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379B1 -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 Google Patents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379B1
KR101281379B1 KR1020110115477A KR20110115477A KR101281379B1 KR 101281379 B1 KR101281379 B1 KR 101281379B1 KR 1020110115477 A KR1020110115477 A KR 1020110115477A KR 20110115477 A KR20110115477 A KR 20110115477A KR 101281379 B1 KR101281379 B1 KR 10128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t bar
great
bar
support member
sin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0426A (en
Inventor
김재왕
이강복
김용암
변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379B1/en
Publication of KR2013005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6Endless-strand sinter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운송물 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운송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지지부재 사이에 걸쳐서 결합되며 본체의 하부를 차폐하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지지부재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지지부재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제공된 제1그레이트바; 및 제1그레이트바와 교번적으로 결합되며 지지부재에 끼워지는 끼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제공된 제2그레이트바;를 포함한다.A vehicle transport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transpor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bottom;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low the main body and provided in one direction; A first great bar coupl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and shielding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wherein the fitting portion fitted to the supporting member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 second great bar alternately coupled with the first great bar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tting portions fitted to the support member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Description

운송물 운송장치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Shipment Transport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소결광 등의 운송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잔류된 운송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운송물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the remaining transportation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transportation, such as sintered ore.

일반적으로 철강산업에서 사용되는 철광석은 성분, 크기 등이 일정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철광석의 생산 효율 및 품질 향상을 위해 철광석의 성분, 크기 등을 일정하게 처리하고 코크스 등과 혼합한 후 이를 소결시킨 소결광 등의 배합원료 형태로 고로에 장입된다.In general, the iron ore used in the steel industry is not constant in composition and size, and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of iron ore, the iron ore is treated with a constant amount and size, mixed with coke, and then sintered ore. It is charged to the blast furnace in the form of a blended raw material.

제철공장의 소결공정에서 사용되는 소결기는 철광석 또는 코스크 등의 운송물을 연속으로 이동시키며 소결광으로 제조되며, 이를 위해 운송물 운송장치로 소결대차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intering machine 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of the steel mill is manufactured as a sintered ore by continuously transporting transport materials, such as iron ore or coke, for this purpose, a sintering cart may be used as a transport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결대차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결대차에 결합된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sintering c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eat bar coupled to the sintering c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소결대차(10)는 하부가 개방된 본체(12)를 포함하고, 본체(12)의 양측에는 소결설비의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휠(14)이 제공될 수 있다.1 and 2, the sintered trolley 10 includes a main body 12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 are provided with a traveling wheel 14 moving along a running rail of the sintering facility. Can be.

또한, 본체(12)에는 다수의 인슐레이션 피스(Insulation Piece)(22)가 결합되는 하단지지부(22)가 구비된다. 또한, 이 인슐레이션 피스(22) 사이에는 본체(12)의 하부를 막으며 실질적으로 운송물이 적재되는 다수의 그레이트바(grate bar)(3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2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22 to which a plurality of insulation pieces 22 are coupl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grate bars 30 are coupled between the insulation pieces 22 to substantially block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2 and to which the shipment is loaded.

이 그레이트바(30)는 인접되는 다른 그레이트바 사이에 소정의 공간(A)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A)을 통해 운송물 내의 공기가 하부로 흡입된다.The great bar 30 has a predetermined space A between other adjacent great bars, and the air in the vehicle is sucked downward through the space A formed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종래의 소결대차(10)는 그레이트바(30) 사이에 제품으로 생산된 소결광 등의 잔류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여 끼거나 부착되어 잔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잔류된 운송물은 그레이트바(30) 사이의 공간(A)을 막아 바람이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결광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intered cart 10, residues such as sintered ore produced as a product between the great bars 30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and are stuck or adhered to each other. The wind interfering with the inhalation of air by blocking the space A therebetween, and as a result, it is a factor that lowers the productivity of the sintered ore.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공구 등을 이용하여 그레이트바(30)를 타격하여 충격을 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충격에 의해 그레이트바(30) 사이에 부착된 소결광을 제거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n operator hits the great bar 30 by using a hand tool or the like, thereby removing the sintered ore adhered between the great bars 30 by such an impact.

