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062B1 -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062B1
KR101279062B1 KR1020100103386A KR20100103386A KR101279062B1 KR 101279062 B1 KR101279062 B1 KR 101279062B1 KR 1020100103386 A KR1020100103386 A KR 1020100103386A KR 20100103386 A KR20100103386 A KR 20100103386A KR 101279062 B1 KR101279062 B1 KR 10127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hydrogen
steel sheet
electrolyt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102A (ko
Inventor
오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0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0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2Constituents thereof
    • G01N33/2022Non-metallic constituents
    • G01N33/2025Gaseous constituents

Abstract

강판의 수소 투과시험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강판에 투과되는 수소 기포의 영상을 보다 선명하고 확실히 분석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증류수가 내부에 채워지며 상단에 시편이 놓여져 밀착되는 하부셀과, 하부셀로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부, 하부셀 상부에 배치되고 직류전원 공급에 의해 황산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강판 표면에 수소를 강제 공급하는 상부셀, 상부셀을 상하로 이동시켜 시편에 밀착시키는 승하강부, 상부셀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 시편을 상기 하부셀에 공급하는 시편 공급부, 상부셀로부터 흡수된 수소가 강판의 반대편으로 투과한 후 생성된 미량의 수소 기포를 관측하고 이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투과 시간을 평가하는 영상분석부, 시험 완료된 시편을 상부셀로부터 제거하는 시편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분석부는 하부셀에 설치되어 시편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하부셀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셀 상에 놓여진 시편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시간에 대한 시편 투과 수소의 부피를 연산하여 수소고용능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TEST DEVICE FOR HYDROGEN PERMEATION OF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판의 수소 투과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영상 분석을 통해 수소 투과시간 측정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랑용 강판 제조에 있어서 보통 소성공정 중에 수증기와 법랑코팅 유약의 수분이 가수분해되면서 수소가스가 발생하여 강판조직의 내부로 고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강판조직상에 고용된 수소는 해당 강판의 수소고용능력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냉각공정 중에 과포화 고용상태를 이루게 되고, 과포화분의 수소가 강판조직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강판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던 법랑유약 코팅층은 상기와 같은 과포화 방출 수소가스압에 의해 물고기비늘모양으로 균열되게 되는 이른바 피쉬 스케일(fish scale)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피쉬 스케일 현상의 발생정도는 법랑강판의 수소고용능력과 관계되어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게 되는데, 수소고용능력이 클수록 피쉬스케일의 발생가능성이 작아지게 된다.
법랑용 강판의 수소고용능력은 수소 투과시험을 통해 평가된다. 수소 투과시험은 수소의 확산 거동을 조사하거나 법랑용 강판의 피쉬 스케일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행하는 시험으로, 강판 시험편의 일측에서 발생시킨 수소가 시험편 반대측으로 투과되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측정된 수소투과시간이 길수록 그 강판은 그만큼 더 큰 수소고용능력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강판의 수소고용능력이 클수록 강판일측에서 발생한 수소가 강판내부에 포화고용된 후 반대측으로 투과되어 나오기까지의 시간이 그만큼 더 길어지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수소고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기화학적 방법, 육안관찰법, 가스 크로마토그라프를 이용한 방법, 부피측정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방법은 강판의 투과면에서 수소 원자들이 분자화 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이며, 육안관찰법은 형성된 수소 기포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방식이며, 가스크로마트그라프를 이용한 방법은 아르곤과 같은 운반가스를 사용하여 발생된 수소량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프로 분석하는 방법이며, 부피측정법은 갇혀있는 수용액 중 수소 기포의 발생량을 수조의 변화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전기화학적 방법의 경우 비교적 정확한 수소 투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지만, 시편 표면에 파라듐(Pd) 도금을 하는 등 시편의 전처리 및 준비가 매우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육안관찰방식은 법랑용 강판의 수소 투과시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측정장치의 제작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관찰자의 주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착시 현상 등에 의해 잘못된 측정결과가 나오기 쉽고 측정오차가 매우 크다.
