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279B1 -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279B1
KR101273279B1 KR1020110085196A KR20110085196A KR101273279B1 KR 101273279 B1 KR101273279 B1 KR 101273279B1 KR 1020110085196 A KR1020110085196 A KR 1020110085196A KR 20110085196 A KR20110085196 A KR 20110085196A KR 101273279 B1 KR101273279 B1 KR 10127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ene
plants
mdha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561A (ko
Inventor
윤호성
김일섭
김영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2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8Methods for regeneration to complete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12N15/8202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by biological means, e.g. cell mediated or natural vector
    • C12N15/8205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16Methods for controlling, regulating or enhancing expression of transgenes in plant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상기 mdhar 유전자를 이용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 상기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수확량 증가용 조성물, 벼 유래 mdhar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상기 mdhar 유전자를 이용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 및 상기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Use of mdhar gene from Oryza sativa as regulator of yield and environmental stresses}
본 발명은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상기 mdhar 유전자를 이용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 상기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수확량 증가용 조성물, 벼 유래 mdhar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상기 mdhar 유전자를 이용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 및 상기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득의 증대와 문화 수준의 향상으로 우리는 보다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유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호응하여 다양한 소비자 기호에 맞는 식량의 생산이 필요하다. 특히 맛과 질 그리고 영양가 등이 높은 고품질의 품종 생산으로 농가와 소비자 모두를 만족시켜야 한다. 최근 벼의 유전체 서열이 판독됨으로써 수많은 벼 유전자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근간이 성립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유용 유전자를 분리하고 새 시대가 원하는 우수 벼 품종을 생산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행이 최근 벼 유전체 서열의 해독으로 대부분의 유전자가 정체를 드러냈고, 이들 유전자의 기능을 보다 손쉽게 분석할 수 있는 자원인 삽입 변이체 집단이 구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유용 유전자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우수 벼 품종을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할 필요가 크다.
벼 유전자 서열 분석은 일본을 중심으로 Rice Genome Program이 형성되어 진행되었다 (International Rice Genome Sequencing Projects 2005). 이제 서열 분석 및 annotation이 종료됨에 따라 유전자 기능분석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다. 그런데 벼는 주로 동양에서 키우는 관계로 벼 연구의 중심은 동양에서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져 총 길이 cDNA 라이브러리 제작 및 genome wide full length cDNA ectopic 발현 등을 통해 유전자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호주에서도 경쟁력이 높은 연구실들이 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벼를 모델 시스템으로 하여 질병 등 주요 형질을 연구한 후 이를 밀이나 옥수수 등에 적용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일본보다는 뒤져 있으나 규모 면에서는 오히려 우위를 점하며 벼 유전자 기능 연구를 대대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찍이 벼 유전자 기능 연구가 시작되어 이를 위한 삽입 변이체 집단을 T-DNA 및 Ac/Ds 시스템을 활용하여 생산해 놓았다. 현재까지 개발된 T-DNA 삽입체는 현재 10만이 넘으며 경상대/농진청에서 구축하고 있는 Ds 삽입체도 5만이 넘어 이들을 합치게 되면 벼 대부분의 유전자에 삽입변이체를 구축한 셈이다 (Jeong et al. 2006 Plant J 45: 123-132). 이들 삽입변이체는 T-DNA 혹은 Ds의 삽입주변 서열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전자 변이체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외에서도 여러 연구실이 유사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한편 벼의 형질전환 기술이나 재배기술, 육종기술 등은 국내 수준이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고, 오히려 대부분의 국가보다 우수하가고 평가된다. 특히 형질전환체에 대한 규제가 매우 높은 일본 유럽 미국 등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에서 우수 벼 품종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반은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19884호에는 '향상된 수확량 관련 형질을 갖는 식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7219호에는 'NAC 전사인자의 발현 조절로 향상된 수확량 관련 형질을 갖는 식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벼 유래 mdhar 유전자를 도입시킨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수확량이 증가되었고,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mdhar 유전자를 이용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수확량 증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벼 유래 mdhar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mdhar 유전자를 이용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벼 식물체는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특징이 있고, 수확량이 증가되어, 벼 작물이 생육하기 불리한 조건에서도 수확량 증대를 위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T2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동형접합 식물체 (homozygote lines) 선발을 위한 PCR 분리를 나타낸다.
도 2는 BrMDHAR 유전자를 과발현시킨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RT-PCR 분석을 나타낸다.
도 3은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염 스트레스 저항성 분석을 나타낸다.
도 4는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실험포장에서 표현형 분석을 나타낸다.
도 5는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효소활성 분석을 나타낸다.
도 6은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냉해 스트레스 저항성 분석을 나타낸다.
도 7은 파종 이후부터 형질전환 식물체의 생장률을 나타낸다.
도 8은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수확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분얼수를 나타낸다.
도 9는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효소활성 분석을 나타낸다.
도 10은 T3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냉해 스트레스에서 성장 길이 측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염 스트레스 저항성 분석을 나타낸다.
도 12는 2010년 6월 파종 이후부터 수확기까지 형질전환 식물체의 생장률을 나타낸다.
도 13은 형질전환 벼 식물체 항산화활성 및 지질산화 분석을 나타낸다.
도 14는 T3 및 T4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기관별 특성조사를 나타낸다 (TPW, total plants weight; CW, culm weight; RW, root weight; NP, number of panicles per hill; NSP,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FR, filling rate; TGW, total grain weight; 1000 GW, 1000 grain weight).
