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26B1 -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26B1
KR101277626B1 KR1020100135757A KR20100135757A KR101277626B1 KR 101277626 B1 KR101277626 B1 KR 101277626B1 KR 1020100135757 A KR1020100135757 A KR 1020100135757A KR 20100135757 A KR20100135757 A KR 20100135757A KR 101277626 B1 KR101277626 B1 KR 10127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ic
pillar
plate
earthquak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860A (ko
Inventor
김재욱
윤병식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윤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식 filed Critical 윤병식
Priority to KR102010013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지하터널 또는 지하차도와 같이 지중에 설치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서,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을 제어하여 박스체 구조물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지진하중 등에 의한 충격,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을 감쇄시킬 수 있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저판; 상기 저판 상면의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양 측벽체; 및 상기 양 측벽체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에 의한 박스체 구조물의 변형 또는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저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과 접하는 상판과의 연결부위에 면진받침을 설치하되, 상기 면진받침은 상기 연결부위 사이에 상,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베어링부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의한 변형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BOX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SEISMIC FEATURE}
본 발명은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하터널 또는 지하차도와 같이 지중에 설치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서,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을 제어하여 박스체 구조물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지진하중 등에 의한 충격,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을 감쇄시킬 수 있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경간 단순지지 교량은 도 1a와 같이 교대(50) 사이의 각 경간에 거치된 거더(40)의 양 단부 저면이 고정단(10) 교량받침과 가동단(20) 교량받침(SHOE)에 의해서 상기 교대 및 교각에 받쳐져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교량의 경우, 지진 발생 시 가동단 교량받침(20)의 움직임에 의해서 교량 상부구조가 아래로 추락하는 낙교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서
첫째, 교각 또는 교대를 보강하는 방법 또는 교량받침을 면진기능을 가진 교량받침(면진받침)으로 교체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둘째, 상기 거더와 교대 사이에 락업디바이스(Lock Up Device, LUD, 일종의 댐퍼)를 설치하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다.
셋째, 상기 거더와 교대 사이를 서로 체인(30)을 연결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낙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지진은 교량 뿐만 아니라 지하에 시공된 구조물에도 작용하게 되므로 지중에 설치된 터널, 지하차도와 같은 지중구조물에 있어서도 내진을 위한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도 1b는 이러한 지중구조물의 내진등에 저항하기 위하여 강도증진을 위하여 지중구조물에 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치되는 허니콤형 보강재(60)와 상기 허니콤형 보강재(60) 상으로 타설되는 보수몰탈(7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체 시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결국 지중구조물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방식에 의한 내진방법인데 이러한 내진방법은 지중구조물 외부 벽체를 보강하는 방식이므로 실제 지중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기둥벽체 또는 내측슬래브에 대한 내진수단은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c는 특히 건축물에 있어 내진보강의 예를 도시한 것인데, 개구부, 보 등과 같은 부재에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80)를 설치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역시 부재의 강도 증진을 통한 내진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실제 지중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기둥벽체 또는 슬래브의 변형,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과다한 고가의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 또는 시공성 측면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는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d에 의하면 지중에 기둥벽체가 내측 공간에 시공된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 지진하중에 의한 변형 및 붕괴 순서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먼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박스체 구조물에 전달되면 가장 취약한 기둥벽체(A)와 상판(B)의 연결부위가 항복하게 되고, 지진하중이 더 전달되면 기둥이 파괴되면서 지지하는 상판이 붕괴가 시직되며, 종국적으로 기둥이 완전히 파괴하면서 상판이 완전히 주저 않게 된다.
이에 상판이 지지하는 상부지반이 함몰하게 되어 대형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커지게 된다.
