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629B1 -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629B1
KR101279629B1 KR1020110016767A KR20110016767A KR101279629B1 KR 101279629 B1 KR101279629 B1 KR 101279629B1 KR 1020110016767 A KR1020110016767 A KR 1020110016767A KR 20110016767 A KR20110016767 A KR 20110016767A KR 101279629 B1 KR101279629 B1 KR 10127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ct portion
gas
gas contac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276A (ko
Inventor
김형성
이광헌
Original Assignee
이광헌
주식회사 엘라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헌, 주식회사 엘라이저 filed Critical 이광헌
Priority to KR102011001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6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낮은 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높은 용존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액체 및 기체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액체 및 기체가 접촉면적을 넓게 하면서 다수회 반복하여 접촉되도록 하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상승하였을 경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 및 기체의 일정량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압력을 강하시키는 에어밴트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를 통과한 액체 및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액체 및 기체 접촉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출수밸브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설치되며, 상기 출수밸브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접점 신호를 송신하여 출수밸브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압력 스위치와; 상기 출수밸브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출수밸브를 통과한 미세기포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미세기포간의 충돌을 유발하여 미세기포가 분할된 형태로 미세화시키는 기포 증식부와; 상기 기포 증식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기포 증식부를 통과한 미세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Apparatus for making minute bubbles}
본 발명은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기체와 액체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수차례 접촉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낮은 압력에서 많은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용존산소농도를 높게 하여 수처리 시설에 적용할 때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을 높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통상, 수처리공정에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질을 부상시켜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진다. 또한 하폐수처리에 있어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으면 하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분해와 수생생물의 생존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하폐수 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산소 용해 능력이 우월할수록 하폐수 처리장치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기 발명된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가압탱크를 이용하여 액체와 기체를 혼합하는 방법과 높은 액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난기류를 형성하여 액체와 기체를 혼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높은 압력을 만들기 위해 과도한 전력비가 소요되고, 용존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며 특히, 높은 압력을 만들기 위한 매우 적은 크기의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자주 노즐이 막히는 등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낮은 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높은 용존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액체 및 기체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액체 및 기체가 접촉면적을 넓게 하면서 다수회 반복하여 접촉되도록 하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상승하였을 경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 및 기체의 일정량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압력을 강하시키는 에어밴트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를 통과한 액체 및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액체 및 기체 접촉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출수밸브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설치되며, 상기 출수밸브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접점 신호를 송신하여 출수밸브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압력 스위치와; 상기 출수밸브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출수밸브를 통과한 미세기포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미세기포간의 충돌을 유발하여 미세기포를 분할된 형태로 미세화시키는 기포 증식부와; 상기 기포 증식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기포 증식부를 통과한 미세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의하면, 2.5 내지 3.5kgf/㎠의 낮은 압력을 사용하여 전력비 소요가 적고, 액체와 기체의 접촉면적이 넓으면서 접촉회수가 많아 용존산소량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중 빗살무늬판을 구성하는 상부 빗살무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중 빗살무늬판을 구성하는 상부 빗살무늬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중 빗살무늬판을 구성하는 하부 빗살무늬판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중 빗살무늬판을 구성하는 상부 빗살무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중 빗살무늬판을 구성하는 상부 빗살무늬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중 빗살무늬판을 구성하는 하부 빗살무늬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와, 압력계(12)와, 에어밴트(13)와, 출수밸브(15)와, 압력 스위치(14)와, 기포 증식부(17)와, 출수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으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된다.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에는 공지의 벤추리관(미도시)을 통해 액체 및 기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벤추리관은 액체의 유속과 진공압력에 의해 기체를 흡입하여 유입구(11)를 통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에 액체 및 기체를 유입시킨다.
또한,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는 벤추리관 및 유입구(11)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액체 및 기체들이 접촉면적이 넓게 되도록 하면서 다수회 반복하여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압력계(12)는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관리자가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압력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밴트(13)는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밴트(13)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고 있다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내부 압력이 상승하였을 경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 및 기체의 일정량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압력을 강하시킨다.
상기 출수밸브(15)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16)에 설치되며,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를 통과한 액체 및 기체를 연결관(16)을 통해 토출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므로서, 액체 및 기체 접촉부 내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연결관(16)은 액체 및 기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출수밸드(15)는 연결관(16)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력 스위치(14)는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출수밸브(15)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접점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접점 신호를 수신하여 출수밸브(15)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이 안정화되도록 한다.
상기 기포 증식부(17)는 연결관(16)을 통해 상기 출수밸브(15)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출수밸브(15)를 통과한 미세기포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과정에서 미세기포간의 충돌을 유발하여 미세기포를 분할된 형태로 미세화시킨다.
상기 출수부(18)는 상기 기포 증식부(17)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기포 증식부(17)를 통과한 미세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와 연결관(16), 상기 연결관(16)과 기포증식부(17) 및 상기 기포 증식부(17)와 출수부(18)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액체 및 기체, 그리고, 미세기포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을 더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에는 액체 및 기체가 넓은 면적에서 반복되어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 빗살무늬판(21)들과, 하부 빗살무늬판(22)들로 이루어지는 빗살무늬판(2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상부 빗살무늬판(21)은 액체 및 기체 접촉부(21) 내부공간 상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빗살무늬판(22)은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 하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중앙부분이 상기 상부 빗살무늬판(21)의 중앙부분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빗살무늬판(20)은 도 3에서 처럼, 상부 빗살무늬판(21)의 하측 일부분과 하부 빗살무늬판(22)의 하측 일부분이 중첩되는 대략 격자구조를 이루게 되어 액체 및 기체가 유입구(11)를 통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빗살무늬판(20)을 통과하면서 넓은 면적에서 반복되어 접촉되며, 상기 빗살무늬판(20)의 설치각도는 액체 및 기체의 반복접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허용범위 내인 약 10° 내지 170°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액체 및 기체가 유입구(11)를 통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에 유입되면 다수개의 출수밸브(15)들의 조작에 의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을 2.5kgf/㎠ 내지 3.5kgf/㎠로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 및 기체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시작점에 설치된 빗살무늬판(20)을 시작으로 종점에 설치된 빗살무늬판(20)을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빗살무늬판(20)에 충돌되며, 종점에 설치된 빗살무늬판(20)에 충돌된 이후에 출수밸브(15) 및 연결관(16)을 통해 기포증식부(17)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기포 증식부(17)에 액체 및 기체가 이동되면 액체 및 기체에 가해졌던 압력이 낮아지면서 미세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미세기포는 출수부(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에 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12)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설치할때 출수밸브(15)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압력을 2.5kgf/㎠ 내지 3.5kgf/㎠로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에서 액체 및 기체를 토출시켜 내부압력을 줄여주는 에어밴트(13)가 작동되는 일정압력은 5kgf/㎠ 내지 8kgf/㎠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 내부의 액체 및 기체의 량이 과다할 경우 미세기포 생성이 둔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에어밴트(13)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상승 되었을 때 액체보다 기체를 먼저 토출하기 때문에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장시간 가동했을 때 출수밸브(15)에 이물질이 유입됨으로 인해 미세기포의 생성을 방해할 경우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압력 스위치(14)는 접점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접점 신호를 수신하여 출수밸브(15)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이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이 안정화 되도록 한다.
10 : 액체 및 기체 접촉부 11 : 유입구
12 : 압력계 13 : 에어밴트
14 : 압력 스위치 15 : 출수밸브
16 : 연결관 17 : 기포 증식부
18 : 출수부 20 : 빗살무늬판
21 : 상부 빗살무늬판 22 : 하부 빗살무늬판

