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955B1 -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 - Google Patents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955B1
KR101275955B1 KR1020117021696A KR20117021696A KR101275955B1 KR 101275955 B1 KR101275955 B1 KR 101275955B1 KR 1020117021696 A KR1020117021696 A KR 1020117021696A KR 20117021696 A KR20117021696 A KR 20117021696A KR 101275955 B1 KR101275955 B1 KR 10127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unctional liquid
crystal film
st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437A (ko
Inventor
히로시 다케나카
카즈토 나카무라
다케시 니시무라
요스케 사가야마
히로유키 호시노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02F1/13476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in which at least one liquid crystal cell or layer assumes a scattering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02F1/13345Network or three-dimensional g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9Function characteristic transflect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액정필름의 은폐성을 보충하면서도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지 않아, 각종 제품의 의장으로서 필요한 은폐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기용 은폐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용 은폐부재는, 필름형상의 투명기체(3)의 아래쪽에 필름형상의 정보입력장치(4)를 배치하고, 그 아래쪽이면서 기기의 피은폐부(1b)를 덮는 위치에 기능성 액정필름(5)을 배치해서, 전기적으로 투과와 불투과를 절환할 수 있게 하고, 기능성 액정필름(5)의 아래쪽에 반사에 의한 광택성과 투과성을 가지면서 비금속성인 필름형상 광택층(6)을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Description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 {COVERING MEMBER FOR INSTRUMENT, INSTRUMEN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VERING PORTION OF INSTRUMENT TO BE COVERED}
본 발명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등의 피은폐부에 부착되어, 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한편, 비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顯在化)시키는 특수한 의장성을 부가할 수가 있는 기기용 은폐 필름,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전자수첩과 같은 휴대정보 단말(PDA)과 같은 소형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는, 표시장치로서, 액정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wm마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가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을 보호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구성된 보호판을 전자기기의 케이싱에 첩합(貼合)시킴으로써, 당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보호판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보호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에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근래, 다른 제품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 독특한 의장을 붙인 전자기기가 요망되고 있고, 디스플레이의 표시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특수한 의장을 붙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르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비구동시(비표시시)에는 케이싱과 같은 색을 나타내어 디스플레이의 배치 영역을 전혀 느낄 수 없게 하는 한편, 디스플레이의 구동시(표시시)에는 케이싱과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배치 영역을 현재화(顯在化)시킬 수가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의장을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이 의장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 공지의 기능성 액정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단순히 디스플레이의 바깥쪽에 기능성 액정필름을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은폐성을 얻기가 곤란하고, 비구동시에도 케이싱과 디스플레이의 배치영역을 시인(視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버려, 상기한 의장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없다. 종래의 기능성 액정필름에 있어서, 충분한 은폐성을 얻을려면, 기능성 액정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해서 은폐성을 높일 것이 필요해서, 소형의 기기나 가전 등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또, 케이싱을 금속 색으로 해서, 디스플레이의 배치 영역에 금속으로 증착된 하프 미러(half mirror) 층을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금속이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터치 센서 등과의 조합이나, PC(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와 같은 통신기기와의 조합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기능성 액정필름의 은폐성을 보충하면서도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지 않고, 각종 제품의 의장으로서 필요한 은폐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기용 은폐부재와,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기기의 피은폐부를 덮도록 상기 기기의 케이싱에 부착 가능하되, 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기기의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한편, 비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기기용 은폐부재로서,
필름형상의 정보 입력장치와,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아래쪽에 배치되고서 상기 기기의 상기 피은폐부를 덮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전기적으로 투과와 불투과를 절환할 수 있는 기능성 액정필름과,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의 아래쪽에 배치되고서 반사에 의한 광택성과 투과성을 가진 비금속성의 필름형상의 광택층이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는 기기용 은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불투과 상태에서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과 상기 광택층과 상기 피은폐부를 상기 기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정보 입력장치를 통해서 바라봤을 때의 색과,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케이싱의 색을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위쪽에 배치된 필름형상의 투명기체와,
상기 투명기체의 내면이면서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주위에,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배선을 은폐하는 은폐층을 더 갖추되,
전기적으로 불투과 상태에서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과 상기 광택층과 상기 피은폐부를 상기 기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투명기체를 통해서 바라봤을 때의 색과,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케이싱의 색과 상기 은폐층의 색을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은 폴리머 분산형 액정필름으로 구성되고, 전압의 인가에 의해 광을 투과하는 상태와,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비투과상태가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제3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제1∼제3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와,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상기 피은폐부는,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인 제5 태양에 기재된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제4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와,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의하면, 상기 피은폐부는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인 제7 태양에 기재된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의하면,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제1∼제3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와,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불투과상태로부터 투과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상기 투과상태로부터 상기 불투과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의하면,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제4 태양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부재와,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불투과상태로부터 투과상태로 절환해서,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상기 투과상태로부터 상기 불투과상태로 절환해서,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성 액정필름의 피은폐부 측에 광택층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성 액정필름 만으로는 불충분한 은폐성을 광택층에 의해 높일 수가 있어, 기능성 액정필름의 은폐성을 보충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광택층을 비금속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지 않아, 각종 제품의 의장으로서 필요한 은폐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기용 은폐부재와,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불투과 상태에서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과 상기 광택층과 상기 피은폐부를 상기 기기의 바깥쪽에서 바라봤을 때의 색과, 상기 기기용 은폐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케이싱의 색을 맞춰지도록(색이 일치되도록) 구성하면, 기기의 비사용시의 기능성 액정필름이 불투과상태일 때는, 피은폐부와 케이싱이 일체화해서 구별할 수 없게 되어, 피은폐부의 존재 자체를 거의 없앤(바꿔 말해, 피은폐부를 거의 완전히 은폐한) 의장으로 할 수가 있다. 