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142A -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142A
KR20170065142A KR1020150171212A KR20150171212A KR20170065142A KR 20170065142 A KR20170065142 A KR 20170065142A KR 1020150171212 A KR1020150171212 A KR 1020150171212A KR 20150171212 A KR20150171212 A KR 20150171212A KR 20170065142 A KR20170065142 A KR 2017006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gas
gas dissolving
dissol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 셋
주식회사 타 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 셋, 주식회사 타 셋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 셋
Priority to KR102015017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142A/ko
Publication of KR2017006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기 응집제 반응조의 내부에 원수 투입관이 연결된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가 장착되어, 고분자 응집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고분자 응집 반응조의 내부에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가 장착되어, 상단부에 처리수 유통로가 형성된 분리 격벽을 사이로 슬러지 부상조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부상조와,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 및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 사이에 순환펌프가 부착된 순환관이 연결되고,
상기 순환관의 일측 단부에 분사관이 부착되어 상기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의 내부에 가스 챔버가 설치되고, 순환관의 다른 일측 단부에 중앙부에는 블로워가 연결된 가스 챔버가, 이 가스 챔버의 외부에는 노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에 대하여 1차 화학 반응을 유도한 후,
다음 단계로 고분자 응집제를 다량의 미세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폐수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슬러지와 함께 분리 처리하는 한편,
이러한 처리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처리 대상 폐수를 부상시키는데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컨트롤 밸브, 계측기 및 가압 탱크 등의 복잡한 부대 설비가 필요없이,
부상용 기포 발생을 압력이 아닌 저압의 순환펌프의 유속에 의한 것으로 개선하여, 재가동시, 순환펌프와 블로워의 가동만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SLUDGE FLOTATION SYSTEM USING GAS SOLU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보다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폐수 처리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조 외부에서 응집 반응이 완료된 뒤, 처리수가 부상조로 유입되는 한편,
그 중 일부가 가압 펌프에 의하여 가압 탱크로 이송됨과 동시에, 에어 콤프레셔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가압 탱크로 함께 공급되고,
가압 탱크 내부는 액체와 기체가 5kg/cm2 정도의 상당한 압력으로 가동되며,
연속적으로 화학 반응조의 반응수와 합류되어 가압 탱크로 이동, 가압이 이루어진 뒤, 부상조로 이송된 후, 대기압으로 분출되어 기포가 상승하면서 슬러지를 동시에 부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압 부상 분리 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미세 공기와 접촉하여 부상시키기 위하여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가압 탱크 등이 복잡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일정한 미세기포를 발생하기 위하여 컨트롤 밸브 및 계측기가 설치되어야 하며,
재가동시, 가압 탱크의 압력을 조정해야 하는 등, 가동 및 운전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고가의 설비와 큰 동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가압 부상 분리 장치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부상시키는데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컨트롤 밸브, 계측기 및 가압 탱크 등의 복잡한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고,
부상용 기포 발생이 압력에 의한 것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 개선함으로써, 재가동시, 순환펌프와 블로워의 가동만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기 응집제 반응조의 내부에 원수 투입관이 연결된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가 장착되어, 고분자 응집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고분자 응집 반응조의 내부에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가 장착되어, 상단부에 처리수 유통로가 형성된 분리 격벽을 사이로 슬러지 부상조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부상조와,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 및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 사이에 순환펌프가 부착된 순환관이 연결되고,
상기 순환관의 일측 단부에 분사관이 부착되어 상기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의 내부에 가스 챔버가 설치되고, 순환관의 다른 일측 단부에 중앙부에는 블로워가 연결된 가스 챔버가, 이 가스 챔버의 외부에는 노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에 대하여 1차 화학 반응을 유도한 후,
다음 단계로 고분자 응집제를 다량의 미세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폐수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슬러지와 함께 분리 처리하는 한편,
이러한 처리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처리 대상 폐수를 부상시키는데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컨트롤 밸브, 계측기 및 가압 탱크 등의 복잡한 부대 설비가 필요없이,
