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74B1 -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074B1
KR101280074B1 KR1020110029782A KR20110029782A KR101280074B1 KR 101280074 B1 KR101280074 B1 KR 101280074B1 KR 1020110029782 A KR1020110029782 A KR 1020110029782A KR 20110029782 A KR20110029782 A KR 20110029782A KR 101280074 B1 KR101280074 B1 KR 10128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present
heating means
disso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356A (ko
Inventor
유병오
유병인
Original Assignee
유병인
유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인, 유병오 filed Critical 유병인
Priority to KR102011002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07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3C99/003Combustion process using sound or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23L7/002Supply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9901Combustion process using hydrogen, hydrogen peroxide water or brown gas as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07008Injection of wate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공급되는 물을 해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 물이 상기 가열수단을 경유하여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으로 향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연소방법은,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을 발생시킨 후 가열하여 해리시키고, 해리된 것을 연소공간으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랫동안 가열하지 않더라도 해리가 종래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율성이 우수하고, 연소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COM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해리시켜 수소를 얻은 후 이 수소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와 달리 환경친화적인 에너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자동차, 보일러,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경우 소정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소를 연소시키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이나 폭발력을 산업에 이용하고 있다.
수소를 얻는 방법으로서 물을 전기분해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물에 고온을 가하여 해리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열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가열방법을 통해 수소를 얻는 방법은, 수증기가 고온이 되면 수소와 산소로 열분해되는 성질(프랑스의 화학자 라부아지에가 주장한 원리로 금속관을 고열로 가열하여 적열(赤熱)시키고 그 금속관에 물을 통과시키면 수소가 발생함을 확인한 실험으로 500℃ 정도에서 탄소가 공급되면 물은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분해된다고 알려져 있음)을 이용하는 것이다.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기술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유수혼합 연소장치이다.
즉, 화석연료와 해리된 물이 혼합되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연료를 절감하고, 화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 유수혼합 연소장치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안출된 한국 특허등록 제0951848호에도 물을 가열하여 해리시키고 화석연료인 오일과 함께 연소시키는 기술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수소만을 분리하여 연소시키는 기술도 안출되어 있으나 폭발의 위험성 등 안전성 문제가 있어 유수혼합 연소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용화 비율이 낮은 실정이다.
물을 가열함으로써 해리시키고 연소시키는 종래기술은, 해리될 정도로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물이 가열되면서 경유하게 되는 가열배관의 길이도 상당히 길어 그 효율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오랫동안 가열하지 않더라도 해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율성이 우수하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을 위해 공급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물을 오랫동안 가열하지 않더라도 해리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율성이 우수하고, 연소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공급되는 물을 해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갖는다.
또, 물이 상기 가열수단을 경유하여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20)을 갖는다.
또, 가열수단으로 향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캐비테이션 현상을 발생시키고, 캐비테이션이 발생된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해리시킨 후 연소시킴으로써 물을 오랫동안 가열하지 않더라도 해리가 종래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율성이 우수하고, 연소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가열수단이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형태인 경우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온풍기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가열방법을 통해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급되는 물을 해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10)을 갖는다.
또, 물이 가열수단(10)을 경유하여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20)을 갖는다.
물이 연소 가능한 상태로 해리되도록 하는 가열수단(10) 및 상기와 같은 물공급수단(20)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물을 오랫동안 가열하지 않더라도 해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율성이 우수하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종래기술에서는 해리를 위해 물을 오랫동안 가열해야 하는 이유로 물이 가열되면서 유동되는 배관의 길이가 길고 이로 인하여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임)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해리를 위한 가열수단(10)으로 향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즉,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을 발생시킨 후 가열하여 해리시키고, 해리된 것을 연소공간으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것이다.
물에 초음파를 가할 경우 진공상태이면서 마이크로 미터(㎛) 크기인 기포형태의 캐비티가 발생되는데 캐비티는 빠르게(수 마이크로 초 단위) 발생과 소멸(터지는 현상)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캐비티가 발생되는 것을 캐비테이션 현상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 내부는 5,000℃ 정도의 고온과 1,000기압의 조건을 가지며, 캐비티가 터질 때 상당한 충격파와 라디칼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단순히 물을 가열하는 것보다는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된 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가열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가열을 위한 가열배관(11)의 길이도 짧게 구현(가열수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임)할 수 있는 등의 이유로 연소장치를 종래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가열수단(10)으로 향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30)를 갖는다.
수중에 초음파를 가하여 캐비테이션 현상을 유발하기 위한 초음파발생기는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초음파발생기(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가열수단(10)은 도 1과 같이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온풍기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1은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열과 열교환되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배관이다.
또, 도면부호 12는 연소버너, 13은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이다.
또, 도면부호 40은 연소공간형성용 하우징, 41은 단열재이고, 50은 송풍팬이다.
또, 도면부호 60은 해리를 위해 물을 가열하는 초기에 오일이나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을 통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화석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화석연료저장탱크이다.
또, 도면부호 70은 컨트롤박스이고, 72는 온도감지센서이다.
10. 가열수단 11. 가열배관
12. 연소버너 13. 물탱크
20. 물공급수단 30. 초음파발생기
40. 연소공간형성용 하우징 41. 단열재
50. 송풍팬 60. 화석연료저장탱크
70. 컨트롤박스 72. 온도감지센서