한편, 기기의 사용시에 기능성 액정필름이 투과상태일 때는, 피은폐부와 케이싱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서, 피은폐부의 시인성을 높일 수가 있다. 따라서, 피은폐부가 거의 완전히 은폐되어 피은폐부의 존재 자체를 전혀 알 수가 없는 상태에서 피은폐부를 현재화(顯在化)시켜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일종의 놀라움과 의외성에 의한, 임팩트(impact)가 강한 의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을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을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1c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을 기기의 케이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접착층을 명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 1d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을 기기의 케이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접착층을 명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 2a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의 PN형 액정표시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2b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의 PN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스위치를 온으로 해서 투명 전극기판에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액정분자가 전계 방향으로 배향(配向)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의 굴절률이 대략 일치해서 투명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c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의 PN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스위치를 오프로 해서 투명 전극기판에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 액정분자가 폴리머 네트워크의 표면을 따라 나란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의 굴절률이 일치하지 않아, 광 산란 상태(비투명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의 광택층의 일례로서의 나노 적층 PET 필름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이 설치되는 기기의 일례로서의 휴대전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의 은폐기능 및 은폐해제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기능 블록도,
도 5a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이 설치되는 기기의 일례로서의 백색의 휴대전화 단말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불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을 알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백색의 휴대전화 단말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이 현재화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이 설치되는 기기의 일례로서의 백색의 별개의 휴대전화 단말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불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을 알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백색의 휴대전화 단말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이 현재화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c는 도 6a의 백색의 휴대전화 단말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이 현재화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 필름이 설치되는 기기의 별개의 예로서의 백색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이 현재화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b는 도 7a의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이 은폐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c는 도 7a의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기능성 액정필름이 불투과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존재 영역을 알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서의 제1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용 은폐부재의 일례로서의 기기용 은폐 필름(2)을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 1a에 나타내고, 기기용 은폐 필름(2)을 기기(1)의 케이싱(1a)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 1b에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서, 기기(1)의 케이싱(1a)의 오목부(1g)에 설치할 수 있고, 기기(1)의 비사용시에 기기(1)의 피은폐부(예컨대,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동작부: 1b)를 은폐해서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1c; 도 5a 참조)을 알 수 없게 하는 한편, 기기(1)의 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1c)를 현재화시키는 기기용 은폐 필름(2)이다. 즉, 기기용 은폐 필름(2)은 기기(1)의 피은폐부(예컨대,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동작부; 1b)를 덮도록 기기(1)의 케이싱(1a)의 오목부(1g)에 설치할 수 있다. 이 필름(2)은 필름형상의 투명기체(透明基體; 3)와, 투명기체(3)의 아래쪽에 배치된 필름형상의 정보 입력장치, 예컨대 터치 센서(4)와, 터치 센서(4)의 아래쪽에 배치되고서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1b)를 덮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전기적으로 투과와 불투과를 절환할 수 있는 기능성 액정필름(5)과, 기능성 액정필름(5)의 아래쪽에 배치되고서 반사에 의한 광택성과 투과성과를 가진 필름형상의 광택층(6)이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층 사이의 접속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한 접착제의 접착층(15)을 사용해서 상호 접속되도록 하면 된다. 즉,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기체(3)와 터치 센서(4) 사이에 접착층(15)을 전면적으로 배치하고,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 사이에 접착층(15)을 전면적으로 배치하며,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 사이에는 접착층(15)을 전면적으로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투명기체(3)는, 기기용 은폐 필름(2)의 가장 바깥층에 배치되어, 투시성이 뛰어나면서도 디스플레이부(1b)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필름형상 또는 얇은 판상의 부재이다. 투명기체(3)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부(1b)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임의의 모양을 붙여도 좋다. 투명기체(3)는 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합성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스티렌형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ABS 수지, AS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AN 수지와 같은 범용의 수지를 들 수가 있다. 또, 합성수지의 다른 예로는, 폴리페닐렌옥시드·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레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범용 엔지니어링 수지, 또는 폴리슬폰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아릴계 내열수지와 같은 슈퍼엔지니어링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투명기체(3)는, 판상의 부재인데, 여기서 판상이라 함은 도시된 평판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3차원적 곡면을 가진 박형 성형품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투명기체(3)에 강화유리를 이용하는 경우는, 재질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범용의 이른바 청유리 보다도, 기계적 강도 등이 한층 더 우수한 백색 소다유리(소위, 흰색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화유리의 제조방법(강화가공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두께 1mm 전후의 판 두께 유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온교환에 의한 강화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교환에 의해 강화된 화학 강화유리는 풍랭(風冷) 강화유리 보다도 한층 더 큰 압축응력을 나타낸다.
