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489B1 -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489B1
KR101279489B1 KR1020120042849A KR20120042849A KR101279489B1 KR 101279489 B1 KR101279489 B1 KR 101279489B1 KR 1020120042849 A KR1020120042849 A KR 1020120042849A KR 20120042849 A KR20120042849 A KR 20120042849A KR 101279489 B1 KR101279489 B1 KR 10127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ush
supply
support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엠
Priority to KR102012004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6Fluid-pressur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2Fluid-pressur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를 공급하는 로딩(loading)동작이 수행되면 가공된 소재를 배출하는 언로딩(unloading)동작이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측 외관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100) 및 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슈트(120)와; 상기 후면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의 배출을 강제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지편(210)과 지지단(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를 가공 위치로 밀어내 공급하는 공급수단(130)과;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배출수단(200)이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1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로딩-언로딩장치{Auto loading-un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로딩-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재를 공급하는 로딩(loading)동작이 수행되면 가공된 소재를 배출하는 언로딩(unloading)동작이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되는 소재를 공급하여 장착하는 과정을 로딩(loading)이라 하고,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취출하는 것을 언로딩(unloading)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 작업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로딩장치나 언로딩장치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로딩(loading)장치는, 일반적으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3-0018127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소재를 로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클램프가 구비되어 소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클램핑 장치가 필요하며, 소재를 파지한 다음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언로딩(unloading)장치도, 로보트팔과 같은 별도의 클램핑 장치를 부가하여, 가공된 소재를 파지한 다음 외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의해 언로딩(unloading)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종래의 로딩(loading)장치와 언로딩(unloading)장치는,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작업 수행도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별도의 로딩장치와 언로딩장치가 필요하고, 작업사이클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를 공급하는 동작이 수행됨과 동시에 가공된 소재의 취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측 외관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 및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슈트와;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슈트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공된 소재를 밀어 배출시키는 푸시암과, 상기 지지편과 푸시암을 연결하는 연결암이 구비되며, 상기 후면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과 후면판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를 가공 위치로 밀어내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배출수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암은, 상기 연결암의 일단에 장착되는 푸시지지부와; 상기 푸시지지부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가공된 소재에 직접 접촉하여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푸시지지부와 연결암의 접촉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암은, 끝단부에 상기 지지편이 구비되는 제1암부와; 상기 제1암부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부에는 상기 푸시암이 장착되는 제2암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암부와 제2암부의 연결부위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공급슈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과 지지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에 선택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공급부와; 로드가 상기 공급부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과 지지단에 의해 지지되는 소재가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밀려 가공위치로 공급되면, 가공위치로 공급되는 소재의 유동에 의해 상기 배출수단이 회전하여 상기 푸시암이 가공위치에 놓여있는 소재를 배출통로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재가 가공위치로 공급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가공된 소재가 외부로 취출된다. 따라서, 로딩(loading)작업이 완료된 다음 언로딩(unloading)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작업공정에 비해, 작업사이클이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공된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의 일단이, 가공위치로 공급되는 소재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소재의 공급시 자동으로 소재의 배출도 일어나게 되므로, 별도의 로딩(loading)장치와 언로딩(unloading)장치 및 소재를 파지하는 클램핑장치 등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후면판과 배출수단의 결합상태를 상세하게 보인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전면판을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후면판과 배출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배출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로딩-언로딩장치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측 외관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100) 및 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슈트(120)와, 상기 후면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된 소재의 배출을 강제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수단(200)을 구성하는 지지편(210)과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단(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를 가공 위치로 밀어내 공급하는 공급수단(130)과, 상기 배출수단(200)이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다수의 상기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후면판(100)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지지단(10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후면판(100)의 전면에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는 지지단(102)이 소정 길이로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단(102)의 좌측단 상면에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02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102)의 경사면(102a)에 상기 공급슈트(120)를 통해 공급된 소재(M)의 우측 하부가 접하여 지지된다. 물론, 이때 소재(M)의 좌측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편(210)의 지지면(212)과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전면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판(10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면판(110)과 후면판(100) 사이에는 가공된 소재(M)가 배출되는 배출통로(1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후면판(100)과 전면판(110)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부가이드(152)와 하부가이드(154)가 구비되며, 이러한 상부가이드(152)와 하부가이드(154) 사이에 배출통로(150)가 형성되어 소재(M)의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로(150)의 입구(도 2에서는 우측)에는 배출가이드(1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56)는, 가공위치(P)로부터 아래에서 설명할 푸시암(22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는 소재(M)가 배출통로(150)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공급슈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판(100)의 상반부에 설치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다가, 우측단은 하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슈트(120)는, 소재(M)를 우측 하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공급슈트(120)의 우측 하방에 위치되는 가공위치(P)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가공위치(P)는, 링(Ring)으로 이루어지는 소재(M)의 내경 가공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가공위치(P)의 주변에는 소재(M)를 클램핑하는 기구와 가공기구들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단(200)은, 상기 후면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공위치(P)로 공급되는 소재(M)의 유동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배출수단(200)은, 상기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슈트(120)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10)과, 상기 지지편(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공된 소재를 밀어 배출시키는 푸시암(220)과, 상기 지지편(210)과 푸시암(220)을 연결하는 연결암(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우측에는 상기 공급슈트(120)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M)의 좌측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면(212)이 구비된다.
