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168B1 -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168B1
KR101274168B1 KR1020110123522A KR20110123522A KR101274168B1 KR 101274168 B1 KR101274168 B1 KR 101274168B1 KR 1020110123522 A KR1020110123522 A KR 1020110123522A KR 20110123522 A KR20110123522 A KR 20110123522A KR 101274168 B1 KR101274168 B1 KR 10127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ystem
gis
information
facilities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7663A (en
Inventor
안성지
김명의
김중태
양희성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168B1/en
Publication of KR2013005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제어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GIS 기반의 전력계통도를 자동 생성시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및 그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전체 상태, 개별 전력계통 설비 및 개별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까지 GIS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의미한 다수의 관련 데이터 제거 및 중복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동적 모델링의 실시로 보다 효과적이면서 공학적으로 양산된 전력계통도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다양하게 구현함을 통해 전력계통도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들을 실시간으로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wer control technique. That is,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generate a GIS-based power system diagram to monitor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n various ways. On the GIS, information on the overall status of the power system, individual power system faciliti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ower system facilities can be check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effective and engineering mass-produced power system diagram in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ynamic modeling that eliminates a large number of irrelevant data and merges redundant data. Users who want to see various images in real time can conveniently monitor them.

Description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GIS 기반의 전력계통도를 자동 생성시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및 그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전체 상태, 개별 전력계통 설비 및 개별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까지 GIS 상에서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technology, and in particular,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GIS-based power system diagram to monitor a plurality of power system equipment and its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n various ways, the overall state of the power system, individual power system equipment and individu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conveniently monitor each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a power system in real time on a GIS.

논리전력계통을 PC 화면에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에 대한 진보는 현재 지리정보시스템(GIS : 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도입하고 2차원 그래픽에다가 3차원 그래픽을 혼용시키는 방식으로 개발 추진 중에 있다 할 것이다.Advances in technology on how to represent a logical power system on a PC screen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by introduc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mixing 3D graphics with 2D graphics.

현재까지의 전력계통도를 생성하기 위한 기법들은 대용량 계통의 동적 처리기술 부재로 인해 전력계통도를 수동으로 밖에 작성할 수 없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현장 일치성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The techniques for generating power system diagrams up to now have a problem in terms of cost and time, as well as field coherence because power system diagrams can only be created manually due to the lack of dynamic processing technology in large-scale systems.

또한 전력계통 설비의 설치, 철거 및 이동으로 인한 전력계통도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대용량 계통의 동적 처리기술의 부재로 전력계통도를 수동으로 작성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aintenance cost of the power system due to the installation, dismantling and moving of the power system increased, resulting i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the power system diagram manually due to the absence of dynamic processing technology of the large-scale system.

이러한 이유로, 수동으로 작성된 전력계통도와 실제 GIS의 위치간의 연관 관계가 없거나 왜곡되어 표현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기존의 GIS를 적용한 전력계통 표현 방식의 경우 변전소 단위 수준의 회로도만 제공하므로 전체 계통의 상황판단에는 용이하지만 세부적인 전력계통 설비들의 정보 표현이 불가능하였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or distortion between the manually generated power system and the actual GIS position.In the case of the power system representation method using the existing GIS, only the substation unit level circuit diagram is provided so that the situation of the entire system It was easy to judge, but it was impossible to express the information of detailed power system facilities.

또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전력계통 및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accurately monitor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for the power system and power system equipment that changes in real time.

본 발명의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GIS 기반의 전력계통도를 자동 생성시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및 그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전체 상태, 개별 전력계통 설비 및 개별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까지 GIS 상에서 확인하기 위함이다.The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GIS-based power system diagram. By monitoring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n various ways, to check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overall state of the power system, individual power system equipment and individual power system equipment on the GIS.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무의미한 다수의 관련 데이터 제거 및 중복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동적 모델링의 실시로 보다 효과적이면서 공학적으로 양산된 전력계통도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다양하게 구현함을 통해 전력계통도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들을 실시간으로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dynamic modeling that eliminates a number of irrelevant data and merges redundant data through various implementations of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of a more efficient and engineering mass produced power system diagram. This is because the user who wants to see various images related to the power system in real time can conveniently monitor.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은,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하는 전력계통 분석부; 상기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상기 GIS 상에 구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위치 결정된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상기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키는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 및 상기 전력계통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한다.That is,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A power system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dentified from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a power system diagram in which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modeled as a single network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configured on the GIS by identifying a connection direc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shown in the power system diagram; A power system facility realizing unit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lurality of positioned power system facilities as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on the GIS;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respectiv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정보 취득부가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하는 단계; 전력계통 분석부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하는 단계; 위치 결정부가 상기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상기 GIS 상에 구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위치 결정된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상기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키는 단계; 및 정보 표시부가 상기 전력계통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btaining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Generating a power system diagram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modeled as a single network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y analyz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equipments identified from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configured on the GIS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by identifying a connection direc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shown in the power system diagram; ; Implementing, by 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the plurality of positioned power system facilities as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on the GIS; And displaying, by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respectiv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본 발명의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GIS 기반의 전력계통도를 자동 생성시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및 그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전체 상태, 개별 전력계통 설비 및 개별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까지 GIS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 1 효과를 준다.The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automatically generate a GIS-based power system diagram to monitor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n various ways, thereby providing an overall state of the power system. In addition, each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power system equipment and the individual power system equipment has a first effect that can be confirmed on the GIS.

