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583B1 -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583B1
KR101273583B1 KR1020110102944A KR20110102944A KR101273583B1 KR 101273583 B1 KR101273583 B1 KR 101273583B1 KR 1020110102944 A KR1020110102944 A KR 1020110102944A KR 20110102944 A KR20110102944 A KR 20110102944A KR 101273583 B1 KR101273583 B1 KR 10127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frame
photo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533A (ko
Inventor
노광호
Original Assignee
프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닉스(주) filed Critical 프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1010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5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로 출력된 인쇄물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 상기 액자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시차 발생부를 형성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와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진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로 출력된 인쇄물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GLASSES FREE 3D PHOTO FRAME AND SYSTEM AND METHOD FOR SHOWING 3D PRINT OUT THEREFOR}
본 발명은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로 출력된 인쇄물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3D(3차원) 입체 영상은 두 눈의 스테레오(stereo) 시각 원리에 의한 것으로 약 65㎜ 정도 떨어져 존재하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좌/우 두 눈이 각각 연관된 평면 영상을 볼 경우에 뇌는 이들 서로 다른 두 영상을 융합하여 3D 영상 본래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생할 수 있고, 이 같은 능력을 스테레오 그래피(stereography)라 한다.
이에 따라 스테레오 그래피를 응용한 3D 입체 영상 기술이 소개된 바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홀로그래픽(holographic) 디스플레이, 무안경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동시에 많은 인원이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지만 별도의 편광 안경 또는 액정 셔터 안경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고,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법은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장 완벽한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레이저 기준 광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상의 어려움과 대형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편, 무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비록 관찰범위가 고정되어 소수 인원에 한정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안경이 불필요하고 장치적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무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한 입체 영상 구현방법은 좌/우안용 스테레오이미지(stereo image)를 분리 표시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3D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의 입체 영상표시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좌/우안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평면 영상에 스트라이프(stripe) 형태의 개구(aperture)와 베리어(barrier)를 중첩시킴으로써 관찰자의 스테레오 그래피를 유발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으로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장치(main display device)와 스트라이프 형태의 개구와 베리어를 제공하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패럴렉스 베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액정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10)이 사용되고, 상기 액정패널(10)에는 좌안용 이미지정보를 표시하는 좌안 픽셀(L)과 우안용 이미지정보를 표시하는 우안 픽셀(R)이 번갈아 정의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별도의 조광(照光) 장치인 백라이트(backlight : 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0)과 관찰자(40) 사이 또는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20) 사이로는 패럴렉스 베리어(30)가 설치되며, 여기에는 좌/우안용 픽셀(L,R)로부터 나오는 빛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슬릿(32)과 베리어(34)가 관찰자(40)에 대해 세로방향을 향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20)로부터 발광된 빛 중에서 액정패널(10)의 좌안용 픽셀(L)을 통과한 빛(L1)은 패럴렉스 베리어(30)의 슬릿(32)을 거쳐 관찰자(40)의 좌안에 도달되고, 액정패널(10)의 우안용 픽셀(R)을 통과한 빛(R1)은 패럴렉스 베리어(30)의 슬릿(32)을 거쳐 관찰자(40)의 우안에 도달되는데, 이때 좌/우안용 픽셀(L,R)의 표시 영상에는 각각 인간이 감지 가능한 시차 정보가 담겨 있고, 그 결과 관찰자(40)는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액자는 그림, 사진, 글씨 등을 끼워넣어 벽에 걸거나 테이블 등에 거치시켜 전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순한 2차원 평면적 이미지만을 표시하고 있어서 관찰자가 액자를 통해 전시되는 그림, 사진, 글씨 등이 3차원 공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입체적인 모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로 출력된 인쇄물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 상기 액자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페러렉스 베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시차 발생부를 형성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와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 고정부는 사진 고정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3D 이미지와 결합하여 상기 3D 이미지가 사진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 사진이 사진 고정부의 사진 거치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클립부; 상기 사진 고정부의 하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되고, 설정 위치를 조정할 경우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시 기준점을 제공하는 돌출부; 및 상기 사진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사진 고정부의 상부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3D 이미지와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 사이의 중첩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리어는 투명부에 직접 인쇄되거나 또는 베리어가 인쇄된 필름을 상기 투명부에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액자.