투명기체(3)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충분한 강도 특성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0.3에서 1.1mm 정도, 보다 바람직하기는 0.5에서 0.8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기체(3)의 내면 주위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터치 센서(4)의 배선을 숨기기 위한 의장을 실시한 센서 배선용 은폐층(7)이 외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투명기체(3)가 사각형인 경우에, 그 투명기체(3)의 내면 주위에 사각 프레임형상으로 센서 배선용 은폐층(7)을 형성시켜, 터치 센서(4)의 주위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선을 숨기도록 되어 있다. 한편, 터치 센서(4)의 배선이 장방형인 터치 센서(4)의 주위 가장자리부의 3변에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의 3변만을 은폐층(7)으로 은폐하도록 하면 되고, 주변 가장자리부의 다른 1변에는 은폐층(7)의 형성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터치 센서(4)의 배선이 장방형인 터치 센서(4)의 주위 가장자리부의 1변에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1변만을 은폐층(7)으로 은폐하도록 하면 되고, 다른 3변에는 은폐층(7)의 형성은 불필요하게 된다. 은폐층(7)은 인쇄 등으로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은폐층(7)에 의해, 기기(1)를 장식할 수가 있다.
터치 센서(4)는 도 1a∼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주위의 배선부가 센서 배선용 은폐층(7)과 겹쳐지도록 투명기체(3)의 내면에 배치되어, 투명기체(3) 측에서 손가락 등으로 눌러줌으로써 기기(1)에 대해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기기(1)의 조작을 실행하거나 하는 것이다. 한편, 터치 센서(4)는 휴대기기에 대해서는 필요하지만, 가전기기에 대해서는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터치 센서(4)는, 뒤에 설명하는, 사용자가 기기(1)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을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32)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기능성 액정필름(5)은 터치 센서(4)의 내면 측이면서 적어도 디스플레이부(1b)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기능성 액정필름(5)은 적어도 디스플레이부(1b)의 배치 영역과 같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액정필름(5)의 일례로서는, 폴리머 네트워크(PN:Polymer Network) 형(型)이라 불리는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1종이 있다. 이와 같은 PN형 액정표시장치(PNLCD)는, 도 2a에 확대해서 단면을 나타낸 것과 같이, 투명 전극(5b)을 각각 대향하는 내면에 가진 1쌍의 투명 전극기판(예컨대, 폴리에틸렌(PET) 필름 등의 플라스틱 기판)(5a)(도 2a에서는 양측의 흑색부분) 사이에, 액정(5d)과 폴리머 네트워크(5c)를 봉입(封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11)를 온으로 해서 1쌍의 투명 전극기판(5a)에 전원(1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는, 액정분자가 전계방향으로 배향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굴절률이 대략 일치해서 투명상태로 되는 한편,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11)를 오프로 해서 1쌍의 투명 전극기판(5a)에 전원(1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분자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표면을 따라 나란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굴절률이 일치하지 않아, 광 산란 상태(비투명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기능성 액정필름(5)을 백색으로 구성할 때,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의 백탁화(白濁化)한 기능성 액정필름(5)에 대해 전압을 인가하면 기능성 액정필름(5)이 투명화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성 액정필름(5)의 특성을 살려, 여러 가지 색조에서의 은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기능성 액정필름(5)의 실례로는, 일본국 큐슈(九州) 나노텍 광학주식회사의 기능성 액정필름을 사용할 수가 있다.
기능성 액정필름(5)은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켜줌으로써, 투과도를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전원(10)으로부터 1쌍의 기능성 액정필름(5)에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인가해야 할 전압)까지 서서히 커지게 하면, 비투명상태에서 투명상태로 서서히 절환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서서히 절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b) 또는 카메라부와 같은 피은폐부가 서서히 부상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할 수가 있다. 한편, 전원(10)으로부터 1쌍의 기능성 액정필름(5)에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까지 단번에 증가시키면, 비투명상태에서 투명상태로 급속히 절환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b) 또는 카메라부 등의 피은폐부가 돌연히 부상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할 수가 있다.
1쌍의 기능성 액정필름(5)에 전원(1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11)는, 예컨대 기기(1)를 사용할 때에 조작하는 스위치로 겸용하거나, 또는 기기(1)에 접촉함으로써 자동으로 온으로 되는 접촉 스위치(터치 센서)로 하거나 할 수가 있다.
