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789B1 - 차량용 드레인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드레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789B1
KR101272789B1 KR1020110048730A KR20110048730A KR101272789B1 KR 101272789 B1 KR101272789 B1 KR 101272789B1 KR 1020110048730 A KR1020110048730 A KR 1020110048730A KR 20110048730 A KR20110048730 A KR 20110048730A KR 101272789 B1 KR101272789 B1 KR 10127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aling member
valve seat
exhaust port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635A (ko
Inventor
이효재
신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스코
Priority to KR102011004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7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이나 유수분의 배출 통로가 실질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드레인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는,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일단을 조작 가능한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10)의 하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밀봉부재(300)와; 상기 밀봉부재(300)의 하반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시트돌기(440)가 형성되는 밸브시트(400)와; 상기 밸브시트(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200)가 유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500)과; 상기 바디(100)의 하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수단(5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00)와; 상기 레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10)의 상방을 차폐하는 먼지커버(7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한편, 이물질이나 유수분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드레인밸브{Drain valv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드레인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나 유수분의 배출 통로가 실질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드레인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드레인밸브는, 대형 차량에서 주로 사용하는 에어 브레이크시스템에 구비되는 에어탱크에 설치된다.
즉, 차량용 에어브레이크 시스템의 드레인밸브는, 차량의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발생된 에어(air)를 저장하는 에어탱크에 설치되어, 에어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컴프레서의 유분과 에어(air) 중의 수분 및 에어(air) 배관 내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존의 에어브레이크 시스템의 에어탱크에 사용되는 드레인밸브(Drain Valve)는, 특허출원 제1996-068003호 및 10-2004-0105675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브레이크 시스템의 드레인밸브는, 밸브시트와 바디 사이의 틈새가 좁아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배기구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에어(air)의 양은 레버의 작동각에 의해서 개방되는 밸브시트의 경사각에 의해 결정되고, 배출되는 에어(air)의 양과 이물질의 크기는 밸브시트와 바디의 틈새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이러한 드레인밸브는 차량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원에 의해서 배기구의 막힘이 발생하고, 밸브의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시트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밸브시트와 바디 사이의 틈새가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드레인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에는 고무 재질의 먼지커버가 더 구비되어,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드레인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일단을 조작 가능한 레버와; 상기 레버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의 하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의 하반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시트돌기가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유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바디의 하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레버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의 상방을 차폐하는 먼지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레버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밀봉부재의 하단을 감싸는 밑단과; 상기 밑단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밀봉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측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시트돌기는, 상기 측단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기구을 관통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먼지커버가 안착되도록 하는 커버홈과; 상기 중앙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재가 안착되는 부재안착홈과; 상기 중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며, 작동링이 걸어지는 링홀이 관통 형성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커버는, 플렉시블(flexible)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재의 상단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시트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밸브시트의 상단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돌기로 인하여 결국 밸브시트와 바디 사이의 틈새가 넓어지게 되므로, 밸브시트와 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배기 통로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에어탱크 내부의 유수분과 이물질의 급속배기가 가능하여 배기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기구의 상면을 차폐하는 먼지커버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브레이크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능력 및 브레이크의 제동 정밀성이 향상되므로, 결국 사용자와 승객의 안전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시트의 상세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에 먼지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상세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먼지커버의 상세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밀봉부재의 상세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단면도 그리고, 도 3에는 도 1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00)와, 사용자가 일단을 조작 가능한 레버(2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10)의 하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밀봉부재(300)와, 상기 밀봉부재(300)의 하반부를 감싸는 밸브시트(400)와, 상기 레버(200)가 유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500)과, 상기 복귀수단(5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10)의 상방을 차폐하는 먼지커버(7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하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1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의 수용공간(1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밀봉부재(300)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바디(100)의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배기구(11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110)는,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200)가 수용되는 홀(hole)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200)는, 상기 바디(100)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바디(100)에 형성되는 배기구(11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00)의 상단이 바디(100)의 상측으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레버(200)의 상단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밀봉부재(300)는, 상기 레버(200)의 하반부 외측에 장착되며,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밀봉부재(300)의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상단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밸브시트(400)는, 상기 밀봉부재(300)의 하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시트(40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시트돌기(440)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시트(400)의 하측에는 복귀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복귀수단(500)은, 상기 밸브시트(400)가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에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복귀수단(500)은, 상기 밸브시트(400)를 원상으로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레버(200)가 좌우로 유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복귀수단(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400)가 상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귀수단(500)을 이루는 압축스프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복귀수단(5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밸브시트(400)의 하단 외경이 작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압축스프링의 상단이 접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복귀수단(500)을 구성하는 압축스프링의 압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상기 밸브시트(4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귀수단(500)을 지지한다. 즉, 상기 복귀수단(500)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바디(100)의 하부로 복귀수단(5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연결이 끊어진 링(ring)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부재(600)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가지며, 이러한 힘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디(100)의 하단 내면에는 외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지지홈(130)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홈(130)에 상기 지지부재(60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먼지커버(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상면 중앙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레버(200)의 상반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100)의 배기구(110)를 상방을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에는 상기 밸브시트(4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400)는, 상기 밀봉부재(300)의 하단을 감싸는 밑단(410)과, 상기 밀봉부재(3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단(4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밸브시트(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하단에는 상기 레버(200)가 관통 가능한 장착홀(43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밑단(410)은, 상기 레버(200)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밑단(410)의 중앙부에 상기 장착홀(430)이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홀(43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200)의 걸림단(260)이 수용되어 끼워진다.