상기 푸시암(220)은, 상기 가공위치(P)에 위치된 소재(M)를 좌측방향으로 밀어 소재(M)가 배출통로(150)로 유입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푸시암(220)은, 상기 연결암(230)의 일단에 장착되는 푸시지지부(222)와, 상기 푸시지지부(22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가공된 소재(M)에 직접 접촉하여 밀어내는 푸시부(224)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시지지부(222)와 연결암(230)의 접촉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철부(226)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지지부(222)의 상면에는 삼각형상의 나사산이 전후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요철부(226)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푸시지지부(222)와 접하는 연결암(230)의 저면에도 푸시지지부(222)의 상면과 같은 나사산이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암(2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암(230)의 제2암부(234) 하단에 접한 상태로 횡방향(도 4 및 도 5에서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암(220)이 연결암(230)이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므로, 푸시암(220)의 전후 유동이 편리해진다. 즉, 상기 푸시암(220)은 상기 연결암(230)의 하단에 볼트(bolt) 등으로 체결되는데, 이러한 볼트(bolt)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쉽게 푸시암(220)의 위치를 전후로 슬라이딩 유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푸시암(220)의 슬라이딩 유동을 위해서는 볼트(bolt)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홈(도시되지 않음)이 아래에서 설명할 제2암부(234)의 하단에 전후로 길게 관통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암(230)은, 상기 지지편(210)의 유동에 따라 상기 푸시암(220)이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편(210)과 푸시암(220)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암(230)은, 끝단부에 상기 지지편(210)이 구비되는 제1암부(232)와, 끝단부에는 상기 푸시암(220)이 장착되는 제2암부(234)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암(230)은, 전체적으로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은 제1암부(232)를 형성하고, 하측은 제2암부(234)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2암부(234)는 상기 제1암부(232)의 우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암부(232)와 제2암부(234)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암부(232)의 좌측단에 상기 지지편(21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암부(232)의 좌측단에는 상기 지지편(210)이 결합되는 장착부(232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암부(2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절곡되어 굴곡부(2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푸시암(220)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2암부(234)는 중앙부분의 굴곡부(234a)에 의해 하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수단(200)이 상기 후면판(100)에 체결되면, 상기 제1암부(232)와 제2암부(234)의 상반부(굴곡부의 윗쪽)은 후면판(100)의 후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편(210)과 제2암부(234)의 하반부(굴곡부의 아래쪽) 및 푸시암(220)은 후면판(10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암부(232)와 제2암부(234)의 연결부위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24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40)은, 상기 연결암(230)이 상기 후면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배출수단(2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210)이 소재(M)에 밀려 회전하면, 상기 푸시암(220)도 자연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공위치(P)에 놓여있는 소재(M)를 밀어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수단(130)은,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210)과 지지단(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M)를 가공위치(P)로 밀어내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급수단(130)은, 상기 공급슈트(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102)과 지지편(2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에 선택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공급부(132)와, 상기 공급부(132)의 유동을 제어하는 실린더부(1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수단(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단(102)과 지지편(210) 사이에 정지되어 있는 소재(M)를 상기 가공위치(P)로 밀어넣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나 에어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13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단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32)의 좌측 경사면이 상기 지지단(102)과 지지편(210) 사이에 정지되어 있는 소재(M)를 우측상방에서 밀게 되면, 상기 소재(M)는 좌측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공위치(P)로 유입된다.