부상용 기포 발생을 압력이 아닌 저압의 순환펌프의 유속에 의한 것으로 개선하여, 재가동시, 순환펌프와 블로워의 가동만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에 대하여 1차 화학 반응을 유도한 후,
다음 단계로 고분자 응집제를 다량의 미세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폐수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슬러지와 함께 분리 처리하는 한편,
이러한 처리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처리 대상 폐수를 부상시키는데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컨트롤 밸브, 계측기 및 가압 탱크 등의 복잡한 부대 설비가 필요없이,
부상용 기포 발생을 압력이 아닌 저압의 순환펌프의 유속에 의한 것으로 개선하여, 재가동시, 순환펌프와 블로워의 가동만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부상 장치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 은 동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 는 동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 은 동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는,
고농도 및 저농도 폐수 등 여러 다양한 종류의 폐수 처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에 대하여 1차 화학 반응을 유도한 후, 다음 단계로 고분자 응집제를 다량의 미세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폐수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슬러지와 함께 분리 처리하는 한편, 이러한 처리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처리 대상 폐수를 부상시키는데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컨트롤 밸브, 계측기 및 가압 탱크 등의 복잡한 부대 설비가 필요없이,
부상용 기포 발생을 압력이 아닌 저압의 순환펌프의 유속에 의한 것으로 개선하여, 재가동시, 순환펌프와 블로워의 가동만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구조를 하고 있고,
무기 응집제 반응조(1)와 고분자 응집 반응조(3), 슬러지 부상조(5), 슬러지 집수조(7) 및 처리수 수위 조절조(9)가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 응집제 반응조(1)의 내부에는 원수 투입관(11)이 연결된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가 장착되어, 고분자 응집 반응조(3)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분자 응집 반응조(3)의 내부에는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가 장착되어, 상단부에 처리수 유통로(17)가 형성된 분리 격벽(19)을 사이로 슬러지 부상조(5)와 연결되어 있다.
다시 상기 슬러지 부상조(5)와,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 및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 사이에는 순환펌프(20)가 부착된 순환관(2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관(21)의 일측 단부에는 분사관(22)이 부착되어 상기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관(21)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가스 챔버(23)와 노즐(27)이 위치하고,
상기 가스 챔버(23)에는 블로워(29)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부상조(5)에는 공지된 슬러지 수집기(31)와 슬러지 집수조(7), 처리수 이송관(35) 및 처리수 수위 조절조(9)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가 원수 투입관(11)을 통하여 무기 응집제 반응조(1)의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로 유입되면,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 분사관(22)에서 분사되는 순환수의 강한 유속에 의하여 하측으로 유도되어 바닥에 충돌 후 상승하여, 다시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 내부로 자동적으로 빨려 들어가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 상부에서 공급된 무기 응집제가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 내부로 자연히 유입되어 폐수와 급격히 혼합되면서 화학적 반응이 지속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완벽히 이루어지게 된다.
단, 슬러지가 형성되어 있어 무기 응집제 투입이 필요 없는 폐수(축산 폐수, 잉여 슬러지 등)는 1차 무기 응집제 반응조(1) 및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화학 반응이 이루어진 폐수는 고분자 응집 반응조(3)의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로 이송되며,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의 내부에 장착된 가스 챔버(23)와 노즐(27)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미세 기포가 형성되고,
이 미세 기포는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 내부에 강한 난류를 형성하여 기액 접촉을 촉진함으로써,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의 상부에서 투입된 고분자 응집제와 화학 반응이 이루어진 폐수가 미세 기포와 완전 혼합되게 되며, 이러한 기액 혼합체의 연속적인 순환을 통하여 오염 물질을 포함한 슬러지의 부상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면 위에 부상한 슬러지는 슬러지 수집기(31)로 수집하여 슬러지 집수조(7)로 이송시켜 수거하는 한편,
수면 위로 부상한 슬러지의 하부에 위치하는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는 처리수 이송관(35)을 통하여, 처리수 수위 조절조(9)를 거쳐 외부로 방류시키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 는 동 평면도로서,
상기한 실시예의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를 원형 구조로 적용시킨 것으로서,
기존의 설치된 원형 침전지 및 농축조 등의 개보수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에 의하면,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에 대하여 1차 화학 반응을 유도한 후,
다음 단계로 고분자 응집제를 다량의 미세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폐수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슬러지와 함께 분리 처리하는 한편,
이러한 처리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처리 대상 폐수를 부상시키는데 가압 펌프와 에어 콤프레셔, 컨트롤 밸브, 계측기 및 가압 탱크 등의 복잡한 부대 설비가 필요없이,