이와 같이, 종래에는 소결대차(10)에 잔류된 소결광 등의 운송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고온 및 분진의 발생할 수 있는 작업환경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As such, in the related art, a process of removing a transport object such as sintered ore remaining in the sintered trolley 10 is performed manually by an operator, which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operator, and works in a work environment in which high temperature and dust may occur. This is a threat to the safety of workers.

또한, 종래에는 그레이트바(30) 사이에 부착된 소결광이 쉽게 제거되지 않아, 그레이트바(30) 사이에 소결광이 잔류된 상태로 소결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잔류된 소결광이 그레이트바(30)에 융착될 경우 그레이트바(30)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sintered ore adhered between the great bars 30 is not easily removed, the sinte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sintered ore remains between the great bars 30, and thus the sintered ore that remains is the great bar 30. )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great bar 30 is f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송물 운송장치에 제공된 다수의 그레이트바들이 순환되며 회수되는 과정에서 유동하도록 하여, 이 유동에 의해 잔류된 소결광 등의 운송물이 탈락되도록 하여 그레이트바 사이의 공극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운송물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eat bars provided to a transport vehicle are circulated and flowed in a process of being recovered, thereby allowing the transport products such as sintered ore remaining by these flows to be dropped to secure voids between the great ba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ort system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운송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지지부재 사이에 걸쳐서 결합되며 본체의 하부를 차폐하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지지부재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지지부재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제공된 제1그레이트바; 및 제1그레이트바와 교번적으로 결합되며 지지부재에 끼워지는 끼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제공된 제2그레이트바;를 포함하고, 제1그레이트바 및 제2그레이트바는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제2그레이트바의 돌기부는 단부가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1그레이트바의 돌기부는 단부가 하향 경사면에 대응하는 상향 경사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transpor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bottom;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low the main body and provided in one direction; A first great bar coupl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and shielding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wherein the fitting portion fitted to the supporting member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 second great bar alternately coupled with the first great bar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tting portions fitted to the support member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great bar and the second great bar include: The side surface further includes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ach other,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great bar includes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and the protrusion of the first great bar includes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여기서, 제1그레이트바 및 제2그레이트바는 상부에 운송물이 적재되는 바디부와, 바디부 양측에 제공되어 지지부재의 상부에 걸리는 헤드부; 바디부의 하부 양측에 제공되어 지지부재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끼움부는 헤드부와 걸림부 사이에 제공되어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eat bars may include a body part in which a shipment is loaded on the upper part, and a head par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caught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include a catch portion that is caugh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he fitting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catch portion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삭제delete

더불어, 운송물 운송장치는 소결광을 제조공정에 사용되어 철광석을 포함하는 운송물을 운송하는 소결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transport apparatus may include a sintered cart for transporting a shipment including iron ore by using the sintered o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송물 운송장치가 회수되는 과정에서 운송물을 적재토록 제공되는 그레이트바들이 서로 다르게 유동하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량 등에 의해 그레이트바 사이에 부착된 소결광 등의 운송물을 탈락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레이트바 사이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통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결광 등의 제조효율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eat Bars provided to load the transports flow differentl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transport transport device, and dropping the transport materials such as sintered ore attached between the Great Bars by the impact amount generated in this process. As a result, the gaps between the great bars can be kept constant so that the ventil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sintered ore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결대차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결대차에 결합된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공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그레이트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제1그레이트바와 제2그레이트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제1그레이트바와 제2그레이트바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가 회송되는 상태의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와 도 10b는 도 6의 Ⅰ-Ⅰ선 및 도 9의 Ⅱ-Ⅱ선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가 회송되는 상태의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lan view of a sintering c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eat bar coupled to the sintering c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nte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nter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nter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eat bar of the sintered trolley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irst great bar and a second great bar of a sinter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 first great bar and a second great bar of a sinter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reat bar in the state that the sintered truck is retur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6 and line II-II of FIG. 9;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great bar of the sintered troll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reat bar in the state that the sintered truck is retur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공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nte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ntering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intering trolley | bogie.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운송장치는 철강산업에서 철광석을 소결광으로 가공하기 위해 소결기(110)를 포함하는 소결공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송물 운송장치의 일례로 소결대차(16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transpor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including a sintering machine 110 to process iron ore into sintered ore in the steel industry, an example of such a transportation device The sintered trolley 160 may be included.