가스크로마토그라프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 정확한 수소의 발생량을 평가할 수 있으나, 측정주기가 매우 길어서 짧은 시간에 수소 투과가 일어나는 박강판은 측정이 힘든 문제가 있다.
부피측정법은 모세관의 수주 높이차를 검출하여 시간에 따른 부피변화를 확인하게 되는 데, 수주 높이 변화 측정에 광감지장치가 이용되므로 외부광원과 같은 잡음신호가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모세관 내부에 잔존하는 물방울은 다음 시험에 영향을 주므로, 한번 시험하고 난 후에는 모세관 내부에 남아있는 물방울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다른 부피측정법으로, 액체의 높이를 정전용량식 레벨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액체의 미소 높이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액체의 부피 변화가 측정오차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방식은 근본적으로 미소의 부피량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극소량의 누수도 방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진동과 같은 작업환경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강판의 수소 투과시험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강판 수소 투과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강판의 수소 투과 시험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강판 수소 투과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강판에 투과되는 수소 기포의 영상을 보다 선명하고 확실히 분석할 수 있도록 된 강판 수소 투과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증류수가 내부에 채워지며 상단에 시편이 놓여져 밀착되는 하부셀과, 하부셀로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부, 하부셀 상부에 배치되고 직류전원 공급에 의해 황산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강판 표면에 수소를 강제 공급하는 상부셀, 상부셀을 상하로 이동시켜 시편에 밀착시키는 승하강부, 상부셀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 시편을 상기 하부셀에 공급하는 시편 공급부, 상부셀로부터 흡수된 수소가 강판의 반대편으로 투과한 후 생성된 미량의 수소 기포를 관측하고 이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투과 시간을 평가하는 영상분석부, 시험 완료된 시편을 상부셀로부터 제거하는 시편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분석부는 하부셀에 설치되어 시편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하부셀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셀 상에 놓여진 시편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시간에 대한 시편 투과 수소의 부피를 연산하여 수소고용능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전해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항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온부는 열전소자와, 열전소자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셀 내부로 연장되는 열전달로드, 열전달로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전해액과 열교환되는 냉각판, 상기 열전소자에 다른면에 부착되는 열전소자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하부셀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홀 하단에는 관측창이 설치되며 관측창 하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수조와, 홀에 연결 설치되어 증류수가 채워지며 내부에 발광부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시편이 놓여지는 증류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증류수조의 상단에는 시편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증류수공급부는 증류수탱크와, 증류수탱크와 증류수조를 연결하는 증류수 라인, 증류수 라인 일측에 설치되는 증류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상부셀은 하단이 개방되어 시편 상단에 밀착되고 내부에 전해액이 채워지는 전해액조와, 전해액조에 설치되어 시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전해액조 내부에 위치하여 전해액을 통해 시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은 백금재질의 격자망 구조일 수 있다.
