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527B1 -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527B1
KR101273527B1 KR1020110068301A KR20110068301A KR101273527B1 KR 101273527 B1 KR101273527 B1 KR 101273527B1 KR 1020110068301 A KR1020110068301 A KR 1020110068301A KR 20110068301 A KR20110068301 A KR 20110068301A KR 101273527 B1 KR101273527 B1 KR 10127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cartridge
pipe
cartridg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774A (ko
Inventor
강갑진
Original Assignee
강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갑진 filed Critical 강갑진
Priority to KR102011006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5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는 본체(10)에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충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중에 잉크가 흘러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ink cartridge re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에 사용되는 분사노즐에는 잉크가 저장된 잉크카트리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잉크카트리지에서 분사노즐로 직접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분사노즐에 일체로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는 용량이 적어서 잉크가 빨리 소모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분사노즐과 별도로 구성된 대용량의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고, 플랙시블한 공급관을 이용하여 잉크카트리지에 저장된 잉크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도록 한 잉크공급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잉크공급장치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카트리지의 용량이 커서 한 번 잉크를 충전하면 장기간 잉크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잉크를 충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이러한 잉크공급장치의 잉크카트리지는 상호 구획된 4개의 챔버가 구비되어 3원색과 흑색의 잉크를 각기 별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잉크젯프린터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며, 각 챔버에는 잉크를 주입하는 주입구 및 마개가 구비되어, 잉크를 다 소모하면 상기 주입구를 열고 내부에 잉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잉크공급장치의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할 때는 수작업으로 충전하여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 중에 잉크가 흘러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잉크젯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구획된 여러개의 챔버가 구비되고 각 챔버에는 각각 주입구(2)와 마개가 구비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1)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잉크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잉크저장용기(20)와, 일단은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복수개의 잉크공급관(30)과, 상기 잉크공급관(30)의 중간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급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와, 상기 공급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에 연결된 제어유닛(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하판(12)과, 상기 하판(12)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1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3)에는 상기 고정부(11)에 고정된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각 잉크공급관(30)에는 상기 결합공(13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고정단관(32a)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각 잉크공급관(30)을 서로 다른 결합공(13a)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본체(10)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잉크공급관(30)은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설치된 메인관(31)과 상기 메인관(3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각 고정부(11)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기관(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펌프(40)는 상기 메인관(31)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밸브(50)는 상기 분기관(3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60)으로 상기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한꺼번에 복수개의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하판(12)의 상면에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1a)를 고정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1)의 내측에는 하판(12)을 상하면으로 관통하는 배수공(12a)이 형성되어,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에서 유출된 잉크가 상기 배수공(12a)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판(12)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공(12a)의 하측에 위치되어 배수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수집하는 수집용기(15)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61)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입력수단(61)에 의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50)를 개방하여 잉크카트리지(1)에 설정된 양의 잉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입력수단(61)은 상기 고정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하면, 잉크카트리지(1)에 의해 상기 입력수단(61)이 온(on)되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는 본체(10)에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충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중에 잉크가 흘러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의 잉크공급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의 하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잉크카트리지(1)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잉크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잉크저장용기(20)와, 일단은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복수개의 