 상기 몸체부(41)의 후단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킹부재(50)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1)의 서로 합쳐지게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의 내단부(312)에 결합하면 전면부는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면부는 후방으로 노출되어 투명판(32)의 전면 외주연과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살균소독기.
  2. 삭제
  3. 삭제
KR1020100113718A 2010-11-16 2010-11-16 자외선살균소독기 KR10128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718A KR101281439B1 (ko) 2010-11-16 2010-11-16 자외선살균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718A KR101281439B1 (ko) 2010-11-16 2010-11-16 자외선살균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18A KR20120052518A (ko) 2012-05-24
KR101281439B1 true KR101281439B1 (ko) 2013-07-02

Family

ID=4626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718A KR101281439B1 (ko) 2010-11-16 2010-11-16 자외선살균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801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리치룩스 살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476A (ko) 2018-10-06 2020-04-16 정연규 악세사리 소독기
IT202000010420A1 (it) * 2020-05-08 2021-11-08 Formenti & Giovenzana Mobile per sorgenti sterilizzanti e corrispondente procedimento
IT202000010429A1 (it) * 2020-05-08 2021-11-08 Formenti & Giovenzana Mobile per sorgenti sterilizzanti e corrispondente procediment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073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통신시스템용 캐비넷형 랙의 실링 메카니즘
KR200188493Y1 (ko) * 1999-12-29 2000-07-15 김부남 자외선 소독기
KR200266118Y1 (ko) 2001-11-21 2002-02-27 장재혁 문틀용 패킹
JP2005289579A (ja) * 2004-03-31 2005-10-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り場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073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통신시스템용 캐비넷형 랙의 실링 메카니즘
KR200188493Y1 (ko) * 1999-12-29 2000-07-15 김부남 자외선 소독기
KR200266118Y1 (ko) 2001-11-21 2002-02-27 장재혁 문틀용 패킹
JP2005289579A (ja) * 2004-03-31 2005-10-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り場ド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801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리치룩스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18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39B1 (ko) 자외선살균소독기
EP1695648B1 (en) Dust receptacle having ultraviolet (UV) transmission window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S2273920T3 (es) Embalajes multifuncionales para productos esterilizados o destinados a ser esterilizados.
NO20034801L (no) Forpakning for sterile produkter
KR101912314B1 (ko) 살균 소독기용 도어 및 그 제조방법
PT1666074E (pt) Lâmpada de desinfecção
FR2911072A1 (fr) Emballage pour produits qui doit etre decontamine par rayonnement
JP4744663B2 (ja) 容器とアイソレーターの間で殺菌した製品を移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FR3016271A1 (fr) Ensemble pour salles blanches a cagoule ou combinaison a lunettes integrees
CN208582736U (zh) 一种消毒柜
CN216786608U (zh) 衣物护理机
KR20200030211A (ko) 살균장치
JP5165647B2 (ja) チャンバーユニット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101672236B1 (ko)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CN214296611U (zh) 紫外线杀菌塑封结构及包含其的塑封机
JP4250438B2 (ja) 密閉用パッキン及び密閉容器
CN210370404U (zh) 一种医院ct室防辐射围护玻璃门
KR20160088139A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KR101781587B1 (ko) 자외선 살균기의 수분침투 방지구조
CN205287030U (zh) 封闭式食品包装间
KR101886285B1 (ko) 차폐효과가 증대된 조립식 방사선 차폐벽
KR101699933B1 (ko) 자외선 살균기용 반사판에 수분침투 방지판을 고정하는 고정클립
KR20180007902A (ko) 스팀 컨벡션 오븐용 도어 패킹 구조물
KR20170029184A (ko) 소독 및 해충퇴치 기능을 갖는 파우치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