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999B1 -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999B1
KR101278999B1 KR1020110031418A KR20110031418A KR101278999B1 KR 101278999 B1 KR101278999 B1 KR 101278999B1 KR 1020110031418 A KR1020110031418 A KR 1020110031418A KR 20110031418 A KR20110031418 A KR 20110031418A KR 101278999 B1 KR101278999 B1 KR 10127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data
line
mobile terminal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625A (ko
Inventor
송승호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1003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9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1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chine tools, manipulators and conveyor or other workpiece supply system, workce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97Remote load of program with cellular, wireless, satellit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라인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정 장비를 포함하는 표면실장라인, 공정 장비에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결과 데이터들을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 및 무선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표면실장라인 및 공정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개별적으로 소지한 라인 관리자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표면실장라인 및 공정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OF SURFACE MOUNTING TECHNOLOGY LINE}
본 발명은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실장라인의 라인별 또는 장비별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부품을 기판의 표면에 실장하기 위한 표면실장라인은 기판에 솔더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 장비, 상기 프린팅 장비에서 프린팅된 솔더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솔더 검사장비, 솔더가 프린팅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마운팅 장비, 상기 마운팅 장비에서 실장된 부품의 실장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부품실장 검사장비 및 상기 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리플로우시키기 위한 리플로우 장비 등의 공정 장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면실장라인을 가동시킴에 있어, 표면실장라인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실장라인별 또는 공정 장비별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표면실장라인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공정 장비들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모니터링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표면실장라인의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표면실장라인 상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만을 통해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경우, 라인 관리자가 항상 지정된 장소에서만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라인 관리자의 이동시 실시간 모니터링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면실장라인의 실시간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판에 솔더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 장비, 상기 프린팅 장비에서 프린팅된 솔더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솔더 검사장비, 솔더가 프린팅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마운팅 장비, 상기 마운팅 장비에서 실장된 부품의 실장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부품실장 검사장비 및 상기 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리플로우시키기 위한 리플로우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 장비를 포함하는 표면실장라인, 상기 공정 장비에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결과 데이터들을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면실장라인 및 상기 공정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은 상기 솔더 검사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에 대한 통계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공정 진단 모드, 및 상기 솔더 검사장비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불량 유형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불량 진단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공정 진단 모드 또는 상기 불량 진단 모드의 선택시,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조건창 및 입력된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결과창을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검색결과창의 선택, 별도의 확대 버튼의 선택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시, 상기 검색결과창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개별적으로 소지한 라인 관리자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표면실장라인 및 공정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에 포함된 공정 진단 기능 및 불량 진단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표면실장라인에 대한 시간별, 그룹별, 유형별 분석 등을 통하여 표면실장라인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잘못된 공정 상태를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한정적인 자원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면실장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공정 진단 모드(SPC)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불량 진단 모드(PPM)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면실장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표면실장라인(100), 상기 표면실장라인(100)에 포함된 공정 장비에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300),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된 결과 데이터들을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400), 및 상기 무선 중계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또한,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표면실장라인(100)으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한 공유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실장라인(100)은 기판에 솔더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 장비(110), 상기 프린팅 장비(110)에서 프린팅된 솔더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솔더 검사장비(120), 솔더가 프린팅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마운팅 장비(130), 상기 마운팅 장비(130)에서 실장된 부품의 실장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부품실장 검사장비(140) 및 상기 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리플로우시키기 위한 리플로우 장비(150) 등의 공정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300)는 표면실장라인(100) 별로 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서버(30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모바일 단말기(500)를 연결하는 웹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서버(300)는 각각의 표면실장라인(100)에 포함된 솔더 검사장비(120)에서 생성된 측정 데이터 및 검사 데이터 등의 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측정 데이터는 기판 상에 프린팅된 솔더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데이터는 상기 측정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솔더 도포 상태의 양부를 검사한 결과 및 불량 유형을 검사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중계기(4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의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결과 데이터들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로 무선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는 상기 무선 중계기(400)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결과 데이터들을 전송받는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는 상기 무선 중계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면실장라인(100) 및 표면실장라인(100)에 포함된 개별 공정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다.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은 상기 솔더 검사장비(12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생산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에 대한 통계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공정 진단 모드(SP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은 상기 솔더 검사장비(120)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불량 유형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불량 진단 모드(PP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공정 진단 모드(SPC)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불량 진단 모드(PPM)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를 소지한 라인 관리자가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실행시킨 후 상기 공정 진단 모드(SPC)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의 화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1 검색조건창(510) 및 입력된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제1 검색결과창(520)이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상기 제1 검색조건창(510)에는 검색을 원하는 검색 기간 설정 항목, 그래프의 X축을 구성할 시간구간 설정 항목(Minutely/Hourly/Daily/Weekly/Monthly), 데이터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그룹 선택 항목(Model/Group Pad/Lot/User), 데이터 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 유형 항목(Volume/Height/Area/OffsetX/OffsetY), 표면실장라인을 선택하는 라인 선택 항목, 그래프의 Y축 값을 설정하는 항목(Auto/User Define) 등이 표시된다.
라인 관리자가 상기 제1 검색조건창(510)을 통하여 검색조건을 입력한 후 실행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1 검색결과창(520)에는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제1 검색결과창(520)에 표시된 검색 결과에 대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검색결과창(520) 또는 별도의 확대 버튼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를 회전시킬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검색결과창(52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의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를 소지한 라인 관리자가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실행시킨 후 상기 불량 진단 모드(PPM)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의 화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2 검색조건창(530) 및 입력된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제2 검색결과창(540)이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상기 제2 검색조건창(530)에는 검색을 원하는 검색 기간 설정 항목, 데이터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그룹 선택 항목, 표면실장라인을 선택하는 라인 선택 항목, 불량 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불량 유형 항목, 그래프 유형을 선택하는 항목 등이 표시된다.
라인 관리자가 상기 제2 검색조건창(530)을 통하여 검색조건을 입력한 후 실행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2 검색결과창(540)에는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제2 검색결과창(540)에 표시된 검색 결과에 대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2 검색결과창(540) 또는 별도의 확대 버튼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를 회전시킬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검색결과창(54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의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50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를 개별적으로 소지한 라인 관리자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표면실장라인(100) 및 공정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에 포함된 공정 진단 기능 및 불량 진단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표면실장라인(100)의 시간별, 그룹별, 유형별 분석 등을 통하여 표면실장라인(1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잘못된 공정 상태를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표면실장라인 110 : 프린터 장비
120 : 솔더 검사장비 130 : 마운팅 장비
140 : 부품실장 검사장비 150 : 리플로우 장비
200 : 공유기 300 : 데이터 서버
400 : 무선 중계기 500 : 모바일 단말기