도 15는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염 스트레스 민감도 확인을 나타낸다.
도 16은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분자생물학적 기능 분석을 나타낸다 (A: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인 #1-4(OsMdhar) 및 #6-3(OsDhar)을 semi RT-PCR 분석을 통한 항산화 관련유전자의 발현 확인, B: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인 #1-4(OsMdhar)의 효소활성 분석).
도 17은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 실험포장에서 형태 분석을 나타낸다 (A:파종 이후부터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유효분얼수).
도 18은 2010년 5월 파종 이후부터 수확기까지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생장률을 나타낸다.
도 19는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실험 포장에서 기관별 특성조사를 나타낸다 (TPW, total plants weight; CW, culm weight; RW, root weight; NP, number of panicles per hill; NSP,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FR, filling rate; TGW, total grain weight; 1000 GW, 1000 grain weigh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식물세포에 형질전환시켜 mdhar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mdhar 유전자는 multigene family 로 존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기 서열의 변이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과 각각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서열 상동성의 %"는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일부는 두 서열의 최적 배열에 대한 참고 서열(추가 또는 삭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비해 추가 또는 삭제(즉, 갭)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식물의 수확량 증가는 식물의 분얼수 증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재조합"은 세포가 이종의 핵산을 복제하거나, 상기 핵산을 발현하거나 또는 펩티드, 이종의 펩티드 또는 이종의 핵산에 의해 암호된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를 지칭하는 것이다. 재조합 세포는 상기 세포의 천연 형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절편을, 센스 또는 안티센스 형태 중 하나로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재조합 세포는 천연 상태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으며, 그러나 상기 유전자는 변형된 것으로서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세포 내 재도입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mdhar 유전자 서열은 재조합 발현 벡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용어 "재조합 발현 벡터"는 세균 플라스미드, 파아지, 효모 플라스미드, 식물 세포 바이러스, 포유동물 세포 바이러스, 또는 다른 벡터를 의미한다. 대체로, 임의의 플라스미드 및 벡터는 숙주 내에서 복제 및 안정화할 수 있다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현 벡터의 중요한 특성은 복제 원점, 프로모터, 마커 유전자 및 번역 조절 요소(translation control element)를 가지는 것이다.
mdhar 유전자 서열 및 적당한 전사/번역 조절 신호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는 당업자에 주지된 방법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시험관내 재조합 DNA 기술, DNA 합성 기술 및 생체 내 재조합 기술 등을 포함한다. 상기 DNA 서열은 mRNA 합성을 이끌기 위해 발현 벡터 내의 적당한 프로모터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발현 벡터는 번역 개시 부위로서 리보좀 결합 부위 및 전사 터미네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의 바람직한 예는 아그로박테리움 투머파시엔스와 같은 적당한 숙주에 존재할 때 그 자체의 일부, 소위 T-영역을 식물 세포로 전이시킬 수 있는 Ti-플라스미드 벡터이다. 다른 유형의 Ti-플라스미드 벡터 (EP 0 116 718 B1호 참조)는 현재 식물 세포, 또는 잡종 DNA를 식물의 게놈 내에 적당하게 삽입시키는 새로운 식물이 생산될 수 있는 원형질체로 잡종 DNA 서열을 전이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Ti-플라스미드 벡터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는 EP 0 120 516 B1호 및 미국 특허 제4,940,838호에 청구된 바와 같은 소위 바이너리(binary) 벡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DNA를 식물 숙주에 도입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벡터는 이중 가닥 식물 바이러스(예를 들면, CaMV) 및 단일 가닥 바이러스, 게미니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 예를 들면 비완전성 식물 바이러스 벡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벡터의 사용은 특히 식물 숙주를 적당하게 형질전환하는 것이 어려울 때 유리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마커는 통상적으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핵산 서열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비형질전환 세포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유전자가 이에 해당된다. 그 예로는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또는 포스피노트리신(phosphinothricin)과 같은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카나마이신(kanamycin), G418,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과 같은 항생제 내성 유전자, aadA 유전자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에서, 프로모터는 CaMV 35S, 액틴, 유비퀴틴, pEMU, MAS, 히스톤 프로모터, SWPA2 프로모터, Clp 프로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모터"란 용어는 구조 유전자로부터의 DNA 업스트림의 영역을 의미하며 전사를 개시하기 위하여 RNA 폴리머라아제가 결합하는 DNA 분자를 말한다. "식물 프로모터"는 식물 세포에서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이다. "구성적(constitutive) 프로모터"는 대부분의 환경 조건 및 발달 상태 또는 세포 분화하에서 활성이 있는 프로모터이다. 형질전환체의 선택이 각종 단계에서 각종 조직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성적 프로모터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적 프로모터는 선택 가능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에서, 통상의 터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노팔린 신타아제(NOS), 벼 α-아밀라아제 RAmy1 A 터미네이터, 파세올린(phaseoline) 터미네이터,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의 옥토파인(Octopin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 대장균의 rrnB1/B2 터미네이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네이터의 필요성에 관하여, 그러한 영역이 식물 세포에서의 전사의 확실성 및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터미네이터의 사용은 본 발명의 내용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벡터를 원핵세포에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및 발현시킬 수 있는 숙주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E. coli JM109, E. coli BL21, E. coli RR1, E. coli LE392, E. coli B, E. coli X 1776, E. coli W311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그리고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세라티아 마르세슨스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종과 같은 장내균과 균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를 진핵 세포에 형질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숙주세포로서, 효모(Saccharomyce cerevisiae), 곤충세포, 사람세포 (예컨대, CHO 세포주 (Chinese hamster ovary), W138, BHK, COS-7, 293, HepG2, 3T3, RIN 및 MDCK 세포주) 및 식물세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숙주세포는 바람직하게는 식물세포이다.