소결기(110)는 철광석 또는 코스크 등의 운송물이 소결대차(160)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소결광을 제조할 수 있다.The sintering unit 110 may manufacture the sintered or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ransport, such as iron ore or coke by the sintering cart (160).

소결대차(160)는 철광석 원산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철광석 또는 코스크 등을 포함하는 배합원료 등의 운송물을 연속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The sintered trolley 160 is used to continuously move a shipment of a compound material such as iron ore or coke supplied from an iron ore origin or the like.

이를 위해, 소결기(110)는 소결대차(160)가 이동 가능토록 제공된 주행레일(112)을 포함하며, 소결대차(160)를 주행레일(112)에 장착한 후, 이를 무한궤도형태로 여러대를 연이어 이동시키며 소결광을 제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intering unit 110 includes a running rail 112 provided so that the sintering truck 160 is movable, and after the sintering truck 160 is mounted on the running rail 112, the sintered truck 160 is placed in various tracks. The sintered ore can be manufactured by continuously moving the stages.

한편, 소결대차(160)는 소결기(110)로 이동된 후, 장입호퍼(120)로부터 공급된 배합원료가 저장된 상태에서 점화로(130)를 통과하면, 원료중에 혼합된 코크스가 착화되고, 소결대차(160)가 연속주행하는 동안 그 하부에 위치한 메인 블로워(Main Blower)(140)로부터 흡입되는 흡입력이 소결대차(160) 하부의 윈드 박스(Wind Box)(150)측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소결대차(160)의 표면측에 착화된 화기가 원료장입층의 아래쪽, 즉 소결대차(160)의 바닥측으로 옮겨지면서 배합원료의 소결작업이 수행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intering truck 160 is moved to the sintering machine 110, and passes through the ignition furnace 130 in a state in which the blending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charging hopper 120 is stored, coke mixed in the raw material is ignited, Since the suction force sucked from the main blower 140 located below the sintering cart 160 during continuous driving generates the suction force toward the wind box 150 under the sintering cart 160, The sintering operation of the blended raw material is performed while the fire extinguish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sintered trolley 160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raw material loading layer, that is, the bottom side of the sintered trolley 160.

본 실시예에서 소결대차(160)는 하부가 개방된 본체(16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ntered trolley 160 may include a main body 162 with an open bottom.

또한, 소결대차(160)의 본체(162)는 소결기(110)의 주행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휠(164)이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결대차(160)의 본체(162)에는 양측의 상측으로 운송물의 적재를 안내하는 측벽부(166)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62 of the sintered trolley 160 may be provided with traveling wheels 164 moving along the traveling rail 112 of the sintering machine 110 on both sides. In addition, the main body 162 of the sintered trolley 160 may be provided with a side wall portion 166 for guiding the loading of the transport object on both sides.

또한, 소결대차(160)는 본체(162)의 하부에 복수의 하단지지부(169)가 구비되고, 이 하단지지부(169)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부재(168)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68)는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례로 지지부재(168)는 소결공정에서 인슐레이션 피스(insulation piece)로 통용된다.In addition, the sintered trolley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portions 169 under the main body 162,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68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portions 169. have. The support member 168 is provided in an elongated shap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168 is commonly used as an insulation piece in the sintering process.

또한, 지지부재(168)의 사이에는 본체의 하부를 차폐하며 실질적으로 소결광 등의 운송물이 적재되는 그레이트바(grate bar)(180)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eat bar 1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168 to shiel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o substantially carry a transport product such as sintered ore.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68)는 복수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지지부재(168) 사이에는 열당 대략 96개 정도의 그레이트바(180)가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s 168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pproximately 96 great bars 180 per row may be disposed at right angles between the support members 168.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그레이트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제1그레이트바와 제2그레이트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제1그레이트바와 제2그레이트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eat bar of the sintered trolley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irst great bar and a second great bar of a sintered tro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and 8B illustrate a sintered tro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1 Great Bar and 2nd Great Bar.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180, 280)는 양측의 끼움부가 지지부재(168)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제공된 제1그레이트바(180) 및 양측의 끼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지지부재(168)의 두께보다 더 길게 제공된 제2그레이트바(280)로 제공될 수 있다.6 to 8,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fitt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sides thereof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168. One side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great bar 280 provid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168.