본 승하강부는 전해액조 상단에 설치되는 이동블럭과,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동블럭이 승하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 수직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어 이동블럭을 구동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전해액 공급부는 전해액탱크와, 전해액탱크와 전해액조를 연결하는 전해액 라인, 전해액 라인 일측에 설치되는 전해액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시편 공급부는 시편이 적재되는 적재함과, 선단에 시편을 흡착하는 빨판이 설치되는 이송로드, 이송로드를 적재함과 하부셀 사이로 회동시켜 시편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시편 제거부는 사용된 시편이 수거되는 수거함과, 선단에 시편 부착을 위한 마그네틱이 설치된 제거로드, 제거로드를 하부셀과 수거함 사이로 회동시켜 시편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광부는 하부셀의 증류수조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증류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수밀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LED 램프는 시편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시편의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종래 시험 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험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빛을 조사하여 보다 선명하고 확실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시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화 공정을 통해 시험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상부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하부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시편 이송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에서 시편의 준비와 제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시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사각의 격자형 구조물인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는 시편에 대한 시험을 위한 시험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시험을 위한 증류수와 전해액이 담긴 증류수탱크(12)와 전해액탱크(13) 및 사용된 폐수가 저장되는 폐수탱크(14)가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카메라(71)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71) 지지관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필요시 카메라(71)를 장착 또는 탈착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 장치의 시험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의 시험부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고 증류수가 내부에 채워지며 상단에 시편(도 9의 P 참조)이 놓여져 밀착되는 하부셀(20)과, 하부셀(20)로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부, 하부셀(20) 상부에 배치되고 직류전원 공급에 의해 황산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시편 표면에 수소를 강제 공급하는 상부셀(30), 상부셀(30)을 상하로 이동시켜 시편에 밀착시키는 승하강부(40), 상부셀(30)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 시편을 상기 하부셀(20)에 공급하는 시편 공급부(50), 시험 완료된 시편을 상부셀(30)로부터 제거하는 시편 제거부(60), 상부셀(30)로부터 흡수된 수소가 강판의 반대편으로 투과한 후 생성된 미량의 수소 기포를 관측하고 이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투과 시간을 평가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분석부는 하부셀(20)에 설치되어 시편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70)와, 하부셀(20)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셀(20) 상에 놓여진 시편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71), 상기 카메라(71)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시간에 대한 시편 투과 수소의 부피를 연산하여 수소고용능력을 측정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동일한 구조의 하부셀(20)과, 상부셀(30), 각 하부셀(20)로부터 시편을 제거하는 시편 제거부(60)가 각각 구비되며, 중앙에는 시편 공급부(5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셀(30)은 하단이 개방되어 시편 상단에 밀착되고 내부에 전해액이 채워지는 전해액조(31)와, 상기 전해액조(31)에 설치되어 시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32), 전해액조(31) 내부에 위치하여 전해액을 통해 시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33)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액조(31)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전해액이 공급되는 공급홀(도 5의 34 참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해액조(31)로 공급되는 전해액은 1 노르말 농도의 H2SO4 수용액일 수 있으며,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조(31)의 선단에는 시편과의 기밀을 유지하여 전해액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35)이 설치된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36)은 전해액조(31)와 연통되어 외측에 설치되는 검출관으로, 외부에서 전해액조(31) 내부의 전해액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극(32)은 전해액조(31)의 하단을 통해 돌출 설치된다. 이에 전해액조(31)를 시편 상부에 밀착시켰을 때, 돌출된 음극(32)이 시편에 가압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32)은 전해액조(31)의 상하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전해액조(31)에 설치된 탄성부(37)에 연결된다.
상기 양극(33)은 전해액조(31)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백금재질의 와이어가 격자형태로 배치된 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부(40)는 전해액조(31)를 상하로 이동시켜 시편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부(40)는 전해액조(31) 상단에 설치되는 이동블럭(41)과,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이동블럭이 승하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42), 수직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어 이동블럭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수직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이동블럭과 연결된다.