잉크공급관(30)과, 상기 잉크공급관(30)의 중간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급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와, 상기 공급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에 연결된 제어유닛(6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가 온-오프(on-off)되어, 잉크카트리지(1)에 자동으로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잉크카트리지(1)는 전후방향으로 긴 합성수지재의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은 4개의 챔버로 구성되어 각 챔버에 3원색 잉크와 검은색 잉크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챔버의 상부에는 각각 주입구(2)와 마개가 구비되어 상기 마개를 열고 주입구(2)를 통해 각 챔버의 내부에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잉크카트리지(1)의 형상과 내부용량은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잉크카트리지(1)의 구성은 종래의 잉크카트리지(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면에 상기 고정부(11)가 형성된 하판(12)과, 상기 하판(12)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13)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12)과 상판(13)은 그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지지봉(14)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1)는 하판(12)의 상면에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1a)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하판(12)에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고정부(11)는 좌우폭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각 고정부(11)에 서로 다른 사이즈의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부(11)는 3개가 구비되어, 3가지의 서로 다른 사이즈의 잉크카트리지(1)를 상기 본체(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의 내측에는 하판(12)을 상하면으로 관통하는 배수공(12a)이 형성되어,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에서 유출된 잉크가 상기 배수공(12a)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판(12)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공(12a)의 하측에 위치되어 배수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수집하는 수집용기(15)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수공(12a)은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집용기(15)는 깊이가 얕은 쟁반형태로 구성되어 둘레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테두리부(15a)가 상기 하판(12)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12b)에 끼워져, 전방으로 인출하여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잉크저장용기(20)는 용량이 큰 합성수지재의 통으로 구성되며, 4개가 구비되어 각 잉크저장용기(20)에 상기 잉크카트리지(1)에 공급되는 3원색 및 검은색의 잉크를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잉크공급관(30)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 관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잉크저장용기(20)와 같이 4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잉크저장용기(20)에 연결되어, 각 잉크저장용기(20)에 저장된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챔버에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잉크공급관(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연결된 메인관(31)과, 상기 메인관(3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단부가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3개의 분기관(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서 공급된 잉크를 분기하여 상기 고정부(11)에 설치된 3개의 잉크카트리지(1)에 동시에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판(13)에는 상기 고정부(11)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13a)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32)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공(13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단관(32a)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관(32a)을 임의의 결합공(13a)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13)에 형성된 결합공(13a)은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단관(32a)은 상기 결합공(13a)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단관(32a)을 결합공(13a)에 끼워 고정하면 고정단관(32a)의 단부가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분기관(32)을 통해 공급된 잉크가 고정단관(32a)을 통해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로 주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에 설치되는 각 잉크카트리지(1)는 높이가 서로 다르므로, 각 분기관(32)의 고정단관(32a)은 상판(13)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어, 고정단관(32a)을 상기 결합공(13a)에 결합하면 각 고정단관(32a)의 단부가 각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의 결합공(13a) 상부로 최대한 근접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잉크공급관(30)으로 공급하면, 각 잉크저장용기(20)에 저장된 서로 다른 4가지 색의 잉크가 고정부(11)에 설치된 3개의 잉크카트리지(1)에 동시에 공급된다.
상기 공급펌프(40)는 일반적인 소형 액체펌프를 이용하며, 각 잉크공급관(30)의 메인관(31) 중간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전자제어밸브(50)는 일반적인 소형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며, 각 잉크공급관(30)의 분기관(32)의 중간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 분기관(32)을 통해 공급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잉크공급관(30)은 4개로 구성되며 각 잉크공급관(30)에는 각각 3개씩의 분기관(32)이 구비되므로, 상기 전자제어밸브(50)는 12개로 구성되어 각 분기관(32)에 1개씩 구비된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사용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61)이 구비되어, 상기 입력수단(61)에 의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50)를 개방하여 잉크카트리지(1)에 설정된 양의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수단(6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11)에서 상기 잉크카트리지(1)가 삽입되는 방향의 후측에 설치된 터치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완전히 삽입하여 설치하면 잉크카트리지(1)에 의해 입력수단(61)인 터치스위치의 푸쉬버튼이 눌려 온(on)되어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입력수단(61)에 