본 발명의 벡터를 숙주세포 내로 운반하는 방법은, 숙주 세포가 원핵 세포인 경우, CaCl2 방법, 하나한 방법 (Hanahan, D., J. Mol. Biol., 166:557-580(1983)) 및 전기천공 방법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숙주세포가 진핵세포인 경우에는, 미세주입법, 칼슘포스페이트 침전법, 전기천공법, 리포좀-매개 형질감염법, DEAE-덱스트란 처리법, 및 유전자 밤바드먼트 등에 의해 벡터를 숙주세포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세포로부터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확량이 증가된 식물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har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수확량 증가는 식물의 분얼수 증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형질전환은 예를 들면,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iaciens)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 세포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형질전환 식물 세포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을 재분화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형질전환된 식물세포는 전식물로 재분화되어야 한다. 캘러스 또는 원형질체 배양으로부터 성숙한 식물의 재분화를 위한 기술은 수많은 여러 가지 종에 대해서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Handbook of Plant Cell Culture, 1-5권, 1983-1989 Momillan, N.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체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엽 식물은 택사과(Alismataceae), 자라풀과(Hydrocharitaceae), 지채과(Juncaginaceae), 장지채과(Scheuchzeriaceae), 가래과(Potamogetonaceae), 나자스말과(Najadaceae), 거머리말과(Zosteraceae), 백합과(Liliaceae), 지모과(Haemodoraceae), 용설란과(Agavaceae), 수선화과(Amaryllidaceae), 마과(Dioscoreaceae), 물옥잠과(Pontederiaceae), 붓꽃과(Iridaceae), 버먼초과(Burmanniaceae), 골풀과 (Juncaceae),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곡정초과(Eriocaulaceae), 화본과(벼과, Gramineae, Poaceae), 천남성과(Araceae), 개구리밥과(Lemnaceae), 흑삼릉과 (Sparganiaceae), 부들과(Typhaceae), 사초과(방동사니과, Cyperaceae), 파초과(Musaceae), 생강과(Zingiberaceae), 홍초과(Cannaceae) 또는 난초과(Orchidacea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수확량 증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har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벼 유래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킴으로써 식물체의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식물세포에 형질전환시켜 mdhar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har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는 염, 저온 또는 산화 스트레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세포로부터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식물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har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는 염, 저온 또는 산화 스트레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체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har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벼 유래 mdhar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킴으로써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재료 및 방법
(1) 모노디히드로아스코베이트 리덕타제 ( MDHAR ) 및 디히드로아스코베이트 리덕타제 ( DHAR ) 유전자의 과발현 벡터 구축,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T 1 세대 벼 식물체 및 이의 종자 개발
벼 세포질 MDHAR (NCBI 등록번호 D85764.1)을 코딩하는 cDNA는 오리자 사티바 재배종 일미 (Oryza sativa cv.Ilmi)의 총 RNA로부터 RT-PCR 방법으로 얻었다. TOPO-TA 벡터 (인비트로젠)에 삽입하여 시퀀싱하여 확인하였고, Os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구축물을 제조하기 위해, Nco Kpn 으로 절단한 OsMDHAR 유전자를 SWPA2 프로모터, nos 터미네이터 및 선별마커인 bar 유전자가 포함된 pCAMBIA3300 식물 삽입 벡터의 일치하는 자리에 삽입시켰다. 이 구축물 (pCAMBIA3300::OsMDHAR)은 전기천공법으로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LBA4404에 형질도입시켰다. pCAMBIA3300::OsMDHAR의 과발현을 위한 숙주로 한국 벼 재배종 일미 (Ilmi) 를 사용하였다. 식물체의 형질전환, 선별, bar-저항성 캘러스의 재분화 및 식물체는 앞서 기술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Nishimura et al., 2006 Nat protoc 1:2796-2802). OsMDHAR 유전자를 포함하는 다른 구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HindIII 및 KpnI으로 절단한 OsMDHAR 유전자를 Ubi 프로모터, nos 터미네이터 및 선발마커인 하이그로마이신 저항성 유전자를 선별 마커로 가지고 있는 pGA1611 식물 삽입 벡터의 일치하는 자리에 삽입시켰다. 이 구축물 (pGA1611::OsMDHAR)은 nos 터미네이터 및 선발마커인 bar 유전자가 포함된 pCAMBIA3300 식물 삽입 벡터에 BamHI 및 SacII 로 blunt end ligation 법을 이용하여 구축물 (Ubi::OsMDHAR)을 삽입하였다).
OsMDHAR를 발현하는 50개의 독립적인 T0 형질전환 벼 식물체 (TP)는 성숙기까지 키웠다. T1 종자를 수확하였고, 5개의 독립적인 T0 벼 식물체로부터 얻은 T1 자손은 SWPA2-F (5'-caatcaagcattctacttctattgcagc-3': 서열번호 2) 및 OsMDHAR-R (5'-ttcagtgctcaggatcaactcaatgcc-3' : 서열번호 3)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분리 패턴 (segregation pattern) 분석을 수행하였다. T1 벼 식물체로부터 수확한 약 1000개의 T2 종자는 카나마이신 포함 발근 배지에서 발아시켰다. 카나마이신이 포함된 발근 배지에서 T1 벼 식물체로부터 유도된 T2 종자의 발아에 대한 스크리닝은 발아된 T1 식물체로부터 수확된 T2 종자를 모두 분석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동형접합 식물체를 확인하기 위해, PCR 분석, 웨스턴 블럿 및 효소 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2) MDHAR DHAR 유전자가 과발현된 T 2 벼 식물체 종자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조사
2008년 2월에 pHY101(Ubi::BrMdhar)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 pHY102(SWPA2::BrMdhar) 형질전환체 homoline 1개체 및 pHY104(SWPA2::OsMdhar)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를 선발한 후 파종하여 유전자형 및 스트레스(염 및 저온) 내성을 조사하였다.