이에 구동실린더가 신축작동되면 이동블럭(41)이 수직부재(42)를 따라 승하강되고, 이동블럭(41) 하단에 설치된 전해액조(31)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해액조(31) 내부로 전해액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액 공급부는 전해액탱크(13)와, 전해액탱크(13)와 전해액조(31)를 연결하는 전해액라인(43), 전해액라인 일측에 설치되는 전해액펌프(44)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액탱크(13)는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전해액탱크(13)에 연결된 전해액라인(43)은 베이스프레임(10) 상부로 연장되어 전해액조(31) 측면에 관통형성된 공급홀(34)과 연결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전해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항온부를 더 포함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온부(80)는 열전소자(81)와, 열전소자(81)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셀(30) 내부로 연장되는 열전달로드(82), 열전달로드(8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전해액과 열교환되는 냉각판(83), 상기 열전소자(81)에 다른면에 부착되는 열전소자 냉각부(84)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81)는 이극형 반도체를 조합했을 때에 생기는 냉각효과를 이용한 소자이다. 즉, 이종 금속에서는 금속 내의 전자의 퍼텐셜에너지에 차가 있기 때문에 퍼텐셜에너지가 낮은 상태에 있는 금속으로부터 높은 상태에 있는 금속으로 전자를 운반하는 데는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얻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접점에서 열에너지를 빼앗기고, 반대의 경우에는 열에너지가 방출된다. 상기 열전소자(81)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열전소자(81)의 다른면에 설치되는 냉각부는 열전소자(81)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열판(85)이 히트파이프 등의 열전달매체를 통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방열판(85)으로 전달된 열은 송풍팬 등을 이용한 공랭방식이 방열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81)에서 발생된 냉기는 열전달로드(82)를 통해 냉각판(83)으로 전달되어 냉각판(83)이 담겨져 있는 전해액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전해액조(31) 일측에는 전해액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86)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온도센서(86)의 검출신호에 따라 열전소자(81)를 제어작동하여 전해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장치는 상기 항온부(80)를 통해 전해액의 온도를 20 ~ 26℃로 유지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장치의 하부셀(2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셀(20)은 중앙에 홀(22)이 형성되고 상기 홀(22) 하단에는 관측창(23)이 설치되며 관측창(23) 하부에 배치되는 카메라(71)를 지지하는 수조(21)와, 상기 홀(22)에 연결 설치되어 증류수가 채워지며 내부에 발광부(70)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시편이 놓여지는 증류수조(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21)는 증류수조(24)에서 흘러넘치는 증류수 및 전해액조(31)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을 배수 처리하게 된다. 수조(21)의 외벽은 증류수조(24)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며, 수조(21)의 저면에는 증류수 및 전해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25)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5)는 배수라인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폐수탱크(14)와 연결된다. 이에 사용된 증류수나 전해액 등의 폐수는 배수라인을 통해 폐수탱크(14)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 수조(21)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홀(22)에는 증류수조(24)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홀(22)의 하부에는 홀을 차단하여 증류수가 밑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된 관측창(23)이 설치된다. 상기 홀(22)의 일측에는 증류수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26)이 형성된다.
상기 증류수조(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관 구조물로, 수조(21)의 중앙에 형성된 홀(22)에 결합된다. 이에 바닥면을 이루는 관측창(23)과 측면을 이루는 증류수조(24)가 하나의 용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급홀(26)을 통해 공급된 증류수가 증류수조(24) 내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증류수조(24)는 상단에 시편이 놓여지므로, 시편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27)이 증류수조(24)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증류수조(24)로 증류수를 공급하기 위한 증류수공급부는 증류수탱크(12)와, 증류수탱크(12)와 증류수조(24)를 연결하는 증류수라인(45), 증류수 라인 일측에 설치되는 증류수펌프(46)를 포함한다.