이에 상기 수평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면 지진하중에 의한 최종 붕괴를 막을 수는 없지만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약한 지진하중에 의한 기둥의 파괴 자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박스체 구조물 내측에 설치되는 기둥벽체, 내측슬래브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 지진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는 달리 소개된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지하박스, 터널 구조물과 같은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 그 내부에 설치되는 기둥벽체 및 내측슬래브가 지진하중에 의하여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예방 또는 방지하되 구조물 강도 보강방법이 아닌 내진장치를 직접 장착하여 변형 또는 붕괴를 흡수하여 지진하중에 보다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내진장치를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첫째, 박스체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 또는 내측슬래브가 박스체 구조물과 접하는 연결 또는 지지부위에 면진받침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내진장치, 신축이음장치(합성고무(고분자화합물) 또는 강재)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여 지진하중 즉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수평력을 흡수하여 상기 기둥, 내측슬래브의 변형 또는 붕괴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신설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 신축이음장치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를 설치하면 되지만, 기존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위를 일부 절취한 후 상기 내진장치 및 변형흡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저판; 상기 저판 상면의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양 측벽체; 및 상기 양 측벽체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저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과 접하는 상판과의 연결부위에 직접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를 설치하거나,
상기 양 측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 저면이 지지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 또는 양 측벽체와의 지지부위에 직접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를 설치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면진받침을 이용하거나,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횡방향으로 신축 혹은 이동이 가능한 댐퍼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면과 인접하는 기둥 또는 측벽체와의 사이에 신축이음장치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변형흡수장치는 인접한 내측슬래브의 단부면과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설치된 강재 혹은 콘크리트 구체의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사이에 신축되는 고무재질(고분자화합물)의 몸통부;를 포함하는 댐퍼를 이용하거나,
내측슬래브의 단부면에 일측단부가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매립되어 서로 겹쳐지는 신축판형태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하면 상기 내진장치가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기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변형흡수장치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의한 변형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은 박스체 구조물 내부의 기둥, 내측슬래브에 내진장치로써 특히 면진받침을 설치하여 이러한 면진받침이 박스체 구조물과 접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하중 즉 수평력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내측슬래브의 단부면에 변형흡수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온도 등에 의한 내측슬래브의 변형을 초래하는 수평력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박스체 구조물 자체를 내진보강한다기 보다는 박스체 구조물 내측 공간에 시공되는 구조물 예컨대, 기둥(벽체), 내측슬래브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의하여 변형,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박스체 구조물이 완전히 붕괴되기 이전까지 내측 공간에 시공된 구조물의 하자에 의하여 구조물의 기능을 확보할 수 없을때 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내진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교량에 있어 내진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종래 터널 구조물의 내진보강 사시도,
도 1c는 종래 건축물에 있어 내진보강 사시도,
도 1d는 종래 지진하중이 발생한 박스체 구조물의 붕괴모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 변형흡수장치가 설치된 박스체 구조물의 단면도 및 종래 지진하중에 의한 박스체 구조물의 변형모식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 변형흡수장치가 설치된 박스체 구조물의 다른 단면도,
도 2e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 변형흡수장치가 설치된 박스체 구조물의 변형모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 및 변형흡수장치의 실시예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구주물에 내진장치 및 변형흡수장치의 설치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면진받침, 댐퍼를 포함하는 내진장치(100) 및 신축이음장치,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200)의 설치단면도이다.
먼저, 박스체 구조물(300)은 저판(310), 상기 저판(310) 상면의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양 측벽체(320); 및 상기 양 측벽체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판(330);이 포함되도록 시공하게 되는데, 통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된다.
이때, 박스체 구조물의 단면크기는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지만 저판 중앙에 기둥(340)이 더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둥(340)은 박스체 구조물(3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원형기둥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양 측벽처럼 벽체기둥으로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둥(340)은 중간에 브라켓(341)이 더 양측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슬래브(35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상단은 상판(330)의 저면에 연결되도록 시공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양 브라켓(341)에는 내측슬래브(350)의 일단부 저면이 지지되며 내측 슬래브(350)의 타단부 저면은 양 측벽체(320)에 형성된 브라켓(321)에 지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게 되면 달리 내진장치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도 2b와 같이 내측공간에 설치된 기둥(340)의 상단과 브라켓 형성부위(C,D), 내측슬래브의 양단부 부위(E,F)를 기준으로 스웨이(sway, 횡방향 변위, 변형)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측슬래브가 횡방향으로 스웨이 되면서 브라켓들(321,34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기둥(340)의 상단과 상판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본 발명의 면진받침에 의한 내진장치(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면진받침(100)의 종류에는 납면진받침(LRB), 고감쇠고무받침(HDRB), 탄성받침(RB), 초고감쇠받침(E-HDRB) 등 적층고무로 만들어진 면진받침과 강재의 비선형거동(하중-변위 곡선)을 이용한 강재형 댐퍼받침의 면진받침, 마찰과 스프링 복원을 이용한 면진형 디스크받침(EQS, EDS)의 면진받침과 포트받침, 마찰포트받침, 스페리컬받침, 디스크받침 등 교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모든 받침이 포함되며, 면진받침(100)은 도 3a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0), 하부플레이트(130),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강재 등의 플레이트가 사이사이에 형성된 적층고무판으로 형성된 베어링부(120)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상부,하부플레이트는 기둥 상단과 상판 저면에 앵커(140)로 고정되도록 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하면 베어링부가 횡방향으로 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기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만약 앵커(140)가 없는 구조라 하더라도 수평력의 흡수가 가능할 수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3b와 같이 상기 내진장치(100)는 상부,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횡방향으로 신축 혹은 이동이 가능한 댐퍼부(170)로 형성되어 역시 상부, 하부플레이트는 기둥 상단과 상판 저면에 앵커로 고정되도록 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하면 댐퍼가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기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진장치(100)는 외기에 노출되므로 부식이 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에 노출되어 손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a와 같이 내진장치(100)로써 면진받침의 상, 하부플레이트(110,130)의 노출부위를 내화피복재(150)로 감싸도록 한다.