의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급펌프(40)를 온(on)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제어밸브(50)를 제어하여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60)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정해진 시간동안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를 작동시켜 잉크카트리지(1)에 설정된 양의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각 고정부(11)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1)는 각 챔버의 용량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공급펌프(40)에 의해 공급되는 잉크의 초당 공급량은 알려져 있으므로, 공급펌프(40)를 이용하여 몇 초간 또는 몇 분간 잉크를 공급하면 잉크카트리지(1)의 각 챔버에 잉크가 완전히 충전될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온(on)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공급한 후 전자제어밸브(50)를 닫아 잉크카트리지(1)에 정해진 양의 잉크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6은 상기 하판(12)의 하측면에 구비된 레그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번호 17은 상기 상판(13)의 하측에 구비되어 잉크카트리지(1)의 상면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를 작동시켜 잉크공급관(30)을 통해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잉크를 충전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잉크가 흘러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잉크공급관(30), 특히, 잉크공급관(30)의 분기관(32)에는 본체(10)의 상판(13)에 형성된 결합공(13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단관(32a)이 구비되어, 분기관(32)을 서로 다른 결합공(13a)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하여, 각 잉크카트리지(1)의 챔버에 충전되는 잉크의 색의 배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잉크카트리지(1)의 챔버에 충전되는 잉크의 색의 배열은 설치되는 프린터의 종류에 따라, 적, 흑, 황 및 청색 순으로 배열되거나, 적, 흑, 청, 황색 순 또는 그 외에 수많은 다른 형태의 배열로 챔버에 주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잉크카트리지(1)의 챔버에 충전되는 잉크의 배열이 바뀌게 될 경우,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뀐 배열에 맞게 각 분기관(32)이 교차되도록 각 분기관(32)의 고정단관(32a)을 서로 다른 결합공(13a)에 끼워 각 챔버에 원하는 색의 잉크를 주입 및 충전할 수 있으므로,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의 활용도를 더욱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공급관(30)은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설치된 메인관(31)과 상기 메인관(3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각 고정부(11)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 상부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기관(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펌프(40)는 상기 메인관(31)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밸브(50)는 상기 분기관(32)의 중간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어유닛(60)으로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를 제어하여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잉크카트리지(1)에 자유롭게 잉크를 주입 및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의 양측에는 잉크카트리지(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1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1)의 내측에는 하판(12)을 상하면으로 관통하는 배수공(12a)이 형성되므로,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에 발생된 틈새나 크랙 등에서 유출된 잉크가 상기 지지리브(11a)에 의해 막혀 양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상기 배수공(12a)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잉크카트리지(1)에서 유출된 잉크에 의해 하판(12)이 지저분해지게 되거나, 잉크가 다른 곳으로 흘러가 다른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판(12)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공(12a)의 하측에 위치되는 수집용기(15)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수집하므로, 배수공(12a)에서 유출된 잉크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입력수단(61)에 의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50)를 개방하여 잉크카트리지(1)에 설정된 양의 잉크를 공급하므로, 항상 정확한 양의 잉크를 공급 및 충전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실수로 과도한 양의 잉크가 잉크카트리지(1)에 공급되어 잉크가 흘러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입력수단(61)은 상기 고정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삽입하면, 잉크카트리지(1)에 의해 상기 입력수단(61)이 온(on)되어 제어신호를 입력하므로, 별도로 입력수단(61)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10)에는 3개의 고정부(11)가 형성되어 3개의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10)에 고정부(11)를 더 많이 형성하거나, 하나의 고정부(11)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잉크저장용기(20) 및 제어유닛(60)이 각기 별도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잉크저장용기(20)와 제어유닛(60)을 본체(10)와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61)은 상기 고정부(11)에 설치되는 터치스위치를 이용하여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0)를 설치하면 잉크카트리지(10)에 의해 눌려 온(on)되는 터치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눌러 온(on)시키는 푸쉬스위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력수단(61)이 온(on)되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를 정해진 시간동안 온(on)시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충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푸쉬스위치를 누르는 동안만 잉크카트리지(10)에 잉크를 공급하여 충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 카트리지 10. 본체
20. 잉크저장용기 30. 잉크공급관
40. 공급펌프 50. 전자제어밸브
60. 제어유닛

Claims (7)

  1. 상호 구획된 여러개의 챔버가 구비되고 각 챔버에는 각각 주입구(2)와 마개가 구비된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1)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잉크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잉크저장용기(20)와,
    일단은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복수개의 잉크공급관(30)과,