즉, 본 실시예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그레이트바(180, 280) 중 어느 하나를 제1그레이트바(180)라 할 때, 제1그레이트바(180)와 인접되는 다른 그레이트바는 제2그레이트바(280)일 수 있으며, 제1그레이트바(180) 및 제2그레이트바(280)가 교대로 연속하여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at is, when any one of the great bars 180 and 280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alled the first great bar 180, the other great bar adjacent to the first great bar 180 is the second great bar. 280, and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may be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180, 280)는 상부에 운송물이 적재되는 바디부(182, 28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include body parts 182 and 282 on which a shipment is loaded.

또한, 그레이트바(180, 280)는 바디부(182, 282)의 일측에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면축소부(184, 28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면축소부(184, 284)는 어느 하나의 그레이트바(180) 및 이에 인접하는 다른 그레이트바(280)와 함께 소정의 공간(도 1에 도시된 A)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includ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s 184 and 284 having narrow cross-sectional areas on one side of the body parts 182 and 282, and such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s 184 and 284 may be any one. Together with the Great Bar 180 and other Great Bar 280 adjacent thereto, a predetermined space (A shown in FIG. 1) may be formed.

또한, 바디부(182, 282)의 하부에는 하중의 지지를 위한 보강부(186, 286)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보강부(186, 286)와 인접하여 중량 등을 경감하기 위한 관통부(188, 288)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inforcement parts 186 and 286 may be provided below the body parts 182 and 282 to support the load, and penetrating parts 188 adjacent to the reinforcement parts 186 and 286 to reduce weight and the like. , 288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그레이트바(180, 28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A)은 소결광의 제조시 화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통기되는 통기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such, the space A formed between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be used as a vent hole that is vented for smooth movement of the firearm in the manufacture of the sintered ore.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180, 280)의 폭(W)은 약 40mm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그레이트바(180 또는 280)는 이와 인접하는 다른 그레이트바(280 또는 180)와 협력하여 단면축소부(184)에 대략 5~6mm 정도의 공간(A), 즉 통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W of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be about 40 mm. Further, any one of the great bars 180 or 280 cooperates with another great bar 280 or 180 adjacent thereto to form a space A, that is, a vent hole, of about 5 to 6 mm i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 184. can do.

따라서, 소결대차(160)의 그레이트바(180, 280)에 적재된 철광석 또는 코크스를 포함한 운송물은 하부 윈드 박스(150)에서 발생되는 블로워(140)에 의한 에어 흡인력에 의해 그레이트바(180, 280) 사이의 공간(A)으로 에어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연소되며 소결조업이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the shipment including the iron ore or coke loaded on the great bars 180, 280 of the sintered trolley 160 is the great bar (180, 280) by the air suction force by the blower 140 generated in the lower wind box 150 In the process of inhaling the air into the space (A) between the) is burned downward and the sinte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더불어 소결대차(160)를 이용하는 하방식 소결공정의 소결회수율은 운송물 중 코크스의 연소속도와 크게 관련되어 있으며, 코크스의 연소속도는 소결대차(160)에 적재된 운송물을 통과하는 공기량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ntering recovery rate of the lower method sintering process using the sintering bogie 160 is largely related to the burning rate of coke in the shipment. I can receive it.

여기서, 소결대차(160)의 공기량은 그레이트바(180, 280)의 단면축소부(184, 284)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air amount of the sintered trolley 160 may be determined by the space A provided betwee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s 184 and 284 of the great bars 180 and 280.

또한, 그레이트바(180, 280)는 바디부(182, 282)의 양측에 지지부재(168)에 끼워지도록 제공된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끼움부는 바디부(182, 282)의 양측 상부에 지지부재(168)의 상단에 걸리도록 제공된 헤드부(190, 290)와, 바디부(182, 282)의 양측 하부에서 지지부재(168)의 하단에 걸리도록 제공된 걸림부(192, 29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include fitting portions provided to be fitted to the support member 168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s 182 and 282. For example, the fitting parts include head parts 190 and 29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s 182 and 282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68, and support members 168 at both lower parts of the body parts 182 and 282. It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192, 292) provided to be caught at the bottom of the).