또한, 본 발명은 무의미한 다수의 관련 데이터 제거 및 중복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동적 모델링의 실시로 보다 효과적이면서 공학적으로 양산된 전력계통도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다양하게 구현함을 통해 전력계통도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들을 실시간으로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제 2 효과는 준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effective and engineering mass-produced power system diagram in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ynamic modeling that eliminates a large number of irrelevant data and merges redundant data. A second effect can be conveniently monitored by a user who wants to view various images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도시된 전력계통도를 한 화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도시된 전력계통도를 좀 더 자세히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도시된 전력계통도를 더욱 확대시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비옥하게 배치된 전력계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력계통 설비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전력계통도이다.
도 7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3D 형태로 화면 표출시킨 전력계통도이다.
도 8은 전력계통 설비를 GIS 상에서 2D로 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Vector graphic 를 소개한 도면이다.
도 9는 기동 중인 발전기와 정지 중인 발전기를 도식화시킨 도면이다.
도 10은 기동 중인 S.C와 정지 중인 S.C를 도식화시킨 도면이다.
도 11은 송전탑 위치정보 파악으로 GIS상에 표현되는 선로 모양을 형상화시킨 도면이다
도 12는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으로 송전선로를 GIS 상에서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 도면이다.
도 13은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으로 송전선로를 GIS 상에서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 다른 도면이다.
도 14는 송전탑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된 송전선로를 GIS 상에서 구현시킨 도면이다.
도 15는 GIS 상에 2D나 3D로 표기되는 선로 및 모션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선로 양단 모션의 공칭 전압에 따라 2차원 그래픽으로 달리 표현되는 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전력 조류 흐름이 애니메이션 형태로 동적 모델링된 도면이다.
도 18은 양산된 전력이 수도권과 대도시로 흘러들어가는 실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양산된 전력이 수도권과 대도시로 흘러들어가는 실제 모습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면이다.
도 20은 선로 부하율 크기에 따라 색상 또는 높이를 달리해 2D 혹은 3D 형태로 표현된 도면이다.
도 21은 전력계통 설비와 특성상태 정보가 3D로 구현된 도면이다.
도 22는 변전소별 부하량, 발전소별 부하량을 3D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Vector graphic를 이용하여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a), 모션정보(b) 및 선로정보(c)를 각기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system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one screen.
FIG. 3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ystem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more detail.
4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wer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show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fertilely arranged.
6 is, for example, a power system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different power system facilities.
FIG. 7 is a power system diagram displaying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3D form.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ctor graphic used to shape a power system in 2D on a GI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tor in operation and a generator in stop.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unning SC and a stationary SC.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rack represented on the GIS by grasping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of a transmission line on a GIS by grasping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FIG. 13 is another diagram of three-dimensional graphics of a transmission line on a GIS by grasping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14 is a view showing a transmission line connected on the basis of a transmission tower location on a GIS.
FIG. 15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about a line and motion represented by 2D or 3D on a GIS.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that is differently expressed in two-dimensional graphics according to a nominal voltage of motion across the line.
17 is a diagram of dynamically modeled power flow in an animated form.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ual state in which mass-produced electric power flows into the metropolitan area and a large city.
19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n actual state in which mass-produced electric power flows into a metropolitan area and a large city.
20 is a view expressed in 2D or 3D form by varying the color or heigh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ine load ratio.
FIG. 21 is a diagram showing power system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n 3D.
FIG. 22 is a diagram showing loads by substation and load by power plant in 3D bar graph.
FIG. 23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a power system using a vector graphic. FIG.
FIG. 24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a), motion information (b), and line information (c) of a power system facility, respectively.
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1000)은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취득해 구조화된 전력계통도를 생성시키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좌표를 계산해 상대적 위치를 결정한 다음,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으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및 각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정보를 GIS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정보 취득부(100), 전력계통 분석부(200), 위치 결정부(300),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 및 정보 표시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1000 obtains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through a power system database, generates a structured power system diagram, and calculates relative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fte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a system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 status information of each facility in real time on the GIS in 2D and 3D graphics,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power system analysis unit 200 ), A positioning unit 300, a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400 and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먼저, 정보 취득부(100)는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 : 110)로부터 입수함에 있어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기설정된 지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First,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obtains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DB: Database: 110) in real time through the power system database 110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t is provided.