상기 베리어는 투명부에 직접 인쇄되거나 또는 베리어가 인쇄된 필름을 상기 투명부에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명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아크릴 또는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3D 촬영 수단으로부터 검출한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가 생성한 3D 이미지를 수신하여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 인쇄물로 출력하는 프린터부; 및 상기 프린터부로부터 인쇄물로 출력된 3D 이미지가 거치되도록 하고, 페러렉스 베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시차 발생부와,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사진 고정부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좌/우 이동시켜 조절하여 상기 시차 발생부와 3D 이미지 사이의 중첩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거치된 3D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감상될 수 있도록 조절된 상태를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3D 액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a) 3D 이미지 생성부가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 단계; b) 프린터부가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3D 이미지를 수신하여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인쇄물로 3D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쇄된 3D 이미지가 3D 액자에 거치되면, 상기 거치된 3D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감상될 수 있도록 상기 3D 액자에 페러렉스 베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시차 발생부와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사진 고정부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좌/우 이동시켜 조절하여 상기 시차 발생부와 3D 이미지 사이의 중첩 위치를 조절하며, 조절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로 출력된 인쇄물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패러렉스 베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2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입체 영상 교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시차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에 입체 영상을 설치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에 입체 영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3D 액자의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입체 영상 교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100)는 액자 프레임(110, 150)과 시차 발생부를 형성한 투명부(120)와 사진 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자 프레임(110, 150)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 사진(130)이 거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사각 형상의 프레임(110)과 후면 프레임(150)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투명부(120)와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과 사진 고정부(140)가 고정되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자 프레임(110, 150)의 상부를 통해 상기 투명부(120), 3D 이미지 사진(130) 및 사진 고정부(140)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투명부(120)가 설치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3D 액자(100)에 거치된 3D 이미지 사진(130)이 상기 투명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투명부(120)는 액자 프레임의 전면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부(120)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시차 발생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차 발생부는 일정 간격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 페러렉스 베리어(121, 이하 베리어라 함)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부(120)는 일정 두께(예를 들면, 1mm)를 갖는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의 투명부재이고, 상기 베리어(121)는 투명부(120)에 직접 인쇄되거나 또는 상기 베리어(121)가 인쇄된 필름을 상기 투명부(120)에 접착시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은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를 인쇄한 사진, 그림, 글씨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3D 이미지 사진이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기재된 것으로 사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진 고정부(140)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투명부(120)의 후측에 설치되어 3D 이미지 사진(130)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과 투명부의 베리어(121)가 중첩되도록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액자 프레임(110, 150)에 고정시키며, 클립부(141), 돌출부(142) 및 조절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진 고정부(140)는 액자 프레임(110, 150)에 삽입된 경우 상기 액자 프레임(110, 15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억지끼움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클립부(141)는 사진 고정부(140)의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사진 고정부(140) 상에 거치되는 3D 이미지 사진(130)의 상측과 결합하여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이 상기 사진 고정부(14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141)는 3D 이미지 사진(130)이 사진 고정부(140)의 사진 거치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돌출부(142)는 사진 고정부(140)의 하단 중앙에 상기 사진 고정부(14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사진 고정부(140)의 설정 위치를 조정할 경우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시 기준점이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42)가 사진 고정부(140)의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사진 고정부(140)의 양측면과 일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며 대칭을 이루는 돌출된 예를 들면 "V"자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절부(143)는 사진 고정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관찰자가 3D 이미지 사진(130)과 투명부의 베리어(121)를 서로 중첩시킬 수 있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돌출부(142)를 중심으로 상기 사진 고정부의 상부가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143)는 3D 액자(100)에 거치된 3D 이미지 사진(130)을 다른 사진으로 대체할 경우 관찰자가 사진 고정부(140)를 잡기 위한 손잡이로 기능한다.
후면 프레임(150)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주변을 따라 전면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프레임(150)의 상부는 개구되어 사진 고정부(1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3D 액자(100)에 3D 이미지 사진(130)을 거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를 인쇄한 사진, 그림, 글씨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3D 이미지 사진(130)을 사진 고정부(14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은 사진 고정부(140)의 클립부(141)를 통해 사진 고정부(14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을 고정한 사진 고정부(140)는 돌출부(142)가 액자 프레임(110, 150)의 하단과 닿을 때까지 상기 액자 프레임(110, 150)으로 삽입된다.