또한, 그레이트바(180, 280)는 헤드부(190, 290) 및 걸림부(192, 292) 사이에 홈부(194, 294)가 형성되며, 이 홈부(194, 294)에 지지부재(168)가 삽입됨에 따라 상, 하부가 걸린 상태로 결합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at bars 180 and 280 have grooves 194 and 294 formed between the heads 190 and 290 and the engaging portions 192 and 292, and the support members 168 are formed in the grooves 194 and 294. As it is inserted, the upper and lower parts can be held in a locked state.

여기서, 제1그레이트바(180)의 홈부(194)는 지지부재(168)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H1)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그레이트바(280)의 홈부(294)는 지지부재(168)의 두께보다 긴 길이(H2)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groove 194 of the first great bar 180 may be provided as a length H1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168. In addition, the groove portion 294 of the second great bar 280 may be provided as a length (H2)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168.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68)의 두께는 약 60mm 정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그레이트바(180)는 홈부(194)의 길이(H1)가 약 70mm 정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그레이트바(280)는 홈부(294)의 길이(H2)가 약 90mm 정도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168 may be provided about 60 mm. In addition, the first great bar 180 may have a length H1 of the groove 194 about 70 mm. In addition, the second great bar 280 may have a length H2 of the groove portion 294 about 90 mm.

또한,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180 또는 280)는 인접하는 다른 그레이트바(280 또는 18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돌기부(196, 296)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at bars 180 or 280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196 and 296 so as to be supported by other adjacent great bars 280 or 18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그레이트바(180)와 제2그레이트바(280)가 서로 교대로 제공되는바, 제1그레이트바(180)와 제2그레이트바(280)는 각각 다른 제2그레이트바(280) 또는 제1그레이트바(1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그레이트바(180)와 제2그레이트바(280)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196, 296)가 돌출되며, 이들 돌기부(196, 296)가 서로 맞닿으며 서로를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are alternately provided, and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r 280 or the first great bar 180. In addition, protrusions 196 and 296 protrude from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first and second great bars 180 and 280, and the protrusions 196 and 296 may contact each other and support each other. .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가 회송되는 상태의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reat bar in a state in which a sintered truck is retur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소결광이 제조된 소결대차(160)는 주행레일(112)을 따라 연속무한궤도를 이루며 순환되고, 이 과정에서 뒤집힌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 the sintered bogie 160 in which the sintered ore is manufactured is circulated in a continuous infinite track along the running rail 112, and is moved in an inverted state in this process.

그리고, 소결대차(160)가 뒤집힌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레이트바(180, 280) 등에 부착된 잔류 소결광 등은 대부분 탈락되어 제거되나, 단면축소부(184, 284) 등에 소결광의 일부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부착되는 소결광은 통기구멍으로 사용되는 공간(A)을 막아 공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intering cart 160 in an inverted state, most of the remaining sintered ore attached to the great bars 180 and 280 is dropped and removed, but a part of the sintered ore is attached to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s 184 and 284. The sintered ore attached as described above may block the space A used as the ventilation hole to reduce the amount of air.

본 실시예에서 소결대차(160)가 회수되는 과정에서 뒤집히게 될 경우, 및 제2그레이트바(280)가 유동하는 길이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차이에 의해 및 제2그레이트바(280) 사이의 단면축소부(184, 284)가 벌어지면서 이 사이에 잔류되었던 소결광 등의 운송물이 탈락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intering cart 160 is inverted in the process of being recovered, a difference occurs in the length of the second great bar 280 flowing,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is caused by such a difference. As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s 184 and 284 are opened therebetween, transport products such as sintered ore remaining therebetween may be dropped.

또한, 제2그레이트바(280)는 홈부 길이(H2)가 제1그레이트바(180)의 홈부 길이(H1)보다 길며, 이에 따라 뒤집혔을 경우 에 비해 유동량이 커짐에 따라 더 큰 충격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reat bar 280 has a groove length H2 longer than the groove length H1 of the first great bar 180, thereby generating a greater impact amount as the flow amount becomes larger than when the second great bar 280 is turned upside down. Can be.