2008년 6월에 pHY101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 pHY102 형질전환체 homoline 1개체 및 pHY104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를 선발하여 묘목 12개씩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고, 형질을 관찰하였으며, 생물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8년 12월 온실에 T2 세대 pHY101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 pHY102 형질전환체 homoline 1개체 및 pHY104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의 T2 종자를 파종한 후 3주 동안 성장시킨 식물체를 스트레스 조건 (염, 저온, 산화)에서 RNA 발현, 효소 활성 및 미량분석(microanalysis)을 실시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6일 동안 염 스트레스 처리 이후 잎을 채취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여 효소활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추출은 50 mM Tris-HCl (pH 7.5), 1 mM EDTA , 1 mM MgCl2, 1 mM PMSF, protease inhibitor cocktails이 포함된 추출 버퍼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pHY101, pHY102, pHY104 및 일미벼의 RNA를 RNeasy Plant Mini Kit (QIAGEN, USA)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3) MDHAR DHAR 유전자가 과발현된 T 2 , T 3 T 4 벼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조사 및 표현형 관찰
① T2 세대 종자의 전개 이후 스트레스 내성 분석, 생물학적 분석 및 유전자 분석
2009년 2월과 6월에 pHY103(Ubi :: OsMDHAR)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 pHY105(Ubi::OsDHAR) 형질전환체 homoline 7개체 및 pHY106(SWPA2 :: OsDHAR) 형질전환체 homoline 7개체를 선발한 후 온실에 파종하여 스트레스(염 및 저온) 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2009년 6월에 pHY103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 pHY105 형질전환체 homoline 7개체 및 pHY106 형질전환체 homoline 7개체를 선발하여 묘목 12개씩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고, 형질을 관찰하였으며, 생물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9년 2월에 온실에 파종한 pHY103 형질전환체 homoline 2개체, pHY105 형질전환체 homoline 7개체 및 pHY106 형질전환체 homoline 7개체의 분리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T2 종자 15개 정도씩을 논에 전개시킨 다음 PCR을 이용하여 전개라인의 유전자형을 결정한다. PCR 조건은 95℃, 5 min ; 94℃, 1 min ; 57℃, 1 min ; 72℃, 1 min (35 사이클); 72℃, 7 min에서 실시하였다.
② T3 세대 종자의 전개 이후 스트레스 내성 분석, 생물학적 분석 및 유전자 분석
2009년 2월과 6월에 pHY101 형질전환체, pHY102 형질전환체 및 pHY104 형질전환체를 온실에 파종하여 스트레스(염 및 저온) 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온실에 파종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100 mM 염 스트레스 처리 및 10℃ 저온 처리 이후의 표현형 관찰은 염 저온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 대조군인 일미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2009년 6월에 pHY101 형질전환체, pHY102 형질전환체 및 pHY104 형질전환체를 묘목 12개씩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고, 형질을 관찰하였으며, 생물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9년 2월과 6월에 온실과 군위 실험포장에 파종한 pHY101 형질전환체, pHY102 형질전환체 및 pHY104 형질전환체를 내염성 및 내한성에서 RNA, 단백질 발현 및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RNA는 Tri-reagent 용액 (Molecular Research Center, INC.)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1st strand cDNA합성은 MMLV 역전사 효소와 올리고 d(T)n (Promega)을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6일 동안 염 스트레스 처리 이후 잎을 채취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여 효소활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추출은 50 mM Tris-HCl (pH 7.5), 1 mM EDTA , 1 mM MgCl2, 1 mM PMSF, protease inhibitor cocktails이 포함된 추출버퍼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MDHAR의 활성도 측정은 MDHA가 아스코브산으로 환원되는 양을 340 nm(ε= 6.2 mM-1 cm-1)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50 mM 인산완충용액(pH 7.2, 0.2 mM NADH, 2 mM 아스코르브산염, 1 유닛 아르코르브산 산화효소)에서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조효소액의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법으로 측정하였다.
③ T2, T3 및 T4 세대 벼 식물체의 실험포장 표현형 조사
2010년 6월에 실험포장에 파종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실험포장에 파종 후 표현형 관찰은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를 대조군인 일미벼와 비교하여 유효 분얼수, 무게, 수확량을 분석하였다.
(4) T- 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에서 OsMdhar OsDhar 유전자의 발현 조사
OsMdhar 유전자들에 대한 넉다운(knock-down) 및 OsDhar 유전자들에 대한 넉아웃(knock-out)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종자를 포항공과대학교에서 분양 받아 실험포장에 전개하여 T-DNA 삽입 유전자형을 조사하고 형질을 관찰하였다.