상기 측단(420)은, 상기 밑단(410)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측단(420)의 상면부에는 시트돌기(440)가 다수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단(42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시트돌기(440)가 전후좌우로 4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시트돌기(440)는, 상기 바디(100)의 내면과 밸브시트(400) 사이의 틈새를 증가시켜, 바디(100)와 밸브시트(4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측으로부터 이물질과 유수분이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상기 레버(200)와 먼지커버(70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00)는, 상기 배기구(110)을 관통하는 중앙부(210)와, 상기 중앙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먼지커버(700)가 안착되도록 하는 커버홈(220)과, 상기 밀봉부재(300)가 안착되는 부재안착홈(230)과, 상기 중앙부(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부(2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부(210)가 상기 바디(100)의 배기구(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중앙부(210)에는 커버홈(22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홈(220)은, 상기 중앙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부분이 함몰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홈(220)에 상기 먼지커버(700)가 안착된다.
상기 중앙부(210)의 하측에는 부재안착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부재안착홈(230)은, 상기 밀봉부재(30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중앙부(210)의 외경보다는 더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안착홈(230)의 상하에는, 부재안착홈(230)에 장착된 밀봉부재(30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턱(250)과 걸림단(26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60)은, 상기 레버(200)의 하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부재안착홈(23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재안착홈(230)에 장착된 밀봉부재(300)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턱(250)은, 상기 부재안착홈(23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부재안착홈(23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안착홈(230)에 장착된 밀봉부재(300)의 상방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중앙부(210)의 상측에는 작동부(240)가 형성되며, 이러한 작동부(240)는 상기 바디(100)의 외측(상방)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4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관통되게 링홀(270)이 형성된다. 이러한 링홀(270)은, 작동링(도시되지 않음)이 걸어져 사용자가 쉽게 상기 레버(20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먼지커버(700)는, 플렉시블(flexible)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먼지커버(7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먼지커버(700)는, 중앙부분의 중앙면(710)와, 상기 중앙부(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부(7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면(7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중앙면(710)에는 상기 레버(200)가 관통하는 커버홀(73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730)에는 상기 레버(200)의 커버홈(220)과 결합된다.
상기 테두리부(7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00)에 먼지커버(700)가 장착되면, 상기 테두리부(720)의 하단이 상기 바디(100)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밀봉부재(300)는, 상기 밸브시트(400)와 대응되는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400) 내부에 끼워진다.
상기 밀봉부재(300)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부재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부재홀(320)은 상기 레버(200)의 부재안착홈(230)에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밀봉부재(300)의 상단에는 경사면(3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밀봉부재(300)의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31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300)의 상단에 경사면(310)을 형성시키는 것은, 상기 밀봉부재(300)의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내부 상면에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밀봉부재(300)가 레버(200)에 의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밀봉부재(300)의 상단과 바디(10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이물질과 유수분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작용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실제 적용시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밸브가 차량에 거꾸로 설치되기도 하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및 도 8과 같이 정립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의 평상시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밀봉부재(300)의 경사면(310) 상단은 상기 바디(100)의 내부 상면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커버(700)는, 상기 배기구(110)를 덮어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과 유수분은 상기 밀봉부재(300)에 의해 차폐되어, 상방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10)의 상방은 상기 먼지커버(700)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바디(100)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드레인밸브는, 에어탱크(도시되지 않음)에 나사체결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의 상면은 차량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드레인밸브의 레버(200)의 링홀(270)에는 작동링(도시되지 않음)이 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운전자)는 작동링을 좌우로 당겨 상기 배기구(110)를통해 이물질이나 유수분이 유동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탱크의 내부에 수분이 많이 찬 경우, 작업자가 작동링을 잡고, 상기 레버(200)을 좌우로 유동시킨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00)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레버(200)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복귀수단(500)의 압축력(탄성)을 극복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300)의 좌측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소정 크기의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300)와 바디(10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 화살표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0) 하측의 이물질이나 유수분이 상기 배기구(11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먼지커버(7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먼지커버(700)를 밀어내면서 이물질이나 유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40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시트돌기(440)가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밸브시트(400)와 바디(100) 사이의 틈새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바디(100) 하측의 이물질이 크기에 관계없이 상측으로 용이하게 유동된다.