또한, 이러한 유동량의 차이에 의해 제1그레이트바(180)와 제2그레이트바(280) 사이의 공간(A)이 벌어지면서, 이 사이에 부착되었던 소결광이 쉽게 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A between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is opened due to the difference in flow amount, so that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intered ore adhered therebetween may easily fall may be created. .

또한, 이러한 충격량은 제2그레이트바(280)에 직접 전달되어 단면축소부(284)에 낀 소결광의 탈락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으며, 충격량의 일부는 지지부재(168)를 통해 제1그레이트바(180) 등으로 전달되며 소결광의 탈락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n impact amou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cond great bar 280 to more easily drop off of the sintered ore caught i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 284, and a part of the impact amou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168. 180) may increase the dropout rate of the sintered ore.

한편,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180, 280)에 제공된 돌기부(196, 296)는 서로 접촉하며 지지되는 단면이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도 10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s 196 and 296 provided on the great bars 180 and 280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ross-sect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supported. .

도 10a와 도 10b는 도 6의 Ⅰ-Ⅰ선 및 도 9의 Ⅱ-Ⅱ선의 단면도로, 이를 참고하면, 제2그레이트바(280)의 돌기부(296)는 상부의 길이(L22)가 하부의 길이(L21)보다 더 길게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경사면(296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그레이트바(280)의 돌기부(296)는 단부면이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296a)으로 형성될 수 있다.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6 and line II-II of FIG. 9. Referring to this, the protrusion 296 of the second great bar 280 has an upper length L22 of the lower portion thereof. It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296a having a protruding shape longer than the length (L21). That is, the protrusion 296 of the second great bar 280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296a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which the end surface thereof faces downward.

또한, 제1그레이트바(180)의 돌기부(196)는 하부의 길이(L11)가 상부의 길이(L12)보다 더 길게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경사면(196a)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96 of the first great bar 18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96a having a shape in which the lower length L11 protrudes longer than the upper length L12.

즉, 제1그레이트바(180)의 돌기부(196)는 단부면이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196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그레이트바(180)의 돌기부 경사면(196a)이 이루는 각도는 제2그레이트바(280)의 돌기부 경사면(296a)의 경사진 각도와 대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196 of the first great bar 180 may be formed as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196a inclined in an upward direction of an end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y the protrusion slope 196a of the first great bar 18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angle of the protrusion slope 296a of the second great bar 280.

따라서, 제1그레이트바(180)의 돌기부(196)와 제2그레이트바(280)의 돌기부(296)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광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서로 맞닿으며 지지되며, 이에 따라 이들 그레이트바(180, 280) 사이의 공간(A)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 10A, the protrusion 196 of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protrusion 296 of the second great bar 280 are contacted and supported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sintered ore. Accordingly, the space A between these great bars 180 and 280 can be kept constant.

또한, 도 10b와 같이, 소결대차(160)가 뒤집어져 회송되는 과정에서 유동량의 차이에 의해 제1그레이트바(180)와 제2그레이트바(280)가 분리될 경우, 제2그레이트바(280)의 돌기부(296)가 제1그레이트바(180)의 돌기부(196)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B, when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are separated by a difference in flow rate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sintering cart 160 upside down, the second great bar 280 is separated. The protrusion 296 of)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and dropped from the protrusion 196 of the first great bar 18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결대차(160)에는 제1그레이트바(180)와 제2그레이트바(280)가 교번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레이트바의 형태 또는 배치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eat bar 180 and the second great bar 280 are alternately coupled to the sintering cart 160, but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great bar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의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결대차가 회송되는 상태의 그레이트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1 is a front view showing a great bar of the sintered troll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reat bar in a state in which a sintered trolley is retur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례로,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380)는 끼움부의 양측 길이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1 and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at bar 380 may have different lengths at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380)의 한쪽 단부에 제공된 끼움부는 지지부재(168)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제공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공된 끼움부는 지지부재(168)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great bar 38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168, and the fitt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168. .