이는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에 볼트(160)를 이용하거나 면진받침이 고정되는 주위 박스체 구조물에 내화피복재(150)를 설치하면 된다.
결국, 상기 내화피복재는 일단부는 면진받침의 상부플레이트 혹은 상부플레이트와 연결된 박스체 구조물의 일부, 타단부는 하부플레이트 혹은 하부플레이트와 연결된 박스체 구조물의 일부에 체결되어 내화피복재에 의하여 내진장치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간단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진장치로써 면진받침은 도 2c와 같이 기둥(340) 상단과 상판(330) 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기둥(340) 하단과 저판(310) 사이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기둥과 연결되는 상판과 저판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둥(340)이 내측슬래브(350)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둥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또는 함께 설치하면 된다.
나아가 도 2d와 같이 기둥이 설치되지 않은 박스체 구조물의 양 측벽체에는 내측슬래브(350)만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면 이러한 내측슬래브(350) 저면과 양 측벽체의 브라켓(321)의 상면에 상기 내진장치(100)로써 면진받침이 설치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면진받침은 결국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지진하중에 의한 충격하중 및 온도변화에 따른 박스체 구조물의 신축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온도변화에 따른 박스체 구조물의 신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 신축이음장치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200)인데 이러한 변형흡수장치(200)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고무재질 또는 강재재질의 변형흡수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면과 인접한 기둥 또는 양 측벽체 사이에 설치하면 된다.
먼저, 도 4a와 같이 고무재질(고분자화합물)의 변형흡수장치(200)는 인접한 내측슬래브의 단부면과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설치된 강재 혹은 콘크리트 구체의 받침대(210)와 상기 받침대 사이에 신축되는 고무재질(고분자화합물)의 몸통부(220)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 4b와 같이 내측슬래브의 단부면에 일측단부(230)가 고정되며, 타측단부(240)가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매립되어 서로 겹쳐지는 강재재질의 신축판형태의 신축이음장치에 의한 변형흡수장치(200)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박스체 구조물 주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충격이 가해져 내측슬래브가 기둥의 브라켓, 양 측벽체의 브라켓으로부터 이탈하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박스체 구조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을 흡수할 수 도 있게 된다.
도 2e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100)가 장착된 박스체 구조물에 지징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전달되었을 때의 변형도를 상기 내진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와 대비한 것인데,
내진장치에 의하여 박스체 구조물의 변형도가 매우 적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내진장치(100)는 지진하중에 의하여 전달되는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수평력에 의한 수평변위를 제한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축이음장치(200) 및 변형흡수장치(200)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 주로 그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데, 온도변화에 따른 박스체 구조물의 신축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내진장치를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실시예 1]
상기 박스체 구조물을 신설할 경우에는 박스체 시공시 미리 내진장치 및 변형흡수장치를 설치하고 박스체 구조물의 기둥 및 내측슬래브를 시공하면 된다.
예컨대, 내진장치(100)는 기둥의 상단 및 하단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되고,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 저면에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변형흡수장치(200)는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면에 인접한 양 측벽체 및 기둥 측면에 설치하면 된다.