전력계통 분석부(200)는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지리정보시스템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한다.The power system analysis unit 200 analyze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equipments identified from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equipments include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reate a power system diagram modeled as a single network in the network.

도 2와 같은 전력계통도는 다수의 변전소와 다수의 발전소를 총칭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모든 선로 및 모션(motion)을 도시한 전력계통도인 것으로, 국내(대한민국 전역)로 한정시켜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축약시킨 것이다.The power system diagram as shown in FIG. 2 is a power system diagram showing all lines and motions among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which collectively refer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and a plurality of power plants. It is condensed so that it can be seen on one screen.

도 2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ex : 다수의 변전소, 다수의 발전소),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연계된 다수의 선로를 나타내며, 도시된 다수의 선로는 공칭전압(정의 : 표준전압의 하나로 일반 전압으로 사용하는 선간전압의 실효치를 말함)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현하여 전력계통 운영에 중요 요소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Figure 2 shows a number of power lines (ex: a number of substations, a number of power plants), a number of line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power system facilities, a plurality of lines shown are nominal voltage (definition: one of the standard voltage Colors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ffective value of the line voltage used as a voltage to easily identify important factors in power system operation.

도 3은 도 2의 일부만을 확대한 전력계통도로, 각 선로들은 공칭전압에 따라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끔 도시되어 있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선로가 GIS(250) 상에서 좀 더 자세히 표현되어 있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2, wherein each line is shown to be easily identified by a user using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a nominal voltage, and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lines are further illustrated on the GIS 250. It is detailed.

도 4는 도 1 또는 도 2를 더욱 확대시켜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GIS(250) 상에서 좀 더 정밀하게 나타낸 전력계통도로, 발전소, 발전기, AUX 설비, 변압기 및 선로의 움직임과 모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FIG. 4 further expands FIG. 1 or FIG. 2 to show more precisely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250, including the movement of power plants, generators, AUX facilities, transformers and lines. You can check the status of all connections.

도 5와 같이 전력계통 설비가 많은 전력계통도도 생성가능할 것이며, 일예로 서로 다른 전력계통 설비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 6은 3개의 변전소와 발전소들 간의 연계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특히, GIS(250) 상에서 각 변전소의 모든 설비들과 선로를 통해 서로 연계되는 모습들이 상세히 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 power system with many power system facilities may also be generated. For example, FIG. 6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different power system facilities shows well the connection between three substations and power plants. In particular, all the facilities of each substation and the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GIS 250 is shown in detail.

위치 결정부(300)는 전력계통도에 도시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파악해 GIS(250) 상에 배치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한다.The location determiner 300 determine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arranged on the GIS 250 by grasping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e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shown in the power system diagram.

위치 결정부(300)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고려해 계산된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생성한 후,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250) 상에서 서로 미교차되거나 미중첩되도록 GIS(250) 상에 배치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적 위치를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참조해 결정한다.The positioning unit 300 generates a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n allows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cross each other or overlap each other on the GIS 250. The relative position of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placed on the GIS 250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위치 결정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GIS(250)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다.The power system installation unit 400 implements the plurality of positioned power system installations on the GIS 250 in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2차원 그래픽 구현은 GIS(250) 상에서 Image, Symbol 및 Vector graphi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2D 형태로 화면 표출하며, 3차원 그래픽 구현은 도 7처럼 GIS(250) 상에서 3D Model, Line, Cube, Cylinde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3D 형태로 화면 표출한다.The two-dimensional graphic implementation displays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2D form us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 symbol, and a vector graphic on the GIS 250, and the three-dimensional graphic implementation includes a 3D model, a three-dimensional model on the GIS 250, as shown in FIG. Displays a number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3D form using at least one of Line, Cube, and Cylinder.

도 8은 전력계통 설비를 GIS(250) 상에서 2D로 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Vector graphic 들을 여러개 소개한 것으로, 발전기, AUX, 부하, S.C, S.R, 2권선 변압기 및 3권선 변압기가 주로 많이 쓰여진다.FIG. 8 introduces a number of vector graphics used to shape a power system in 2D on a GIS 250. Generators, AUX, loads, S.C, S.R, two winding transformers and three winding transformers are mainly used.

일 예로, 도 9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기동 중인 발전기와 정지 중인 발전기가 도식화되며, 발전소의 발전기 1호기부터 4호기가 도시되어 있다. 좌측 1호 발전기가 정지 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기동 중인 2호, 3호, 4호 발전기와 색상 또는 모양이 기동 중인 발전기 2호, 3호, 4호와 다르게 표시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ure 9, the starting generator and the stationary generator is shown in the diagram, generators 1 to 4 of the power plant is shown. No. 2, 3, and 4 generators are running and the color or shape is different from generators 2, 3, and 4 to indicate that the left 1 generator is stationary.

