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542B1 -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542B1
KR101280542B1 KR1020120017665A KR20120017665A KR101280542B1 KR 101280542 B1 KR101280542 B1 KR 101280542B1 KR 1020120017665 A KR1020120017665 A KR 1020120017665A KR 20120017665 A KR20120017665 A KR 20120017665A KR 101280542 B1 KR101280542 B1 KR 10128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pikes
groove
slip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건
김효준
박건욱
문창섭
류원호
Original Assignee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덕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8Attachable overshoes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85Attachable overshoes for sporting purposes with a sole covering spikes or clea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될 수 있도록 설치하되,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 하측의 스파이크가 출몰될 수 있는 출몰홈을 형성하여 스파이크가 형성된 승하강작동구를 상승시켰을 때, 스파이크가 출몰홈으로 삽입되어 매끈한 바닥면도 문제없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예의 경우에는 젖지 않은 평탄한 바위에서 충분한 그립력을 발휘하는 고무로 된 논슬립부와, 젖은 지면에서 우수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는 펠트, 그리고 젖은 해조류나 요철이 있는 바위에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력을 발휘하는 미끄럼방지구가 함께 설치되어서 낚시터에 있어서의 모든 환경하에서도 뛰어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화(1)의 하측에 설치되는 신발창(4)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6)가 설치된 낚시화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구(6)는 신발창(4)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하우징(10)과 매설하우징(10)의 하측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승하강작동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설하우징(10)은 프랜지 형태로 넓게 형성되는 매설고정부(11)의 하측에 하측이 개방된 관형몸체(12)가 매설고정부(11) 보다 축소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이 관형몸체(12)의 양측에는 승하강작동구(20)의 걸림돌기(22)가 승하강 안내되는 안내홈(13)이 형성되며, 이 안내홈(13)의 상하부 내측에는 걸림돌기(22)가 걸려서 승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걸림턱(14a,15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작동구(20)는 관형몸체(12)의 내측으로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승하강몸체(21)가 상측에 형성되고, 이 승하강몸체(21)의 양측에는 안내홈(13)에 안내되면서 각각의 걸림턱(14a,15a)에 걸리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며, 이 승하강몸체(21)의 하부에는 수개의 스파이크(23)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되, 마주 대하는 스파이크(23) 들의 사이에는 승하강작동구(20)를 회전시키게 하는 돌림부(24)가 연결 형성되었으며, 상기 신발창(4)의 하부에는 스파이크(23)가 삽입될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출몰홈(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Fishing shoes equipped with a non slip device}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될 수 있도록 설치하되,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 하측의 스파이크가 출몰될 수 있는 출몰홈을 형성하여 스파이크가 형성된 승하강작동구를 상승시켰을 때, 스파이크가 출몰홈으로 삽입되어 매끈한 바닥면도 문제없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예의 경우에는 젖지 않은 평탄한 바위에서 충분한 그립력을 발휘하는 고무로 된 논슬립부와, 젖은 지면에서 우수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는 펠트, 그리고 젖은 해조류나 요철이 있는 바위에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력을 발휘하는 미끄럼방지구가 함께 설치되어서 낚시터에 있어서의 모든 환경하에서도 뛰어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비교될 수 있는 종래의 낚시화는 실용신안등록 제 20-0267111호의 고안(이하, "종래고안"이라 칭함)과, 공개특허 제10-2010-0033921호의 발명(이하, "종래발명"이라 칭함)이 그 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먼저, 종래고안은 밑창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보스에 금속으로 형성된 스파이크가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큰 작용력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아 보스에서의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고, 쉬운 마모 또한 방지되어 접지기능의 지속적인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갯바위 상에서의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스파이크가 구비된 낚시화의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고안은 그 기술적구성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분 노출된 상태로 스파이크가 각각 매립된 다수의 보스가 그 외측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낚시화의 밑창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개의 스파이크는, 상기 다수의 보스에 각각 매몰되는 부분으로서 강봉을 동일면상에서 둥글게 말려 형성되고, 다수 보스로부터 노출되는 한 쌍의 것으로 양단이 만나 맞대어진 상태로 말려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직교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교번으로 90ㅀ의 위치와 상태를 갖도록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하나 이상의 다른 핀과 함께 결합된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금속으로 된 스파이크가 항상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갯바위와 같은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표면이 평평한 평지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낚시를 위해 이동하는 지면은 갯바위와 같은 장소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배의 갑판 위나 평평한 콘크리트길, 또는 철판이나 나무판 위를 보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항상 하측으로 돌출된 스파이크에 의해 평평하고 매끈한 부분으로 올라설 수가 없으므로 그 낚시화를 벗고 일반 신발로 갈아 신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공개특허 제10-2010-0033921호의 종래발명은 여러 가지 지면에 있어서 뛰어난 미끄럼 방지 성능을 발휘하는 낚시용 신발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여러 가지 지면이란 아래의 설명에서 유추할 수 있다.