상기 증류수탱크(12)는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증류수탱크(12)에 연결된 증류수라인(45)은 베이스프레임(10) 상부로 연장되어 수조(21) 측면에 관통형성된 공급홀(26)과 연결된다. 상기 공급홀(26)에는 오버플로우관(28)이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오버플로우관(28)은 공급홀(26)을 통해 증류수조(24)로 과급된 증류수를 수조(21)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증류수조(24) 내부에는 증류수조(24) 상단에 놓여지는 시편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21)의 관측창(23) 하부에는 관측창(23)을 통해 시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71)가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21)의 하단에는 지지관(72)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관(72)의 내부에 카메라(7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71)는 제어부(90)와 연결되어 제어부(90)로 촬영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지지관(72)은 베이스프레임(10) 하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발광부(70)는 하부셀(20)의 증류수조(24)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증류수조(24)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지지부재(73)와, 지지부재(73)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수밀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LED 램프(7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73)는 증류수에 대한 수밀성을 갖는 방수형 구조이다. 지지부재(73)의 내주면을 따라 LED 램프(74)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지지부재(73)와 LED 램프(74) 사이에는 방수처리를 위해 실리콘이 빈 공간에 충진된다. 이에 본 발광부(70)는 상기 증류수조(24)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증류수에 의한 누수 우려없이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LED 램프(74)는 시편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시편의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시편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소 기포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70)의 LED 램프(74)로 연결되는 전원선(75)은 상기 증류수조(24) 일측에 형성된 홀(7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홀(76)은 지지부재(73)와의 사이에서 역시 기밀 유지가 되어 전해액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LED 램프(74)로부터 시편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카메라(71)로 시편을 촬영하였을 때,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시편을 이동시키는 시편 공급부와 시편 제거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P) 공급부(50)는 시편(P)이 적재되는 적재함(51)과, 선단에 시편(P)을 흡착하는 빨판(52)이 설치되는 이송로드(53), 이송로드(53)를 적재함(51)과 하부셀(20) 사이로 회동시켜 시편(P)을 이동시키는 회동부(54),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회동부(54)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55)를 포함한다.
상기 빨판(52)은 에어 흡입에 따라 시편(P)을 흡착하는 것으로, 에어관(56)을 통해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상기 이송로드(53)는 빨판(52)이 설치된 쪽의 반대편 선단이 회동부(54)에 설치되어 회동부(54)의 구동에 따라 회동작동된다.
이에 구동부(55)가 작동되면 회동부(54)가 승하강되고, 회동부(54)가 작동되면 이송로드(53)가 회동된다. 따라서 이송로드(53) 선단의 빨판(52)에 흡착된 시편(P)을 시편 적재함(51)에서 하부셀(20)의 증류수조(24) 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편 공급부(50)는 베이스프레임(10) 상단의 중앙에 설치되어, 좌우측에 위치한 각 하부셀(20)로 시편(P)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시편 제거부(60)는 사용된 시편(P)이 수거되는 수거함(61)과, 선단에 시편(P) 부착을 위한 마그네틱(62)이 설치된 제거로드(63), 제거로드(63)를 하부셀(20)과 수거함(61) 사이로 회동시켜 시편(P)을 이동시키는 회동부(64),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회동부(64)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65)를 포함한다.
이에 구동부(65)가 작동되면 회동부(64)가 승하강되고, 회동부(64)가 작동되면 제거로드(63)가 회동된다. 따라서 제거로드(63) 선단의 마그네틱(62)에 흡착된 시편(P)을 하부셀(20)의 증류수조(24) 상단에서 시편 수거함(61)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편 제거부(6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좌우측에 위치한 각 하부셀(20)에 각각 대응 설치되어 각 하부셀(20)로부터 시편(P)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거로드(63)의 회동반경을 따라 하부셀(20)과 수거함(61)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P)에서 흘러내리는 폐수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66)가 더 설치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90)의 작동에 따라 하부셀(20)의 증류수조(24) 내에 증류수가 공급된다. 제어부(90)는 증류수펌프(46)를 구동하여 증류수탱크(12) 안에 있는 증류수를 이송시킨다. 증류수는 증류수라인(45)에 연결된 증류수조(24)의 공급홀(26)을 통해 증류수조(24) 내에 채워진다.
증류수가 증류수조(24) 내에 완전히 채워져 상부로 넘칠 정도가 되면 시편(P)이 적재된 적재함(51)에서 시편(P)을 증류수조(24) 상단으로 이송시킨다.