부상용 기포 발생을 압력이 아닌 저압의 순환펌프의 유속에 의한 것으로 개선하여, 재가동시, 순환펌프와 블로워의 가동만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1 : 무기 응집제 반응조
3 : 고분자 응집 반응조
5 : 슬러지 부상조
7 : 슬러지 집수조
9 : 처리수 수위 조절조
11 : 원수 투입관
13 :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
15 :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
17 : 처리수 유통로
19 : 분리 격벽
20 : 순환펌프
21 : 순환관
22 : 분사관
23 : 가스 챔버
27 : 노즐
29 : 블로워
31 : 슬러지 수집기
35 : 처리수 이송관

Claims (3)

  1. 무기 응집제 반응조(1)의 내부에 원수 투입관(11)이 연결된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가 장착되어, 고분자 응집 반응조(3)와 연결되고,
    상기 고분자 응집 반응조(3)의 내부에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가 장착되어, 상단부에 처리수 유통로(17)가 형성된 분리 격벽(19)을 사이로 슬러지 부상조(5)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부상조(5)와,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 및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 사이에 순환펌프(20)가 부착된 순환관(21)이 연결되고,
    상기 순환관(21)의 일측 단부에 분사관(22)이 부착되어 상기 1차 무기 응집제 가스 용해 장치(13)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관(21)의 다른 일측 단부에 중앙부에는 가스 챔버(23)가, 이 가스 챔버(23)의 안쪽에는 노즐(27)이 상기 2차 고분자 응집 가스 용해 장치(15)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부상조(5)에 공지된 슬러지 수집기(31)와 슬러지 집수조(7), 처리수 이송관(35) 및 처리수 수위 조절조(9)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응집제 반응조(1)와 고분자 응집 반응조(3), 슬러지 부상조(5), 슬러지 집수조(7) 및 처리수 수위 조절조(9)가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응집제 반응조(1)와 고분자 응집 반응조(3), 슬러지 부상조(5), 슬러지 집수조(7) 및 처리수 수위 조절조(9)가 원형 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KR1020150171212A 2015-12-03 2015-12-03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KR20170065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212A KR20170065142A (ko) 2015-12-03 2015-12-03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212A KR20170065142A (ko) 2015-12-03 2015-12-03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42A true KR20170065142A (ko) 2017-06-13

Family

ID=5921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212A KR20170065142A (ko) 2015-12-03 2015-12-03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1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2153A (zh) * 2021-06-07 2021-07-06 北京水利发展有限公司 一种医疗废水自混净化处理装置
KR102665849B1 (ko) * 2023-09-19 2024-05-14 주식회사 타 셋 고농도의 고형물이 포함된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응집형 부상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2153A (zh) * 2021-06-07 2021-07-06 北京水利发展有限公司 一种医疗废水自混净化处理装置
KR102665849B1 (ko) * 2023-09-19 2024-05-14 주식회사 타 셋 고농도의 고형물이 포함된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응집형 부상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779B1 (ko)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US2126164A (en)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treatment of liquid
KR101682392B1 (ko) 폐수처리설비
US20170297924A1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KR100927673B1 (ko)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1184174B1 (ko) 공기부상식 조류제거장치
KR20170065142A (ko) 가스 용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농축 부상 분리 장치
KR101443835B1 (ko) 자동조절 오존나노-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 및 회분식부상조를 이용한 오-하수 고도처리장치
CA2980923C (en) Degasser and method of stripping gas from a liquid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166457B1 (ko) 와류 발생부 및 와류 제거부의 2단 복합 구조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RU195481U1 (ru) Илофлотокомбайн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RU2046759C1 (ru) Способ насыщения жидкости газом под давлением
CN203820498U (zh) 污水泡沫光解处理器
JP4930340B2 (ja) 加圧浮上装置
KR101200972B1 (ko)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120016096A (ko) 바람직하게 선박 상에서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JPH09299930A (ja) 気液接触装置
KR101522386B1 (ko)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WO2002096808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wastewater
RU2367622C2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установка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KR101698481B1 (ko) 진공분리 폐수처리장치
KR20200142963A (ko) 기체 용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772889B1 (ko) 방류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