상기 공급부(132)는 상기 실린더부(134)의 좌측단에 연결된다. 즉, 실린더부(134)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로드(134a)가 상기 공급부(132)의 우측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부(134)의 로드(134a)에 상기 공급부(13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린더부(134)의 작동에 의해 로드(134a)가 좌우로 유동하면, 상기 공급부(132)가 좌우로 유동하여 소재(M)를 밀게 된다.
상기 복귀수단(140)은, 상기 배출수단(200)이 상기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복귀수단(140)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복귀수단(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은 상기 연결암(230)에 걸어지고, 우측단은 상기 후면판(100)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후면판(10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귀수단(140)은 상기 배출수단(200)이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모면, 상기 복귀수단(140)의 좌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암부(234)의 굴곡부(234a) 우측면에 걸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지지단(102) 및 지지편(210)에 의해 지지되는 소재가 상기 공급수단(130)에 의해 밀려 가공위치(P)로 공급되면, 가공위치(P)로 공급되는 소재에 의해 상기 배출수단(200)이 회전하여 상기 푸시암(220)이 가공위치(P)에 놓여있는 소재를 배출통로(150)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배출수단(200)은, 상기 복귀수단(140)의 인장력에 의해 다시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으로 복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동 로딩-언로딩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소재(M)가 상기 공급슈트(120)의 좌측단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공급슈트(120)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M)는, 상기 지지단(102)과 지지편(210)에 의해 일시적으로 'A'위치에 정지되어 지지된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M)의 좌측은 상기 지지편(210)의 지지면(212)과 접하고, 우측은 상기 지지단(102)의 경사면(102a)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수단(130)이 작동하여, 상기 지지단(102)과 지지편(210) 사이에 있는 소재(M)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즉, 'A'부에 위치된 소재를 좌측 하방으로 밀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실린더부(134)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드(134a)가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로드(134a)에 결합된 공급부(132)가 좌측(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32)의 좌측단이 'A'부에 위치한 소재(M)를 좌측 하방으로 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A'부의 소재(M)가 좌측 하방으로 밀리게 되므로, 이러한 소재(M)의 좌측에 접하고 있는 상기 지지편(210)도 화살표와 같이 좌측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지지편(210)이 좌측하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공급수단(130)의 실린더부(134) 힘이 상기 복귀수단(140)의 인장력을 극복하게 되어, 상기 배출수단(200) 전체가 상기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암(220)은 상기 가공위치(P)에 위치된 소재(M)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위치(P)에 위치된 가공(내경가공)된 소재(M)는, 상기 푸시암(220)에 밀려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동시에, 'A'부에 위치한 소재(M)는 상기 공급부(132)에 의해 좌측하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지지단(102)의 좌측단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M)는 하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공위치(P)에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A'부에 위치한 소재(M)가 하측의 가공위치(P)로 빠져나가면, 상기 배출수단(200)은 다시 상기 복귀수단(140)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210)이 다시 우측으로 이동(화살표 반대방향)하여, 상기 지지단(102)에 근접하게 되므로, 상기 공급슈트(120)를 통해 하측으로 공급되는 소재(M)는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단(102)과 지지편(210)에 의해 지지되어 정지한다.