이때, 신설 구조물이 아닌 기존 박스체 구조물의 경우에는 미리 내진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존 박스체 구조물에 본 발명의 내진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의 예를 살펴본다.
도 5는 2연 박스체 구조물(300)을 도시한 것인데, 기둥(340)의 상면에 접하는 상판이 형성되어 있어, 먼저 기둥(340) 상단을 일부 절취하게 된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절취용 와이어 커팅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절취된 부위 상면에 하중계와 변위계(410)를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여부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기둥 상단의 반대편 타부를 절취하여 역시 하중계와 변위계를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여부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절취된 부위 사이 단면을 추가 커팅하여 앞서 살펴본 면진받침인 내진장치(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하중계와 변위계를 최종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설치된 면진받침에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최종 내화피복재(150)를 설치하여 마감시키게 되면 내진장치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내화피복재는 절취된 부위(G)를 감싸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는 절취된 부위의 미관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없애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대비하여 가설벤트(500)를 이용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박스체 구조물(300)의 내측공간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가설벤트(500)을 기둥(340) 주위에 설치하고,
역시 기둥(340)의 상면에 접하는 상판이 형성되어 있어, 먼저 기둥(340) 상단을 일부 절취하게 된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절취용 와이어 커팅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가설벤트(500) 상면에 하중계와 변위계(410)를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여부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기둥 상단의 반대편 타부를 절취하여 역시 하중계와 변위계를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여부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절취된 부위 사이 단면을 추가 커팅하여 앞서 살펴본 면진받침인 내진장치(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역시 하중계와 변위계를 최종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설치된 면진받침에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최종 내화피복재(150)를 설치하여 마감시키게 되면 내진장치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100: 내진장치
110: 상부플레이트
120: 베어링부
130: 하부플레이트
140: 앵커
150: 내화피복재
160: 볼트
170: 댐퍼
200: 변형흡수장치
300: 박스체 구조물
310: 저판
320: 양 측벽체
330: 상판
500: 가설벤트

Claims (6)

  1.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저판; 상기 저판 상면의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양 측벽체; 및 상기 양 측벽체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저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과 접하는 상판과의 연결부위에 직접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를 설치하거나, 상기 양 측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 저면이 지지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 또는 양 측벽체와의 지지부위에 직접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내진장치는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면진받침을 이용하거나,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횡방향으로 신축 혹은 이동이 가능한 댐퍼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면과 인접하는 기둥 또는 측벽체와의 사이에 신축이음장치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변형흡수장치는 인접한 내측슬래브의 단부면과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설치된 강재 혹은 콘크리트 구체의 받침대(210); 및 상기 받침대 사이에 신축되는 고무재질(고분자화합물)의 몸통부(220);를 포함하는 댐퍼를 이용하거나,
    내측슬래브의 단부면에 일측단부(230)가 고정되며, 타측단부(240)가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매립되어 서로 겹쳐지는 신축판형태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하면 상기 내진장치가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기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변형흡수장치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의한 변형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장치의 면침받침에는 내화피복재가 더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내화피복재는 일단부는 면진받침의 상부플레이트 혹은 상부플레이트와 연결된 박스체 구조물의 일부, 타단부는 하부플레이트 혹은 하부플레이트와 연결된 박스체 구조물의 일부에 체결되어 내화피복재에 의하여 내진장치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간단하게 찰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4.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저판; 상기 저판 상면의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양 측벽체; 및 상기 양 벽체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저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과 접하는 상판과의 연결부위에 직접 면진받침 또는 상기 양 측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 저면이 지지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 또는 양 측벽체와의 지지부위에 직접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절취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절취공간에 내진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내진장치를 감싸도록 내화피복재가 설치하되, 상기 내화피복재는 절취공간을 마감하도록 기둥 상단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진장치는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면진받침을 이용하거나,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횡방향으로 신축 혹은 이동이 가능한 댐퍼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면과 인접하는 기둥 또는 측벽체와의 사이에 신축이음장치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변형흡수장치는 인접한 내측슬래브의 단부면과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설치된 강재 혹은 콘크리트 구체의 받침대(210); 및 상기 받침대 사이에 신축되는 고무재질(고분자화합물)의 몸통부(220);를 포함하는 댐퍼를 이용하거나,
    내측슬래브의 단부면에 일측단부(230)가 고정되며, 타측단부(240)가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매립되어 서로 겹쳐지는 신축판형태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하면 상기 내진장치가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기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변형흡수장치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의한 변형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시공방법.