또한, 그레이트바(380)는 끼움부의 위치가 교번적으로 바뀌도록 배열되며 지지부재(168)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at bar 380 is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tting portion alternately an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68.

즉,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380)는 한쪽 단부의 헤드부(390a)와 걸이부(392a) 사이에 제공된 홈부(394a)의 길이(H31) 보다 다른 쪽 단부의 헤드부(390b)와 걸이부(392b) 사이에 제공된 홈부(394b)의 길이(H32)가 길게 제공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great bar 380 has the head portion 390b and the hook at the other end than the length H31 of the groove portion 394a provided between the head portion 390a at the one end and the hook portion 392a. The length H32 of the groove portion 394b provided between the portions 392b may be provided long.

일례로, 그레이트바(380)는 한쪽 단부의 끼움부 길이(H31)가 약 70mm 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쪽 단부의 끼움부 길이(H32)는 약 90mm 정도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eat bar 380 may have a fitting length H31 at one end of about 70 mm, and a fitting length H32 at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at about 90 mm.

따라서, 소결대차(160)가 회수되는 과정에서 뒤집힐 경우, 그레이트바(380)는 일측의 끼움부는 지지부재(168)와 크게 유동하지 않고, 타측의 끼움부는 지지부재(168)와 크게 유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레이트바(380)가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intered trolley 160 is inverted in the process of being recovered, the great bar 380 does not flow significantly with the support member 168, and the other side fits with the support member 168. In this way, the great bar 380 may flow in a form inclined to one side.

또한, 이 그레이트바(380)와 인접하는 다른 그레이트바(380')는 지지부재(168)와 결합되는 끼움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바,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그레이트바(380, 380')가 유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at bar 380 and the other great bar 380 ′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tt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68 flows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great bar 380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380 ') may flow.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트바(380)는 인접되는 다른 그레이트바(380')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과정에서 통기구멍으로 사용되는 공간(A)이 크게 확장되며 그 사이에 부착된 소결광 등의 운송물이 쉽게 탈락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at bar 380 has a large space A, which is used as a ventilation hole, in the process of incli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nother adjacent great bar 380 ', and has a sintered ore attached therebetween. And other transports can be easily dropped.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소결대차(160)에는, 도 7a 및 도 8a와 같이 양단부의 끼움부가 지지부재(168)와 대응되는 제1그레이트바(180)와, 도 11과 같이 양단부의 끼움부 중 한쪽의 끼움부는 지지부재(168)의 두께와 대응되고 다른 한쪽의 끼움부는 지지부재(168)보다 긴 그레이트바(380)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ntered trolley 160 includes the first great bar 18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member 168 and the fitting portions of both ends as shown in FIGS. 7A and 8A, and the fitting portions of both ends as shown in FIG. 11. Of course, one of the fitting portions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168, and the other of the fitting portions of the great bar 380 longer than the supporting member 168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그레이트바(180, 280, 380)들, 즉 도 7a 및 도 8a와 같이 양단부의 끼움부가 지지부재(168)와 대응하는 그레이트바(180)와, 도 7b 및 도 8b와 같이 양단부의 끼움부가 모두 더 길게 형성된 그레이트바(280) 및 도 11과 같이 양단부의 끼움부 중 한쪽의 끼움부만 더 길게 형성된 그레이트바(380)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교번되며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at bars 180, 280, and 38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great bars 18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members 168 and the fitting bars at both ends thereof as shown in FIGS. 7A and 8A, and FIGS. 7B and FI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great bar 280 having both end portions fitted longer as shown in 8b and the great bar 380 having only one end portion fitted at both ends shown in FIG. 11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10: 소결기 112: 주행레일
120: 장입호퍼 130: 점화로
140: 메인 블로워 150: 윈드 박스
160: 소결대차 162: 본체
164: 주행휠 166: 측벽부
168 : 하단지지부 168: 지지부재
180: 제1그레이트바 280: 제2그레이트바
182, 282: 바디부 184, 284: 단면축소부
186, 286: 보강부 188, 188: 관통부
190, 290: 헤드부 192, 292: 걸림부
194, 294: 홈부 196, 296: 돌기부
110: sintering machine 112: running rail
120: charging hopper 130: ignition furnace
140: main blower 150: wind box
160: sintered cart 162: main body
164: traveling wheel 166: side wall
168: lower support portion 168: support member
180: first great bar 280: second great bar
182, 282: body portion 184, 284: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186, 286: reinforcement 188, 188: through part
190 and 290: head portions 192 and 292: locking portions
194 and 294 grooves 196 and 296 protrusions

