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566B1 -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566B1
KR101275566B1 KR1020060087599A KR20060087599A KR101275566B1 KR 101275566 B1 KR101275566 B1 KR 101275566B1 KR 1020060087599 A KR1020060087599 A KR 1020060087599A KR 20060087599 A KR20060087599 A KR 20060087599A KR 101275566 B1 KR101275566 B1 KR 10127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cover
cover frame
suppor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564A (ko
Inventor
문기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5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71A)의 테두리에 그 상면에 비하여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단(72)이 구비되며, 그 내측테두리면에 상기 안착단(72)과 일측이 연통되도록 분리홈(77)이 구비되는 커버프레임(71)과; 상기 안착단(72)의 상면에 그 저면테두리가 안착되고, 그 테두리면이 상기 개구부(71A)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프레임(71)의 내측테두리면에 밀착되는 받침플레이트(79);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받침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087599
냉장고, 수납박스커버, 커버프레임, 받침플레이트, 분리홈

Description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A storage receptacle cover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박스커버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받침플레이트를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본체 61: 저장공간
65,67: 지지레일 69: 지지부시
70: 수납박스커버 71: 커버프레임
71A: 개구부 72: 안착단
73: 보강리브 74: 연장부
74A: 케이싱지지레일 76: 연장리브
76A: 보조레일 77: 분리홈
77A: 수직부 77B: 수평부
79: 받침플레이트 80: 박스케이싱
80S: 장착공간 81: 밀착플랜지
83: 지지리브 87: 지지롤러
88,89: 가이드레일 90: 수납박스
90S: 수납공간 91: 걸림플랜지
93: 가이드리브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박스의 상부를 차폐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박스커버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11)은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저 장공간(11)의 후면 중앙에는 냉기덕트(14)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덕트(14)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냉기덕트(14)에는 상기 저장공간(11)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냉기공급구(14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11)의 양측면 하부에는 한쌍의 지지레일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11)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저장공간(11)의 내부를 형성하는 이너케이스의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일 중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레일을 커버지지레일(15), 그리고 상기 커버지지레일(15)의 하방에 위치되는 레일을 케이싱지지레일(17)이라 칭한다. 또한 상기 커버지지레일(17)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11)의 양측면에는 지지부시(19)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는 수납박스커버(2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박스커버(20)는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 수평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납박스커버(20)는 상기 지지부시(19)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커버지지레일(15) 및 지지부시(19)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수납박스커버(20)는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21)과, 상기 커버프레임(21)의 상면에 구비되는 받침플레이트(29)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프레임(21)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21A)의 테두리에는 안착단(2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22)은 상기 커버프레임(21)의 상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1A)의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보강리브(23)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9)는 그 저면테두리가 상기 안착단(22)의 상면에 안착되고, 그 저면 중앙부가 상기 보강리브(23)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9)의 테두리면은 상기 개구부(21A)의 내주면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프레임(21)의 내측테두리면에 밀착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9)는 일반적으로 글래스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플레이트(29)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되는 식품이 안착된다.
한편 도 1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21)의 저면 중앙, 즉 상기 보강리브(23)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24)의 선단에는 좌우로 소정의 폭만큼 연장되는 한쌍의 케이싱지지레일(24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21)의 양측단부 선단에는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리브(26)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리브(26)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폭만큼 연장되는 보조레일(26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수납박스커버(20)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는 한쌍의 박스케이싱(3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박스케이싱(3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수납박스(4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공간(30S)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간(30S)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상부에는 수납박스(40)의 수납공간(40S)에 수납된 식품을 간접냉각시키기 위한 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30)의 후면 상단 양측에는 상기 유로로 냉기를 전달하기 위한 냉기입구(미도시)와 상기 유로를 순환한 냉기를 유로의 외부, 즉 상기 저장공간(11)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기출구(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상하면 및 양측면 선단에는 밀착플랜지(31)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플랜지(31)는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상하면 및 양측면 선단에서 상하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밀착플랜지(31)의 전면에는 수납박스(40)의 걸림플랜지(41) 이면이 밀착된다.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양측면 상단에는 지지리브(3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33)는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양측면 상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리브(33)의 저면은 상기 저장공간(11)의 케이싱지지레일(17) 및 보조레일(26A)과 상기 수납박스커버(20)의 케이싱지지레일(24A)을 따라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양측면 내측 중앙부 선단에는 지지롤러(37)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롤러(37)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박스케이싱(30)의 양측면 내측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37)는 수납박스(40)가 상기 장착공간(30S)에 출납하는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리브(43)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하로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상부가이드레일(38)과 하부가이드레일(39)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공간(30S)에는 수납박스(40)가 각각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납박스(40)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40)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소정의 수납공간(40S)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수납박스(40)의 전면 테두리에는 수납박스(40)가 상기 장착공간(30S)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이면이 상기 밀착플랜지(31)에 밀착되는 걸림플랜지(41)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40)의 양측면 외측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이드리브(4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3)는 상기 수납박스(40)가 상기 장착공간(30S)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싱기 지지롤러(37)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레일(38)과 하부가이드레일(39)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플레이트(29)의 상면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되는 식품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9)가 그 상면에 안착되는 식품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9)를 상기 커버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시켜야 된다. 