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844B1 - 어류 포획 어항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844B1
KR101274844B1 KR1020120005566A KR20120005566A KR101274844B1 KR 101274844 B1 KR101274844 B1 KR 101274844B1 KR 1020120005566 A KR1020120005566 A KR 1020120005566A KR 20120005566 A KR20120005566 A KR 20120005566A KR 101274844 B1 KR101274844 B1 KR 10127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ait
cover
inle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538A (ko
Inventor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이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석 filed Critical 이민석
Priority to KR102012000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8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포획 어항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설치된 어류포획실을 만곡(彎曲) 형태로 형성하여 연결하는 만곡부의 외주면에 사방으로 다수개의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구를 천공하여 수심이 얕은 냇가 등에서 떡밥 등의 미끼를 유인구 측으로 부착하여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한쪽 방향이 아닌 사방에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포획한 어류를 수장할 수 있게 중앙을 만곡하여 형성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된 어류포획실(10)(20)과, 상기 만곡부(30)의 사방으로 어류를 유인할 수 있게 내측으로 지름을 작게 하여 다수 천공한 유인구(31)와, 상기 어류포획실(1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원추형 덮개(11)에 고정되어 유인구(31) 측에 설치되게 다수개의 미끼통(43)을 지지대(46)에 의해 연결한 미끼통 본체(40)와, 상기 어류포획실(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2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보조미끼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한 어류 포획 어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덮개(11)의 꼭지점에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홈(12)의 내부 걸림돌기(13)에 미끼통 본체(40)에 형성된 고정대(41)를 삽입하여 고정되게 결합함과 동시에 유인구(31)로 유인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끼통 본체(40)에 진로방해기둥(42)을 다수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

Description

어류 포획 어항{A fish bowl}
본 발명은 어류 포획 어항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설치된 어류포획실을 만곡(彎曲) 형태로 형성하여 연결하는 만곡부의 외주면에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구를 사방으로 다수개 천공함과 동시에 떡밥 등의 미끼를 유인구 측에 부착하여 수심이 얕은 냇가 등에서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한쪽 방향이 아닌 사방에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얕게 흐르는 물에서 사용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은 떡밥 등의 먹이로 물고기를 어항 내부로 유인하여 포획하는 어구(漁具)로서, 종래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사용중 어항이 깨져서 다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투명 플라스틱이나 비닐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어항은 통상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용기의 한쪽 내측으로 작은 직경의 유입구를 형성하여 내부로 들어온 물고기가 밖으로 나가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으며, 유입구 또는 내부에 떡밥 등의 미끼를 배치하여 물고기를 어항 내부로 유인하게 된다.
최근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어류 포획용 어항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어항과, 얇은 합성수지비닐로 제작된 비닐 어항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플라스틱 어항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함에 따라 이동시 휴대가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관에 넓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얇은 합성수지 비닐로 제작된 어항은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투명한 비닐용기가 설치되어 상하 접혀짐으로써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구조이나, 이러한 비닐 어항은 흐르는 물속에 설치할 경우 비닐용기가 얇고 투명한 비닐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올바른 형상으로 물속에 수장되지 못하고 일부분이 찌그러져 설치되는 단점이 있어 물고기들의 경계심을 유발함으로써 물고기들을 쉽게 유인하지 못하여 포획량이 떨어지며, 또한 상부캡과 하부캡에 여러개의 끈을 결속하여 물속에서 돌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구가 어항의 일측에 한 개뿐 이어서 설치시 물의 흐름 방향으로 설치를 해야 많은 어류를 포획할 수 있어 겨울에도 물속으로 들어가 물의 흐름 방향으로 어항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떡밥을 넣는 미끼통역시 먹이 냄새가 여러 방향으로 확산하는데 제약이 있어 많은 어류를 유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 어항은 어류 이동이 한쪽 방향으로만 유인해 잡는 구조여서 효율적이지 못하고 유인구 또한 가공의 어려움으로 몸체 사출 후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 많은 원료가 소요되며 조립공정이 