도 8과 같이 레버(2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레버(200)를 놓게 되면, 레버(200)는 상기 복귀수단(500)에 의해 원상으로 회복되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바디 200. 레버
220. 커버홈 230. 부재안착홈
300. 밀봉부재 400. 밸브시트
440. 시트돌기 500. 복귀수단
600. 지지부재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일단을 조작 가능한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10)의 하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밀봉부재(300)와;
    상기 밀봉부재(300)의 하반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시트돌기(440)가 형성되는 밸브시트(400)와;
    상기 밸브시트(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200)가 유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500)과;
    상기 바디(100)의 하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수단(5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00)와;
    상기 레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10)의 상방을 차폐하는 먼지커버(7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밸브시트(400)는,
    상기 레버(200)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밀봉부재(300)의 하단을 감싸는 밑단(410)과, 상기 밑단(410)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밀봉부재(3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단(420)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20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기구(110)을 관통하는 중앙부(210)와, 상기 중앙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먼지커버(700)가 안착되도록 하는 커버홈(220)과, 상기 밀봉부재(300)가 안착되는 부재안착홈(230)과, 상기 중앙부(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작동링이 걸어지는 링홀(270)이 관통 형성되는 작동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커버(700)는,
    플렉시블(flexible)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의 중앙면(710)와, 상기 중앙부(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부(7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720)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바디(100)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밀봉부재(300)는,
    상기 레버(200)의 하반부 외측에 장착되며,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상단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차폐하고, 상기 밸브시트(400)와 대응되는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400) 내부에 끼워지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310)이 형성되어 밀봉부재(300)가 레버(200)에 의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밀봉부재(300)의 상단과 바디(10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레인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돌기(440)는,
    상기 측단(42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좌우로 4개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내면과 밸브시트(400) 사이의 틈새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레인밸브.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48730A 2011-05-23 2011-05-23 차량용 드레인밸브 KR10127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30A KR101272789B1 (ko) 2011-05-23 2011-05-23 차량용 드레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30A KR101272789B1 (ko) 2011-05-23 2011-05-23 차량용 드레인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35A KR20120130635A (ko) 2012-12-03
KR101272789B1 true KR101272789B1 (ko) 2013-06-10

Family

ID=4751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730A KR101272789B1 (ko) 2011-05-23 2011-05-23 차량용 드레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7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9000U (ko) * 1987-12-23 1989-07-03
JP2006097843A (ja) * 2004-09-30 2006-04-13 Nabtesco Corp ドレンコック
KR20060066993A (ko) * 2004-12-14 2006-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어탱크용 드레인 밸브
KR20080082685A (ko) * 2006-01-17 2008-09-11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통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주입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9000U (ko) * 1987-12-23 1989-07-03
JP2006097843A (ja) * 2004-09-30 2006-04-13 Nabtesco Corp ドレンコック
KR20060066993A (ko) * 2004-12-14 2006-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어탱크용 드레인 밸브
KR20080082685A (ko) * 2006-01-17 2008-09-11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통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주입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35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606B2 (ja) ピストンポンプ
JP5582093B2 (ja) 車両側コネクタ
DE102012018023C5 (de) Staubdichtungsstruktur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US7303089B2 (en) Anti-siphon fuel cap and filler tube assembly
US20070284001A1 (en) Fuel cutoff valve
US10052946B2 (en) Closure device for controlling evaporative emissions from a fuel tank
KR20120076389A (ko) 연료탱크용 밸브 장치
KR101276870B1 (ko) 쇽업소버의 실린더 캡
JP6157376B2 (ja) 弁装置
US10279679B2 (en) Valve device
JP3109892U (ja) 膜片式排水口装置
EP1314896A2 (en) Reservoir having a ventilating structure
KR101272789B1 (ko) 차량용 드레인밸브
KR101891375B1 (ko) 연료 탱크용 커넥터
US20060185758A1 (en) Portable fuel tank
JP4824626B2 (ja) 作動油タンクの給油口構造
CN108131450B (zh) 排放塞组件
KR101300925B1 (ko) 소음 방지타입 연료탱크 벤트 밸브
JP2005531453A (ja) 液圧流体タンク
JP5801086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US11176921B2 (en) Silencer for clutch air booster
CA2582631A1 (en) Tank vent pallet
KR101347704B1 (ko)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JP2013036504A (ja) 空気弁
KR20160074219A (ko)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그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쇽업소버, 및 그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