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719B1 -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719B1
KR101273719B1 KR1020100140825A KR20100140825A KR101273719B1 KR 101273719 B1 KR101273719 B1 KR 101273719B1 KR 1020100140825 A KR1020100140825 A KR 1020100140825A KR 20100140825 A KR20100140825 A KR 20100140825A KR 101273719 B1 KR101273719 B1 KR 10127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mol
brightness enhancemen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506A (ko
Inventor
문정열
한아름
김경남
김대식
류득수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7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02F1/133507Films for enhancing the lumin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휘도 증강 필름에 관한 것으로, 다층 박막을 포함하며, 휘도 균일성 및 측면에서의 광학 특성이 우수한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휘도 증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하나로서, 다른 평판 표시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 상기 TFT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비발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출력광의 휘도 향상 및 출력광의 시야각 향상 등의 장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광판 또는 확산판 상에 적층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광학 필름류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가 대형화 되면서 넓은 시야각에서의 광학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측면에서의 높은 광학특성을 발현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한 실정이다.
휘도분포 및 측면에서의 광학 특성이 향상된 휘도 증강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측면 시야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휘도 증강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이에 제1 구현예로서,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휘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이와 더불어 균일한 휘도분포를 가짐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채용시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현예는 제1 박막 및 상기 제1 박막에 인접 배치된 제2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으로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 120% 이상인 휘도 증강 필름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내에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구현예로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휘도 증강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확산보호층
(2): 접착층
(3): 다층 박막
(4): 접착층
(5): 확산보호층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제1 박막 및 상기 제1 박막에 인접 배치된 제2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다층 박막의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확산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UV 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고, 상기 확산보호층은 확산기능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필름 또는 확산층을 가지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자체 발광원을 갖지 않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광원으로서 설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형태, 용도 등의 다양화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요구되는 휘도 증강 필름의 특성은 더욱 향상될 필요가 있으며,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시야각 향상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 120% 이상이다. 여기서, 상기 상대 휘도값은, 일정 각도에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한 휘도 대비하여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사용하였을 때 측정한 휘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상기 상대 휘도값은, 단지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사용 유무에 따른 휘도 변화율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증가할수록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이 채용된 백라이트 유닛은 넓은 방위각에서 보다 더 균일한 휘도분포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측면 시야각 특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구성하는 제1 박막 및/또는 상기 제2 박막은 유기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필름 가공성, 유연성, 제조 단가 등을 고려할 때,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 함량이 80 몰% 이상인 수지, 또는 85 몰% 이상인 수지, 또는 90 몰% 이상인 수지, 또는 95 몰% 이상인 수지, 또는 98 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 함량이 100몰%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지들을 적어도 2종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80몰% 이상 100몰% 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20몰% 이하 0 몰%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90몰% 이상 100 몰% 이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몰% 이하 0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의 수지는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및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또는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축합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9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6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박막의 수지는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축합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층 박막은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이 하나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여 상기 반복 단위가 적층된 형태, 즉, 교호 다층 박막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반복 단위 내 임의의 위치에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박막이 개재되어 상기 반복 단위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로 이루어진 반복 단위, 및 상기 반복 단위와 다른 적층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반복 단위가 규칙성 또는 불규칙성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압출 연신, 증착, 도포 등 임의의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박막과 제2 박막을 다층 압출하고 연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연신 제조 공정을 예를 들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분자 중합반응기에 일정한 비율의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를 넣고 축합중합을 통해서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제조한다. 제조된 고분자 수지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다층 피드블럭이 설치된 압출기에 공압출을 통해서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가 교호로 적층된 다층 압출 필름을 제조한다. 제조된 다층 압출 필름을 1축 연신기로서 일정한 온도, 연신비, 연신속도로 연속적으로 연신하여 권취함으로써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연신 다층 필름의 양면에 UV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확산 기능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필름이나 확산층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합지하고 이를 UV 경화기에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내에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광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채용할 경우, 상기 광은 가시광선일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이 특정 파장대의 광에 대해 선택적 투과성 및 반사성을 갖기 위해,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은 각각 굴절률 및 두께의 곱으로 정의되는 광학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광학 두께는 일정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박막은 각각 0.05~0.60㎛, 바람직하게는 0.09~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40㎛의 광학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적어도 0.05일 수 있다. 상기 제2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에 수직하는 법선 방향의 축, 즉, 제3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적어도 0.05 보다 작으면, 제1 박막 및 제2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적어져 휘도 상승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3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초과할 경우, 인접하는 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많아져서 휘도 상승을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축에 따른 굴절률 차이는 연신에 의해 복굴절성이 유발되는 물질, 및 복굴절성이 유발되지 않거나 미미한 물질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신축이 상기 제1 축일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이 각각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및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이가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의 차이가 30℃ 를 초과할 경우, 공압출하는 수지의 용융점도차이가 커서 각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힘들고 층을 형성하기가 어려워 진다.
이와 같이 제1 박막 및 상기 제1 박막 상에 인접 배치된 제2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에 있어서, 제1 박막의 성분, 제1 박막과 제2 박막 사이의 굴절율 차이, 유리전이온도 차이 등을 세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상대 휘도값 비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함으로써, 화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분포를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분자 중합반응기에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와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 넣고 축합중합을 통하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0몰%인 제 1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고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을 각각 넣어서 상기와 같이 축합중합을 통해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40몰% 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60몰%로 이루어진 제 2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1 고분자 수지는 100℃ 24시간 건조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제 2 고분자 수지는 70℃, 48시간 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는 각각 30 kg/hr의 속도로 256배 다층 피드블럭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24층의 다층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층 압출 필름은 130℃에서 5배 연신비로 1축 연신하고 연신된 다층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코오롱사의 확산필름(LD102)을 합지하고 500mj/㎠의 광량으로 UV를 조사하여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1 및 제2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투입량을 변량하여, 표 1과 같이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다른 제 1 및 제2 고분자 수지를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법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1 및 제2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투입량을 변량하여, 표 1과 같이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다른 제 1 및 제2 고분자 수지를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법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휘도 증강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 및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차이,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 각각으로 이루어진 층간 굴절률 차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상대 휘도값
2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학필름으로 확산필름(XC210, 코오롱사), 프리즘 필름(LC217, 코오롱)을 조합하고, 그 위에 휘도 증강 필름을 적층하거나 하지 않을 때에 각각 22인치 LCD 패널을 얹고 12V의 전원을 인가한 후, 휘도계(BM-7, 일본 TOPCON사)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 및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 각각에서, 휘도 증강 필름을 적층하지 않았을 경우의 휘도 및 휘도 증강 필름을 사용했을 때의 휘도 각각을 측정하여, 상기 법선 및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 각도에서 해당하는 상대 휘도값을 계산하였다. 상기 계산된 상대 휘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하, “상대 휘도 상승 비율”이라 함)을 계산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
Pellet형태의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칩을 각각 4 mg의 무게로 정량하여 시료를 제작한 다음 시차주사열량계(DSC, Perkin Elmer사)로 온도를 30 ~ 300 ℃로 승온하면서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차이를 계산하였다.
(3) 굴절율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별도로 각각 시트로 제작한 다음 실험실 규모의 연신기에서 130℃, 6배로 1축 연신한 다음 50mmX50mm의 크기로 잘라서 프리즘 커플러(SPA-3DR, Sairon Technology사)에 장착하고 632.8nm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연신축에 따른 굴절율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 시트간의 굴절율 차이를 계산하였다.
 