Claims (4)

하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걸쳐서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를 차폐하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제공된 제1그레이트바; 및
상기 제1그레이트바와 교번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끼워지는 끼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제공된 제2그레이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레이트바 및 상기 제2그레이트바는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그레이트바의 돌기부는 단부가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레이트바의 돌기부는 단부가 상기 하향 경사면에 대응하는 상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운송물 운송장치.
A body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first great bar coupl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and shielding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wherein a first fitting bar fitted to the supporting member corresponds to a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nd a second great bar alternately coupled to the first great bar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tting portions fitted to the support member to be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great bar and the second great bar further include protrusions protruding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side,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great bar include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the protrusion of the first great bar The freight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an upward slop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slo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그레이트바 및 상기 제2그레이트바는
상부에 운송물이 적재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reat bar and the second great bar
A body part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on the upper part,
Head par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caught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atch portion that is caugh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tt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to insert the support member.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운송장치는 소결광을 제조공정에 사용되어 철광석을 포함하는 운송물을 운송하는 소결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ehicle transport apparatus is a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tered or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a sintered truck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 including iron ore.
KR1020110115477A 2011-11-08 2011-11-08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KR101281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77A KR101281379B1 (en) 2011-11-08 2011-11-08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77A KR101281379B1 (en) 2011-11-08 2011-11-08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26A KR20130050426A (en) 2013-05-16
KR101281379B1 true KR101281379B1 (en) 2013-07-02

Family

ID=4866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477A KR101281379B1 (en) 2011-11-08 2011-11-08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3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97B1 (en) * 2013-05-23 2014-07-22 주식회사 포스코 Sintering trailer in a sinteringmachine
CN103256814B (en) * 2013-05-27 2014-10-08 中冶北方(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Sintering annular cooler pallet
KR101449337B1 (en) * 2013-10-28 2014-10-13 주식회사 포스코 Support device of sintering trai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70A (en) * 2003-05-15 2004-11-20 주식회사 포스코 A mineral between gets in greatbar removal apparatus for sintering trailer
KR101053417B1 (en) * 2003-10-20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Sintered trolley with pore blocking and raw material leakage preven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70A (en) * 2003-05-15 2004-11-20 주식회사 포스코 A mineral between gets in greatbar removal apparatus for sintering trailer
KR101053417B1 (en) * 2003-10-20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Sintered trolley with pore blocking and raw material leakage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26A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379B1 (en) Materials transport apparatus
KR101824111B1 (en) Raw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aw material treatment using the same
KR101550059B1 (en) Double type apparatus for sealing shute side skirt sealing unit
JP5119004B2 (en) Pallet cart for sintering
KR101359235B1 (en) Sintering Apparatus
KR20120132782A (en) Liner for chute
US10092908B2 (en) Continuous belt for belt-type separator devices
JP2020514669A (en) Side wall of pallet truck for mobile grate machine, pallet truck with side wall of this kind, and method of modifying pallet truck
JP5263200B2 (en) Crushing guide
KR100920623B1 (e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terchanging the sintering trailer of a sintering machine
KR100843912B1 (en) A sintering trailer
JP2019534951A (e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KR100896653B1 (en) A sintering trailer
JP5464807B2 (en) Sinter Machine Pallet and Great Bar Holding Method
KR101618303B1 (en) Sin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ntered ore of using it
KR101522082B1 (en) Breaking device of tripper car
KR101304632B1 (en) Sintering trailer
JP6772713B2 (en) Sintering material charging equipment, sintering machine
KR101962383B1 (en) Apparatus for sinte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ntered ore using the same
KR101949702B1 (en) Sinte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03385B1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JP5263199B2 (en) Floor bedding hopper and sinter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KR101449337B1 (en) Support device of sintering trailer
KR1016232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raw material
KR101658179B1 (en) Charging apparatus for raw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