(5) T- DNA 삽입 벼 식물체들의 특정 산화스트레스 하에서 돌연변이의 스트레스 민감도 분석
T-DNA 삽입 돌연변이체를 온실에 전개시킨 다음 30℃ 전후에서 약 2주 동안 성장시킨 묘목의 게놈 DNA을 분리한 후 PCR을 이용하여 전개라인의 분리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genotyping을 실시하였다. 게놈 DNA 분리는 균질화 버퍼 (0.1 M NaCl, 0.2 M 수크로스, 0.01 M EDTA, 0.03 M Tris-HCl, pH 8.0)과 용해 버퍼 (0.25 M EDTA, 2.5%(w/v) SDS, 0.5 M Tris-HCl, pH 9.2)를 4:1로 섞어서 만든 grind buffer를 사용하였으며, 0.2 g 식물조직을 액체 질소에 얼린 것을 1.5ml 튜브에서 분쇄하였다. 이후에 400 ㎕ grind buffer를 넣고 70℃에서 30분 동안 놓아둔 후 원심분리(12000 rpm, 10 min)하였다. 상층액을 70% EtOH로 씻은 후, 원심분리(12000 rpm, 10 min)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을 건조시킨 후 증류수 50 ℃에 녹여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PCR 조건은 93℃, 3 min; 93℃, 1 min; 54℃, 1 min; 72℃, 1 min (35 사이클); 72℃, 7 min에서 실시하였다.
2008년 2월과 6월에 온실 및 실험포장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2개체 및 OsDhar 넉아웃 4개체의 RNA 발현 및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T-DNA 삽입 돌연변이체를 온실에 파종시킨 다음 30℃ 전후에서 약 3주 동안 성장시킨 묘목을 염 및 저온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약 6일 정도 후 샘플을 채취하여 단백질을 분리한 후 단백질 발현과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0.2 g 식물조직을 막자사발과 막대를 이용하여 조직을 분쇄하였다. 갈아진 조직을 baked spatula을 사용하여 E-튜브에 나누어 담거나 15 ml 코니컬 튜브에 한꺼번에 담았다. 식물에서 단백질 추출은 균질화 버퍼 (50 mM Tris-HCl (pH8.0), 1 mM EDTA, 1% NP-40, 1 mM PMSF, protease inhibitor cocktails)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균질화 버퍼를 첨가 후 볼텍스를 실시하였다. 이 후에 얼음 위에서 10분간 방치한 다음, 12,000 rpm, 4℃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모아 새 튜브로 옮겼다. 추출한 단백질은 단백질 발현과 효소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2009년 2월과 6월에 온실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1계통 및 OsDhar 넉아웃 1계통의 동형접합체 라인 (homozygote lines)을 내염성 및 내한성 스트레스에 민감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2009년 2월과 6월에 온실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및 OsDhar 넉아웃 개체의 RNA, 단백질 발현 및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9년 6월에 OsMdhar 넉다운 및 OsDhar 넉아웃 개체를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벼 식물체 실험포장에 12개체씩 전개하였으며 형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 6월 실험포장에 파종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실험포장에 파종 후 표현형 관찰은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를 대조군인 동진벼와 비교하여 유효 분얼수, 무게, 수확량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 MDHAR DHAR 유전자가 과발현된 T 1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종자로부터 유도된 T 2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내염성 조사
2008년 2월에 MDHAR DHAR 유전자가 과발현된 T1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종자를 온실에 파종한 pHY101, pHY102 및 pHY104 개체의 DNA를 추출하여 식물체의 삽입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이용하여 genotyping을 시도하였다. 실험 결과 염 스트레스 저항성을 가지는 개체들과 삽입유전자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 pHY102와 pHY104의 각각의 개체에서 DNA를 추출하여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 (일미벼)를 제외한 pHY102, pHY104 계통의 모든 개체에서 삽입된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08년 2월에 온실에 파종한 pHY101, pHY102 및 pHY104 개체의 RNA를 추출하여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삽입유전자 발현이 증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정량적인 RT-PCR을 이용한 발현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산화 스트레스 저항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벼 식물체들이 삽입유전자의 RNA 발현양이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염 스트레스를 처리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자란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삽입유전자의 RNA 발현양이 낮게 나타났으며, 염 스트레스 처리 기간에 따라 RNA 발현양이 서서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벼 식물체들이 염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 WT (일미벼) 보다 형질전환 벼 식물체에서 염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 항산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실 및 군위에 파종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염 스트레스 처리 이후의 표현형 관찰은 염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 대조군인 일미벼와 비교하여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일미벼 보다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 스트레스 처리 기간은 종자를 파종한 후 15일 이후에 처리 하였으며, 염 스트레스 처리 후 약 40일 동안 100 mM로 처리하였다 (도 3). 형질전환 벼 식물체 pHY102와 pHY104가 WT(일미벼) 보다 높은 염 스트레스 저항성을 나타낸다. 100 mM 염 스트레스를 약 40일 동안 처리하였으며 이후 10일 동안 회생 하였다.
군위에 파종 후 표현형 관찰은 2008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파종 이후부터 꾸준히 형질을 관찰한 결과 형질전환체가 대조군(일미벼) 보다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식물체들이 일반적인 논 조건에서도 일미벼 보다 성장률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
파종 이후부터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생장률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일미벼), #53-1(pHY101), #53-5(pHY101), #58-2(pHY102), #64-4(pHY104) 및 #65-2(pHY104)를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 조사에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생육상태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도 4A),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출수시기가 약 10-20일 정도 빨랐다 (도 4B). 도 4C는 형질전환체의 생산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분얼수를 조사한 결과로 형질전환체의 분얼수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Red, 대조군; Green, 형질전환체).