 
제1 박막 제2 박막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함량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량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함량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량
실시예1 100몰% 0몰% 40몰% 60몰%
실시예2 90몰% 10몰% 60몰% 40몰%
실시예3 80몰% 20몰% 50몰% 50몰%
비교예1 50몰% 50몰% 60몰% 40몰%
비교예2 50몰% 50몰% 5몰% 95몰%
비교예3 100몰% 0몰% 3몰% 97몰%
  상대 휘도 상승 비율 유리전이온도 차이 굴절율 차이
실시예1 230% 20℃ 0.01
실시예2 220% 25℃ 0.03
실시예3 170% 10℃ 0.03
비교예1 100% 7℃ -
비교예2 110% 7℃ -
비교예3 100% 40℃ -
물성평가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적절한 함량 범위로 포함된 제1 박막 및 제2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인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상대 휘도 상승 비율, 유리전이온도 차이, 굴절율 차이 등의 특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3)

  1. 제1 박막 및 상기 제1 박막에 인접 배치된 제2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으로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 120% 이상이고,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80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증강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 150% 이상인 휘도 증강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의 면의 법선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에 대한 상기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값의 비율이 170% 이상인 휘도 증강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80몰% 이상 100 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20몰% 이하 0 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9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내에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축은 연신축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증강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적어도 0.05인 휘도 증강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에 수직하는 제3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은 제1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막은 제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및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이가 30℃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휘도 증강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00140825A 2010-12-31 2010-12-31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27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25A KR101273719B1 (ko) 2010-12-31 2010-12-31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25A KR101273719B1 (ko) 2010-12-31 2010-12-31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06A KR20120078506A (ko) 2012-07-10
KR101273719B1 true KR101273719B1 (ko) 2013-06-12

Family

ID=4671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825A KR101273719B1 (ko) 2010-12-31 2010-12-31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7735B (zh) * 2012-12-14 2016-09-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液晶裝置
CN107390376B (zh) * 2016-05-17 2021-05-28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液晶多层立体显示器显示方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518A (ko) * 2008-05-30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
JP2010091616A (ja) 2008-10-03 2010-04-22 Nippon Zeon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複合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107958A (ja) 2008-09-30 2010-05-13 Nippon Zeon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複合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243826A (ja) 2009-04-07 2010-10-28 Toyobo Co Ltd 光拡散型反射偏光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518A (ko) * 2008-05-30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
JP2010107958A (ja) 2008-09-30 2010-05-13 Nippon Zeon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複合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091616A (ja) 2008-10-03 2010-04-22 Nippon Zeon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複合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243826A (ja) 2009-04-07 2010-10-28 Toyobo Co Ltd 光拡散型反射偏光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06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572B1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20170086477A (ko) 액정표시장치 및 편광판
KR1016652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3614592B (zh) 防反射用圆偏光板和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US9213129B2 (en)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KR20160055152A (ko)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광 투과율 개선 방법
KR10166523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5170872A1 (ko) 보호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124982A (ko) 액정 표시 장치
WO2014185312A1 (ja) 画像表示装置
KR101273719B1 (ko)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695915B1 (ko)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668863B2 (en) Optical polyester film, and prism sheet or polarized reflection sheet comprising same
KR101249656B1 (ko) 휘도증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N103026270B (zh) 增亮膜及含有该增亮膜的背光单元
JP20162007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1717642B1 (ko)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451024B1 (ko) 휘도증강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471683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7618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combination of backlight light source and polarizing plate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075964A (ja) 液晶表示装置
KR20240061648A (ko) 마이크로 led 화상 표시 장치
KR101888132B1 (ko)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84485B1 (ko)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220165804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광원과 편광판의 조합을 선택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