다른 일 예로, 도 10은 기동 중인 S.C와 정지 중인 S.C가 GIS(250) 상에서 도식된 것으로 도 9와 마찬가지, 정지 중인 설비는 기동 중인 설비와 모양 또는 색상 모두 다르게 표현된다.As another example,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running S.C and a stationary S.C on the GIS 250. As shown in FIG.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가 위치 결정부(300)에 의해 파악됨에 따라, 전력계통 설비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송전탑 위치정보를 이용해 선로의 모양을 도식화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도 11처럼 선로 및 선로의 모양을 GIS(250)상에서 구현시킨다.As the power system installation unit 400 is grasped by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00, the loca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on the line, the diagram of the shape of the line using a method of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facilities in a straight line and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t least one of the method to implement the shape of the track and the track on the GIS 250 as shown in FIG.

또한,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함에 따라, 도 12와 도 13보여지는 것처럼 송전선로를 GIS(250)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4처럼 하나의 선로에 가상의 송전탑을 모델링함으로써 송전탑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된 송전선로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다.In addition, as the power system installation unit 400 grasps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placed on the track,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power transmission line may be implemented as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on the GIS 250. In addition, a virtual transmission tower is modeled on a single track as shown in FIG. 14 to implement a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as a 2D graphic or a 3D graphic.

부연 설명으로, 도 12는 발전소와 변전소를 연결하는 선로를 실제 송전탑의 좌표를 이용하여 GIS(250) 상에서 표현한 것으로, 송전탑의 위치까지 포함하여 전력계통도가 작성될 경우 현실적인 전력계통에 대한 표현이 가능하다In detail, FIG. 12 illustrates a line connecting the power plant and the substation on the GIS 250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actual transmission tower. When the power system diagram is created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a realistic power system may be represented. Do

도 13은 송전선로의 부하율을 GIS(250) 상에 표현한 것으로, 녹색, 노란색, 붉은색의 순서로 부하율을 표시하며, 3차원으로 Cube의 높이를 변화시켜 송전선로의 특성상태를 표현한다.FIG. 13 shows the load ratio of the transmission line on the GIS 250. The load rate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green, yellow, and red, and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transmission line is expressed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cube in three dimensions.

도 15는 GIS(250) 상에 2D나 3D로 표기되는 선로 및 모션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선로는 2차원의 선, 3차원의 선, Cylinder 및 3D Model을 이용해 표현된다.FIG. 15 shows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a line and motion represented by 2D or 3D on the GIS 250. The line is represented using a two-dimensional line, a three-dimensional line, a cylinder, and a 3D model.

선로의 두께와 색상, 크기는 도 16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로 양단 모션의 공칭 전압에 따라 2차원 그래픽으로 달리 구분해 표현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16, the thickness, color, and size of the line are differently represented by two-dimensional graphics according to the nominal voltage of the motion of both ends of the line.

또한,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전력 조류가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된 선로 상에서 흘러가는 것처럼 보이게끔 도 17처럼 도형 또는 3D Model이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전력 조류의 흐름을 동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전력 조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전류 조류를 선로 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400 is a power in the form of animation in which the figure or 3D model moves as shown in FIG. 17 so that the power current,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appears to flow on a line represented by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The flow of algae can be modeled dynamically, and current algae, which vary in colo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wer algae, are displayed on the track.

도 17은 선로의 흐르는 전력조류 정보를 색상과 크기를 변화시키고 에니메이션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전력 조류의 흐름을 표현하는 삼각형은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갈수록 조류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삼각형의 크기도 조류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또한, 삼각형은 ①의 위치에서 ②의 위치로 움직이는 에니메이션을 통해 흐름을 표현한다.FIG. 17 illustrates a method of changing the color and size of the flowing algae information of the track through animation, and the triangle representing the flow of the electric current is larger in size from green to red. The size of the triangle also increases with the size of the algae. In addition, the triangle represents the flow through the animation moving from the position of ① to the position of ②.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도 18와 도 19처럼, 국내 전력계통이 북상조류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계통 흐름을 2D 혹은 3D로 구현하며, 국내 주요 발전단으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수도권과 대도시로 흘러 들어가는 실제 모습도 구현한다.18 and 19,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400 implements a power system flow in 2D or 3D to confirm that the domestic power system is a North-Earth Bird, and the power generated from major domestic power generation stages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metropolitan city. It also implements the actual appearance that flows in.