즉, 낚시화의 저면에 설치되는 스파이크는 연질인 지면에는 꽂히지만 경질인 바위에는 꽂히기 어렵고, 요철이 있는 지면에는 걸리기 쉽지만 평활한 바위에는 걸리기 어려우며, 경질이고 평활한 지면에서는 스파이크를 가지는 낚시화의 미끄럼 방지성능은 불충분하다.
그리고, 고무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이 바위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충분한 그립력이 얻어지나, 아웃솔과 바위의 사이에 수막이 개재(介在)하는 경우에는 그립력이 불충분하고. 아웃솔과 바위의 사이에 해초, 해조 등이 개재하는 경우에도 그립력은 불충분하다.
또한, 펠트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은 펠트자체가 흡수성에도 뛰어나기 때문에 아웃솔과 지면의 사이에 수막(水膜)을 발생시키지 않아 물기가 있는 지면에서는 미끄럼 방지 성능에 뛰어나나, 아웃솔과 바위의 사이에 해초, 해조 등이 개재하는 경우에 미끄럼 방지 성능은 불충분하며, 이러한 펠트는 조기에 마모함은 물론이고 게다가 이 아웃솔에서는 편마모가 쉽게 생기게 되어 마모(또는 편마모)가 진행한 아웃솔은 이미 미끄럼 방지 성능에 기여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낚시꾼은 타깃인 물고기를 찾아 낚시터를 이동하는데, 낚시터의 지면의 상황은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지면(상황)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뛰어난 미끄럼 방지 성능을 발휘하는 낚시화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발명은 이러한 여러 가지 지면에 있어서 뛰어난 미끄럼 방지 성능을 발휘하는 낚시용 신발의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종래발명은, 어퍼(upper)와 아웃솔(outsole)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아웃솔이 펠트로 이루어지고 판상(板狀)인 주부(主部)와, 상기 주부에 수용되고 또한 그 단면이 상기 주부의 저면(底面)에 노출하는 연질 핀과, 상기 주부에 수용되고 또한 그 선단(先端)이 상기 주부의 저면에 노출하는 경질 스파이크(spike)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주부, 연질 핀 및 경질 스파이크가 각각이 미끄럼 방지 성능에 기여하여 여러 가지 지면에서 미끄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으나, 이 종래발명의 경우에도 금속으로 된 경질스파이크가 밑창(아웃솔)의 저면으로 항상 하향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고안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문제를 포함하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0267111호(고안의 명칭 : 스파이크가 구비된 낚시화의 밑창) 공개특허 제10-2010-0033921호(발명의 명칭 :낚시용 신발 및 아웃솔)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될 수 있도록 설치하되,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 하측의 스파이크가 출몰될 수 있는 출몰홈을 형성하여 스파이크가 형성된 승하강작동구를 상승시켰을 때, 스파이크가 출몰홈으로 삽입되어 매끈한 바닥면도 문제없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예의 경우에는 젖지 않은 평탄한 바위에서 충분한 그립력을 발휘하는 고무로 된 논슬립부와, 젖은 지면에서 우수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는 펠트, 그리고 젖은 해조류나 요철이 있는 바위에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력을 발휘하는 미끄럼방지구가 함께 설치되어서 낚시터에 있어서의 모든 환경하에서도 뛰어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시화의 하측에 설치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가 설치된 낚시화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구는 신발창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하우징과 매설하우징의 하측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승하강작동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설하우징은 프랜지 형태로 넓게 형성되는 매설고정부의 하측에 하측이 개방된 관형몸체가 매설고정부 보다 축소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이 관형몸체의 양측에는 승하강작동구의 걸림돌기가 승하강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이 안내홈의 상하부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걸려서 승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작동구는 관형몸체의 내측으로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승하강몸체가 상측에 형성되고, 이 승하강몸체의 양측에는 안내홈에 안내되면서 각각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승하강몸체의 하부에는 수개의 스파이크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되, 마주 대하는 스파이크 들의 사이에는 승하강작동구를 회전시키게 하는 돌림부가 연결 형성되었으며, 상기 신발창의 하부에는 스파이크가 삽입될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출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될 