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169B1 - 방향지시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지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169B1
KR101278169B1 KR1020110133729A KR20110133729A KR101278169B1 KR 101278169 B1 KR101278169 B1 KR 101278169B1 KR 1020110133729 A KR1020110133729 A KR 1020110133729A KR 20110133729 A KR20110133729 A KR 20110133729A KR 101278169 B1 KR101278169 B1 KR 10127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ower
unit
emitting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944A (ko
Inventor
노형석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에이스크라프트한국인터내쇼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크라프트한국인터내쇼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크라프트한국인터내쇼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1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62J6/165Wireless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62J6/056Electrical means, e.g. lamps characterised by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방향지시장치가 개시된다. 컨트롤 모듈과;상기 컨트롤 모듈과 분리된 방향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되,상기 컨트롤 모듈은,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전력을 공부하는 제1 전원과; 상기 신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모듈은, 상기 송신부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상기 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발광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과;상기 발광부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이 아닐 경우,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는 중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향지시장치{WINKER}
본 발명은 방향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좌측점등, 우측점등, 비상점등을 제어할 수 있어 자전거나 전동휠체어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활동 인구의 증가와 녹색산업 지원의 결과로, 전국에 자전거 도로망이 많이 형성되고 있다. 아울러, 자전거 동호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도로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없다. 자전거 전용도로가 아닌 곳에는 자동차와 자전거가 함께 도로를 질주하고 있다.
한편, 자전거도 사거리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방향지시등이 없어 뒤따르는 자동차와 추돌하는 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 특히, 자전거 운전자의 경우 신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는 큰 인명사고로 이어진다.
따라서, 자동차와 마찬가지도 자전거에도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방향지시장치의 방향지시등은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정방향 설치가 필히 이루어져야 한다. 방향지시등이 거꾸로 설치될 경우, 운전자가 좌측버튼을 눌렀는데, 우측점등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면, 아주 큰 사고로 이어져 자전거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본 발명은 후방의 자동차나 다른 자전거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운전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는 방향지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방향으로 방향지시등 모듈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방향지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컨트롤 모듈과;
상기 컨트롤 모듈과 분리된 방향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 모듈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전력을 공부하는 제1 전원과;
상기 신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모듈은,
상기 송신부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상기 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발광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과;
상기 발광부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이 아닐 경우,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는 중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중력스위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가 닿을 경우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이 상기 발광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제1 판부재와;
상기 무게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가 닿을 경우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이 상기 발광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판부재는 부도체이며, 상기 제2 판부재는 도체이며, 상기 무게추는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후방의 자동차나 다른 자전거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운전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는 방향지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방향으로 방향지시등 모듈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방향지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방향지시등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중력 스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가 자전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방향지시등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의 중력 스위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장치가 자전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방향지시장치(100)는, 컨트롤 모듈(20)과; 상기 컨트롤 모듈(20)과 분리된 방향지시등 모듈(10)을 포함한다.
컨트롤 모듈(20)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23)와; 송신부(23)에 전력을 공부하는 제1 전원(24)과; 신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22)를 포함한다.
방향지시등 모듈(10)은, 송신부(23)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4)와;수신부(14)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발광부(12)와; 수신부(14)와 발광부(1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15)과; 발광부(12)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이 아닐 경우 제2 전원(15)을 차단하는 중력 스위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트롤 모듈(20)은 자전거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하도록, 도 5와 같이 핸들(2)에 결합된다. 컨트롤 모듈(20)의 케이스(21)의 내부에는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23)가 결합되어 있다. 버튼부(22)는 운전자가 신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버튼부(22)는 3개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즉, 좌측버튼, 우측버튼, 중간버튼이다. 좌측버튼을 클릭하면, 송신부(23)는 발광부(12)의 좌측점등 발광부 (121)가 작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송신한다. 우측버튼을 클릭하면, 송신부(23)는 발광부(12)의 우측점등 발광부(122)가 작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중간버튼을 클릭하면, 좌측점등 발광부(121)와 우측점등 발광부(122)가 모두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버튼부(22)의 구성과 이에 따른, 송신부(23)의 신호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원(24)은 건전지일 수도 있고, 반복하여 축전할 수 있는 2차 전지일 수도 있다.
방향지시등 모듈(10)을 외부에서 보면,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후방에 결합된 브라켓(13), 케이스(11)의 전방에서 위치하는 발광부(12)로 구성된다. 케이스(11)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브라켓(13)은 별도의 체결부재로 자전거의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12)는 LED이다. 발광부(12)는 좌측점등 발광부(121)와, 우측점등 발광부(122)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운전자의 제어에 의해서, 좌측점등 발광부(121)가 켜지면 좌회전을 지시하는 것이며, 우측점등 발광부(122)가 켜지면 우회전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좌측점등 발광부(121)와 우측점등 발광부(122)가 동시에 켜지면, 외부에 자전거가 운행중임을 경고하는 것이다.
방향지시등 모듈(10)에는 중력 스위치(16)가 결합되어 있다. 중력 스위치(16)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있다. 중력스위치(16)는 힌지부(161)와; 힌지부(161)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무게추(162)와; 무게추(162)의 상부에 결합되어, 무게추(162)가 닿을 경우 제2 전원(15)의 전력이 발광부(1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제1 판부재(163)와; 무게추(162)의 하부에 결합되어, 무게추(162)가 닿을 경우 제2 전원(15)의 전력이 발광부(12)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판부재(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게추(162)는 힌지부(161)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무게추(162)는 도체이다. 무게추(162)와 제2 판부재(164)가 짝을 이루어 접촉할 경우 제2 전원(15)의 전력이 발광부(12)로 공급된다. 즉, 도 4의 (a)와 같이, 중력방향일 경우, 무게추(162)는 제2 판부재(164)와 접촉하게 된다. 무게추(162)와 제2 판부재(164)가 접촉할 경우, 방향지시등 모듈(10)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반면, 방향지시등 모듈(10)이 뒤집힐 경우, 도 4의 (b)와 같이 제1 판부재(163)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무게추(162)가 제1 판부재(163)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는, 제2 전원(15)의 전력이 발광부(12)로 공급되지 않는다. 제1 판부재(163)는 부도체이며, 제2 판부재(164)는 도체인 것이 좋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방향지시등 모듈(10)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설치될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역방향으로 설치될 경우, 중력 스위치(16)에 의해서 제2 전원(15)의 전력이 발광부(1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사용자가 실수로 방향지시등 모듈(10)을 거꾸로 자전거에 부착하더라도, 중력 스위치(16)에 의해서, 방향지시등 모듈(10)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잘못된 방향지시를 할 가능성이 없도록 한다.
제2 전원(15)은 건전지일 수도 있고, 축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방향지시장치(100)를 자전거(1)에 부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자전거 안장바(4)에 방향지시등 모듈(10)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 모듈(20)은 클램프(30)를 이용하여 핸들바(2)에 부착한다. 자전거 운전자는 컨트롤 모듈(20)의 버튼을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모듈(10)을 제어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자전거에 방향지시장치(100)가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방향지시장치(100)는 자전거 뿐만 아니라, 전동휠체어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방향지시장치(100) 방향지시등 모듈(10)
발광부(12) 수신부(14)
제2 전원(15) 중력 스위치(16)
컨트롤 모듈(20) 버튼부(22)
송신부(23) 제1 전원(24)