광택층(6)은 기능성 액정필름(5)의 뒤(안쪽)에 투명접착제의 접착층(15)을 사용해서 첩합(貼合)시켜 배치하되, 적어도 기능성 액정필름(5)과 같은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능성 액정필름(5)을 투과하는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과 투과시키는 기능의 양쪽을 가진 층으로서, 터치 센서(4) 및 기기(1) 등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층(6)은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광택층(6)의 일례로서는, 일체 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난반사에 의해 입사광을 반사할 수 있어서 금속적인 광택을 냄과 더불어 은폐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과, 광택층(6)은 비금속 필름이기 때문에, 기기(1)가 휴대전화 단말인 경우에는, 그의 통신을 위한 전파에, 또는 센서 등에 기능적인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기기(1)가 가진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보다 강한 은폐를 만들어 낼 수가 있어, 뒤에 설명되듯이, 우수한 의장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파 투과성을 확보한, 비금속 광택층의 예로는, 일본국 토오레 주식회사의 상품명 「피카서스」(PICASUS)를 예로 들 수 있다. 상품명 「피카서스」의 필름은 성형용이(易成形)·무금속(無金屬)의 금속색조 나노 적층 PET 필름이다. 나노 다층 적층구조로 함으로써, 비금속이면서, 금속과 동등한 광택을 갖는, 성형성을 겸비한 제품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두께가 0.2㎛ 이하인 고굴절률의 투명한 폴리머 층(6a)와, 고굴절률의 폴리머 층(6a) 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의 투명한 폴리머 층(6b)을 교대로 다수(예컨대 수백에서 수천 층) 배치해서 나노 다층 적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다(도 3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냄). 이와 같은 나노 다층 적층구조의 각각의 폴리머 층(6a, 6b)의 계면(界面)에서 입사광이 반사해서 반사광이 다수 발해짐으로써, 비금속이면서도 금속과 동등한 광택과 질감을 발휘함과 더불어, 폴리머 층이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을 가는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는, 투과율이 20∼30%인 나노 다층 적층구조의 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투과율이 30%보다 높을 경우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이 저하되어, 기능성 액정필름(5)을 불투과상태로 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1b)의 차폐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투과율이 20%보다 낮은 경우에는, 광을 투과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디스플레이부(1b)의 시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을 겹쳐지게 해서 나타내는 색과, 은폐층(7)의 색 및 케이싱(1a)의 색을 맞추어 일체화하는 것이, 은폐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뒤에 설명되듯이, 기기(1)의 비사용시에, 기능성 액정필름(5)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b)의 배치 영역(1c)과 케이싱(1a)과의 구별을 하기가 어렵게 해서, 디스플레이부(1b)의 배치 영역(1c)를 은폐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으로 나타나는 색이 새하얗지 않고, 약간 그레이를 띤 색인 경우에는, 그와 같은 약간 그레이를 띤 색에 센서 배선용 은폐층(7)의 색과 케이싱(1a)의 색을 맞춰 이들을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1a)의 오목부(1g)는 평면이 4각 형상인 삽입 오목부(1g)로 구성되고, 그의 바닥부에 4각 프레임 형상의 돌출부(1h)가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 오목부(1g) 내에 기기용 은폐 필름(2)을 삽입해서 돌출부(1h)로 지지하고, 디스플레이부(1b)를 돌출부(1h)의 안쪽(도 1b 및 도 1c에서는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용 은폐 필름(2)과 디스플레이부(1b) 사이에 돌출부(1h)가 사이에 끼어 들어가 있듯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기용 은폐 필름(2)은 기기(1)의 케이싱(1a)의 오목부(1g)에 삽입되어 돌출부(1h)에 의해 지지도록 한 후, 돌출부(1h)의 안쪽에 디스플레이부(1b)를 배치함으로써,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기용 은폐 필름(2)이 기기(1)의 케이싱(1a)의 오목부(1g)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기기용 은폐 필름(2)의 가장 바깥층의 투명기체(3)의 외면과 기기(1)의 케이싱(1a)의 외면(1j)은 동일 면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약간 단차가 되어 있어도 좋다.
디스플레이부(1b)는, 광택층(6), 즉 기기용 은폐 필름(2)의 가장 안쪽 층의 안쪽에 배치되어, 기기(1)를 사용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1b)는 정보 출력부로 기능을 해서, 자체 발광, 백라이트 형식, 또는 사이드로부터의 조명 등 여러 가지 형식의 표시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기기(1)의 피은폐부의 별개의 예로, 디스플레이부(1b) 대신 은폐 하고 싶은 의장, 또, 카메라부(정보 입력부)로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b의 기기(1)의 일례로서 휴대전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b)의 은폐기능 및 은폐해제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기능 블록도는 상태 검출부(32)와, 기기 동작부(33)와,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가 각각 제어부(31)에 접속되어 있다.
상태 검출부(32)는 사용자가 기기(1)를 사용하려 하고 있음을 검출하는 것으로, 일례로서,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1b)의 터치 센서(4),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1b)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고서 기기(1)를 사용할 때에 조작하는 스위치, 또는 기기(1)의 케이싱(1a)에 배치되고서 케이싱(1a)을 사용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온으로 되는 접촉 스위치(터치 센서)로 구성할 수가 있다.
제어부(31)는 상태 검출부(32)에서 사용자가 기기(1)를 사용하려 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기기 동작부(33)를 구동함 더불어,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상태 검출부(32)에서 사용자가 기기(1)를 사용하려고 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기 동작부(33) 및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를 구동하지 않는다.
