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757B1 - 착용이 용이한 미용장갑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미용장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9757B1 KR101279757B1 KR1020110134151A KR20110134151A KR101279757B1 KR 101279757 B1 KR101279757 B1 KR 101279757B1 KR 1020110134151 A KR1020110134151 A KR 1020110134151A KR 20110134151 A KR20110134151 A KR 20110134151A KR 101279757 B1 KR101279757 B1 KR 101279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oves
- hand
- cosmetic
- insertion portion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은 사람의 손의 외형을 갖추고 또한 손이 들어가는 손삽입부가 서로 착탈이 용이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장갑으로 구성되고, 장갑 각각은 수분성 미용품을 함유하는 내피층과, 상기 내피층에 함유된 수분성 미용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피층 위에 설치되는 외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삽입부의 단부 부분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장갑들의 손삽입부들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절취선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용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미용장갑에 관한 것이다.
한국 사회가 선진국으로 진입하면서 사람들은 단순히 먹고 사는 문제를 벗어나 외모의 치장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여성들은 외모의 치장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외모의 치장중 하나는 손과 발을 보호하기 위한 팩의 사용이다. 특히, 가정주부의 경우 잦은 설거지로 인해 손의 피부손상이 심해지고, 직장여성의 경우에는 하이힐 등의 신발을 사용하는 관계로 발의 피부손상이 심하여, 미용용품을 이용하여 손과 발의 피부를 보호하고자 한다. 이러한 손과 발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장갑이나 버선형태의 전용 팩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여성들이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가짐에 따라, 외모 치장 산업이 활성화되었다. 외모 치장산업으로는, 미용 성형과 같은 의학적인 분야와, 머리미용과, 마사지와 같은 것이 있지만, 가장 활성화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여성의 손톱을 가꾸어주는 네일아트가 있다.
손톱은 사람에 따라서 아름다운 손톱이 있는 한편 아름답지 못한 손톱이 있고, 또한 손의 환경, 예컨대 설거지 또는 손톱의 손상이 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작업 환경 등에 따라서 손톱의 모양이 심하게 훼손될 수 있다. 이러한 손톱의 외관은 특히 여성들의 경우에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손톱의 미용만을 전문으로 하는 네일아트 전문점이 많이 생겨서 많은 여성들이 이용하고 있는 중이다. 네일아트에는, 손톱에 무늬를 그려넣는 것과, 손톱에 아름다운 형상의 인조손톱을 덧붙이는 것 등이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손톱의 치장에만 신경을 쓰게 되었어지만, 고객의 욕구에 따라 단순한 손톱의 치장뿐만 아니라 손 전체의 미용에 관해서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초창기 네일아트의 경우에는 손에는 아무런 장비도 착용하지 않고서 단순히 손톱에 대해서만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점차로 네일아트 작업이 손톱뿐만 아니라 손 전체로 확대됨에 따라 네일아트 작업 전에 대기하는 손님과 네일아트 작업중인 손님에 손 미용을 실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손 미용 작업을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갑을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손 미용 장갑은, 장갑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층(13)과, 장갑 내측에서 손 피부와 직접 맞닿는 내피층(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층은 손 피부의 미용을 위해 수분성 미용품을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부직포에 흡수된 수분성 미용품을 손 피부에 공급하여 손 피부 미용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미용 장갑에 있어서, 손이 들어가는 부분(15)이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내피층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성 미용품이 외부로 배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할인마트에 사용되는 비닐봉지가, 절취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갑에서 손이 들어가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되게 형성한 다음 상기 비닐봉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절취하는 방식, 즉 상기 연결된 부분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장갑 내부의 수분성 미용품이 배어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장갑들을 분할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미용장갑에서 손이 들어가는 부분은 거의 직선 형태로 되어 있어서, 손이 작은 사람이 손을 넣을 때는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상대적으로 손이 큰 사람, 즉 소위 손이 두꺼운 사람들이 종래 미용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특히 손이 동양인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또한 두꺼운 외국인이 착용하는 경우, 손이 들어가는 부분은 찢어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미용장갑의 외피층은 아주 얇은 비닐재질로 이루어지고, 내피층 역시 얇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가락 감각이 뛰어난 동양인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얇은 외피층과 내피층을 벌려 손을 넣을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손가락이 굵거나 또는 손가락의 사용이 동양인보다 떨어지는 서양인의 경우에는, 미용장갑의 외피층과 내피층을 분리하기는 용이하지가 않다. 따라서, 무리하게 외피층의 분리를 시도하다가 미용장갑 자체가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미용장갑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을 위해 외피층과 내피층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미용장갑이 제공되는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의 크기에 전혀 상관없이 착용시 미용장갑의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얇은 내피층과 외피층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착용을 용이하게 하는 미용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은 사람의 손의 외형을 갖추고 또한 손이 들어가는 손삽입부가 서로 착탈이 용이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장갑으로 구성되고, 장갑 각각은 수분성 미용품을 함유하는 내피층과, 상기 내피층에 함유된 수분성 미용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피층 위에 설치되는 외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삽입부의 단부 부분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 있어서, 한 쌍의 장갑의 손삽입부를 서로 착탈이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은, 한 쌍의 장갑의 손삽입부를 먼저 일체로 형성한 다음 절취를 위한 절취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은 규칙적인 