이후 관찰자는 상기 사진 고정부(140)의 조절부(143)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사진 고정부(140)의 위치가 돌출부(142)를 중심으로 변경시키며 3D 이미지 사진(130)과 투명부(120)의 투과면 및 베리어(121)가 중첩되도록 한다.
즉 도 4(a)와 같이 투명부(120)의 투과면 및 베리어(121)와 3D 이미지 사진(130) 간에 정확하게 중첩되지 않으면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영상을 인식할 수 없게 되어 도 4(b)와 같이 투명부(120)의 투과면 및 베리어(121)와 3D 이미지 사진(130) 간에 정확한 중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관찰자에 의한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사진 고정부(140)는 억지끼움을 통해 액자 프레임(110, 1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영상을 관찰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 없이 사진 고정부(140)가 액자 프레임(110, 150)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부가하여 사진 고정부(140)가 액자 프레임(110, 1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시차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의 시차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부(120')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시차 발생부로서 렌티큘러 렌즈부(121')가 형성된 것이다.
렌티큘러 방식은 2시점 영상 표시를 기본으로 하지만 더욱 많은 다시점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투명부(120')에 반원형상의 가늘고 긴 렌즈를 평행하게 배치한 렌티큘러 렌즈부(121')가 설치되어 이미지의 시차 영상이 투영되도록 한다.
(3D 입체 영상 설치 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에 입체 영상을 설치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안경 3D 액자(100)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은 3D 액자(100)와, 3D 이미지 생성부(200)와, 프린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D 액자(100)는 출력수단인 프린터부(300)로부터 인쇄물로 출력된 3D 이미지 사진(130)이 거치되도록 하고, 상기 3D 액자(100)에 미리 설치된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와 3D 이미지 사진(130) 사이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3D 이미지 사진(130)이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사진을 감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200)는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3D 카메라, 3D 스캐너 및 3D 콘텐츠 제작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컴퓨터이다.
즉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200)는 상기 3D 카메라 또는 3D 스캐너와 같은 3D 촬영 수단으로부터 3D 이미지를 검출하여 제공하거나, 3D 콘텐츠 제작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2D 카메라가 촬영한 2D 이미지 또는 메모리(미도시) 등에 저장된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한 3D 이미지나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기 프린터부(300)는 3D 이미지 생성부(200)가 제공하는 3D 이미지를 수신하여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인쇄물인 3D 이미지 사진(130)을 출력한다.
(3D 입체 영상 설치 방법)
도 6은 도 5에 따른 무안경 3D 액자에 입체 영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무안경 3D 액자(100)에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3D 인쇄물 표시 방법을 설명하며, 3D 이미지 생성 단계(S100)와, 3D 이미지 출력 단계(S200)와, 3D 이미지 설치 및 조정 단계(S300 및 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0단계는 3D 카메라, 3D 스캐너 및 3D 콘텐츠 제작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D 이미지 생성부(200)가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3D 콘텐츠 제작 응용 프로그램은 공지의 3D 콘텐츠 제작 응용 프로그램으로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상기 S200단계는 프린터부(300)가 3D 이미지 생성부(200)로부터 생성된 3D 이미지를 USB 케이블 등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인쇄물인 3D 이미지 사진(130)을 출력한다.
상기 S300 및 S400단계는 인쇄된 3D 이미지 사진(130)을 3D 액자(100)에 삽입하여 거치되도록 하고, 상기 거치된 3D 이미지 사진(130)이 입체적으로 감상될 수 있도록 상기 3D 액자(100)에 설치된 시차 발생부와 거치된 3D 이미지 사진(130) 사이의 위치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그래피에 의한 3D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2차원 평면적 이미지만을 표시하는 액자를 통해 3차원 공간에 있는 입체적인 모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3D 액자 110 : 전면 프레임
111 : 관통공 120, 120' : 투명부
121 : 베리어 121' : 렌티큘러 렌즈부
130 : 3D 이미지 사진 140 : 사진 고정부
141 : 클립부 142 : 돌출부
143 : 조절부 150 : 후면 프레임
151 : 플랜지부 200 : 3D 이미지 생성부
300 : 프린터부

Claims (8)

  1. 액자 프레임;
    상기 액자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페러렉스 베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시차 발생부를 형성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와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 고정부는 사진 고정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3D 이미지와 결합하여 상기 3D 이미지가 사진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 사진이 사진 고정부의 사진 거치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클립부;
    상기 사진 고정부의 하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되고, 설정 위치를 조정할 경우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시 기준점을 제공하는 돌출부; 및
    상기 사진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사진 고정부의 상부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3D 이미지와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 사이의 중첩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3D 액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투명부에 직접 인쇄되거나 또는 베리어가 인쇄된 필름을 상기 투명부에 접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3D 액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아크릴 또는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3D 액자.