도 18에서 조류의 흐름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표현되고, 조류의 크기는 화살표의 색상과 크기로 표현된다. 조류의 흐름을 표현하는 화살표는 에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GIS(250) 상에서 동적으로 움직인다.In FIG. 18, the flow of algae is ex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e size of the algae is expressed in the color and size of the arrow. Arrows representing the flow of algae move dynamically on the GIS 250 using animation techniques.

도 19는 선로에 대한 전력 조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조류의 흐름을 표현하는 화살표의 색상과 크기는 조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된다.FIG. 19 illustrates a flow of power tides for a track, and the color and size of the arrows representing the flow of tide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ides.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도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선로 부하율을 크기에 따라 색상 또는 높이를 달리해 구별할 수 있으며, 선로 부하율을 선로에 수직인 방향으로 3D 커브를 생성시켜 표시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20, the power system installation unit 400 can distinguish the line load ratio,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by varying the color or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the line load ratio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Create and display 3D curves.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GIS(250) 상에 표시한다.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400 uses at least one of color change, size change,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and animation technique when the facility limit value,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limit range. Violation of the equipment limit value is displayed on the GIS 250 for the power system equipment.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특성상태 정보 중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하고,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당해 전력계통 설비(ex : 발전소, 변전소)의 수직 방향으로 설정한 후 2차원 Image, Vector graphic 및 3차원 Cube를 이용해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3차원으로 표시한다.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400 distinguishes the facility generation amount, facility utilization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from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ze by varying the color, and receives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ex: power plant, Substation) and then display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facility utilization or facility load in 3D by using 2D image, vector graphic and 3D cube.

일예로,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400)는 도 21와 같이 전력계통 설비(ex : 발전소와 변전소)의 특성상태 정보(ex :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를 3차원으로 표기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400 displays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ex: facility generation amount, facility utilization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of a power system facility (ex: power plant and substation) in three dimensions.

변전소별 부하량은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발전소에서 발전되는 전력량 및 해당 변전소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의 총합을 막대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으며, 발전소별 발전량은 3차원의 막대그래프를 이용해 색상과 높이가 각기 다르게 표시된 해당 발전소의 총 발전가능 용량과 현재 발전량을 확인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load of each substation can be confirmed by a bar graph of the total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each power plant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corresponding substation. This can be found by looking at the total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current generation of the power plant marked otherwise.

전력계통도에 포함되는 전력계통 설비의 특성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은 각 변전소와 발전소에 포함되는 모든 모션들을 리스트화시킴으로써 표현되며,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연결된 경우에도 상대측 모션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까지 표현된다.Motion Symbolic, which provides the characteristic status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included in the power system diagram, is expressed by listing all the motions included in each substation and power plant, even wh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connected. Up to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설비들에 대한 색상은 고정된 값이 아니며,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Here, it is noted that the color of the power system facilit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fixed value and can be changed at any time.

정보 표시부(500)는 전력계통도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GIS(250) 상에 표시하는 장치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 모션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션정보 및 선로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선로정보를 GIS(250) 상에 표시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is a device for displaying each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a power system and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250. Motion symbolic and motion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displayed. The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and the lin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line are displayed on the GIS 250.

정보 표시부(500)는 도 23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계통 설비가 단일로 형성된 경우이면 모션 정보와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GIS(250) 상에 표시하며,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서로 연결된 경우이면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와 전력계통 설비 양단에 연결된 모션정보 및 및 선로정보를 함께 GIS(250) 상에 표시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23,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displays motion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250 when the power system facilities are formed in a single unit,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s. When the facilit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mo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and line information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GIS 250.

정보 표시부(500)는 도 2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출력량을 포함하는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도 24(b)처럼 변전소와 변전에 대한 모션정보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24 (a),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not only shows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including the output amounts of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but also shows substations and substations as shown in FIG. Motion information is also shown.

정보 표시부(500)는 모션의 명칭, 공칭 전압, 현재 전압, 전압에 대한 상한과 하한 제한치 및 위상각을 포함하는 모션정보를 비롯해 모션과 연결된 전력계통 설비의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나며, 모선과 연결된 전력계통 설비의 특성상태 정보를 해당 전력계통 설비와 연계시켜 표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display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motion, the nominal voltage, the current voltage, the upper and lower limit values for the voltage, and the phase angle, as well as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connected to the motion. The characteristic status information of the grid equipment can be displayed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grid equipment.

또한, 정보 표시부(500)는 도 24(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GIS(250) 상에서 선로의 명칭과 선로 부하율, 선로 양단의 모션정보, 유효전력 및 유효전력의 방향을 포함하는 선로정보를 상세히 나타낸다. Also, as shown in FIG. 24C,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displays lin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line and the line load ratio, motion information at both ends of the line, and active power and active power directions on the GIS 250. It is shown in detail.