수 있도록 설치하되, 미끄럼방지구가 출몰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 하측의 스파이크가 출몰될 수 있는 출몰홈을 형성하여 스파이크가 형성된 승하강작동구를 상승시켰을 때, 스파이크가 출몰홈으로 삽입되어 매끈한 바닥면도 문제없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그와 더불어 스파이크를 돌출시키게 되면 스파이크가 박히거나 걸리게 되는 지면에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젖지 않은 평탄한 바위에서 충분한 그립력을 발휘하는 고무로 된 논슬립부와, 젖은 지면에서 우수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는 펠트, 그리고 젖은 해조류나 요철이 있는 바위에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력을 발휘하는 스파이크가 설치된 미끄럼방지구가 함께 설치되어서 낚시터에 있어서의 모든 환경 하에서도 뛰어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구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저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와 단면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의 하측에 신발창(4)이 설치된 낚시화(1)의 하측에 설치되는 신발창(4)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6)가 설치된 낚시화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미끄럼방지구(6)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미끄럼방지구(6)는 신발창(4)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하우징(10)과, 매설하우징(10)의 하측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승하강작동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설하우징(10)은 프랜지 형태로 넓게 형성되어 신발창(4)내에 매설되는 매설하우징(10)이 빠지지 않게 하는 매설고정부(11)가 구비되고, 이 매설고정부(11)의 하측에는 하측이 개방된 관형몸체(12)가 매설고정부(11) 보다 축소된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형몸체(12)의 양측에는 승하강작동구(20)의 걸림돌기(22)가 승하강 안내되는 안내홈(13)이 형성되며, 이 안내홈(13)의 상하부 내측에는 걸림돌기(22)가 걸려서 승하강작동구(20)가 승하강된 상태를 각각 유지하게 하는 각각의 걸림턱(14a,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작동구(20)는 관형몸체(12)의 내측으로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승하강몸체(21)가 상측에 형성되고, 이 승하강몸체(21)의 양측에는 안내홈(13)에 안내되면서 각각의 걸림턱(14a,15a)에 걸리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승하강몸체(21)의 하부에는 수개의 스파이크(23)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되, 마주 대하는 스파이크(23) 들의 사이에는 승하강작동구(20)를 회전시키게 하는 돌림부(24)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개의 스파이크(23)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스파이크(23)의 하단부가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보다 향상된 미끄럼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마주보는 스파이크(23)의 사이에 손잡이 기능을 하는 돌림부(24)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수개의 스파이크가 보다 큰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발창(4)의 하부에는 스파이크(23)가 삽입될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출몰홈(5)이 형성되는데, 이 출몰홈(5)의 깊이는 스파이크(23)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승하강작동구(20)가 상측으로 상사점까지 상승되었을 때 스파이크(23)는 도 3의 (나)와 같이 출몰홈(5)에 완전히 삽입된다.
다음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신발창(4)에 미끄럼방지구(6)를 설치하되, 매설하우징(10)의 관형몸체(12) 하단부가 신발창(4)의 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스파이크(23)의 높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 바닥재(7)를 부착 한 것이다.
즉, 이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서의 신발창(4) 하부에 형성되는 출몰홈(5)이 형성된 부분은 출몰홈(5)의 깊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바닥재(7)를 신발창(4)과는 다른 소재로 형성된 것을 부착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신발창(4)은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하며, 바닥재(7)는 펠트, 직물지, 부직포, 고무판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부착 설치한다.