기기 동작부(33)는 제어부(31)에서의 제어 하에 기기(1)를 사용하는 동작부이다.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는 제어부(31)에서의 제어 하에 기능성 액정필름(5)에 전원(1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한다. 앞의 설명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전원(1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는지의 여부는 스위치(11)의 온·오프에 의해 실행하는 것으로 간략화해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태 검출부(32)와 제어부(31)가 스위치(11)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기용 은폐 필름(2)을 구비한 기기(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도 5a 및 도 5b를 이용해서, 일례로 기기(1)가 백색의 휴대전화 단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기기(1)의 투명기판(3)의 가장 바깥층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먼저, 기기(1)의 비사용시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11)가 오프이고, 기능성 액정필름(5)의 투명 전극기판(5a)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액정분자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표면을 따라 나란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굴절률이 일치하지 않아, 광 산란 상태(비투명상태), 즉 백탁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색은 그 색이 케이싱(1a)의 색과 맞춰져 있으면, 양자의 경계를 구별할 수가 없게 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1a)과,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영역(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 1c)은 전혀 구별이 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1c)을 알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단, 도 5a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1c)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고, 디스플레이부(1b)가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지, 디스플레이부(1b) 자체가 존재하고 있는지도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다음에, 기기(1)의 사용시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11)가 온으로 되어 있고, 기능성 액정필름(5)의 투명 전극기판(5a)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이기 때문에, 액정분자가 전계방향으로 배향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굴절률이 대략 일치해서 투명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영역(1c)은 케이싱(1a)과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별할 수가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1a)과,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1c;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영역(1c))과는 명확하게 구별이 되어,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및 그 표시를 명확하게 시인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도 6a∼도 6c에 별개의 예로서, 기기(1)가 백색의 휴대전화 단말인 경우이면서 기기(1)의 투명기판(3)의 가장 바깥층이 3차원적 만곡면을 가진 휴대전화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기(1)의 비사용시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11)가 오프이고, 기능성 액정필름(5)의 투명 전극기판(5a)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액정분자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표면을 따라 나란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굴절률이 일치하지 않아, 광 산란 상태(비투명상태), 즉 백탁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색은 그 색이 케이싱(1a)의 색과 맞추어져 있으면, 양자의 경계를 구별할 수가 없다. 즉,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1a)과,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영역(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 1c)은, 즉 단말 기기(1)의 표면에는,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어 디스플레이부(1b)가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지, 디스플레이부(1b) 자체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다음에, 기기(1)의 사용시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11)가 온으로 되어 있고, 기능성 액정필름(5)의 투명 전극기판(5a)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이기 때문에, 액정분자가 전계방향으로 배향하고, 액정분자와 폴리머 네트워크(5c)의 굴절률이 대략 일치해서 투명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영역(1c)은 케이싱(1a)과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별할 수가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도 6b∼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1a)과,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영역(1c;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밖에서 바라본 영역(1c))이, 서서히 구별할 수 있는 상태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되는 상태로 변화하고, 도 6c의 기기(1)의 사용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및 그 표시를 명확하게 시인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6c의 참조부호 1e는 디스플레이부(1b)에 표시된 「1」∼「9」의 휴대전화 단말의 숫자 패드이고, 1f는 디스플레이부(1b)에 표시된 기능키이다. 각각의 키 1e, 1f의 위치를 손가락 등으로 압압함으로써, 터치 센서(4)의 스위치가 온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b)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의 사이에 광택층(6)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성 액정필름(5)만으로는 불충분하였던 은폐성을 광택층(6)에 의해 높일 수가 있어서, 기능성 액정필름(5)의 은폐성을 보충할 수 있음과 더불어, 광택층(6)을 비금속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파장해 등을 일으키는 일 없이, 각종 제품의 의장으로서 필요한 은폐성을 실현할 수가 있는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불투과 상태에서의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과 디스플레이부(1b)를 기기(1)의 바깥쪽에서 투명기체(3)를 통해서 바라봤을 때의 색과, 케이싱(1a)이 나타내는 색을 맞추어 일체화시켜 놓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기(1)의 비사용시에 기능성 액정필름(5)이 불투과상태일 때는, 디스플레이부(1b)와 케이싱(1a)이 일체화되어 구별할 수가 없게 되어,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자체를 거의 없게 하는(바꿔 말해, 디스플레이부(1b)를 거의 완전히 은폐하는) 의장으로 할 수가 있다. 한편, 기기(1)의 사용시에서 기능성 액정필름(5)이 투과상태일 때는, 디스플레이부(1b)와 케이싱(1a)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서, 디스플레이부(1b)의 시인성을 높일 수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실시형태를 기기(1), 예컨대 휴대전화 단말 등의 휴대기기에 적용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b)가 거의 완전히 은폐되어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 자체를 전혀 알아볼 수 없는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부(1b)를 현재화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일종의 놀라움, 의외성에 의한 임팩트가 강한 의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문 등,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를 전혀 예상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디스플레이부(1b)가 돌연 존재하게 되는 의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 바꿔말해, 디스플레이부(1b)가 휴대기기 등에 당연히 존재하는 상태(종래의 휴대기기의 상태)로부터, 언뜻 보아 디스플레이부(1b)의 존재를 전혀 알아볼 수 없는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의장 설계를 실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의장 설계의 자유도를 훨씬 넓힐 수가 있다.
