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99B1 -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 Google Patents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99B1
KR101366699B1 KR1020120145140A KR20120145140A KR101366699B1 KR 101366699 B1 KR101366699 B1 KR 101366699B1 KR 1020120145140 A KR1020120145140 A KR 1020120145140A KR 20120145140 A KR20120145140 A KR 20120145140A KR 101366699 B1 KR101366699 B1 KR 10136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sole
drive bar
spikes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덕
Original Assignee
김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덕 filed Critical 김규덕
Priority to KR102012014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with outwardly-movable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실외에서는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실내에서는 스파이크가 내입되도록 하여 실내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실내외용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SHOE SOLE WITH ADJUSTABLE SPIKE}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실외에서는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실내에서는 스파이크가 내입되도록 하여 실내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실내외용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이크 신발이란 신발창의 저면에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가 설치된 신발로서, 주로 골프, 낚시, 등산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나 빙판길이 자주 생기는 추운 겨울철에 잔디밭이나 바닷가의 갯바위 또는 빙판길 등에서 미끄러져 낙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파이크 신발은 골프장의 미끄러운 잔디밭이나 바닷가의 이끼낀 갯바위 또는 겨울철 빙판길의 보행시 신발창의 저면에 돌출된 스파이크에 의해 접지력이 대폭 향상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므로 그 기능성이 충분히 발휘되어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잔디밭이나 바닷가의 갯바위 또는 빙판길 등을 벗어난 일반적인 평지의 보행시 특히 실내에서의 보행시에는 오히려 신발창의 저면에 돌출된 스파이크로 인해 슬립현상이 생겨 미끄러지게 되거나 보행에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골프, 낚시, 등산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나 빙판길이 자주 생기는 추운 겨울철에 종래의 스파이크 신발을 사용할 경우에는 항상 일반적인 평지 및 실내를 편하게 보행할 수 있는 바닥이 평평한 평상화를 함께 준비한 후 필요에 따라 교대로 갈아 신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실용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스파이크 신발과 평상화 2종류의 신발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도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3403호 "착탈식 스파이크 신발"(2004.10.1 등록)에는 신발 밑창에 형성된 함몰홈에 끼워져 부착되고 임의로 이탈가능하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착탈구와; 상기 착탈구의 관통공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하부가 상기 착탈구 하측으로 돌출설치되는 다수의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스파이크를 일체로 연결형성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착탈식 스파이크 신발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일상생활에서 평상화 등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스파이크를 신발 밑창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스파이크의 부착을 위한 신발 밑창의 구조가 간결하여 신발 밑창의 형상 및 두께 등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고, 스파이크 미장착 시 평상화로 사용하기에도 전혀 무리없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다수의 스파이크를 착탈시키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 또한 용이한 착탈식 스파이크 신발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착탈식 스파이크 구조는 스파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신발에서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외출시 스파이크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 사용이 불가하며, 스파이크를 분실할 우려가 있는 등,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한다.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823호 "높이조절형 스파이크가 구비된 신발창"에는 신발창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조절키를 이용하여 신발창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파이크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로 따라 복수개의 스파이크를 자유롭게 신발창본체의 저면으로 돌출시키거나 신발창본체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게 한 높이조절형 스파이크가 구비된 신발창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스파이크 자체가 나사의 회전운동과 함께 위아래로 승하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파이크의 돌출 및 삽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3403호 "착탈식 스파이크 신발"(2004.1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823호 "높이조절형 스파이크가 구비된 신발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착화자가 그날 그날의 날씨에 따라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하거나 신발창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즉 빙판길인 경우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빙판이 아닌 보통의 날씨이거나 실내의 경우 스파이크가 신발창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활발한 활동성을 제공하는 신발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창 본체와, 하부를 향하여 스파이크가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스파이크 안착부와,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를 상기 바닥창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창 ; 상기 바닥창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면에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복수의 가압부가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부에 랙 기어부가 형성되는 구동바 ; 상기 구동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창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바 이동안내부재 ; 상기 구동바의 랙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축 부재 ; 상기 회전축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재 ; 상기 회전축 부재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회전력을 입력받는 손잡이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바의 가압부가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의 상기 스파이크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구동바의 가압부가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의 상기 스파이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본체는 발바닥의 전체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바 이동안내부재는 발바닥의 전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미드솔로서 상기 미드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바 안내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바는 상기 구동바 안내 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는 중앙부에 피니언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출판이며, 상기 회전축 부재는 상기 사출판의 피니언 수용공간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상기 피니언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사출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착화자가 그날 그날의 날씨에 따라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하거나 신발창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즉 빙판길인 경우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빙판이 아닌 보통의 날씨이거나 실내의 경우 스파이크가 신발창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활발한 활동성을 제공하는 신발창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손잡이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회전축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평면상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
도 6은 스파이크가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
도 7은 도 6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스파이크가 내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손잡이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회전축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평면상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이며, 도 6은 스파이크가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8은 스파이크가 내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8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바닥창(110), 구동바(120), 미드솔(130), 사출판(140), 회전축 부재(150), 손잡이부(160)으로 이루어진다.