늘어나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어항의 양측에 형성된 어류포획실을 만곡형태로 연결하는 만곡부의 외주면에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구를 사방으로 다수개 천공하고, 상기 유인구의 측에 미끼통 본체에 다수개 형성한 미끼통을 장착함으로써, 유속이 없는 물속에도 먹이 냄새가 사방으로 확산이 잘 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항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사방에서 어류가 유인구로 유인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만곡부에 천공된 유인구로 유인된 어류는 미끼통에 다수 장착된 진로방해기둥에 의해 저지되게 하여 어류포획실로 유인함과 동시에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획한 어류를 수장할 수 있게 중앙을 만곡하여 형성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된 어류포획실(10)(20)과,
상기 만곡부(30)의 사방으로 어류를 유인할 수 있게 내측으로 지름을 작게 하여 다수 천공한 유인구(31)와,
상기 어류포획실(1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원추형 덮개(11)에 고정되어 유인구(31) 측에 설치되게 다수개의 미끼통(43)을 지지대(46)에 의해 연결한 미끼통 본체(40)와,
상기 어류포획실(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2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보조미끼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덮개(11)의 꼭지점에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홈(12)의 내부 걸림돌기(13)에 미끼통 본체(40)에 형성된 고정대(41)를 삽입하여 고정되게 결합함과 동시에 유인구(31)로 유인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끼통 본체(40)에 진로방해기둥(42)을 다수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끼통 본체(40)의 중앙에 돌출하여 형성한 중앙돌기(44)의 양측으로 걸림돌기(45)를 대향하여 형성하고, 상기 미끼통 본체(40)의 중앙돌기(44)에 삽입되는 삽입공(61)과 걸림돌기(45)에 걸려 좌우 회전할 수 있게 삽입공(61)의 양측에 대향하여 천공된 회전공(62)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대(63)와 연결되어 미끼통(43)을 덮을 수 있는 커버(64)가 다수개 형성된 뚜껑(60)으로 구성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조미끼통(50)에 수장된 미끼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덮개(70)를 장착하고, 상기 덮개(70)가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7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고리(71)의 걸림돌기(72)를 어류포획실(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22)에 결합하여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만곡부(30)에 의해 양측으로 형성된 어류포획실(10)(20)을 수평으로 분리하여 암수의 결합(8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어류포획실(10)(20)은 망형으로 형성되게 다수개의 장홈(100)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어류포획실을 만곡하여 연결하는 만곡부의 외주면에 사방으로 어류 유입구를 천공함으로써, 어항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사방에서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류 유입구가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항에 줄을 매달아 물의 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다리 위에서 또는 긴 막대를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심지어 원거리에서 투척으로도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어항 설치시 번거로움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항의 제작공정을 최대한 단순하게 하여 1종류의 사출작업에 의한 부품을 단순화시켜서 생산 단가를 줄이고 원료를 절감함은 물론 원터치 방법으로 조립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조립비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통을 결합하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에 결합되는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미끼통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 어항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류 포획 어항의 구성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어류 포획 어항의 분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항은 양측으로 어류를 포획하여 수장할 수 있게 동일한 형태의 어류포획실(10)(20)을 원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를 만곡하여 형성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만곡부(30)의 양측으로 형성된 어류포획실(10)(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2등분 하여 성형한 후, 어류포획실(10)(20)을 걸림턱과 걸림홈으로 구성된 암수의 결합(80)에 의한 원터치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30)에는 사방에서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구(31)가 다수개 천공된다. 