Claims (4)

  1. 기판에 솔더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 장비, 상기 프린팅 장비에서 프린팅된 솔더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솔더 검사장비, 솔더가 프린팅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마운팅 장비, 상기 마운팅 장비에서 실장된 부품의 실장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부품실장 검사장비 및 상기 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리플로우시키기 위한 리플로우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 장비를 포함하는 표면실장라인;
    상기 공정 장비에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표면실장라인과 상기 데이터 서버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상기 공정 장비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공유기;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결과 데이터들을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면실장라인 및 상기 공정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서버는 기판 상에 프린팅된 솔더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한 측정 데이터와 상기 측정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솔더의 도포 상태를 검사한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는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링 어플은
    상기 솔더 검사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에 대한 통계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공정 진단 모드, 및
    상기 솔더 검사장비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불량 유형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불량 진단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공정 진단 모드 또는 상기 불량 진단 모드의 선택시,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조건창 및 입력된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결과창을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검색결과창의 선택, 별도의 확대 버튼의 선택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시, 상기 검색결과창이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10031418A 2011-04-05 2011-04-05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7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18A KR101278999B1 (ko) 2011-04-05 2011-04-05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18A KR101278999B1 (ko) 2011-04-05 2011-04-05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625A KR20120113625A (ko) 2012-10-15
KR101278999B1 true KR101278999B1 (ko) 2013-07-02

Family

ID=4728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418A KR101278999B1 (ko) 2011-04-05 2011-04-05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6759A (zh) * 2020-11-03 2021-03-12 昆山之富士机械制造有限公司 Pccs生产监控方法
KR20230080139A (ko) * 2021-11-29 2023-06-07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의 부품 버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43A (ko) * 2000-03-31 2001-11-01 박찬일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센서와 장비를 감시/통제할 수 있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3491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미르기술 표면실장설비용 비전검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원격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43A (ko) * 2000-03-31 2001-11-01 박찬일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센서와 장비를 감시/통제할 수 있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3491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미르기술 표면실장설비용 비전검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원격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625A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7448B (zh) 远程监控在测试设备中执行的测试的方法和计算设备
US20190235485A1 (en) Remot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maintenance programs
RU2608242C1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ев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диагностикой
JP4541172B2 (ja) 部品実装ラインにおける情報管理システム
US9678160B2 (en) Industrial automatic-diagnostic device
JP6889520B2 (ja) 診断分析装置関連情報の集約方法および集約システム
CN107305234B (zh) 测量设备
KR20150061351A (ko) Smt 설비 이상 감시 및 예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68850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10895509B (zh) 一种测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1843642A (zh) 巡檢管理方法及系統
JP4763336B2 (ja) 保守業務支援プログラム
KR101278999B1 (ko) 표면실장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TW201437946A (zh) 工程工具
US11029672B2 (en)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of granting authority
US20190279137A1 (en) Evaluation of output-producing asset productivity
CN112019404A (zh) 一种fc-ae-1553通信协议芯片自动化测试的方法及装置
KR102022470B1 (ko) Smt 생산라인의 이상 감시 및 예측 시스템의 기준 정보 설정 시스템
JP3856131B2 (ja) 基板実装ラインの運転支援装置
JP4594798B2 (ja) 実装ライン
KR101542866B1 (ko) 검사 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US202001109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quipment fault code diagnostic information
US20210367859A1 (en) System and approach for remote room controller and device diagnostics and health monitoring
KR101572927B1 (ko)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JP6798461B2 (ja) 通知制御装置、通知制御システム、通知制御方法、及び通知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