바닥창(110)은 발바닥의 전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고무창으로 불리기도 한다.
바닥창(110)은 발바닥 전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바닥창 본체(111)와, 복수의 스파이크 안착부(112)와, 연결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창(110)은 고무 재질이며 따라서 바닥창(110)은 어느 정도의 탄력과 형상 복원력을 가진다.
연결부(113)는 기본적으로 스파이크 안착부(112)의 스파이크(114)가 바닥창(110)에 내입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스파이크 안착부(112)가 외력에 의하여 하방향의 압력을 받을 경우 스파이크 안착부(11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또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 즉 상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와 같은 연결부(113)의 특성은 바닥창(110)이 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각각의 스파이크 안착부(112)에는 하부를 향하여 스파이크(114)가 돌출 마련된다.
아울러 복수의 스파이크 안착부(112)는 바닥창(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연결부(113)는 스파이크 안착부(112)를 바닥창 본체(111)와 연결하게 되며, 아울러 외력이 없을 경우 도 7과 같이 스파이크 안착부(112)를 상부에 위치시키며, 하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도 9와 같이 스파이크 안착부(112)를 하부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바닥창(110)의 상부에 구동바(120)와 미드솔(130)이 마련된다.
미드솔(130)은 발바닥의 전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또한 구동바 이동안내부재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미드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바 안내 홈부(131)가 형성된다.
구동바 안내 홈부(131)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서, 하나의 미드솔(130)에 2열로 형성되며, 그 위치는 스파이크 안착부(112)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다.
구동바 안내 홈부(131)에는 구동바(120)가 삽입되며, 구동바(120)는 구동바 안내 홈부(131) 내부에 위치되어 구동바 안내 홈부(131)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구동바(120)는 바 형태를 가지면서 바닥창(11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구동바 안내 홈부(131)에 위치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바(120)는 2개가 마련된다.
구동바(120)의 하면에는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복수의 가압부(121)가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바(120)의 하면은 구동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파도 형태를 가지게 되며, 파도 형태 중 하부로 볼록한 부위가 가압부(121)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구동바(120)의 길이방향의 일부, 본 실시예의 경우 상면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랙 기어부(122)가 형성된다. 랙 기어부(122)는 후술하는 회전축 부재(150)의 피니언 기어부(151)와 치합된다.
즉 구동바(120)는 피니언 기어부(151)와 랙 기어부(122)의 치합 구조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부(151)가 회전하면 이에 의하여 구동바 안내 홈부(13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바(120)를 이동 구동하기 위하여 회전축 부재(150)가 마련된다.
회전축 부재(150)에는 랙 기어부(122)와 기어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부(151)(본 실시예의 경우 2개)가 마련된다.
아울러 회전축 부재(150)는 회전축 지지부재(140)에 의하여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축 지지부재(140)로서 사출에 의하여 제작되는 사출판(140)을 이용하였으며, 사출판(140)은 발바닥 전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사출판(140)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부(151)를 위한 피니언 수용공간(14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부재(150)는 피니언 수용공간(141)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며, 피니언 수용공간(141)에 2개의 피니언 기어부(151)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피니언 기어부(151)는 각각의 구동바(120)의 상면에 형성된 랙 기어부(122)와 기어 결합되고 있다.
회전축 부재(150)는 사출판(140)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그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손잡이부(160)가 마련된다.