Claims (3)

  1. 컨트롤 모듈과;
    상기 컨트롤 모듈과 분리된 방향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 모듈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전력을 공부하는 제1 전원과;
    상기 신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모듈은,
    상기 송신부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상기 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발광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과;
    상기 발광부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이 아닐 경우,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는 중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스위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가 닿을 경우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이 상기 발광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제1 판부재와;
    상기 무게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가 닿을 경우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이 상기 발광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부재는 부도체이며, 상기 제2 판부재는 도체이며, 상기 무게추는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장치.

KR1020110133729A 2011-12-13 2011-12-13 방향지시장치 KR10127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729A KR101278169B1 (ko) 2011-12-13 2011-12-13 방향지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729A KR101278169B1 (ko) 2011-12-13 2011-12-13 방향지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944A KR20130066944A (ko) 2013-06-21
KR101278169B1 true KR101278169B1 (ko) 2013-06-27

Family

ID=4886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729A KR101278169B1 (ko) 2011-12-13 2011-12-13 방향지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303A (en) * 1994-02-22 1997-04-01 Izzo, Sr.; John J. Turn signal and horn assembly for a bicycle
JP2008094365A (ja) * 2006-10-10 2008-04-24 Toshihiro Niihara 自転車、乳母車、人力車、リアカー、車椅子などの人力車両の車幅表示またはセンター位置表示と進行方向指示表示とブレーキ作動表示システム
KR100910402B1 (ko) *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20110082376A (ko) * 2010-01-11 2011-07-19 손대업 자전거용 방향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303A (en) * 1994-02-22 1997-04-01 Izzo, Sr.; John J. Turn signal and horn assembly for a bicycle
JP2008094365A (ja) * 2006-10-10 2008-04-24 Toshihiro Niihara 自転車、乳母車、人力車、リアカー、車椅子などの人力車両の車幅表示またはセンター位置表示と進行方向指示表示とブレーキ作動表示システム
KR100910402B1 (ko) *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20110082376A (ko) * 2010-01-11 2011-07-19 손대업 자전거용 방향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944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9601B (zh) 操作装置
US9637191B2 (en) LED signaling device for a bicycle
DE602005001275D1 (de) Bordcomputer für Fahrräder mit integrierter Beleuchtungs-, Signal- und Lokalisierungsvorrichtung
US20080084688A1 (en) Helmet signal
KR101748804B1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US20040058722A1 (en) Directional signal device
KR1018844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KR101278169B1 (ko) 방향지시장치
KR200447217Y1 (ko)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EP1394029A2 (en) Bicycle lighting system
KR20110006498A (ko) 자전거 방향 전환 표시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62926B1 (ko)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KR101069940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CN204467023U (zh) 具有指示灯的手套
NL1032336C1 (nl) Richtingaanduidingsinrichting voor een veiligheidshelm.
JP2003226275A (ja) 自転車、オートバイのハンドル用安全装置
KR101251399B1 (ko)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KR20170089680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KR20080006415U (ko) 안전조끼
KR20170079697A (ko) 자전거 조명 시스템
GB2528844A (en) An indicator system for cycles
KR101873654B1 (ko) 자전거 안전장치
AU2017101245A4 (en) Bicycle light system
KR101415421B1 (ko)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KR101009948B1 (ko) 자전거용 신호 및 안전 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