이때 유인구(31)는 사방 4개를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4개 이상 천공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어류를 쉽게 유인하기 위해서는 유인구(31)의 입구를 크게 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지름을 작게하여 만곡부(30)의 양측에 형성된 어류포획실(10)(20)의 내부로 유인하여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어류포획실(10) 중앙에 결합되는 원추형 덮개(11)에는 미끼통(43)이 다수게 형성된 미끼통 본체(4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원추형 덮개(11)의 꼭지점에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홈(12)의 내부 걸림돌기(13)에는 미끼통 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대(41)를 삽입하여 미끼통 본체(40)가 일체로 고정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미끼통 본체(40)가 유인구(31)의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미끼통 본체(40)를 유인구(31)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것은 먹이의 확산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미끼통(4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끼통 본체(40)의 표면에 형성된 지지대(46)에 의해 사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미끼통 본체(40)의 미끼통(43)에 수장된 미끼가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미끼통(43)에 장착할 수 있는 뚜껑(60)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미끼통(43)에 뚜껑(6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미끼통 본체(40)의 중앙에 돌출되게 중앙돌기(44)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돌기(44)의 양측으로 걸림돌기(45)를 대향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미끼통 본체(40)의 중앙돌기(44)에 삽입되는 삽입공(61)과, 걸림돌기(45)에 걸려 좌우 회전할 수 있게 삽입공(61)의 양측에 대향하여 회전공(62)이 천공함과 동시에 지지대(63)에 의해 연결되어 미끼통(43)을 덮을 수 있게 커버(64)가 다수개 형성된 뚜껑(60)을 구성한다. 이때 걸림돌기(45)에 의해 뚜껑(60)은 걸려있기 때문에 분리되지 않고 중앙돌기(44)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회전만 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미끼통 본체(40)의 아랫부분은 유인구(31)로 유인된 어류가 계속 직진하여 반대 방향의 유인구(31)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진을 방해할 수 있게 진로방해기둥(42)을 다수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미끼통(43)에는 뚜껑(60)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뚜껑(60)은 어류포획실(10)(20)의 내부에 진입한 어류가 미끼통(43) 내의 떡밥을 훼손할 가능성을 막고, 위부의 충격에 의해 떡밥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다른 일측의 어류포획실(20) 중앙에 형성된 커버(21)에는 원통형의 보조미끼통(50)을 걸림턱과 걸림홈에 의한 암수의 결합(90)으로 구성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하고, 또 상기 보조미끼통(50)에 수장된 미끼의 훼손을 막기 위해 덮개(7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덮개(70)는 보조미끼통(50)에서 탈착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미끼통(50)의 일측에 고정고리(7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고리(71)의 걸림돌기(72)를 커버(2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일체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덮개(70)는 반복사용해도 빠지거나 끊어지는 일이 없이 오랜 수명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미끼통(50)은 간편하게 미끼통(43)에 떡밥을 넣거나 어류포획실(10)(20)에 포획된 어류를 수거할 때 어류포획실(20)의 커버(21)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30)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된 어류포획실(10)(2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고, 표면을 통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망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장홈(10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어류 포획 어항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미끼통 본체(40)의 지지대(46)와 연결된 다수개의 미끼통(43)과 보조미끼통(50)에 미끼를 설치한다. 즉, 미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어류포획실(20)의 커버(21)에 결합된 보조미끼통(50)을 분리한다. 그리고 또 다른 어류포획실(10)의 원추형 덮개(11)에 결합되어 있는 미끼통(43)에 미끼를 설치하여 뚜껑(60)의 지지대(63)와 연결된 커버(64)를 회전시켜서 덮고, 보조미끼통(50)에도 미끼를 설치한 후, 보조미끼통(50)을 커버(21)에 암수의 결합(90)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뚜껑(60)은 미끼통 본체(40)의 표면에 결합되어 좌우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끼를 미끼통(43)에 삽입할때는 뚜껑(60)을 회전하여 커버(64)를 분리하고 미끼를 수장한 후에는 커버(6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끼통(43)을 덮으면 된다. 또한, 보조미끼통(50)에 수장된 미끼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21)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고리(71)와 연결되어 있는 덮개(70)를 덮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어류포획실(10)(20)에 줄을 매달아 수심이 얕게 흐르는 냇가 등에 설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어항으로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구(31)가 사방으로 천공되어 있어 물의 흐름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냇가에 어항을 설치하면 어류는 미끼의 유인에 의해 어류포획실(10)(20)을 양측에 연결하고 있는 만곡부(30)의 유인구(31)로 유인되고, 만곡부(30)의 내부로 유인된 어류는 미끼통 본체(40)에 다수 형성된 진로방해기둥(42)에 의해 유인구로 빠져나기 못하고 어류포획실(10)(20)로 포획이 된다.