시편(P)의 이송은 이송로드(53)에 설치된 흡착 빨판(52)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로드(53) 선단에 설치된 흡착 빨판(52)을 통해 에어가 흡입되면 빨판(52)의 흡입압에 의해 시편(P)이 빨판(52)에 흡착된다. 시편(P)이 빨판(52)에 흡착되면 구동부(55)가 상승 작동되어 이송로드(53)를 수직 상승시킨다. 이송로드(53)가 수직 상승되어 시편(P)이 적재함(51)에서 이격되면 구동부(55)에 설치된 회동부(54)가 작동되어 이송로드(53)를 회동시킨다. 이송로드(53)가 회동됨에 따라 이송로드(53) 선단의 시편(P)은 증류수조(24) 상단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55)는 이송로드(53)를 수직 하강시키고 흡착 빨판(52)의 흡입압을 제거하게 되면 시편(P)이 빨판(52)에서 분리되어 증류수조(24) 상단에 놓여지게 된다. 시편(P)이 증류수조(24) 상단으로 이동되면 이송로드(53)는 원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하부셀(20)이 하강하여 시편(P) 윗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시편에 대한 수소 투과 시험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이 완료되면 시편(P)을 제거하게 된다.
시편(P)의 제거작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이 완료되면 상부셀(30)은 수직상승된다. 상부셀(30)이 완전히 상승되면 제거로드(63)가 회동부(64)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어 시편(P)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에 제거로드(63)의 선단에 설치된 마그네틱(62)이 시편(P)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65)가 하강 작동되어 제거로드(63)를 수직 하강시킴에 따라 제거로드(63) 선단에 설치된 마그네틱(62)이 시편(P)에 밀착된다. 마그네틱(62) 구동에 따라 시편(P)이 마그네틱(62)에 부착된다. 시편(P)이 마그네틱(62)에 부착되면 구동부(65)의 승강작동에 따라 다시 제거로드(63)가 상승하고, 시편(P)은 마그네틱(62)에 부착된 상태로 증류수조(24) 상단에서 이격된다. 그리고 회동부(64)의 구동에 따라 제거로드(63)가 원위치로 회동되어 시편(P)을 증류수조(24)에서 시편(P) 수거함(61)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시편(P)이 수거함(61) 위쪽에 위치되면 제거로드(63)를 하강시킨 후 마그네틱(62)으로부터 시편(P)을 분리함으로써, 시편(P)을 수거함(61)으로 탈락시키고 시험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시편(P)에 대한 수소투과 시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P)을 사이에 두고 하부셀(20)의 증류수조(24)와 상부셀(30)의 전해액조(31)가 시편(P)의 양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시편(P)에 대한 수소 투과시험이 이루어진다. 증류수조(24)의 상단과 전해액조(31)의 하단에는 각각 오링이 설치되어 시편(P)과 기밀을 유지하면 밀착된다.
하부셀(20)의 증류수조(24)에는 증류수가 공급되어 채워져 있고, 상부셀(30)의 전해액조(31)에는 전해액인 H2SO4 수용액이 채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셀(30)의 전해액조(31)에 설치된 양극(33)과 음극(32)은 직류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시편(P)에 전류밀도를 가하게 된다. 전해액조(31) 속에 있는 양극(33)인 백금 전극에는 직류전원의 +극을 연결하고 시편(P)에는 직류전원의 -극을 연걸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류는 시편(P)의 두께에 따라 0.2 ~ 7A까지 설정된다. 즉, 직류공급장치는 전해액인 H2SO4 수용액을 매질로 백금 전극과 시편(P) 사이에 0.2 ~ 7A/㎠의 전류밀도를 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90)는 전해액조(31)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전해액의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81)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열전소자(81)는 전해액의 온도를 시험 적정 온도, 예컨대, 25℃ 정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에 시편(P)에 수소가 강제로 투과되어 시편(P)의 반대쪽 면에 수소 기포가 형성된다. 상기 시편(P)의 반대쪽 면에 발생한 수소 기포는 하부셀(20)의 하단에 설치된 카메라(71)로 관측된다. 카메라(71)를 통해 얻어진 영상 정보는 제어부(90)로 전송되고 제어부(90)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정확한 수소 흡장 시간을 평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90)는 증류수조(24) 내에 설치된 LED 램프(74)를 구동하여 시편(P)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카메라(71)에 의한 촬영시 수소 기포에 대한 보다 명확한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증류수조(24) 내에 설치되는 LED 램프(74)는 방수형 지지부재(73)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최대한 시편(P)에 근접한 상태에서 시편(P) 표면에 대해 수평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에 시편(P)의 표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소 기포의 영상 구분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즉, 시편(P)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소 기포는 시편(P)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대해 LED 램프(74)에서 조사되는 빛은 시편(P)에 평행한 방향이므로 수소 기포에 대해서는 수직방향을 이룬다. 