한편, 상기 가공위치(P)로 공급된 소재(M)는, 도시되지 않은 클램프 등에 의해 고정되고, 내경가공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로딩-언로딩 사이클이 완료된다. 따라서, 소재(M)의 내경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에서와 같이 공급수단(130)이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귀수단(140)으로 인장스프링을 사용하고, 그 설치위치도 상기 제2암부(234)과 후면판(100)을 연결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배출수단(200)이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 인장스프링 외에 압축스프링이나 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140)의 설치위치도, 제1암부(232)이나 다른 부분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후면판 110. 전면판
120. 공급슈트 130. 공급수단
140. 복귀수단 150. 배출통로
200. 배출수단 210. 지지편
220. 푸시암 230. 연결암
M. 소재 P. 가공위치

Claims (5)

  1.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측 외관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100) 및 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슈트(120)와;
    상기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슈트(120)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10)과, 상기 지지편(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공된 소재를 밀어 배출시키는 푸시암(220)과, 상기 지지편(210)과 푸시암(220)을 연결하는 연결암(230)이 구비되며, 상기 후면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210)과 후면판(10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단(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를 가공 위치로 밀어내 공급하는 공급수단(130)과;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배출수단(200)이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암(220)은,
    상기 연결암(230)의 일단에 장착되는 푸시지지부(222)와;
    상기 푸시지지부(22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가공된 소재에 직접 접촉하여 밀어내는 푸시부(2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푸시지지부(222)와 연결암(230)의 접촉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철부(226)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230)은,
    끝단부에 상기 지지편(210)이 구비되는 제1암부(232)와;
    상기 제1암부(232)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부에는 상기 푸시암(220)이 장착되는 제2암부(23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암부(232)와 제2암부(234)의 연결부위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2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130)은,
    상기 공급슈트(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210)과 지지단(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재에 선택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공급부(132)와;
    로드(134a)가 상기 공급부(132)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132)의 유동을 제어하는 실린더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10)과 지지단(102)에 의해 지지되는 소재가 상기 공급수단(130)에 의해 밀려 가공위치(P)로 공급되면, 가공위치(P)로 공급되는 소재의 유동에 의해 상기 배출수단(200)이 회전하여 상기 푸시암(220)이 가공위치(P)에 놓여있는 소재를 배출통로(150)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KR1020120042849A 2012-04-24 2012-04-24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KR10127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49A KR101279489B1 (ko) 2012-04-24 2012-04-24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49A KR101279489B1 (ko) 2012-04-24 2012-04-24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489B1 true KR101279489B1 (ko) 2013-06-27

Family

ID=4886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49A KR101279489B1 (ko) 2012-04-24 2012-04-24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4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392U (ko) * 1976-09-21 1978-04-15
JP2009172701A (ja) 2008-01-23 2009-08-06 Seiko Instruments Inc 研削盤及び研削盤におけるワークの供給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392U (ko) * 1976-09-21 1978-04-15
JP2009172701A (ja) 2008-01-23 2009-08-06 Seiko Instruments Inc 研削盤及び研削盤におけるワークの供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530B2 (en) Wire bobbin binding device and automatic bobbin winding device using wire bobbin binding device
CN107352284A (zh) 自动分配物料的机械装置
CN108942630A (zh) 一种轴承外圈的抛光装置
EP3159072B1 (en) Apparatus for feeding metal bars in a controlled number to a manufacturing machine
US9931685B2 (en) Tube bending machine with an automatic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loading of tubes on the bending head of a tube bending machine
CN108145421A (zh) 一种活塞销自动上料压装装置
CN110603363B (zh) 铺砌和贴砖设备
KR101201996B1 (ko) 소재의 자동공급장치
KR101279489B1 (ko) 자동 로딩-언로딩장치
US20150122092A1 (en) Center Frame of CNC Machine Tool
KR20110032173A (ko)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101508640B1 (ko)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JP2021086301A5 (ko)
KR101537230B1 (ko) 사출 성형품의 버 제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 제거 방법
KR101368895B1 (ko) 오링 배출 장치
CN207709767U (zh) 铆接机
CN103341797B (zh) 一种进排气导管磨床加工自动送料加工系统
US11020787B2 (en) Workpiece placement platform device having workpiece positioning member movable in and out relative to upper surface of placement platform
CN105880418A (zh) 一种上料机构及自动弯箍机
KR101573654B1 (ko) 코팅장갑용 거치대 회전장치
CN205419298U (zh) 一种转盘式细缆理线机构
JP2006006966A (ja) 遊技盤の自動釘打ち装置
CN205471414U (zh) 一种后视镜自动送料机的定位机构
CN204234744U (zh) 全自动车轴车床推料板
CN214140224U (zh) 一种螺钉自动取出装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