그리고, 이 바닥재(7)에는 스파이크(23)가 삽입되는 부분에 일실시예에서 신발창(4)의 저면에 하방이 개방된 출몰홈(5)을 형성한 것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통공형 출몰홈(5a)이 형성되며, 이렇게 미끄럼방지구(6)가 설치되는 위치에 출몰홈(5a)이 형성된 판형 바닥재(7)가 신발창(4)의 저면 전체면에 부착 설치된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삼실시예는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바닥재(7)의 구조가 다르므로 신발창(4)의 하부에 미끄럼방지구(6)의 매설하우징(10)이 매설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달라진 바닥재(7)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삼실시예에 설치되는 바닥재(7)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며, 이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바닥재(7)의 저면에는 부분적으로 펠트부착홈(8)이 형성되어 펠트부착홈(8)이 형성되지 않는 다른 부분에 논슬립부(7a,7b)가 펠트부착홈(8) 보다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게 되고, 상기 펠트부착홈(8)에는 펠트부착홈(8)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펠트(9)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부(7a)는 저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부를 형성하고, 또 다른 논슬립부(7b)에는 십(十)자형 슬릿부(7c)를 형성하였음을 밝힌다.
도 7에 도시된 사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바닥재(7)에는 수개의 슬릿(3)이 횡방향으로 절개 형성하여 울퉁불퉁한 지면의 형상에 따라 슬릿(3) 부분에 의해 바닥재(7)를 포함한 신발창(4)이 굴곡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2a"는 안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미끄럼방지구(6)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은 일 내지 사실시예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구(6)의 구조가 모두에 동일한 것이 설치되므로, 일 내지 사실시예에 설치된 미끄럼방지구(6)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을 함께 하기로 한다.
즉, 도 1, 4 및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구(6)의 상측에 위치하는 매설하우징(10)이 통상적으로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신발창(4)에 매설되어 있는데, 이 매설하우징(10)은 상측의 매설고정부(11)가 관형몸체(12) 보다 넓고 크게 형성되어서 신발창(4)에 매설된 매설하우징(10)은 신발창(4)에서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매설하우징(10)을 신발창(4)에 매설할 때, 매설하우징(10)의 관형몸체(12)의 외주연에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튜브(12a)를 끼운 상태에서 신발창(4)을 성형하는 폴리우레탄을 성형해야만, 폴리우레탄이 발포되는 과정에서 양측 안내홈(13)으로 폴리우레탄 소재가 들어가지 않게 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매설하우징(10)의 관형몸체(12) 내면에는 승하강몸체(21)의 걸림돌기(22)가 안내홈(13)으로 삽입되게 하는 조립홈(12b)이 형성되어서, 그 조립홈(12b)을 통하여 승하강작동구(20)를 매설하우징(10)에 조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된 미끄럼방지구(6)를 신발창(4)에 매설해야 한다.
이와 같이 미끄럼방지구(6)가 신발창(4)에 설치된 상태에서 신발창(4)의 하측에는 스파이크(23)의 높이만큼의 깊이를 형성한 출몰홈(5,5a)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3의 (나)와 같이 승하강작동구(20)를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스파이크(23)가 출몰홈(5)에 완전히 삽입되어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신발창(4)의 저면만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와, 도 6,7에 도시된 삼, 사실시예는 바닥재(7)의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방지구(6)에 설치된 승하강작동구(20)의 승하강은, 승하강작동구(20)의 하측에 설치된 돌림부(24)를 손으로 잡아서 돌림에 따라 승하강작동구(20)가 전체적으로 움직이면서 승하강몸체(21)의 양측에 설치된 걸림돌기(22)가 승하강작동구(20)를 돌리는 방향으로 안내홈(13)에 안내되면서 안내홈(13)의 상측홈부(14)나, 또는 하측홈부(15)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13)의 상부측과 하부측 내면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22)가 넘어가서 걸리게 되는 걸림턱(14a,15a)이 형성되어서 안내홈(13) 내측의 걸림턱(14a,15a)을 넘어선 걸림돌기(22)가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하강 이동시킨 승하강작동구(20)의 걸림돌기(22)는 그 해당 상하측홈부(14,15)에 걸려 있게 되어 스파이크(23)가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나 