형상의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절취선은 다수의 반호형의 형상의 교대로 반대로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반호형의 형상의 단부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절취선은 톱니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서는,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장갑의 손삽입부의 분리를 위해 절취선을 형성하지만, 분리된 장갑의 앞면과 뒷면을 손가락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쳤을 때 서로 엇갈려 노출이 되도록 절취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하기 때문에, 손의 감각이 떨어지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손이 큰 서양인이 용이하게 장갑을 착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서, 손삽입부의 폭을, 손삽입부와 손가락 삽입부를 이어주는 연장부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손이 크거나 또는 손이 두터운 사람이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손삽입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용장갑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또한 절취부가 형성되는 미용장갑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서, 분리된 미용장갑의 절취부의 구성과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또한 절취부가 형성되는 미용장갑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서, 분리된 미용장갑의 절취부의 구성과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을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100)은 한 쌍의 장갑(110, 1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장갑들은 손삽입부(111, 111')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층(112 또는 112')과 그리고 내피층 위에 설치되는 외피층(113 또는 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층(112 또는 112')은 손미용을 위한 수분성 미용제를 함유하기 위하여 섬유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보다 많은 수분성 미용제의 함유를 위해 기공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층(113 또는 113')은 상기 수분성 미용제가 상기 내피층으로부터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밀성의 소재로 제작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작의 편의성과 비용을 감안하여 비닐소재로 제작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의 제작은, 두 장의 부직포를 겹쳐놓고, 다시 두 장의 부직포 양측에 비닐을 겹쳐놓은 후, 소정의 형틀로서 상기 겹쳐진 부직포와 비닐을 압착하면서 테두리 영역의 비닐을 융착시킴으로써 미용장갑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장갑들의 손삽입부들은 분리가 용이하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분리를 위해 상기 장갑들의 손삽입부에 절취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취선(120)은, 포장을 위해 다수의 비닐포장지를 절취선으로 연결하여, 필요시에 절취선을 따라 비닐포장치를 뜯어 사용하게 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시에 손으로 양쪽의 장갑을 잡은 후 잡아당기면, 절취선을 통해 장갑이 분리되면서 손삽입부가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손삽입부가 개방되면 손으로 손삽입부를 벌려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젓가락 문화권인 한국사람과 같은 동양인들은 손을 사용하여 얇은 비닐장갑을 벌려 착용할 수 있지만, 손가락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둔하고 또한 손이 큰 사람, 예컨대 서양인들은 손으로 미용장갑을 벌리기 힘들다. 특히, 외피 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얇은 내피층이 있기 때문에 손으로 장갑을 벌리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취선을 기존의 직선 형태가 아닌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하였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에서 절취선(120)은 다수의 반구형상 절취선들이 교대로 반대로 위치하여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취하였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절취선은 대략적인 지그재그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장갑 양쪽을 잡고서 절취선을 따라 장갑을 분리하면 도 4(a)와 같이 손삽입부의 절취선(120)은 지그재그 형상이 되고, 이 상태에서 장갑의 양면을 두 손가락으로 밀착시킨 후 두 손가락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예컨대 손삽입부(11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장갑의 한쪽 면의 절취선(120)의 정점(120'1)과 다른 쪽 면의 절취선의 정점(120'2)은 서로 엇갈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쪽 절취선(120'1)과 다른 쪽 절취선(120'2)을 잡고서 손삽입부(111 또는 111')를 개방하면 된다. 따라서, 손 또는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장갑의 손삽입부를 용이하게 개방하여 장갑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미용장갑의 경우에 있어서, 손삽입부(111, 111')와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114, 114')를 이어주는 연장부(E)는 대부분 일직선의 형태였다. 이와 같이, 손삽입부와 손가락 삽입부를 이어주는 연장부가 일직선 형태이고, 장갑의 외피는 얇은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손이 작고 또한 손이 얇은 여자들의 경우에는 무리 없이 손삽입부를 통해 장갑을 착용할 수 있지만, 손이 크고 또한 손이 두터운 사람이 손삽입부를 통해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손삽입부를 통해 손이 들어가기가 어렵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무리해서 손을 손삽입부에 넣게 되면 손삽입부의 가장자리가 찢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손삽입부와 손가락 삽입부를 이어주는 연장부를 일직선의 형태로 제작하는 대신에, 손삽입부 쪽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 넓도록 확대부(130, 130')를 형성하는데, 예컨대, 도면에서는 손삽입부 쪽을 1/4 호형 확대부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손이 크거나 또는 손이 두터운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장갑을 착용하더라도, 손삽입부의 가장자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지그재그 형태의 절취선은, 도면에서는 반구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톱니형 또는 장갑을 두 손가락으로 밀쳤을 때 서로 엇갈려 노출되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확대는 호형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손삽입부를 손가락 삽입부와 연장시키는 연장부보다 큰 폭 넓이가 손삽입부에 형성된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손에 적용하는 미용장갑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발에 착용을 위해 미용장감의 형태를 버선형태로 제작한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식으로 발삽입부쪽의 폭을 넓게 형성하고 또한 발삽입부를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절취선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에 내에 당연히 포함된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 것이다.
