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494B1 -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494B1
KR101274494B1 KR1020130028986A KR20130028986A KR101274494B1 KR 101274494 B1 KR101274494 B1 KR 101274494B1 KR 1020130028986 A KR1020130028986 A KR 1020130028986A KR 20130028986 A KR20130028986 A KR 20130028986A KR 101274494 B1 KR101274494 B1 KR 10127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transparent
separator
safety
catama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구
Original Assignee
이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구 filed Critical 이준구
Priority to KR102013002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에 관한 것으로,폴리카보네이트로 투명하게 성형된 선체; 상기 선체를 폭방향으로 구획하여 제1탑승실과 제2탑승실을 형성하는 분리대; 상기 분리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1,2탑승실을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선체의 측벽에 접지 고정되는 제1,2,3,4보강대를 갖고, 동물 또는 식물을 형상화한 형상부재; 상기 제1,2,3,4보강대의 하부에 삽입 고정되며, 공기가 충전된 상태로 밀폐된 내부 중공형상을 갖는 제1,2,3,4부력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이 미려하고 카타마린 선체의 강성이 증대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침수시에도 부력 기능이 선체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어 선체만 잡고 있으면 별도의 구명조끼없이도 안전성이 담보되고, 투명재질로 되어 있어 물 속 관찰이 가능하므로 체험성은 물론 유희성까지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SAFETY ENHANCED TRANSPARENCY CATAMARAN}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심 5m 이내의 수중 속을 볼 수 있어 휴가철 해변과 농,어촌 마을을 찾는 방문객의 스릴과 즐거움을 줄 수 있고, 안전성은 극대화 된 쌍동형 보트인 카타마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 수준의 향상과 경제발전에 힘입어 여가생활을 즐기려는 인구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주 5일 근무제의 정착과 함께 가족단위 여행과 레저, 문화체험 등의 서비스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중 하나로 전국 체험마을이 늘어 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해변가, 강가, 어촌 등지에서도 체험마을 조성과 함께 문화체험을 유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보트와 관련된 레저 산업은 카약, 카누 등의 보트 탑승, 레프팅, 물놀이 보트 등이 있으나, 이들은 안전상 제약이 많고 단순 놀이 외에는 체험 기능이 없어 단순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공개실용 제2010-0007806호에서는 투명보트를 개시하여 물밑 조사나 어군, 낚시, 레저 등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공개실용의 경우, 보트의 몸체를 투명하게 구성하여 수중 속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해변 혹은 바다나 강에서 물 속에 살고 있는 물고기들을 보면서 보트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유희성가 체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은 단순히 보트 몸체만을 투명하게 구성한 것이어서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특히, 가족 단위로 체험에 참여하는 것을 감안할 때 보트 구성상 보완이 요구된다.
다른 예로, 보트 자체에 구명 기능을 갖는 부력체를 구비한 경우가 외국의 사례로 개시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시판 중인 외국 놀이용 보트의 경우는 풍선형태의 튜브를 보트의 선체 전,후 혹은 좌,우에 탈부착시키는 단순 구조여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시 공기가 빠져 버려 구명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고, 뿐만 아니라 탈부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불편함은 물론 탈부착형이다 보니 비상사태시 선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버리기 때문에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만든 FRP선의 경우, 수압 등에 의한 강한 외력을 받을 경우 그 형상이 쉽게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강성을 유지할 수 없고, 부력 기능을 상실하므로 침수시 물속으로 가라앉아 버리므로 심각한 안전상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같은 형의 2개의 선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갑판 위에서 결합한 보트인 카타마린(Catamaran)의 경우, 최소한 4인 이상이 탑승하는 레저보트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은 더욱 더 강화되어야 하며, 해상 사고시 인명피해가 크므로 더욱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부력기능을 갖는 부력체를 선체와 완전히 일체화시켜 선체 침수시에도 선체가 가라앉지 않고 항상 부유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서도 선체가 쉽게 변형되지 않으면서 부력체 자체가 선체로부터 전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급격히 향상되며, 투명한 재질로 선체가 구성되어 5m 이내의 수중을 볼 수 있어 체험성과 유희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카타마린의 내부에 동,식물 등 어린이들과 친숙한 생물을 형상화시킨 구조물을 구현하고, 이를 부력체와 연계시켜 보트 체험시 상상력과 친근함을 더욱 더 촉진시키도록 한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폴리카보네이트로 투명하게 성형된 선체; 상기 선체를 폭방향으로 구획하여 제1탑승실과 제2탑승실을 형성하는 분리대; 상기 분리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1,2탑승실을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선체의 측벽에 접지 고정되는 제1,2,3,4보강대를 갖고, 동물 또는 식물을 형상화한 형상부재; 상기 제1,2,3,4보강대의 하부에 삽입 고정되며, 공기가 충전된 상태로 밀폐된 내부 중공형상을 갖는 제1,2,3,4부력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3,4부력통은 FRP로 성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상단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ㄷ'형상의 고무소재로 된 보호대가 끼워지되 상기 보호대의 마주보는 내벽면에는 다수의 앵커가 형성되고, 보호대의 내부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심재가 인서트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대의 내부에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형상부재에는 물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와 물분사노즐은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어 펌프 구동시 물분사노즐을 통해 물줄기가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이 미려하고 선체의 강성이 증대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침수시에도 부력 기능이 선체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어 선체만 잡고 있으면 별도의 구명조끼없이도 안전성이 담보되고, 투명재질로 되어 있어 물 속 관찰이 가능하므로 체험성은 물론 유희성까지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 식물을 형상화 한 부력체를 통해 탑승자가의 흥미를 유발하고, 친근감과 유희성을 더욱 더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의 예시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은 선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선체(100)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성형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쉽게 깨지거나 파단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수심 5m 내외의 수중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선체(100)를 투명하게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고강도를 가지면서 투명해야 하고, 또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쉽게 파단되지 않는 특성이 요구되는데, 이에 가장 합당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선체(100) 구성의 주된 재질로 한다.