여기서, 특성상태 정보는 GIS(250) 상에서 2D 또는 3D 형태로 표시될 뿐만 아니라, 색상변경이나 크기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한다.
Here, it is noted that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not only displayed in the 2D or 3D form on the GIS 250 but also can be changed in color or size.

도 25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도 25를 참조하면,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취득해 구조화된 전력계통도를 생성시키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좌표를 계산해 상대적 위치를 결정한 다음,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으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및 각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정보를 GIS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구동방법이다.Referring to FIG. 25, a method of driv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generates power structure diagram by acquiring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through a power system database, and calculates relative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fte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graphics is a driving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 status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 in real time on the GIS.

먼저, 정보 취득부는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함(S10)에 있어,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기설정된 지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First,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btains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S10), and receives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전력계통 분석부는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한다(S20, S30).The power system analysis unit analyze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dentified from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a power system diagram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modeled as a single network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IS). S30).

위치 결정부는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GIS 상에 구성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한다(S40, S50).The location determiner determines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configured on the GIS by grasping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shown in the power system diagram (S40, S50).

즉, 위치 결정부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고려해 계산된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생성한 후,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 상에서 서로 미교차되거나 미중첩되도록 GIS 상에 배치될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적 위치를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참조해 결정한다.That is, the positioning unit generates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e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n is placed on the GIS such that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uncrossed or overlapped with each other on the GIS. The relative position of a number of power system installations is determined by reference to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위치 결정된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다(S60).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implements a plurality of positioned power system facilities in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on the GIS (S60).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전력조류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전력 조류가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된 선로 상에서 흘러가도록 애니메이션을 구현시키고, 전력 조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전류 조류를 선로 상에 표시한다.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implements an animation so that the electric current flowed from the power algae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flows on the track represented by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and the current changes the colo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Mark algae on the track.

또한,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특성상태 정보 중 다른 하나인 선로 부하율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한 후, 선로 부하율을 선로에 수직인 방향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distinguishes the line load rate, which is another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by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size, and displays the line load 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특성상태 정보 중 또 다른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GIS 상에 표시한다.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er uses a plurality of powers by using at least one of color change, size change,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and animation technique when the facility limit value, which is another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out of the preset standard limit range. Violations of equipment limits are indicated on the GIS for grid installations.

정보 표시부는 전력계통도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GIS 상에 표시한다(S70). 더불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 모션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션정보 및 선로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선로정보를 GIS 상에 표시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each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S70). In addition, motion symbolic for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Motion Symbolic),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motion and track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line is displayed on the GIS.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기재된 동작 외에도 다음에 열거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실시한다.Subsequently, the driving method of the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performs the operations listed below 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위치 결정부가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함에 따라,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전력계통 설비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송전탑 위치정보를 이용해 선로의 모양을 도식화하는 방법 중 선택된 하나를 통해 선로 및 선로의 모양을 GIS상에서 구현한다.As the positioning unit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placed on the track,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implements the line and one through a selected method of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facility in a straight line and diagramming the shape of the track using the transmission tower location information. The shape of the track is implemented in GIS.

또한,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특성상태 정보 중 또 다른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GIS 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er uses at least one of color change, size change,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and animation techniques when the facility limit value, which is another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out of the preset reference limit range. Violations of equipment limits are indicated on the GIS for power grid installations.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특성상태 정보 중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한 후,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출력하는 당해 전력계통 설비의 수직 방향으로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표시한다.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distinguishes the facility generation amount, facility utilization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from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by color, and outputs facility generation amount, facility utilization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ower system facility. Indicate the facility utilization or facility load.

전력계통 설비가 단일로 형성된 경우이면 정보 표시부는 모션 정보와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GIS 상에 표시하며,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서로 연결된 경우이면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 전력계통 설비 양단에 연결된 모션정보 및 선로정보를 함께 표시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the motion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on the GIS when the power system equipment is formed in a single unit, and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when the power system equipm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displays motion information and line informa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power system equipm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understand.

1000 :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100 : 정보 취득부 110 :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DB)
200 : 전력계통 분석부 250 : GIS(지리정보시스템)
300 : 위치 결정부 400 :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
500 : 정보 표시부
1000: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100: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power system database (DB)
200: power system analysis unit 250: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300: positioning unit 400: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500: information display unit