또는 상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파이크(23)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되면, 그 스파이크(23)가 경질이므로 이끼나 해조류가 있으면서 젖은 지면이거나 단단한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스파이크가 그 젖은 지면에 꽂히거나 단단한 요철부에 걸려서 미끄럼방지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와 반대로 지면이 경질이면서 평탄한 경우에는 도 3의 (나)와 같이 스파이크(23)가 출몰홈(5)의 안쪽으로 삽입되게 하면, 스파이크(23)가 평탄하고 경질인 지면에 접촉하지 않고 스파이크(23)을 제외한 신발창(4)의 저면과, 바닥재(7)의 저면이 평탄하고 경질인 지면에 접촉하여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경우에 바닥재(7)를 고무판이나 직물지, 펠트,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할 수 있는데, 그 바닥재(7)를 고무판으로 설치한 경우는 젖지 않은 평탄한 바위에서 충분한 그립(Grip)력을 발휘하게 되고, 바닥재(7)를 직물지, 펠트,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할 경우에는 직물지, 펠트, 부직포가 흡수성이 뛰어 나기 때문에 물기가 있는 지면에서는 미끄럼 방지 성능에 뛰어나다.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경우는 젖지 않은 평탄한 바위에서 충분한 그립력을 발휘하는 고무로 된 논슬립부(7a,7b)와, 젖은 지면에서 우수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는 펠트(9), 그리고 젖은 해조류나 요철이 있는 바위에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력을 발휘하는 스파이크(23)가 설치된 미끄럼방지구(6)가 함께 설치되어서 낚시터에 있어서의 모든 환경 하에서도 뛰어난 미끄럼 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무로 된 논슬립부(7b)에는 십(十)자형 슬릿부(7c)가 형성되어서 작은 요철이 있는 지면에서 슬릿부(7c)에 의해 논슬립부(7b)가 벌어지면서 글립면적이 확대되면서 우수한 미끄럼 방지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바닥재(7)에 수개의 슬릿(3)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딛게 되는 지면의 곡선에 따라 바닥재(7)가 굴곡되어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게 되어 우수한 미끄럼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1 : 낚시화 2 : 갑피 3 : 슬릿
4 : 신발창 5 : 출몰홈 6 : 미끄럼방지구
7 : 바닥재 8 : 펠트부착홈 9 : 펠트
10 : 매설하우징 11 : 매설고정부 12 : 관형몸체
13 : 안내홈 14 : 상측홈부 15 : 하측홈부
20 : 승하강작동구 21 : 승하강몸체 22 : 걸림돌기
23 : 스파이크 24 : 돌림부

Claims (4)

  1. 낚시화(1)의 하측에 설치되는 신발창(4)의 저면에 미끄럼방지구(6)가 설치된 낚시화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구(6)는 신발창(4)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하우징(10)과 매설하우징(10)의 하측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승하강작동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설하우징(10)은 프랜지 형태로 넓게 형성되는 매설고정부(11)의 하측에 하측이 개방된 관형몸체(12)가 매설고정부(11) 보다 축소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이 관형몸체(12)의 양측에는 승하강작동구(20)의 걸림돌기(22)가 승하강 안내되는 안내홈(13)이 형성되며, 이 안내홈(13)의 상하부 내측에는 걸림돌기(22)가 걸려서 승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걸림턱(14a,15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작동구(20)는 관형몸체(12)의 내측으로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승하강몸체(21)가 상측에 형성되고, 이 승하강몸체(21)의 양측에는 안내홈(13)에 안내되면서 각각의 걸림턱(14a,15a)에 걸리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며, 이 승하강몸체(21)의 하부에는 수개의 스파이크(23)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되, 마주 대하는 스파이크(23) 들의 사이에는 승하강작동구(20)를 회전시키게 하는 돌림부(24)가 연결 형성되었으며,
    상기 신발창(4)의 하부에는 스파이크(23)가 삽입될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출몰홈(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4)의 출몰홈(5)이 형성된 부분은 출몰홈(5)의 깊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바닥재(7)를 신발창(4)과는 다른 소재로 형성된 것을 부착 설치하되, 이 바닥재(7)에는 스파이크(23)가 삽입될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통공형 출몰홈(5a)이 형성된 것이 신발창(4)의 저면 전체면에 부착 설치되며, 이 바닥재(7)는 펠트, 직물지, 부직포, 고무판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7)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며, 