    상기 잉크공급관(30)의 중간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급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와,
    상기 공급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에 연결된 제어유닛(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하판(12)과,
    상기 하판(12)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1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3)에는 상기 고정부(11)에 고정된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각 잉크공급관(30)에는 상기 결합공(13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고정단관(32a)이 구비되어,
    각 잉크공급관(30)을 서로 다른 결합공(13a)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본체(10)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잉크공급관(30)은 상기 잉크저장용기(20)에 설치된 메인관(31)과 상기 메인관(3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각 고정부(11)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1)의 주입구(2)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기관(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펌프(40)는 상기 메인관(31)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밸브(50)는 상기 분기관(3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60)으로 상기 공급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한꺼번에 복수개의 잉크카트리지(1)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하판(12)의 상면에 상기 잉크카트리지(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1a)를 고정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1)의 내측에는 하판(12)을 상하면으로 관통하는 배수공(12a)이 형성되어,
    고정부(11)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1)에서 유출된 잉크가 상기 배수공(12a)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2)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공(12a)의 하측에 위치되어 배수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수집하는 수집용기(15)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60)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61)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입력수단(61)에 의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50)를 개방하여 잉크카트리지(1)에 설정된 양의 잉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61)은 상기 고정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11)에 잉크카트리지(1)를 설치하면, 잉크카트리지(1)에 의해 상기 입력수단(61)이 온(on)되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KR1020110068301A 2011-07-11 2011-07-11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KR10127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01A KR101273527B1 (ko) 2011-07-11 2011-07-11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01A KR101273527B1 (ko) 2011-07-11 2011-07-11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74A KR20130007774A (ko) 2013-01-21
KR101273527B1 true KR101273527B1 (ko) 2013-06-17

Family

ID=4783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01A KR101273527B1 (ko) 2011-07-11 2011-07-11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81A (ko) * 1998-02-20 1998-04-30 임성묵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충전장치
KR20050005590A (ko) * 2003-07-05 2005-01-14 (주)옥당싸인시스템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보충장치
KR20060072870A (ko) * 2004-12-24 2006-06-28 전문배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090030405A (ko) * 2007-09-20 2009-03-25 최광성 수동펌프용 잉크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81A (ko) * 1998-02-20 1998-04-30 임성묵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충전장치
KR20050005590A (ko) * 2003-07-05 2005-01-14 (주)옥당싸인시스템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보충장치
KR20060072870A (ko) * 2004-12-24 2006-06-28 전문배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090030405A (ko) * 2007-09-20 2009-03-25 최광성 수동펌프용 잉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74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482B1 (ko) 토너 카트리지에 자동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장치
US20180001650A1 (en) Liquid supplying mechanism,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US6347863B1 (en) Ink cap
EP3613890B1 (en) Detergent additive box, mounting structure and distribution box including a detergent additive box
KR101343645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101273527B1 (ko) 잉크카트리지 충전장치
KR101660128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20130111766A (ko) 잉크 리필 장치
KR101337773B1 (ko) 잉크공급장치
US7686436B2 (en) Ink recharging system for ink cartridge, bulk ink cartridge used in said system, and ink recharging method using them
KR101920370B1 (ko) 잉크 공급장치
CA2606931C (en) Ink cartridge refill system for inkjet printers and method of refilling ink cartridges using the same
KR100259605B1 (ko)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충전장치
KR101337765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102002314B1 (ko) 토너 자동공급장치
KR101719071B1 (ko) 잉크 충전기
KR101174295B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090030405A (ko) 수동펌프용 잉크 충전장치
KR101633220B1 (ko) 부유 필터를 구비한 재생 잉크 충전장치
KR200329681Y1 (ko) 잉크충전기
US20070132814A1 (en) Ink filling mechanism for ink-jet cartridge
KR102066853B1 (ko) 재충전용 잉크 카트리지
KR102066854B1 (ko) 잉크 충전장치
KR101302829B1 (ko) 프린터 잉크 공급장치
KR101308321B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용 바늘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