온실에 파종 후 염 스트레스 처리 이후에 잎을 채취하여 단백질을 추출,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활성을 분석한 결과 염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서 형질전환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효소활성이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식물체가 일반적인 상태에서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높은 효소활성을 보이다가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는 효소활성이 더욱 많이 증가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형질전환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
대조군인 일미벼와 형질전환 벼 식물체인 pHY102 (SWPA2 :: BrMDHAR)의 효소 활성 분석에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염 스트레스에서 효소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mM 염을 처리한 후 12일 후의 잎을 사용한 실험 결과이다.
실시예 2. MDHAR DHAR 유전자가 과발현된 T 2 T 3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내한성 조사
온실에 파종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냉해 스트레스 처리 이후의 표현형 관찰은 냉해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 대조군인 일미벼와 비교하여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일미벼 보다 냉해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해 스트레스 처리기간은 종자를 파종한 후 약 30일 이후에 처리하였으며, 냉해 스트레스 처리 후 약 50일 동안 10℃로 처리하였다 (도 6).
10℃ 냉해 스트레스를 약 50일 동안 처리한 다음 이후 10일 동안 회생시킨 결과 형질전환 벼 식물체 pHY102와 pHY104가 WT(일미벼) 보다 높은 냉해 스트레스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T3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 후 표현형 관찰은 2009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파종 이후부터 꾸준히 형질을 관찰한 결과 형질전환체가 대조군(일미벼) 보다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벼 식물체들이 일반적인 논 조건에서도 일미벼 보다 성장률이 좋은 것이 T2 세대와 마찬가지로 확인되었다 (도 7). 대조군(일미벼), #53-1(pHY101), #53-5(pHY101), #58-2(pHY102), #64-4(pHY104) 및 #65-2(pHY104)의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 조사에서 형질전환 식물이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도 7A),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출수 시기가 약 10-20일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도 7B).
T3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 후 유효분얼수의 측정은 2009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파종 이후부터 꾸준히 유효분얼수를 관찰한 결과 T3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일미벼) 보다 초기분얼수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벼 식물체들이 일반적인 논 조건에서 초기 적응능력이 일미벼 보다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8). 대조군(일미벼), #53-1(pHY101), #53-5(pHY101), #58-2(pHY102), #64-4(pHY104) 및 #65-2(pHY104)의 초기분얼수 조사에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에 파종 후 냉해 스트레스 처리 이후에 잎을 채취하여 단백질을 추출,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활성을 분석한 결과 냉해 스트레스 처리 기간에 따라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효소활성이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일반적인 상태에서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높은 효소활성을 보이다가 냉해 스트레스 조건에서는 효소활성이 더욱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냉해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높게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9). 냉해 스트레스는 10℃에서 6일 동안 성장시킨 후 샘플을 채집하였다. 대조군 (일미벼), #58-2(pHY102) 및 #65-2(pHY104)의 효소활성 분석에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냉해 스트레스에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에 파종한 형질전환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냉해 스트레스 처리 이후의 표현형 관찰은 냉해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 대조군인 일미벼와 비교하여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일미벼 보다 냉해 스트레스에 높은 저항성을 보이면서 길이성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해 스트레스 처리 기간은 종자를 파종한 후 약 10일 이후에 처리하였으며, 냉해 스트레스 처리 후 약 2주 동안 10℃로 처리하였다 (도 10). 대조품종 일미벼와 #58-2 (pHY102)를 파종 10일 후 일반적인 조건에서 표현형을 관찰하였고, 10℃에서 약 2주 동안 냉해 스트레스를 처리한 후 표현형은 도 10A 및 도 10B와 같다. 대조품종 일미벼와 #58-2 (pHY102), 및 #65-2 (pHY104)를 10℃에서 성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품종 보다 성장 길이가 길었다 (도 10C).
실시예 3. MDHAR DHAR 유전자가 과발현된 T 2 T 3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항산화 활성 조사
온실에 파종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온실에 파종 후 염 스트레스 처리이후의 표현형 관찰은 염 스트레스 처리기간에 따라 대조군인 일미벼와 비교하여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일미벼 보다 염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 스트레스 처리 기간은 종자를 파종한 후 약 30일 이후에 처리하였으며, 염 스트레스 처리 후 약 40일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회복기간은 약 14일 처리하였다 (도 11). 100 mM 염 스트레스를 약 40일 동안 처리한 이후 14일 동안 회생시킨 결과, 형질전환 벼 식물체 pHY103, pHY105와 pHY106가 WT(일미벼) 보다 높은 염 스트레스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T3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 후 표현형 관찰은 2010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파종 이후부터 꾸준히 형질을 관찰한 결과 형질전환체가 대조군(일미벼) 보다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벼 식물체들이 일반적인 논 조건에서도 일미벼 보다 성장률이 좋은 것이 T2 세대와 마찬가지로 확인되었다 (도 12). 대조군(일미벼), pHY103(Ubi :: OsMDHAR), pHY105(Ubi::OsDHAR) 및 pHY106(SWPA2 :: OsDHAR)의 생육상태 조사에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에 파종 후 염 스트레스 처리 이후에 잎을 채취하여 단백질을 추출, 항산화활성 및 지질산화를 분석하였다.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염 스트레스 처리 기간에 따라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항산화활성이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질산화를 분석한 결과 염 스트레스 처리 기간에 따라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지질산화가 낮게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스트레스 상태에서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높은 항산화활성과 낮은 지질산화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염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높게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3). 염 스트레스는 100 mM에서 12일 동안 성장시킨 후 샘플을 채집하였고, 대조군 (일미벼), #58-2 (pHY102) 및 #65-2 (pHY104)의 항산화활성 및 지질산화 분석에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일미벼 보다 염 스트레스에서 높은 항산화활성과 낮은 지질산화로 나타났다.