Claims (23)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하는 전력계통 분석부;
상기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상기 GIS 상에 구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위치 결정된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상기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키는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 및
상기 전력계통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A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btaining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a power system database;
A power system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dentified from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a power system diagram in which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modeled as a single network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configured on the GIS by identifying a connection direc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shown in the power system diagram;
A power system facility realizing unit for implementing the plurality of positioned power system facilities in 2D graphics or 3D graphics on the GIS; And
And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제 1 항에 있어,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기설정된 지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by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 1 항에 있어, 위치 결정부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고려해 계산된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상기 GIS 상에서 서로 미교차되거나 미중첩되도록 상기 GIS 상에 배치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참조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After generating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e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placed on the GIS so that they are uncrossed or overlapping each other on the GIS GIS 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with reference to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그래픽 구현은,
상기 GIS 상에서 Image, Symbol 및 Vector graphi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2D 형태로 화면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o-dimensional graphics implementation,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2D form us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Symbol and Vector graphic on the G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그래픽 구현은,
상기 GIS 상에 3D Model, Line, Cube 및 Cylinde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3D 형태로 화면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graphics implementation,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3D form using at least one of the 3D Model, Line, Cube and Cylinder on the G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상태 정보는,
상기 GIS 상에서 2D 또는 3D 형태로 표시될 뿐만 아니라, 색상변경이나 크기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not only displayed in the 2D or 3D form on the GIS, but also color or size can be 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 파악됨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상기 송전탑 위치정보를 이용해 상기 선로의 모양을 도식화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로 및 상기 선로의 모양을 상기 GIS상에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As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placed on the track is identified by the positioning unit, using at least one of a method of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in a straight line and a diagram of the shape of the track using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implementing the line and the shape of the line on the GIS.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전력조류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전력 조류가 상기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된 선로 상에서 흘러가도록 애니메이션 형태로 구현하고, 상기 전력 조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전류 조류를 상기 선로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Power currents, which are identified from power current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are implemented in an animation form to flow on a line represented by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and the current current varies in colo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wer current. GIS 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on the line.
제 8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다른 하나인 선로 부하율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하고, 상기 선로 부하율을 상기 선로에 수직인 방향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load ratio,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size, and the line load ratio is display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또 다른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상기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When the facility limit value, which is another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limit range,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used by using at least one of color change, size change,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and animation technique.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violations of the equipment limit on the target.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하고,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출력하는 당해 전력계통 설비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The amount of facility power generation, facility usage 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lectric power system equipment that outputs the facility power generation capacity, facility usage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by distinguishing the color of facility power generation, facility utilization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according to the size from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r GIS 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installation load.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정보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 모션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션정보 및 선로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선로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ion symbolic for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Motion Symbolic),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motion and lin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line on the GIS And visualization system.
제 12 항에 있어, 상기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전력계통 설비가 단일로 형성된 경우이면 상기 모션 정보와 상기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전력계통 설비가 복수로 연결된 경우이면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에 연결된 모션정보 및 선로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motion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facilities are displayed on the GIS when the power system facilities are formed in a single state, and the characteristic state of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when the power system facilities are connected in plural.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th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line informa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정보 취득부가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하는 단계;
전력계통 분석부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하는 단계;
위치 결정부가 상기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상기 GIS 상에 구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위치 결정된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상기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키는 단계; 및
정보 표시부가 상기 전력계통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Obtaining,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a power system database;
Generating a power system diagram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modeled as a single network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y analyz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power system equipments identified from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configured on the GIS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by identifying a connection direc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shown in the power system diagram; ;
Implementing, by the power system facility implementation unit, the plurality of positioned power system facilities as two-dimensional graphics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on the GIS; And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on the GIS.
제 14 항에 있어, 정보 취득부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기설정된 지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receiving the power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system database in real time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 14 항에 있어, 위치 결정부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고려해 계산된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상기 GIS 상에서 서로 미교차되거나 미중첩되도록 상기 GIS 상에 배치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참조해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After generating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e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o be placed on the GIS so that they are uncrossed or overlapping each other on the GIS And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of a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by referring to the GIS standard coordinate tabl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상기 송전탑 위치정보를 이용해 상기 선로의 모양을 도식화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선로 및 상기 선로의 모양을 상기 GIS상에서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dentifying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placed on the track by the positioning unit; And
Implementing the shape of the line and the line on the GI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method of the power system installation unit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equipment in a straight line and the shape of the line using the transmission tower position information. Driving method of the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전력조류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전력 조류가 상기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된 선로 상에서 흘러가도록 애니메이션을 구현시키고, 상기 전력 조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전류 조류를 상기 선로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An anima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electric current flowed from the power algae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flows on the line represented by the 2D or 3D graphic, and the current currents varying in colo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flow. The method of driv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line.
제 18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다른 하나인 선로 부하율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한 후, 상기 선로 부하율을 상기 선로에 수직인 방향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And distinguishing the line load ratio, which is another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by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size, and displaying the line load ratio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How to drive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s.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또 다른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상기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When the facility limit value, which is another one of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limit range,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used by using at least one of color change, size change,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and animation technique. And displaying a violation of the facility limit on the GIS as a target.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한 후,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출력하는 당해 전력계통 설비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system implementation unit,
The amount of facility power generation, facility usage rate or facility load in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is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n the facility generation amount, facil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ower system facility outputting the facility generation amount, facility utilization rate or facility load amount. A method of driving a GIS-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utilization or facility load.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정보 표시부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 모션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션정보 및 선로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선로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motion symbolic for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characteristic state of motion, and line information indicating a characteristic state of a line on the GIS.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제 22 항에 있어,
전력계통 설비가 단일로 형성된 경우이면, 상기 정보 표시부가 상기 모션 정보와 상기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력계통 설비가 복수로 연결된 경우이면 상기 정보 표시부가 상기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에 연결된 모션정보 및 선로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Displaying, by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motion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ystem on the GIS, when the power system is formed in a single unit; And
If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are connected,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characteristic stat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 facilities, the motion information and the line informa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ower system facilities; Driving method of GIS based power system dynam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KR1020110123522A 2011-11-24 2011-11-24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274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22A KR101274168B1 (en) 2011-11-24 2011-11-24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22A KR101274168B1 (en) 2011-11-24 2011-11-24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663A KR20130057663A (en) 2013-06-03
KR101274168B1 true KR101274168B1 (en) 2013-06-13