그런데 상기 받침플레이트(29)는 그 저면테두리 및 중앙부가 상기 커버프레임(21)의 안착단(22)의 상면 및 보강리브(23)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테두리면이 상기 커버프레임(21)의 내측테두리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9)를 상기 커버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양자 사이, 즉 상기 커버프레임(21)의 테두리면과 상기 받침플레이트(29)의 테두리면 사이를 이격시켜야 되는 불편이 따르게 된 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플레이트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테두리에 그 상면에 비하여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단이 구비되며, 그 내측테두리면에 상기 안착단과 일측이 연통되도록 분리홈이 구비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 그 저면테두리가 안착되고, 그 테두리면이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테두리면에 밀착되는 받침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홈은,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테두리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단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보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받침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 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6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61)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61)의 후면 중앙에는 냉기덕트(64)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덕트(64)는 상기 저장공간(61)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기덕트(64)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공간(61)에 냉기를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냉기공급구(64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61)의 양측면 하부에는 한쌍의 지지레일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저장공간(61)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일은 아래에서 설명할 수납박스커버(70)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지지레일(65)과, 아래에서 설명할 박스케이싱(80)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지지레일(6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지지레일(67)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61)의 양측면에는 지지부시(6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61)의 하부에는 수납박스커버(70)가 수평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납박스커버(70)는 상기 저장공간(6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 중 저장공간(61)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선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박스커버(70)는 상기 지지부시(19)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커버지지레일(65) 및 지지부시(69)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수납박스커버(70)의 커버프레임(71)의 장장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프레임(71)의 내부에는 개구부(71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71A)의 테두리에는 안착단(7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72)은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72)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받침플레이트(79)의 저면테두리가 안착된다. 상기 커버프레임(71)에는 보강리브(73)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73)는 상기 개구부(71A)의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또한 도 4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저면에는 연장부(74)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74)는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저면 중앙, 즉 상기 보강리브(73)의 저면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74)의 선단에는 한쌍의 케이싱지지레일(74A)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지지레일(74A)은 상기 연장부(74)의 선단에서 좌우로 소정의 폭만큼 연장된다. 상기 케이싱지지레일(74A)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리브(83)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양측단부 선단에는 연장리브(7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장리브(76)는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양측단부 선단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리브(76)의 선단에는 보조레일(76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조레일(76A)은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공간(61)의 케이싱지지레일(65)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레일(76A)에도 지지리브(83)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안착단(72)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상면에는 분리홈(77)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홈(77)은 받침플레이트(79)를 상기 커버프레임(7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홈(77)은 상기 커버프레임(71)의 내측테두리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부(77A)와, 상기 수직부(77A)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단(72)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77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상면에는 받침플레이트(79)가 안착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79)의 상면에는 실질적으로 식품이 안착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79)는 장방형의 글래스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플레이트(79)는 그 저면테두리 및 저면중앙부가 상기 안착단(72) 및 보강리브(73)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플레이트(79)가 상기 커버프레임(7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79)의 테두리면은 상기 커버프레임(71)의 내측테두리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박스커버(7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61)의 하부에는 한쌍의 박스케이싱(8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은 아래에서 설명할 수납박스(90)의 수납공간(90S)에 수납된 식품을 간접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박스케이싱(80)의 내부에는 수납박스(9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공간(80S)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80S)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상부에는 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80)의 후면 상단 양측에는 상기 유로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입구(미도시)와 상기 유로를 순환한 냉기를 유로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기출구(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상하면 및 양측면 선단에는 밀착플랜지(8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양측면 상단에는 지지리브(83)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플랜지(81)는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상하면 및 양측면 선단에서 상하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83)는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양측면 상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리브(83)의 저면은 상기 저장공간(61)의 케이싱지지레일(65) 및 보조레일(76A)과 상기 수납박스커버(70)의 케이싱지지레일(74A)을 따라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장착공간(80S)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양측면 내측 중앙부 선단에는 지지롤러(8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87)는 수납박스(90)가 상기 장착공간(80S)에 출납하는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리브(93)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87)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박스케이싱(80)의 양측면 내측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하로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상부가이드레일(88)과 하부가이드레일(89)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87)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이드리브(93)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8)과 하부가이드레일(89)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공간(80S)에는 수납박스(90)가 각각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납박스(90)는 상부가 개구되는 수납공간(90S)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수납공간(90S)에는 식품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90S)에 수납된 식품은 상기 수납박스(90)가 상기 장착공간(80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하여 간접냉각된다.