특히, 상기 선체(100)는 보트 중에서도, 쌍동선인 카타마린 형태로 형성되어 최소한 4인 이상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전체 형상이 몰드 내에서 통째로 성형되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체(100)의 상단은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상태로 플랜지(110)를 갖도록 하여 성형성을 좋게 하면서 개방된 상단 테두리 변형성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10)의 단부는 날카롭기 때문에 탑승자의 신체 상해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대(120)가 끼워지는데, 상기 보호대(120)는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소재이고,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에는 내부를 향한 앵커(122)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플랜지(110)에 끼울 때 끼우기는 쉽고 빠지기는 어렵게 하여 준다.
더욱이, 상기 보호대(120)는 강성 유지를 위해 내부에 심재(124)가 인서트되는데, 상기 심재(124)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하여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체(100)는 폭 중앙에 선체(100)와 일체로 성형된 분리대(200)를 통해 제1탑승실(210)과 제2탑승실(220)로 구획되어 카타마린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대(200)의 상면에는 형상부재(300)가 고정된다.
상기 형상부재(300)는 동물, 식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기로는 해양생물, 특히 고래, 돌고래 등이 친화력 측면에서 좋다.
아울러, 상기 형상부재(300)의 양측에는 각 탑승실, 즉 제1,2탑승실(210,220)을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선체(100)의 선측과 접지 고정되는 제1,2,3,4보강대(310,320,330,34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3,4보강대(310,320,330,340)는 상기 형상부재(300)의 형상 중 일부를 구성하도록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제1,2탑승실(210,220)을 폭방향으로 각각 가로질러 선체(100)에 접지 고정되므로 제1,2탑승실(210,220)의 변형을 막고, 내력과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3,4보강대(310,320,330,340)의 하부에는 제1,2,3,4부력통(312,322,332,342)이 구비된다.
상기 제1,2,3,4부력통(312,322,332,342)은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공기가 충전되고, 완전히 밀폐된 FRP통으로서, 상기 제1,2,3,4보강대(310,320,330,340)의 하부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3,4보강대(310,320,330,340)는 그 둘레가 수직하게 하향 절곡된 절곡고정부(B)를 가지며, 이 절곡고정부(B)에 의해 상기 제1,2,3,4부력통(312,322,332,342)이 한번 삽입된 후에는 상기 제1,2,3,4보강대(310,320,330,340)가 파단되지 않는 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선체(100)의 일부와 상기 제1,2,3,4부력통(312,322,332,343)이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면 선체(100) 전도 혹은 침수시에도 부력통이 선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사고 후에도 항상 물 위에 떠 있게 되어 인명 구조 및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다만, 상술한 구조로 구성하는 이유는 선체(100) 사용 후 세척 등을 위해 부력통을 분리해야 하므로 이를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며, 안전성 측면에서는 선체(100)와 일체로 구성한 것과 버금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형상부재(300)의 일부에 물분사노즐(350)을 더 설치하고, 상기 분리대(200) 내부에는 물을 끌어 올릴 수 있는 펌프(미도시)를 설치하며, 펌프와 물분사노즐(350)을 플렉시블관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플렉시블관을 개폐하거나 혹은 펌프의 구동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물분사노즐(350)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면 유희성과 오락성을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분사노즐(350)은 상기 형상부재(300)의 형상에 맞춰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도시와 같은 고래 형상의 경우에는 고래 등에서 물이 뿜어져 올라 올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고, 문어 형상의 경우에는 문어의 주둥이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변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펌프를 통해 물을 끌어 올릴 때에는 제1,2탑승실(210,220)이 아닌 분리대(200)의 하부에서 이루어지므로 통상 상기 분리대(200)는 상기 제1,2탑승실(210,220)의 하부, 즉 선저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물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선체(100)가 누수되거나 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물분사노즐(350)을 설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그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연기나 소리 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은 제1,2,3,4부력통(312,322,332,342)를 선체(100) 내부에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하되, 튜브 형태가 아닌 내부 중공형 밀폐체로 구성하여 자외선 등에 의해 공기가 새거나 빠질 염려가 없고, 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FRP 소재로 구성하여 비상시 완전한 부력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선체(100)가 가라앉지 않도록 하므로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선체(100) 자체가 투명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심 5m 이내의 수중 환경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체험성, 