따라서 빛의 조사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수소기포가 빛을 가장 많이 받아 시편(P) 표면과의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은 카메라(71)에 의해 얻어진 영상정보를 제어부(90)가 연산하여 수소의 투과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LED 램프를 통해 빛을 시편에 수평방향으로 조사하는 경우, 시편의 표면은 어두운 색으로 나타나고, 시편에 돌출 형성된 수소 기포만이 빛을 받아 밝은 흰색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시편 표면에 대한 수소 기포의 구분이 명확하여 영상 정보를 보다 정확히 분석할 수 있으며,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프레임구조물 20 : 하부셀
21 : 수조 23 : 관측창
24 : 증류수조 27,35 : 오링
30 : 상부셀 31 : 전해액조
32 : 음극 33 : 양극
40 : 승하강부 41 : 이동블럭
42 : 수직부재 43 : 전해액라인
44 : 전해액펌프 45 : 증류수라인
46 : 증류수펌프 50 : 시편 공급부
51 : 적재함 52 : 빨판
53 : 이송로드 54,64 : 회동부
55,65 : 구동부 60 : 시편 제거부
61 : 수거함 62 : 마그네틱
63 : 제거로드 70 : 발광부
71 : 카메라 72 : 지지관
73 : 지지부재 74 : LED 램프
80 : 항온부 81 : 열전소자
82 : 열전달로드 83 : 냉각판
85 : 방열판 90 : 제어부

Claims (11)

  1.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증류수가 내부에 채워지며 상단에 시편이 놓여져 밀착되는 하부셀과, 상기 하부셀로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공급부, 상기 하부셀 상부에 배치되고 직류전원 공급에 의해 황산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강판 표면에 수소를 강제 공급하는 상부셀, 상기 상부셀을 상하로 이동시켜 시편에 밀착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상부셀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 시편을 상기 하부셀에 공급하는 시편 공급부, 상기 상부셀로부터 흡수된 수소가 강판의 반대편으로 투과한 후 생성된 미량의 수소 기포를 관측하고 이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투과 시간을 평가하는 영상분석부, 시험 완료된 시편을 상부셀로부터 제거하는 시편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분석부는 하부셀에 설치되어 시편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하부셀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셀 상에 놓여진 시편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시간에 대한 시편 투과 수소의 부피를 연산하여 수소고용능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 공급부는 시편이 적재되는 적재함과, 선단에 시편을 흡착하는 빨판이 설치되는 이송로드, 상기 이송로드를 적재함과 하부셀 사이로 회동시켜 시편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 제거부는 사용된 시편이 수거되는 수거함과, 선단에 시편 부착을 위한 마그네틱이 설치된 제거로드, 상기 제거로드를 하부셀과 수거함 사이로 회동시켜 시편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거로드의 회동반경을 따라 하부셀과 수거함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전해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항온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온부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셀 내부로 연장되는 열전달로드, 상기 열전달로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전해액과 열교환되는 냉각판, 상기 열전소자에 다른면에 부착되는 열전소자 냉각부를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하단이 개방되어 시편 상단에 밀착되고 내부에 전해액이 채워지는 전해액조와, 전해액조에 설치되어 시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전해액조 내부에 위치하여 전해액을 통해 시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백금재질의 격자망 구조로 된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 하단에는 관측창이 설치되며 관측창 하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수조와, 상기 홀에 연결 설치되어 증류수가 채워지며 내부에 발광부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시편이 놓여지는 증류수조를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증류수조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증류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수밀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는 시편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시편의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조의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전해액조 상단에 설치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이 승하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어 이동블럭을 구동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03386A 2010-10-22 2010-10-22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KR10127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386A KR101279062B1 (ko) 2010-10-22 2010-10-22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386A KR101279062B1 (ko) 2010-10-22 2010-10-22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02A KR20120061102A (ko) 2012-06-13