그리고, 예컨대, 단순한 상자 형상, 또는 난형(卵形) 형상의 물체를 사용자가 건드려, 물체에 갖춰진 터치 센서가 반응해서, 디스플레이부(1b)가 비사용상태로부터 사용상태에 변화함으로써, 서서히 또는 급속히, 디스플레이부(1b)가 나타나, 전자기기, 예컨대 휴대기기인 것을 느끼게 하는 것도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기기 등의 기기(1)의 케이싱(1a)의 의장으로서, 종래에는 없었던, 매우 임팩트가 있는 유용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휴대기기의 케이싱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가정용 냉장고와 같은 가전기기 또는 도어폰 등의 디스플레이부(1b)의 은폐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종래의 은폐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존재를 어렴풋이 판별할 수 있는 상태까지밖에 은폐할 수 없어, 의외성이 없기 때문에, 의장적으로 임팩트가 부족한 것이었다. 그 이유는, 예컨대 기능성 액정필름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디스플레이부 상에 기능성 액정필름을 배치하기만 하였기 때문에, 비사용시의 디스플레이부와 기능성 액정필름을 합친 색만으로는, 디스플레이부의 은폐성이 낮음과 더불어, 케이싱(1a)의 색과 맞출 수가 없어, 디스플레이부를 거의 완전히 은폐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또,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금속 증착에서는, 전자기기에 대한 영향이 크고, 다른 방법으로도, 고온 또는 고압에 의해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한 악영향이 염려되고 있었다. 예컨대, 만일 기능성 액정필름에 금속 증착층으로 구성된 광택층을 전사(轉寫)하는 것을 생각했을 경우, 전사의 압력과 온도로 액정필름의 ITO층 및 그들을 접착하는 접착층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 실현은 곤란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액정필름(5)과 디스플레이부(1b) 사이에 광택층(6)을 배치해서, 광택층(6)에 의해, 종래의 부족하였던 은폐성의 기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비사용시의 디스플레이부(1b)와 광택층(6)과 기능성 액정필름(5)을 합친 색과 케이싱(1a)의 색을 맞출 수가 있어, 디스플레이부(1b)를 거의 완전히 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광택층(6)을 비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예컨대, 광택층(6)을 비금속의 광택 필름으로 구성함으로써), 광택층(6)과 기능성 액정필름(5)과의 조합에 의해 앞에서 든 문제를 일으키는 일 없이 이상적인 은폐를 실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 기능성 액정필름(5)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도 5a 및 도 6a의 디스플레이부(1b)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도 5b 및 도 6c의 디스플레이부(1b)가 명확하게 존재하는 상태로 급속히 변화하는 의장, 또는 도 6a의 디스플레이부(1b)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도 6b의 디스플레이부(1b)가 어렴풋이 부상한 상태(도 6b에서는, 도면 명료화의 견지에서, 디스플레이부(1b)의 내용을 세선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의 예로는, 디스플레이부(1b)의 내용이 어렴풋해서 명료하지 않는 상태)를 거쳐, 도 6c의 디스플레이부(1b)가 명확하게 존재하는 상태로 변화하는 의장 등, 의장의 변화를 자유로이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는 대상은 휴대기기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가정의 벽(21) 등에 끼워 넣어진 텔레비전(20)의 디스플레이부(20b)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스위치 온)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b)가 흰색의 벽(21)에 현재화해서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재화한 상태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b)의 존재가 어렴풋이 나타나 있는 상태(도 7b에서는, 도면 명료화의 견지에서, 디스플레이부(20b)의 내용을 세선의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디스플레이부(20b)의 내용이 어렴풋이 나타나도록 해서 명료하지 않는 상태)를 거쳐,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사용(스위치 오프)상태에서는 새하얀 상태(얼룩이 없이 깨끗한, 더 좋은 상태)로 되어, 벽(21)에는 디스플레이부(20b)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아무것도 없는 얼룩도 없이 깨끗한의 벽(21)이라고 생각하던 부분에, 돌연, 또는 서서히, 디스플레이부(20b)가 부상해서 디스플레이부(20b)를 현재화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의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케이싱(1a) 등을 은폐하는 색으로는, 백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감색과 흑색 등, 염료로 물들일 수 있는 색이라면 어떤 색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 투명기체(3)와 은폐층(7)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도 1d에 도시된 변형 예에서는, 투명기체(3)와 은폐층(7)을 생략하고, 케이싱(1a)의 삽입 오목부(1g)에 터치 센서(4)와 기능성 액정필름(5)과 광택층(6)을 가진 기기용 은폐 필름(2A)을 삽입해서, 돌출부(1h)로 지지되도록 한 후, 케이싱(1a)의 외면에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판상의 걸림부재(17)를 배치하고 있다. 걸림부재(17)에는 삽입 오목부(1g)에 대응하는 부분에, 삽입 오목부(1g)보다도 작은 개구(17b)를 갖되, 개구(17b)의 가장자리부에, 터치 센서(4)의 주위 가장자리부와 걸려져 삽입 오목부(1g)로부터의 기기용 은폐 필름(2A)의 탈락을 방지하는 베젤(bezel; 17a)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가진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기기용 은폐부재와,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등의 피은폐부에 설치되어, 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한편, 비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특수한 의장성을 부가할 수가 있는 등으로서 유용하다. 