T3 및 T4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 후 기관별 특성조사는 2010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 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2010년 10월 10경에 T3 및 T4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각각의 기관별로 나누어 특성을 조사한 결과 T3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대조군(일미벼) 보다 기관별 특성이 우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4). 대조군(일미벼), pHY101, pHY102, pHY103, pHY104, pHY105 및 pHY106을 각각의 기관별로 구분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포장에서 성장시킨 벼 식물체의 기관별 특성 분석은 형질전환 벼 식물체가 일미벼 보다 성장 및 수확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MDHAR DHAR 유전자에 T- DNA 가 삽입된 벼 식물체의 내염성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2008년 2월과 6월에 온실 및 군위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OsDhar 넉아웃 개체를 파종하여 염 스트레스를 처리한 결과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동진벼보다 염 스트레스에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mM 염 스트레스를 약 30일 동안 처리하였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항산화 유전자가 식물의 생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했다(도 15).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인 #1-4(OsMdhar) 및 #6-11(OsDhar)를 100 mM 염 스트레스를 약 30일 동안 처리하였다. WT(동진벼)보다 각각의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들이 염 스트레스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8년 2월과 6월에 온실 및 군위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OsDhar 넉아웃 개체를 파종하여 염 스트레스를 처리한 후 기간에 따라 샘플을 채취하여 RNA와 단백질을 추출하여 RNA 발현 및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RNA 발현은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유전자발현이 감소하였는지 보기 위하여 반정량적 RT-PCR에 의존하여 발현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실험결과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RNA 발현양이 대조군인 동진벼 보다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고(도 16A), 효소활성은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의 효소활성이 대조품종 동진벼 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6B). 이 실험결과로 보아 벼 식물체의 항산화유전자가 염 스트레스 조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OsDhar 넉아웃 개체의 유효분얼수 측정은 2009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파종 이후부터 꾸준히 유효분얼수를 관찰한 결과 T-DNA 삽입 돌연변이 식물체가 대조군인 동진벼 보다 초기분얼수가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수시기가 동진벼보다 늦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들이 일반적인 논 조건에서 적응능력이 동진벼 보다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7).
대조품종 동진벼, #1-4(OsMdhar), #6-3(OsDhar) 및 #6-11(OsDhar)의 유효분얼수를 조사한 결과,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동진벼 보다 유효분얼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도 17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가 대조품종 동진벼 보다 출수 시기가 약 10-20일 정도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7B).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한 OsMdhar 넉다운 및 OsDhar 넉아웃 개체의 형태 조사는 2010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파종 이후부터 꾸준히 형질을 관찰한 결과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가 대조군(동진벼) 보다 초기생육상태와 후기생육상태가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로 보아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들이 일반적인 논 조건에서도 동진벼보다 성장률이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8). 대조군(동진벼), OsMdharOsDhar의 생육상태 조사에서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가 대조군인 동진벼 보다 생육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를 군위에 파종 후 기관별 특성조사는 2010년 6월에 경북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형질전환식물체 실험포장에 전개하였고, 2010년 10월 10경에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를 각각의 기관별로 나누어 특성을 조사한 결과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가 대조군(동진벼) 보다 기관별 특성이 빈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9). WT(동진벼), #1-4(OsMdhar), #6-3(OsDhar) 및 #6-11(OsDhar)을 각각의 기관별로 구분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WT(동진벼)와 비교하여 T-DNA 삽입 돌연변이 벼 식물체들이 기간별 특성이 매우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Use of mdhar gene from Oryza sativa as regulator of yield and environmental stresses <130> PN11140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70 <212> DNA <213> Oryza sativa <400> 1 cggacgcgtg gcccccaaat cttctccaag tccaatcgac ctcatttcat tcgattcatc 60 gatcgctcgg cgcggcttag ggtttttggc ggcagcgatg gcgtcggaga agcacttcaa 120 gtacgtcatc ctcggcggcg gcgtcgcagc gggatatgcg gcacgggagt tcgccaagca 180 gggtgttaag ccaggggagc tcgccatcat ctccaaggag gccgtggctc cttatgagcg 240 ccctgctctc agcaagggat acctctttcc tcagaatgct gcaagactcc caggatttca 300 tgtgtgtgtc ggcagtggag gagagaggct tttgcccgaa tggtactcag agaaaggcat 360 tgagttgatc ctgagcactg aaattgtcaa agctgatctt gcctccaaga ctttgactag 420 tgcagttgga gcaaccttta catatgagat tttgatcatt gcaactggct cctcagtcat 480 caagctatca gattttggta ctcaaggagc tgattccaac aacattttat atctaaggga 540 agtagatgat gctgacaagc tggttgcagc tatccaagca aagaagggtg gaaaggcagt 600 tattgtagga ggaggttaca ttggtctaga acttagtgct gcattgaaga tcaatgattt 660 tgatgtcacg atggtgtttc ctgaaccttg gtgcatgcct cgtctcttca ctgctgatat 720 cgcggctttc tatgagagtt actacactaa caaaggagtt aagatcgtga agggtacagt 780 agctgttggt tttgatgctg atgctaatgg tgatgtcaca gcagttaacc tgaagaatgg 840 cagtgtgctt gaagctgata ttgttggtgt tggtgttggg ggcagaccgc tgactactct 900 ctttaaaggt caagttgctg aggagaaagg tggaattaag accgatgctt tctttgaaac 960 aagtgttcct ggagtctatg ctgtcggtga tgtggccacc ttccccatga agatgtacaa 1020 tgagttgagg agagtggaac