KR101279062B1 true KR101279062B1 (ko) 2013-07-02

Family

ID=4661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386A KR101279062B1 (ko) 2010-10-22 2010-10-22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7799A (zh) * 2015-01-05 2015-06-03 王军 一种土工织物的电动-淤堵试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0843B2 (ja) * 2016-07-13 2020-10-21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電極表面の観察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観察方法
CN106769781B (zh) * 2017-01-26 2019-07-23 武汉科技大学 一种测试金属材料氢渗透性能的装置及使用方法
KR102092747B1 (ko) * 2018-04-17 2020-03-24 주식회사 포스코 강재의 청정도 평가 방법
KR102153469B1 (ko) * 2018-05-16 2020-09-08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시편의 수소주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691B1 (ko) * 1994-12-02 1998-12-01 김만제 법랑강판용 수소투과시간 측정장치
KR100547482B1 (ko) * 2001-12-21 2006-01-3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수소투과 시험장치
KR20070016316A (ko) * 2005-08-03 2007-02-08 안명국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한 강판 수소투과 시험장치
KR20100057212A (ko) * 2008-11-21 2010-05-31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전해 정련된 금속석출판 표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691B1 (ko) * 1994-12-02 1998-12-01 김만제 법랑강판용 수소투과시간 측정장치
KR100547482B1 (ko) * 2001-12-21 2006-01-3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수소투과 시험장치
KR20070016316A (ko) * 2005-08-03 2007-02-08 안명국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한 강판 수소투과 시험장치
KR20100057212A (ko) * 2008-11-21 2010-05-31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전해 정련된 금속석출판 표면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7799A (zh) * 2015-01-05 2015-06-03 王军 一种土工织物的电动-淤堵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02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062B1 (ko) 강판 수소 투과 시험 장치
CN110243752B (zh) 筛选装置和筛选方法
AU2011363361B2 (en) Culture Apparatus for Microscope Viewing and Method Therefor
JP3199781B2 (ja) 分離媒質中で所定の動作方向を有する帯域を検出する装置
CN106353283B (zh) 水体透明度检测方法及基于该方法的检测装置
TW201126162A (en) Ion selective electrode cartridge
WO2011034168A1 (ja) イオン選択性電極カートリッジ
CN110672470B (zh) 二次电池的极片浸润测试方法以及装置
CN104807673A (zh) 水体微表层污染物采集装置
RU18617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пресс-оценки газопроницаемости протонпроводящей мембраны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JP6390351B2 (ja) 分析装置
CN209894685U (zh) 一种电化学红外反射光谱实验装置
KR20130043076A (ko) 자동화 버블 검출 장치 및 방법
CN205809087U (zh) 全自动检测装置及具有该装置的生殖道分泌物检测设备
CN1184464C (zh) 测试片支架及用于去除其上多余分析物的装置
CN220961546U (en) Quick test card shell with filtering structure
CN217521068U (zh) 一种电导率检测仪
CN218848168U (zh) 改进型氟化物自动测定装置
CN220568608U (zh) 一种锂电池隔膜浸润性检测装置
JP2004212191A (ja) 水浸超音波探傷装置
CN220019290U (zh) 隔膜浸润性的测试系统
JPH0215318Y2 (ko)
CN216747326U (zh) 一种模拟海洋潮汐涨落的实验装置
CN211043054U (zh) 混凝土抗渗性检测装置
RU20889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х измер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