유희성을 증진시키며, 특히 쉽게 파단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를 그 재질로 하기 때문에 이중 삼중의 안전성을 갖추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분리대(200)의 상단면에는 형상부재(300)를 구성하여,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양각 형태로 돌출시켜 형상화함으로써 어린이들과의 친숙성을 증대시켜 유희성을 더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체(100)의 선미에 방향타(키)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방향타를 설치할 경우 선체(100) 조종 능력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방향타와 함께 추진력을 제공하는 탈부착형 모터 엔진 혹은 배터리 구동형 모터 엔진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엔진을 구비하면 추진력을 갖기 때문에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선체 200: 분리대
300: 형상부재 310: 제1보강대
320: 제2보강대 330: 제3보강대
340: 제4보강대

Claims (4)

  1. 폴리카보네이트로 투명하게 성형된 선체;
    상기 선체를 폭방향으로 구획하여 제1탑승실과 제2탑승실을 형성하는 분리대;
    상기 분리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1,2탑승실을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선체의 측벽에 접지 고정되는 제1,2,3,4보강대를 갖고, 동물 또는 식물을 형상화한 형상부재;
    상기 제1,2,3,4보강대의 하부에 삽입 고정되며, 공기가 충전된 상태로 밀폐된 내부 중공형상을 갖는 제1,2,3,4부력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부력통은 FRP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상단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ㄷ'형상의 고무소재로 된 보호대가 끼워지되 상기 보호대의 마주보는 내벽면에는 다수의 앵커가 형성되고, 보호대의 내부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심재가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의 내부에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형상부재에는 물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와 물분사노즐은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어 펌프 구동시 물분사노즐을 통해 물줄기가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KR1020130028986A 2013-03-19 2013-03-19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KR10127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86A KR101274494B1 (ko) 2013-03-19 2013-03-19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86A KR101274494B1 (ko) 2013-03-19 2013-03-19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494B1 true KR101274494B1 (ko) 2013-06-13

Family

ID=4886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986A KR101274494B1 (ko) 2013-03-19 2013-03-19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4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159A2 (en) 1983-08-24 1985-03-13 Schlegel Corporation An improved edge protector weatherstrip
JPH0722899U (ja) * 1993-10-04 1995-04-25 株式会社アカシヨット 足漕ぎ式遊覧ボート
KR101147902B1 (ko) 2011-11-28 2012-05-24 이준구 기능성 레저 보트
KR20130008897A (ko) *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누리텍 회전성형된 선체를 포함하는 플레져 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159A2 (en) 1983-08-24 1985-03-13 Schlegel Corporation An improved edge protector weatherstrip
JPH0722899U (ja) * 1993-10-04 1995-04-25 株式会社アカシヨット 足漕ぎ式遊覧ボート
KR20130008897A (ko) *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누리텍 회전성형된 선체를 포함하는 플레져 보트
KR101147902B1 (ko) 2011-11-28 2012-05-24 이준구 기능성 레저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692A (en) Dual hull kayak
CN106080969B (zh) 一种新型防撞高速滑行艇
KR101479491B1 (ko) 관광용 반잠수정
KR20120080780A (ko) 프레임 구조물을 장착한 삼동선형 반 잠수보트
CN103770914A (zh) 移动式海洋旅游度假酒店
KR200345316Y1 (ko) 선박의 침몰 방지구조
KR10127449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 카타마린
KR102147654B1 (ko) 침몰방지 구조를 가진 선박 및 선박용 선체의 제조방법
KR10128356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투명보트
KR101418448B1 (ko) 안전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투명보트
RU2612730C2 (ru) Судно, содержащее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плавучесть блок
KR100971085B1 (ko) 조립식 레저보트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20160015697A (ko) 반잠수형 레저보트
KR20110006925A (ko) 안전 부표
TW201708042A (zh) 船體製法及其結構
KR200426874Y1 (ko) 물놀이 기구
RU146255U1 (ru) Моторная надувная лодка
CN101389525A (zh) 用于航行装备的壳体,其水下部分能提高水上滑行性能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KR200388914Y1 (ko) 소형선박보이드스페이스구조
KR101259389B1 (ko) 수상운송장치
US2770817A (en) Water craft
JP3184228U (ja) 自動車用ルーフボックス
JPH07509202A (ja) 硬直な管体を含み水密的且つ非連通的な仕切を備えた小形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