atgttgacca tgctaggaag tctgcagagc aggctgtaaa 1080 ggcaatcaag ggaaaagagt ccggcgagtc cgttgtggag tatgactatc tgccatactt 1140 ctactcccgg tcattcgacc tgggatggca attctacggc gacaacgttg gcgacaccat 1200 cctgttcgga gacagtgacc cgacctctgc caagcccaag ttcgggtcct actggatcaa 1260 ggacggcaag gtgttgggtg ccttcctgga gggtgggtca cctgatgaga acaaggccat 1320 tgccaaggtc gcgaaaactc agccgcccgt tgccaacata gaggagctca agaaggaagg 1380 cctccagttc gccagcaaaa tatgagattt ttgtagtttt gatgtacatt tccacatggt 1440 actcccccta ttggttttct gattgtgatg cgtctgtact ctgtactcct cttaaatatg 1500 ggtacttgct atagctgctg agatttgaat aaagaagttt tctactacaa aaaaaaaaaa 1560 aaaaaaaaaa 1570 <210> 2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aatcaagca ttctacttct attgcagc 28 <210> 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ttcagtgctc aggatcaact caatgcc 27

Claims (14)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벼 식물세포에 형질전환시켜 mdhar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삭제
  3.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벼 식물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벼 식물세포로부터 벼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확량이 증가된 벼 식물체의 제조 방법.
  4. 제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확량이 증가된 형질전환 벼 식물체.
  5. 제4항에 따른 벼 식물체의 종자.
  6.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Oryza sativa) 유래 mdhar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벼 식물체의 수확량 증가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85196A 2011-08-25 2011-08-25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KR10127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196A KR101273279B1 (ko) 2011-08-25 2011-08-25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196A KR101273279B1 (ko) 2011-08-25 2011-08-25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561A KR20130022561A (ko) 2013-03-07
KR101273279B1 true KR101273279B1 (ko) 2013-06-11

Family

ID=4817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196A KR101273279B1 (ko) 2011-08-25 2011-08-25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184B1 (ko) 2019-03-11 2020-06-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벼 유래의 ak102606 유전자의 항산화능, 환경 스트레스 및 수확량 조절자로서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257B1 (ko) 2017-10-20 2019-09-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벼 유래의 v p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KR102025255B1 (ko) 2017-10-20 2019-09-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추 유래의 gs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58A (ko) * 2002-03-22 2003-09-26 대한민국 (경상대학교 총장) aNDPK2 유전자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켜 스트레스저항성을 갖게 하는 방법 및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형질전환 식물체
KR20070111458A (ko) * 2005-01-27 2007-11-21 크롭디자인 엔.브이. 증가된 수확량을 갖는 식물 및 이의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58A (ko) * 2002-03-22 2003-09-26 대한민국 (경상대학교 총장) aNDPK2 유전자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켜 스트레스저항성을 갖게 하는 방법 및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형질전환 식물체
KR20070111458A (ko) * 2005-01-27 2007-11-21 크롭디자인 엔.브이. 증가된 수확량을 갖는 식물 및 이의 생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184B1 (ko) 2019-03-11 2020-06-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벼 유래의 ak102606 유전자의 항산화능, 환경 스트레스 및 수확량 조절자로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561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76423A2 (en) Genes and uses for plant improvement
US20130145493A1 (en)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Agronomic Traits
KR101295524B1 (ko) 벼 유래의 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US9150875B2 (en) OsMPT gene for modifying plant architecture and increasing yield, and uses thereof
JP2009540822A (ja) 植物の構造及び成長を調節するための植物クロマチンリモデリング遺伝子の使用
KR101273279B1 (ko) 벼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KR101855136B1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7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CN103172715A (zh) 植物表皮毛调控基因及其用途
KR101775789B1 (ko) 고추 유래의 건조 저항성 관련 단백질 maf1 및 이의 용도
CN111118042A (zh) 抗白粉病的葡萄钙依赖蛋白激酶基因VpCDPK9及其应用
CN109748960A (zh) 调控抗铝毒转录因子stop1蛋白的基因及其应用
US20140245493A1 (en) Use of plant-derived dhar or mdhar gene as a modulator for crop yield and environmental stress
JPH11504202A (ja) 植物における花の誘導の制御およびその使用法
KR101282977B1 (ko) 배추 유래의 mdhar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KR101855137B1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8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CN113481211A (zh) 果胶甲酯酶抑制因子基因GhPMEI39及其编码蛋白的应用
KR101902915B1 (ko) 수발아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벼 유래 OsPHS2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N115710588B (zh) 超量表达bna-miR166f在改良油菜收获指数等复杂数量性状中的应用
KR100588713B1 (ko) 열매 및 종자 발달 조절용 유전자
CN111944777B (zh) 一种抗逆性植物相关蛋白及其编码基因和应用
CN112501184B (zh) 大豆的GmMT1基因和含有GmMT1基因的载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25257B1 (ko) 벼 유래의 v p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CN117305266B (zh) 一种与水稻抗逆相关的基因OsBDG1及其编码蛋白的应用
KR20130095482A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3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1973551B1 (ko) 배추 유래 BrRH22 유전자를 이용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식물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