상기와 같이 어류를 포획한 다음에 어류포획실(10)(20)에서 어류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어류포획실(20)의 커버(21)에서 보조미끼통(50)을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10, 20. 어류포획실 11.원추형 덮개
12. 결합홈 13. 걸림돌기
21. 커버 22. 결합홈
30. 만곡부 31. 유인구
40. 미끼통 본체 41. 고정대
42. 진로방해기둥 43. 미끼통
44. 중앙돌기 45. 걸림돌기
46. 지지대 50. 보조미끼통
60. 뚜껑 61. 삽입공
62. 회전공 63. 지지대
64. 커버 70. 덮개
71. 고정고리 72. 걸림돌기
80, 90. 암수의 결합 100. 장홈

Claims (6)

  1. 삭제
  2. 포획한 어류를 수장할 수 있게 중앙을 만곡하여 형성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된 어류포획실(10)(20)과,
    상기 만곡부(30)의 사방으로 어류를 유인할 수 있게 내측으로 지름을 작게 하여 다수 천공한 유인구(31)와,
    상기 어류포획실(1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원추형 덮개(11)에 고정되어 유인구(31) 측에 설치되게 다수개의 미끼통(43)을 지지대(46)에 의해 연결한 미끼통 본체(40)와,
    상기 어류포획실(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2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보조미끼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한 어류 포획 어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덮개(11)의 꼭지점에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홈(12)의 내부 걸림돌기(13)에 미끼통 본체(40)에 형성된 고정대(41)를 삽입하여 고정되게 결합함과 동시에 유인구(31)로 유인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끼통 본체(40)에 진로방해기둥(42)을 다수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통 본체(40)의 중앙에 돌출하여 형성한 중앙돌기(44)의 양측으로 걸림돌기(45)를 대향하여 형성하고, 상기 미끼통 본체(40)의 중앙돌기(44)에 삽입되는 삽입공(61)과 걸림돌기(45)에 걸려 좌우 회전할 수 있게 삽입공(61)의 양측에 대향하여 천공된 회전공(62)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대(63)와 연결되어 미끼통(43)을 덮을 수 있는 커버(64)가 다수개 형성된 뚜껑(60)으로 구성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끼통(50)에 수장된 미끼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덮개(70)를 장착하고, 상기 덮개(70)가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7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고리(71)의 걸림돌기(72)를 어류포획실(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22)에 결합하여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어항.
  5. 삭제
  6. 삭제
KR1020120005566A 2012-01-18 2012-01-18 어류 포획 어항 KR10127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66A KR101274844B1 (ko) 2012-01-18 2012-01-18 어류 포획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66A KR101274844B1 (ko) 2012-01-18 2012-01-18 어류 포획 어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663 Division 2011-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538A KR20130047538A (ko) 2013-05-08
KR101274844B1 true KR101274844B1 (ko) 2013-06-13

Family

ID=4865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566A KR101274844B1 (ko) 2012-01-18 2012-01-18 어류 포획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377A (ko) 2021-08-08 2023-02-15 이민석 어류 포획 어항의 결합장치
KR20230022378A (ko) 2021-08-08 2023-02-15 이민석 어류 포획 어항의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673B1 (ko) * 2015-06-18 2016-04-28 이민석 어류 포획용 어항의 조립방법
KR102158425B1 (ko) * 2019-02-14 2020-09-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테라헤르츠 가변 노치 필터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379A (ko) * 1999-10-16 2001-05-07 전순호 어류포획기
KR200267614Y1 (ko) 2001-12-03 2002-03-09 심홍보 어류 포획용 어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379A (ko) * 1999-10-16 2001-05-07 전순호 어류포획기
KR200267614Y1 (ko) 2001-12-03 2002-03-09 심홍보 어류 포획용 어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377A (ko) 2021-08-08 2023-02-15 이민석 어류 포획 어항의 결합장치
KR20230022378A (ko) 2021-08-08 2023-02-15 이민석 어류 포획 어항의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538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844B1 (ko) 어류 포획 어항
US7310907B2 (en) Multi-insect trap
US9155291B1 (en) Time release bait cannister
JP2014158459A (ja) 頭足類捕獲用釣具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40125989A (ko) 어류 포획 어항
US8887666B2 (en) Universal water fountain system for animals
KR101288909B1 (ko) 어로용 통발
KR200455304Y1 (ko) 미끼통이 구비된 어류 포획기
KR20090011703U (ko) 낙지잡이용 통발
CN103271011A (zh) 迷宫式捕蝇笼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CN207428264U (zh) 一种果蝇诱捕器
JP2011155899A (ja) 集魚用まき餌入れ容器用の錘及びそれを用いた集魚用まき餌入れ容器
KR102354382B1 (ko)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CN206442974U (zh) 防止动物逃脱的容器
KR101567722B1 (ko) 채집망을 수납부에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다슬기 포획기
KR200327118Y1 (ko) 어류 포획용 어항
KR20230022377A (ko) 어류 포획 어항의 결합장치
KR20230022378A (ko) 어류 포획 어항의 결합장치
CN204742293U (zh) 一种果蝇诱杀容器
KR20140003738U (ko) 장어용 통발 및 통발마개
CN205274325U (zh) 捕蝇垃圾桶
CN109392858B (zh) 一种垂钓式鱼类诱捕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