이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바닥재(7)의 저면에는 부분적으로 펠트부착홈(8)이 형성되어 펠트부착홈(8)이 형성되지 않는 다른 부분에 논슬립부(7a,7b)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펠트부착홈(8)에는 논슬립부(7a,7b)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펠트(9)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7)에는 수개의 슬릿(3)이 횡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KR1020120017665A 2012-02-21 2012-02-21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KR10128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665A KR101280542B1 (ko) 2012-02-21 2012-02-21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665A KR101280542B1 (ko) 2012-02-21 2012-02-21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542B1 true KR101280542B1 (ko) 2013-07-01

Family

ID=4899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665A KR101280542B1 (ko) 2012-02-21 2012-02-21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68B1 (ko) * 2013-10-21 2015-06-25 종 민 김 미끄럼방지 장치가 있는 신발
KR20200055246A (ko) 2018-11-13 2020-05-21 노요셉 선택적 출몰 조절이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
CN117652752A (zh) * 2024-01-25 2024-03-08 晋江市鑫铭鞋材科技有限公司 一种冰面抗湿滑橡胶鞋底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107A (ja) 2000-09-13 2002-03-26 Daiwa Seiko Inc 釣り用滑り止め靴
KR200308059Y1 (ko) 2002-11-18 2003-03-19 김승일 낚시용 신발
KR20090060970A (ko) * 2009-04-22 2009-06-15 남주희 미끄럼방지 신발
KR20110098674A (ko) * 2010-02-26 2011-09-01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107A (ja) 2000-09-13 2002-03-26 Daiwa Seiko Inc 釣り用滑り止め靴
KR200308059Y1 (ko) 2002-11-18 2003-03-19 김승일 낚시용 신발
KR20090060970A (ko) * 2009-04-22 2009-06-15 남주희 미끄럼방지 신발
KR20110098674A (ko) * 2010-02-26 2011-09-01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68B1 (ko) * 2013-10-21 2015-06-25 종 민 김 미끄럼방지 장치가 있는 신발
KR20200055246A (ko) 2018-11-13 2020-05-21 노요셉 선택적 출몰 조절이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
CN117652752A (zh) * 2024-01-25 2024-03-08 晋江市鑫铭鞋材科技有限公司 一种冰面抗湿滑橡胶鞋底及其生产工艺
CN117652752B (zh) * 2024-01-25 2024-04-23 晋江市鑫铭鞋材科技有限公司 一种冰面抗湿滑橡胶鞋底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3655C (en) Sole arrangement and shoe
KR101280542B1 (ko)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낚시화
US4029834A (en) Floor mat with hinged rigid elongated rails
US8122617B1 (en) Boot with heel spike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087948A (en) Flooring elements
US6578324B2 (en) Spillage control safety floor matting
JP5330413B2 (ja) 滑り止め
US7028434B2 (en) Spillage control safety floor matting
KR20180113541A (ko) 논-슬립 신발용 트레드 패턴 조합물
US11255067B2 (en) Cover device
KR20160001230U (ko) 배수 트렌치
US9468271B2 (en) Supporting devices that include convertible mechanisms
CN211421724U (zh) 一种有机仿木地板的表面纹理防滑结构
KR101366699B1 (ko)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JP3177598U (ja) 段差解消スロープ
KR100517278B1 (ko) 건축용 논슬립타일
KR20090131986A (ko) 신발 밑창
CN102726872A (zh) 一种园林工作靴
KR200163353Y1 (ko) 슬리퍼
CN212611767U (zh) 一种园林渗水砖
KR102274633B1 (ko) 미끄럼 방지용 밑창을 구비한 낚시화
KR20220081816A (ko) 공기순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기능성 신발
CN218952677U (zh) 一种防滑瓷砖
CN219952558U (zh) 一种防潮防霉户外高性能实木地板
WO2007100813A1 (en) Floor ma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