Claims (4)

  1. 삭제
  2.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물을 해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10);
    물이 상기 가열수단(10)을 경유하여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20); 및
    상기 가열수단(10)으로 향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열수단(10)은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보일러, 온풍기,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4. 가열방법을 통해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을 발생시킨 후 가열하여 해리시키고, 해리된 것을 연소공간으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되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해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방법.
KR1020110029782A 2011-03-31 2011-03-31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28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82A KR101280074B1 (ko) 2011-03-31 2011-03-31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82A KR101280074B1 (ko) 2011-03-31 2011-03-31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56A KR20120111356A (ko) 2012-10-10
KR101280074B1 true KR101280074B1 (ko) 2013-06-28

Family

ID=4728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82A KR101280074B1 (ko) 2011-03-31 2011-03-31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43B1 (ko) * 2019-02-19 2019-05-30 (주) 두산포천에너지 스팀을 이용한 연소버너
KR101983844B1 (ko) * 2019-02-19 2019-05-30 (주) 두산포천에너지 경화된 원료의 파쇄기능을 갖는 로터리 킬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22817B1 (es) * 2013-05-17 2015-06-09 Universidade De Vigo Sistema generador de calor
RU2651021C1 (ru) * 2017-06-09 2018-04-1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ят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дизеля дополнительным топливо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701A (ja) * 1997-09-04 1999-03-23 Manabu Sasaki ガス発生装置及びガス発生装置を組込んだシステム
JP2003294313A (ja) 2001-08-24 2003-10-15 Sankyo:Kk 温水、水蒸気又は混合ガス発生装置
KR100481373B1 (ko) 2003-05-02 2005-04-07 소치재 가스발생 장치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0745638B1 (ko) * 2006-04-06 2007-08-06 박용자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열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701A (ja) * 1997-09-04 1999-03-23 Manabu Sasaki ガス発生装置及びガス発生装置を組込んだシステム
JP2003294313A (ja) 2001-08-24 2003-10-15 Sankyo:Kk 温水、水蒸気又は混合ガス発生装置
KR100481373B1 (ko) 2003-05-02 2005-04-07 소치재 가스발생 장치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0745638B1 (ko) * 2006-04-06 2007-08-06 박용자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열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43B1 (ko) * 2019-02-19 2019-05-30 (주) 두산포천에너지 스팀을 이용한 연소버너
KR101983844B1 (ko) * 2019-02-19 2019-05-30 (주) 두산포천에너지 경화된 원료의 파쇄기능을 갖는 로터리 킬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5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074B1 (ko) 물을 해리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RU2642715C2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вакуумная горелка
EA200701538A1 (ru) Возврат и рециркуляция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и ее новые применения
PT1283974E (pt) Aparelho e metodo para geracao combinada de calor e electricidade
US20090289457A1 (en) Hydrogen powered steam turbine
KR20170023689A (ko) 열분해를 이용한 버너연소기 시스템
KR100725329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연료연소장치의 예열 겸용 점화장치
RU268613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ильно перегретого па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етонационного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варианты)
JP2011038755A (ja) 電子水の燃焼方法
CN110145416B (zh) 一种燃料燃烧后余热的回收装置及余热的回收方法
RU2561818C2 (ru) Газогенераторный котел
CN202813437U (zh) 一种低热值气体电辅助加热点火装置
WO2018217109A2 (en) Device and method of dissociating water in a power plant
Jung et al. Optimization of DME Reforming using Steam Plasma
RU2517721C2 (ru) Фитильная горелк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тиля
JP2009085535A (ja) 環境にやさしいエネルギーシステム
RU179513U1 (ru) Парогазогенератор
CN104613471A (zh) 水燃料燃烧热技术
RU2473840C1 (ru) Газовое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9172784A1 (ar) جهاز لإنتاج الطاقة من جزيئات الماء
JP3110091U (ja) ブラウンガスを利用した産業用ボイラー
RU2538230C1 (ru) Судно с малой площадью ватерлинии на водородном топливе
JP2009243459A (ja) 水素循環型発電装置
CN111336038A (zh) 一种甲醇发动机低温冷启动的方法
CN104110668A (zh) 纳米理化蒸汽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