상기 수납박스(90)의 전면 테두리에는 걸림플랜지(91)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플랜지(81)는 상기 수납박스(90)가 상기 장착공간(80S)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이면이 상기 밀착플랜지(81)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납박스(90)가 상기 장착공간(80S)의 내부로 완전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90)의 양측면 외측에는 가이드리브(9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93)는 상기 수납박스(90)의 양측면 외측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리브(93)는 상기 수납박스(90)가 상기 장착공간(80S)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싱기 지지롤러(87)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8)과 하부가이드레일(89)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받침플레이트를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받침플레이트를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받침플레이트(79)가 커버프레임(7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79)의 저면은 안착단(72) 및 보강리브(73)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 기 받침플레이트(79)의 테두리면은 상기 커버프레임(71)의 내측테두리면에 밀착된다.(도 5 및 도 6참조)
한편 상기 받침플레이트(79)를 청소 또는 교환하기 위해서는 받침플레이트(79)를 상기 커버프레임(71)으로부터 분리시켜야 된다. 이를 위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손가락을 분리홈(77)의 수직부(77A)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홈(77)의 수직부(77A)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끝마디가 상기 분리홈(77)을 수평부(77B)에 위치되도록 손가락을 구부린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77B)에 위치되는 손가락의 끝마디가 상기 받침플레이트(79)의 저면 일측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들어올리면, 상기 받침플레이트(79)의 일측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안착단(72)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72)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받침플레이트(79)의 일측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받침플레이트(79)를 상기 커버프레임(7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에 의하면,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받침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상기 커버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를 청소하거나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테두리에 그 상면에 비하여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단이 구비되며, 그 내측테두리면에 상기 안착단과 연통되도록 분리홈이 구비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 그 저면테두리가 안착되고, 그 테두리면이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테두리면에 밀착되는 받침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홈은,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테두리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단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보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KR1020060087599A 2006-09-11 2006-09-11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KR10127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99A KR101275566B1 (ko) 2006-09-11 2006-09-11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99A KR101275566B1 (ko) 2006-09-11 2006-09-11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564A KR20080023564A (ko) 2008-03-14
KR101275566B1 true KR101275566B1 (ko) 2013-06-17

Family

ID=3939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599A KR101275566B1 (ko) 2006-09-11 2006-09-11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48B1 (ko) 2016-07-1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094Y1 (ko) 1997-06-30 1999-08-02 전주범 냉장고의 유리선반 구조
KR20020057646A (ko) * 2001-01-03 2002-07-12 윤종용 제어패널의 오버레이 장착구조
KR200322067Y1 (ko) 2003-05-20 2003-08-06 안창기 양봉용 구제약품 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094Y1 (ko) 1997-06-30 1999-08-02 전주범 냉장고의 유리선반 구조
KR20020057646A (ko) * 2001-01-03 2002-07-12 윤종용 제어패널의 오버레이 장착구조
KR200322067Y1 (ko) 2003-05-20 2003-08-06 안창기 양봉용 구제약품 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564A (ko)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675B1 (ko) 냉장고
US10677520B2 (en) Refrigerator
US9826744B2 (en) Cooking apparatus having divider storage portion
RU2008116343A (ru) Холодильное тор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076266A (ko) 오븐
CN101400957B (zh) 冰箱用储藏容器的冷空气供应结构
KR101275566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커버
US8101891B2 (en) Cooking aparatus
ES2437742T3 (es) Refrigerador con una placa extraíble guiada de forma lineal, particularmente una placa de vidrio, y una disposición de sujeción para al menos un recipiente
US8850844B2 (en)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US7204097B2 (en) Upright refrigerator, particularly, of built-in Type with Anti-dust filter for the compressor compartment, and anti-dust filter for this latter
KR101275567B1 (ko) 냉장고용 박스케이싱 고정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RU2331029C2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8068836A (ja) リーチイン型の貯蔵庫
CN109527839A (zh) 一种安装方便的拉篮
JP6302789B2 (ja) 配膳車
JP3999686B2 (ja) 凝縮器の配設構造
JPH06209866A (ja) 厨房装置
KR20130010978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JP2002228313A (ja) 自動製氷機の製氷機構部
JP5449908B2 (ja) ショーケース
JP4972679B2 (ja) 製氷機
PL196635B1 (pl) Uchwyt worka
JP2002243328A (ja) 自動製氷機の製氷機構部
JPH09178331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