기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하와 같은 기기가 예시될 수 있다. 즉, 휴대기기, 텔레비전(퍼스널 컴퓨터 용의 모니터를 포함한다. 예컨대, 비사용시는 단순한 합성수지의 패널 판과 같아 보인다.), 액정표시장치 부착 가전(예컨대, 냉장고의 문, 도어폰, 디지털 포트 스탠드, 밥솥, 오븐, 전자 레인지, 공기 청정기, 에어콘, 리모콘, 시계 등), 청소기(예컨대, 사이클론식 청소기의 필터부분), 가전에 부속하는 각종 탱크(예컨대, 다리미, 제습기, 가습기 등), 조명기구, 복식 잡화, 크레딧 카드(예컨대, 사용시 이외는 무지로 보인다.), 수납 박스 또는 가구(예컨대, 사용시는 수납 박스 또는 가구의 도어가 시 스루(see through)로 되어, 속 내용의 파악이 간단), 차에 설치하는 표시패널(예컨대, 사용시 이외는 무지(無地)로 보인다), 저금통, 거울, 화이트 보드, 깔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하였으나,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 또는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 또는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기기(1)의 피은폐부(1b)를 은폐가능하게 상기 기기의 케이싱(1a)에 설치할 수 있되, 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기기의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한편, 비은폐 모드에서는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기기의 기기용 은폐 필름으로서,
    필름형상의 정보 입력장치(4)와,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아래쪽에 배치되고서 상기 기기의 상기 피은폐부를 덮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전기적으로 투과와 불투과를 절환할 수 있는 기능성 액정필름(5)과,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의 아래쪽에 배치되고서 반사에 의한 광택성과 투과성을 가진 비금속성 필름형상의 광택층(6)이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은폐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불투과 상태에서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과 상기 광택층과 상기 피은폐부를 상기 기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정보 입력장치를 통해서 바라보았을 때의 색과,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이 설치되는 상기 케이싱의 색을 색일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은폐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장치(4)의 상측에 배치된 필름형상의 투명기체(3)와,
    상기 투명기체의 내면이면서 또한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주위에 상기 정보 입력장치의 배선을 은폐하는 은폐층(7)을 더 갖추되,
    전기적으로 불투과 상태에서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과 상기 광택층과 상기 피은폐부를 상기 기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투명기체를 통해서 바라보았을 때의 색과,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이 설치되는 상기 케이싱의 색과 상기 은폐층의 색을 색일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은폐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은 폴리머 분산형 액정필름으로 구성되고, 전압의 인가에 의해 광을 투과하는 상태와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비투과상태가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은폐 필름.
  5.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 필름(2)과,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32)와,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은폐부는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7.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청구항 제4항 기재된 기기용 은폐 필름(2)과,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32)와,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은폐부는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9.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 필름(2)과,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32)와,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구비하는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불투과상태로부터 투과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상기 투과상태로부터 상기 불투과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
  10.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기기용 은폐 필름(2)과,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32)와,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34)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구비하는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사용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기용 은폐 필름의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불투과상태로부터 투과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피은폐부를 현재화시키는 한편,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상기 사용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 전압 인가부로부터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에 대해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기능성 액정필름을 상기 투과상태로부터 상기 불투과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피은폐부를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피은폐부의 은폐방법.