  5.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저판; 상기 저판 상면의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양 측벽체; 및 상기 양 벽체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박스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저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 주위 또는 내측슬래브 주위에 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저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과 접하는 상판과의 연결부위에 직접 면진받침 또는 상기 양 측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 저면이 지지되는 기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 또는 양 측벽체와의 지지부위에 직접 면진받침을 포함하는 내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절취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절취공간에 내진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내진장치를 감싸도록 내화피복재가 설치하되, 상기 내화피복재는 절취공간을 마감하도록 기둥 상단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진장치는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면진받침을 이용하거나, 상기 연결부위 또는 지지부위에 설치되는 상,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횡방향으로 신축 혹은 이동이 가능한 댐퍼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슬래브의 양 단부면과 인접하는 기둥 또는 측벽체와의 사이에 신축이음장치 또는 댐퍼를 포함하는 변형흡수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변형흡수장치는 인접한 내측슬래브의 단부면과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설치된 강재 혹은 콘크리트 구체의 받침대(210); 및 상기 받침대 사이에 신축되는 고무재질(고분자화합물)의 몸통부(220);를 포함하는 댐퍼를 이용하거나,
    내측슬래브의 단부면에 일측단부(230)가 고정되며, 타측단부(240)가 기둥 또는 양 측벽체에 매립되어 서로 겹쳐지는 신축판형태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하면 상기 내진장치가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기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변형흡수장치가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에 의한 변형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시공방법.
  6. 삭제
KR1020100135757A 2010-12-27 2010-12-27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7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57A KR101277626B1 (ko) 2010-12-27 2010-12-27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57A KR101277626B1 (ko) 2010-12-27 2010-12-27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60A KR20120073860A (ko) 2012-07-05
KR101277626B1 true KR101277626B1 (ko) 2013-06-21

Family

ID=4670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757A KR101277626B1 (ko) 2010-12-27 2010-12-27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2928A (ja) * 1997-11-20 1999-06-08 Shimizu Corp 免震建物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2001003576A (ja) 1999-06-23 2001-01-09 Taisei Corp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および免震装置の耐火被覆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2928A (ja) * 1997-11-20 1999-06-08 Shimizu Corp 免震建物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2001003576A (ja) 1999-06-23 2001-01-09 Taisei Corp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および免震装置の耐火被覆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60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232B1 (ko) Sf댐퍼
KR101165320B1 (ko)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KR101832706B1 (ko) 물탱크용 상하조절용 내진건식패드
KR20140040089A (ko) 건축구조물 진동 감쇠용 결합부재
JP2007239306A (ja) 免震ダンパーの取付方法
CN109898691B (zh) 一种阻尼接地型装配式钢筋混凝土调谐质量阻尼墙
JP4038472B2 (ja) 既存建物用制震補強架構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物
KR101301143B1 (ko) 필로티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JP6126932B2 (ja) 橋梁の機能分離型制振構造
RU101053U1 (ru) Фундамент сейсмостойкого нового, существующего или реконструированного здания или сооружения
CN110805164B (zh) 底部带有减震耗能连接件的装配式剪力墙
KR102122028B1 (ko) 간주형 제진장치
KR101277626B1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박스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8678481B (zh) 一种抗震钢结构住宅建筑
KR101323587B1 (ko)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RU101725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реконструированное,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е или возведенное здание или сооружение
JP4544202B2 (ja) 方形脚柱の補強構造、該方形脚柱基部の補強構造、及び、これらの施工方法
JP4698389B2 (ja) 建物の耐震改修装置及び耐震改修方法
KR20120123917A (ko) 에이치형강 기둥의 내진보강용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JP4837145B1 (ja) 制震補強架構付き構造物
RU2663979C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200076066A (ko) 내진보강 구조체
CN220813422U (zh) 一种独柱桥墩抗倾覆构造
JP5706952B1 (ja) 橋梁構造及び既存橋梁の補強方法
CN114635344B (zh) 用于混凝土构件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