Claims (2)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유입된 액체 및 기체에 압력을 가하는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2)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상승하였을 경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 및 기체의 일정량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압력을 강하시키는 에어밴트(13)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를 통과한 액체 및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출수밸브(15)와;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상면에서 내부공간으로 연통설치되며, 상기 출수밸브(15)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접점 신호를 송신하여 출수밸브(15)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압력 스위치(14)와; 상기 출수밸브(15)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출수밸브(15)를 통과한 미세기포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미세기포간의 충돌을 유발하여 미세기포를 분할된 형태로 미세화시키는 기포 증식부(17)와; 상기 기포 증식부(17)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기포 증식부(17)를 통과한 미세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수부(18);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는 내부공간 상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부 빗살무늬판(21)들과,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 내부공간 하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중앙부분이 상기 상부 빗살무늬판(21)의 중앙부분과 맞물리는 하부 빗살무늬판(22)들로 이루어지는 빗살무늬판(20)이 구비되어 액체 및 기체가 유입구(11)를 통해 액체 및 기체 접촉부(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면 빗살무늬판(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액체 및 기체가 넓은 면적에서 반복되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2. 삭제
KR1020110016767A 2011-02-24 2011-02-24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27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67A KR101279629B1 (ko) 2011-02-24 2011-02-24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67A KR101279629B1 (ko) 2011-02-24 2011-02-24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76A KR20120097276A (ko) 2012-09-03
KR101279629B1 true KR101279629B1 (ko) 2013-06-27

Family

ID=4710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767A KR101279629B1 (ko) 2011-02-24 2011-02-24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09A (ko) 2020-12-17 2022-06-27 주식회사대신정공 미세기포 발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008A (ko) * 2008-07-02 2008-12-03 (주)지앤지코리아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미세기포 발생방법
KR101036227B1 (ko) 2009-05-18 2011-05-20 오우라코리아 주식회사 미세 기포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008A (ko) * 2008-07-02 2008-12-03 (주)지앤지코리아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미세기포 발생방법
KR101036227B1 (ko) 2009-05-18 2011-05-20 오우라코리아 주식회사 미세 기포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09A (ko) 2020-12-17 2022-06-27 주식회사대신정공 미세기포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76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9472B2 (ja) 気体溶解量調整装置とそのシステム
US9993851B2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7190466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と気液混合タンク
JP3758471B2 (ja) ガス溶解装置
US8668187B2 (en) Integrated aeration system
US7802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of two fluids
KR101166457B1 (ko) 와류 발생부 및 와류 제거부의 2단 복합 구조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KR101279629B1 (ko) 수처리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CN211111515U (zh) 一种自带气浮装置和沉淀装置的实验室废水处理设备
JP2011183328A (ja) 曝気装置
RU2553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ыщения воды кислородом
KR10228098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WO2014050521A1 (ja) 気体溶解装置
KR101058165B1 (ko) 미세기포발생 및 제어 장치
JP2008168293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CN102249361B (zh) 一种臭氧供气压力稳定装置及使用该装置的气浮反应器
JPH09299930A (ja) 気液接触装置
KR20170065142A (ko)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CN205258048U (zh) 一种超声波溶气系统
KR20200142963A (ko) 기체 용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CN206298409U (zh) 一种臭氧潜水曝气装置
JPH1015580A (ja) 浮体式水域浄化装置
KR20200142964A (ko) 미세기포 발생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US11642634B2 (en) Gas saturation of liquids with application to dissolved gas flotation and supplying dissolved gases to downstream processes and water treatment
JP2012231773A (ja) 曝気流発生ユニットを使った低空気圧曝気式培養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