100 : 미용장갑 111,111' : 손삽입부
112,112' : 내피층 113,113': 외피층
114,114' : 손가락 삽입부 120 : 절취선
E : 연장부
112,112' : 내피층 113,113': 외피층
114,114' : 손가락 삽입부 120 : 절취선
E : 연장부
Claims (5)
- 손가락 삽입부(114, 114')와 손삽입부(111, 111')와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장부(E)로 구성되는 한 쌍의 장갑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갑들의 손삽입부(114, 114')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사용시 상기 장갑들의 손삽입부들을 서로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손삽입부들에 절취선(120)이 형성되는 미용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20)은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장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20)은 톱니형태이거나 또는 다수의 반원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고 단부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장갑.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갑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절취선(120)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또한 분리된 장갑의 앞면과 뒷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침으로써 손삽입부(111, 111')의 톱니 또는 반원형 부분의 정점부가 엇갈리게 노출되고, 노출된 정점부를 손으로 잡고서 벌림으로써 손삽입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장갑.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삽입부(111, 111')와 손가락 삽입부(114, 114')를 이어주는 연장부(E)부가 상기 손삽입부 쪽에서 확대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장갑.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E)는 상기 손삽입부에서 1/4 호형으로 또는 직삼각형 형태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장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151A KR101279757B1 (ko) | 2011-12-14 | 2011-12-14 | 착용이 용이한 미용장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151A KR101279757B1 (ko) | 2011-12-14 | 2011-12-14 | 착용이 용이한 미용장갑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531A KR20130067531A (ko) | 2013-06-25 |
KR101279757B1 true KR101279757B1 (ko) | 2013-07-17 |
Family
ID=4886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4151A KR101279757B1 (ko) | 2011-12-14 | 2011-12-14 | 착용이 용이한 미용장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975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7366A (ko) * | 2007-12-21 | 2009-06-25 | 주식회사 뉴랩아이앤씨 | 일회용 장갑 세트 |
KR20110000471U (ko) * | 2009-07-09 | 2011-01-17 | 박유석 | 절취부를 구비한 미용팩 |
KR20110058475A (ko) * | 2009-11-26 | 2011-06-01 | 김현주 | 연속식 일회용 장갑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110130103A (ko) * | 2010-05-27 | 2011-12-05 | (주)이지코스텍 | 비닐장갑 및 비닐버선 |
-
2011
- 2011-12-14 KR KR1020110134151A patent/KR1012797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7366A (ko) * | 2007-12-21 | 2009-06-25 | 주식회사 뉴랩아이앤씨 | 일회용 장갑 세트 |
KR20110000471U (ko) * | 2009-07-09 | 2011-01-17 | 박유석 | 절취부를 구비한 미용팩 |
KR20110058475A (ko) * | 2009-11-26 | 2011-06-01 | 김현주 | 연속식 일회용 장갑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110130103A (ko) * | 2010-05-27 | 2011-12-05 | (주)이지코스텍 | 비닐장갑 및 비닐버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531A (ko) | 2013-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80413B1 (en) | Collar guard | |
US8272507B1 (en) | Kit of a plurality of detachable pockets, a detachable pocket, and associated methods | |
US20130139298A1 (en) | Kit of a plurality of detachable pockets, a detachable pocket, and associated methods | |
CN104225773A (zh) | 皮肤护理遮罩手套与遮罩袜子 | |
JP2014088213A (ja) | シート状物が収納されてなる平袋 | |
US20080155726A1 (en) | Fingernail protection work gloves | |
KR200458722Y1 (ko) | 절취후 개봉하여 사용하는 양 손발용 미용팩 | |
KR200464833Y1 (ko) | 피부미용팩 | |
KR200464826Y1 (ko) | 손톱손질이 가능한 피부미용팩 | |
KR200408902Y1 (ko) | 장갑형태의 핸드 팩용구 | |
KR101279757B1 (ko) | 착용이 용이한 미용장갑 | |
KR20130024281A (ko) | 손미용 장갑 | |
JP5388207B2 (ja) | 洗浄用具 | |
KR200466462Y1 (ko) | 피부미용 실링팩 | |
JP2014047140A (ja) | 多用途パック用品及びその使用方法 | |
CN208582726U (zh) | 美容面膜 | |
KR200408783Y1 (ko) | 미용용 핸즈팩 | |
KR100785897B1 (ko) | 훼이스커버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032058A (ko) | 입체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
JP5457515B2 (ja) | パック用シート及びその用法 | |
KR100614571B1 (ko) | 장갑형태의 핸드 팩용구 | |
JP6751953B1 (ja) | 不織布、シートマスク及び該シートマスクを用いたパック方法 | |
KR200482358Y1 (ko) | 이미용용 롤시트 | |
JP4194929B2 (ja) | 手袋形態のアプリケータ構造 | |
US20100210177A1 (en) | Cleavage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