  5. 삭제
  6. 3D 촬영 수단으로부터 검출한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가 생성한 3D 이미지를 수신하여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 인쇄물로 출력하는 프린터부; 및
    상기 프린터부로부터 인쇄물로 출력된 3D 이미지가 거치되도록 하고, 페러렉스 베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시차 발생부와,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사진 고정부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좌/우 이동시켜 조절하여 상기 시차 발생부와 3D 이미지 사이의 중첩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거치된 3D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감상될 수 있도록 조절된 상태를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3D 액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7. 삭제
  8. a) 3D 이미지 생성부가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 단계;
    b) 프린터부가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3D 이미지를 수신하여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인쇄물로 3D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쇄된 3D 이미지가 3D 액자에 거치되면, 상기 거치된 3D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감상될 수 있도록 상기 3D 액자에 페러렉스 베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시차 발생부와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사진 고정부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좌/우 이동시켜 조절하여 상기 시차 발생부와 3D 이미지 사이의 중첩 위치를 조절하며, 조절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인쇄물 표시 방법.
KR1020110102944A 2011-10-10 2011-10-10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27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944A KR101273583B1 (ko) 2011-10-10 2011-10-10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944A KR101273583B1 (ko) 2011-10-10 2011-10-10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533A KR20130038533A (ko) 2013-04-18
KR101273583B1 true KR101273583B1 (ko) 2013-06-11

Family

ID=4843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944A KR101273583B1 (ko) 2011-10-10 2011-10-10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07A (ko) * 2017-10-25 2019-05-07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811U (ja) 2001-09-20 2002-03-29 株式会社浅沼カメラメカニカルラボラトリー 写真用三次元フレーム
JP3406781B2 (ja) 1996-08-21 2003-05-12 株式会社フオトクラフト社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用の圧縮画像の形成方法及び装置
JP2004239980A (ja) 2003-02-03 2004-08-26 I-O Data Device Inc 3d鑑賞用光学ホル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6781B2 (ja) 1996-08-21 2003-05-12 株式会社フオトクラフト社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用の圧縮画像の形成方法及び装置
JP3084811U (ja) 2001-09-20 2002-03-29 株式会社浅沼カメラメカニカルラボラトリー 写真用三次元フレーム
JP2004239980A (ja) 2003-02-03 2004-08-26 I-O Data Device Inc 3d鑑賞用光学ホル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07A (ko) * 2017-10-25 2019-05-07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KR102012560B1 (ko) 2017-10-25 2019-08-20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533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0597B2 (ja) 2次元及び3次元映像選択可能ディスプレイ装置
JP4450076B2 (ja) 三次元画像再生装置
JP4404146B2 (ja) 投影型三次元画像再生装置
KR20120030005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입체 화상 표시 장치
KR101396254B1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KR100935891B1 (ko) 입체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080158671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Flat Panel Display
KR20130123526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CN105005176A (zh) 裸眼3d拍摄和显示装置
KR101273583B1 (ko)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928523B1 (ko) 입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JP4657066B2 (ja) 立体表示装置
KR101746719B1 (ko) 디스플레이패널과 개별 렌즈간의 거리를 각각 달리하는 렌즈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출력 방법
JP548793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4998799A (en) Stereoscope
KR101086305B1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50076946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4207780A (ja) 写真撮影装置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42923B1 (ko)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렬장치 및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렬방법
US9217875B1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angle magnifying screen thereof
KR10134512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및 기록 장치
KR101746717B1 (ko) 초점이 각각 다른 렌즈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출력 방법
KR101746725B1 (ko) 비선형 렌즈어레이가 설치된 3차원 영상 출력 방법
JP5466195B2 (ja) 裸眼立体画像表示デバイス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