Family

ID=4885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522A KR101274168B1 (en) 2011-11-24 2011-11-24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1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03B1 (en) 2013-09-30 2015-03-19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ystem visualization
US10210291B2 (en) 2015-07-09 2019-02-19 Ls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owe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233A (en) * 2013-06-12 2014-12-23 (주)아이뱅크컨설턴츠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gis service
KR101505073B1 (en) * 2013-10-30 2015-03-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System for display live line and dead line of substation and method thereof
CN107064686A (en) * 2017-04-25 2017-08-1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A kind of abnormal power-down determin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CN108171616A (en) * 2017-11-29 2018-06-15 南京南瑞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hree-dimensional power grid application platform
CN109120069A (en) * 2018-10-15 2019-01-0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临沧供电局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O&M control platform and method
CN111915726B (en) * 2019-05-10 2024-03-19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scene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
KR102451079B1 (en) * 2020-12-24 2022-10-06 주식회사 크로커스 Visual Abstraction Analysis Method of Power System
CN112952799B (en) * 2021-01-29 2023-06-23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Dynamic modeling method for standing book information for intellig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238B1 (en) 1999-12-30 2002-12-18 한국전력공사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System of Power and Method thereof
KR20100123161A (en) * 2009-05-14 2010-11-2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 system and a method for analyzing electric power system data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238B1 (en) 1999-12-30 2002-12-18 한국전력공사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System of Power and Method thereof
KR20100123161A (en) * 2009-05-14 2010-11-2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 system and a method for analyzing electric power system data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03B1 (en) 2013-09-30 2015-03-19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ystem visualization
US10210291B2 (en) 2015-07-09 2019-02-19 Ls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ow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663A (en)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168B1 (en) Dynamic Modeling of electrical System and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GI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06802993B (en) A kind of operation of the electric network swim under three-dimensional scenic shows method
CN103093663B (en) Hydropower station three-dimensional precise modeling and visualization s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3066698B (en) Implement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of visible power grid trend chart in dispatching system
CN103837796B (en) The transmission line malfunction visualization report method of a kind of sing on web and GIS and system
CN105186353B (en) A kind of dynamic equipment live state display method of the substation based on threedimensional model
US89225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trol of an industrial system
CN106652686A (en) Relay protection VR training system
CN103226841B (en) Based on the substation visual method for commissioning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Manchado et al. Visibility analysis and visibility software for the optimisation of wind farm design
CN108802540A (en) Method for visualizing suitable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 synchronized phasor real-time state monitoring
CN103679559A (en) Visual grid system and fault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CN110504754A (en) One kind automatically generating three-dimensional grid monitoring approach layered based on geography information
CN104240461B (en) A kind of Power System Intelligent alarm 3-D graphic Dynamic Display method
CN105929770A (en) Substation operating condition visualization method based on CIM model
CN108491649A (en) A kind of design method and processing equipment of wind power plant digital Platform
CN108074280A (en) The method that ultra-high-tension power transmission line Equipotential live working simulates hanging basket motion track
CN106530136A (en) 3D displa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production information of nuclear power station
CN103699960A (en) Medium voltage distribution power grid operation state visualization method
CN102306078A (en) Power grid information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based on multiple display diagram types
KR101064509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nalyzing Electric Power System Data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CN102946069A (en) Three-dimensional visualized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extra-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CN206021354U (en) One kind is based on BIM and VR smart cities pipeline coordination platform
CN104331566B (en) 500kV AC linear angle tower Electric Field Simulation Systems
CN110322112A (en) A kind of electrical network paramet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smart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