손잡이부(160)는 사용자(착화자)의 회전력을 입력받게 되며, 손잡이부(160)가 회전하면 회전축 부재(150)와 피니언 기어부(151)가 회전하게 되며, 피니언 기어부(151)의 회전에 따라 랙 기어부(122)에 의하여 구동바(120)가 신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손잡이부(16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바(120)의 가압부(121)가 바닥창(110)의 스파이크 안착부(112)의 상부에 위치되며, 이때 가압부(121)가 스파이크 안착부(112)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파이크 안착부(112)가 하부로 이동하며 스파이크 안착부(112)의 스파이크(114)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골프장의 미끄러운 잔디밭이나 바닷가의 이끼낀 갯바위 또는 겨울철 빙판길의 보행시 신발창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파이크에 의해 접지력이 대폭 향상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므로 그 기능성이 충분히 발휘되어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손잡이부(16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바(120)의 가압부(121)가 바닥창(110)의 스파이크 안착부(112)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며, 즉 바닥창 본체(111)에 위치되며, 이때 스파이크 안착부(112)는 연결부(113)의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며, 스파이크 안착부(112)의 스파이크(114)는 신발창의 내부로 내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잔디밭이나 바닷가의 갯바위 또는 빙판길 등을 벗어난 일반적인 평지의 보행시 특히 실내에서의 보행시에 스파이크(114)가 보행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편안한 보행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바닥창 111 : 바닥창 본체
112 : 스파이크 안착부 113 : 연결부
114 : 스파이크
120 : 구동바 121 : 가압부
122 : 랙 기어부
130 : 미드솔 (구동바 이동안내부재) 131 : 구동바 안내 홈부
140 : 사출판 (회전축 지지부재) 141 : 피니언 수용공간
150 : 회전축 부재 151 : 피니언 기어부
160 : 손잡이부

Claims (2)

  1. 바닥창 본체와, 하부를 향하여 스파이크가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스파이크 안착부와,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를 상기 바닥창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창 ;
    상기 바닥창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면에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복수의 가압부가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부에 랙 기어부가 형성되는 구동바 ;
    상기 구동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창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바 이동안내부재 ;
    상기 구동바의 랙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축 부재 ;
    상기 회전축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재 ;
    상기 회전축 부재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회전력을 입력받는 손잡이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바의 가압부가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의 상기 스파이크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구동바의 가압부가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스파이크 안착부의 상기 스파이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본체는 발바닥의 전체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바 이동안내부재는 발바닥의 전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미드솔로서 상기 미드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바 안내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바는 상기 구동바 안내 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는 중앙부에 피니언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출판이며, 상기 회전축 부재는 상기 사출판의 피니언 수용공간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상기 피니언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사출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KR1020120145140A 2012-12-13 2012-12-13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KR10136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140A KR101366699B1 (ko) 2012-12-13 2012-12-13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140A KR101366699B1 (ko) 2012-12-13 2012-12-13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699B1 true KR101366699B1 (ko) 2014-02-24

Family

ID=5027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140A KR101366699B1 (ko) 2012-12-13 2012-12-13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23B1 (ko) * 2017-12-04 2018-01-29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스파이크 장치
US11766092B2 (en) 2020-02-21 2023-09-26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7224U (ko) * 1987-03-10 1988-10-26 은희백 인입, 출 스파이크가 내장된 운동화
KR20030062655A (ko) * 2002-01-18 2003-07-28 권근상 미끄럼방지구가 형성된 신발
US20090272011A1 (en) 2002-10-26 2009-11-05 Andrea Drollinger Sports sho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7224U (ko) * 1987-03-10 1988-10-26 은희백 인입, 출 스파이크가 내장된 운동화
KR20030062655A (ko) * 2002-01-18 2003-07-28 권근상 미끄럼방지구가 형성된 신발
US20090272011A1 (en) 2002-10-26 2009-11-05 Andrea Drollinger Sports sho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23B1 (ko) * 2017-12-04 2018-01-29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스파이크 장치
US11766092B2 (en) 2020-02-21 2023-09-26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2401B1 (en) Athletic shoe cleat
US7836610B2 (en) Attachments for an item of footwear
US8925219B2 (en) Footwear having cleats
US7386948B2 (en) Flexible hinged cleat
US20080016721A1 (en) Footwear with manually extendable spikes
US8015729B2 (en) Draining insole for shoes
US7134226B2 (en) Cleat assembly for golf shoe
EP2353425A1 (en) Footwear including a self-adjusting midsole
US5860228A (en) All purpose nubbed cleat for shoes and other non-slip applications
US20130199056A1 (en) Insole including an acupressure member
US20130036633A1 (en) Non-slip sole structure
US20150223555A1 (en) Shoe sole having detachable edge compressing band
KR101366699B1 (ko) 스파이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실내외용 신발창
US20080000102A1 (en) Shoe covering for traction and/or sports
US20080250671A1 (en) Wading boot with strategic stud placement
US7766346B2 (en) Stabilization device suitable for skate training
US8109016B2 (en) Adjustable golf spike
CN2891726Y (zh) 登山鞋
KR20120137786A (ko) 골프화 밑창구조
US20080000103A1 (en) Shoes having deployable traction elements
US20080000104A1 (en) Traction element for shoes
KR200492733Y1 (ko) 뒷굽 교체형 신발
KR20130000751U (ko) 미끄럼방지 덧신
WO2009107944A2 (ko) 높이조절형 스파이크가 구비된 신발창
KR101028823B1 (ko) 높이조절형 스파이크가 구비된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