KR1020117021696A 2009-03-31 2010-03-25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 KR101275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5241 2009-03-31
JP2009085241A JP4629146B2 (ja) 2009-03-31 2009-03-31 機器用隠蔽フィルム、それを使用する機器、及び、機器の被隠蔽部の隠蔽方法
PCT/JP2010/055167 WO2010113739A1 (ja) 2009-03-31 2010-03-25 機器用隠蔽部材、それを使用する機器、及び、機器の被隠蔽部の隠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37A KR20120003437A (ko) 2012-01-10
KR101275955B1 true KR101275955B1 (ko) 2013-06-17

Family

ID=4282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696A KR101275955B1 (ko) 2009-03-31 2010-03-25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79160B2 (ko)
EP (1) EP2416209B1 (ko)
JP (1) JP4629146B2 (ko)
KR (1) KR101275955B1 (ko)
CN (1) CN102365576B (ko)
TW (1) TWI391884B (ko)
WO (1) WO2010113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67584T3 (pl) 2013-02-18 2017-02-28 Politechnika Łódzka Sposób redukcji poziomu dwutlenku węgla w procesie biologicznego oczyszczania biogazu
KR101535055B1 (ko) * 2013-05-03 2015-07-08 주식회사 코맥스 공동현관의 카메라 장치
US9223167B2 (en) * 2013-06-26 2015-12-29 Apple Inc. Liquid crystal switching barrier thermal control
JP6274568B2 (ja) * 2014-03-24 2018-0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
JP6315324B2 (ja) * 2014-05-13 2018-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機器
US20170178377A1 (en) * 2015-02-26 2017-06-2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9674986B2 (en) 2015-08-03 2017-06-06 Apple Inc. Parallel heat spreader
KR102058456B1 (ko) 2015-08-31 2019-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US10347172B2 (en) 2016-05-06 2019-07-09 Vivint, Inc. White or off-white hidd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D846542S1 (en) * 2017-04-26 2019-04-23 Stmec, Llc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D862445S1 (en) 2017-04-26 2019-10-08 Stmec, Llc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D862444S1 (en) 2017-04-26 2019-10-08 Stmec, Llc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0824004B2 (en) * 2017-11-27 2020-11-03 Gentex Corporation Switchable polarized displays
CN108333824A (zh) * 2018-05-02 2018-07-27 江苏新通达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式一体化显示模块
US10962783B2 (en) * 2018-06-19 2021-03-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electrically adjustable optical layers
JP7054808B2 (ja) * 2018-06-26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突板を用いた表示装置
WO2020194784A1 (ja) * 2019-03-28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3917767A (zh) * 2021-10-18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载摄像头装置、车载摄像头总成及车辆
WO2023234123A1 (ja) * 2022-05-30 2023-12-07 Agc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カモフラージ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135A (ja) 2000-01-31 2001-10-19 Nitto Denko Corp タッチ式液晶表示装置及び入力検出方法
JP2003122260A (ja) 2001-10-09 2003-04-25 Nec Corp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3140149A (ja) 2001-11-06 2003-05-14 Tadahiro Asada 液晶表示デバイス
WO2009008402A1 (ja) 2007-07-11 2009-01-15 Nissha Printing Co., Ltd. 電子機器の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643A (en) * 1987-01-16 1998-06-02 Seiko Epson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tion
WO1990008402A1 (en) * 1989-01-10 1990-07-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et transis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btained by using the same
US5617228A (en) * 1994-07-13 1997-04-01 Kabushiki Kaisha Toshiba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o set liquid crystal layer thickness in association with driving voltage
JPH09127521A (ja) * 1995-10-31 1997-05-16 Sharp Corp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JP3539206B2 (ja) 1997-06-09 2004-07-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および液晶表示素子
TWI228616B (en) * 1999-11-30 2005-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7055189A1 (ja) * 2005-11-08 2007-05-18 Nissha Printing Co., Ltd. 意匠パネル
CN201066637Y (zh) * 2007-04-03 2008-05-28 上海序参量科技发展有限公司 提供隐蔽操作的遮掩装置
JP4945345B2 (ja) 2007-07-03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685169B2 (ja) 2007-07-11 2011-05-1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筐体用加飾板及び筐体
WO2011103581A2 (en) * 2010-02-22 2011-08-25 Reald Inc. Bendable liquid crystal polarization switch for direct view stereoscopic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135A (ja) 2000-01-31 2001-10-19 Nitto Denko Corp タッチ式液晶表示装置及び入力検出方法
JP2003122260A (ja) 2001-10-09 2003-04-25 Nec Corp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3140149A (ja) 2001-11-06 2003-05-14 Tadahiro Asada 液晶表示デバイス
WO2009008402A1 (ja) 2007-07-11 2009-01-15 Nissha Printing Co., Ltd. 電子機器の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5576A (zh) 2012-02-29
KR20120003437A (ko) 2012-01-10
WO2010113739A1 (ja) 2010-10-07
CN102365576B (zh) 2014-01-15
EP2416209A4 (en) 2012-10-31
EP2416209A1 (en) 2012-02-08
US8379160B2 (en) 2013-02-19
TW201101256A (en) 2011-01-01
US20120026419A1 (en) 2012-02-02
EP2416209B1 (en) 2016-04-27
JP2010237436A (ja) 2010-10-21
TWI391884B (zh) 2013-04-01
JP4629146B2 (ja)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955B1 (ko) 기기용 은폐 필름과, 그를 사용하는 기기 및, 기기의 피은폐부 은폐방법
JP4685169B2 (ja) 筐体用加飾板及び筐体
JP4685170B2 (ja) 電子機器の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及び電子機器
US8859923B2 (en) Input apparatus
EP2090966B1 (en) Capacitive touch panel
KR101285524B1 (ko) 입력 장치
US20130229828A1 (en) Display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JP2011159055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2236446B (zh) 薄型化触控装置
CN202307631U (zh) 薄膜按键面板
EP2344940B1 (en) Arrangement for selectively viewing and hiding user interface items on a body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such arrangement
JP2004335477A (ja) 平面状の非導電性のカバーを備えた接触スイッチ装置
JP546893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40166048A1 (en) Smart surface, center console for vehicle, and vehicle
JP2015215568A (ja) 機器
JP2011154451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00000708A (ko) 투명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