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993B1 -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993B1
KR101271993B1 KR1020120109412A KR20120109412A KR101271993B1 KR 101271993 B1 KR101271993 B1 KR 101271993B1 KR 1020120109412 A KR1020120109412 A KR 1020120109412A KR 20120109412 A KR20120109412 A KR 20120109412A KR 101271993 B1 KR101271993 B1 KR 10127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 signal
equipment
abnormal
industrial plan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철
권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네트
Priority to KR102012010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07Push on flashing alarm indicator, corresponding window pops up on whole scree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72Detect faulty circuit, display on screen and replace 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04Operator can select a graphical screen at his will as help diagno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설비, 장치, 기기들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하여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받은 상기 운전 상태 정보에서 이상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상신호 발생 시 운전값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시켜 모니터 상에 플랜트 설비계통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운전계통 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하여 이상신호 발생 원인을 제공하는 기기를 찾아내는 설비계통도의 이상 기기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산업 플랜트 설비의 이상신호 분석을 위해 플랜트 설비의 계통도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킴과 동시에 이상영역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하여 상황분석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설비계통에서 이상발생 원인과 그 파급영향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A method for displaying abnormal status in plant opera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한 기기의 색출과 고장결과로 나타나는 파급영향 분석 및 그 표시(display)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에 설치된 검출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기기를 찾아내고 고장발생 결과로 나타나는 파급영향을 분석하여 플랜트 설비 계통도(P&ID, Piping & Instrument Drawing)에 표시함으로서 플랜트 운전상황과 고장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고장의 진행과 확대를 억제할 수 있는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한 기기의 색출과 고장 결과로 나타나는 파급영향 분석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플랜트는 다양한 공정계통(급수, 공기, 증기, 윤활 등)으로 구성되고 각 계통은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면 여러 계통으로 전달되어 프로세스 변화로 나타나며 적절한 시정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상상태가 증폭되어 중대한 고장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운전 상태를 효율적으로 감시제어하기 위하여 플랜트 공정 계통과 설비에는 계측기(온도계, 압력계 등)를 설치하고 관리자들이 순시하며 프로세스 운전값을 확인하고 이상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지만 시간적, 공간적 한계로 효율적인 관리를 기대하기 어렵다.
계측제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계측기는 계측센서로 대체되고 인력감시대신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감시로 바뀌어 상황파악 소요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개선효과가 있었으나, 수 만개의 계측장치가 설치된 대형 플랜트의 공정계통에 나타난 변화를 일일이 확인하여 이상여부를 알아내고 그 변화들을 종합 분석하여 어느 기기가 고장원인을 제공하였는지를 밝혀내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대형 플랜트를 보유한 경영자들은 자동화된 첨단 감시장치와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분석능력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미세한 이상 징후의 발견, 고장상황의 종합적 판단 등은 컴퓨터보다 전문 인력에 의존하고 있다.
산업플랜트에서 이상신호 발생 시 전문가들은 플랜트 설비 계통도(P&ID)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이상신호 발생 원인을 규명하지만, 플랜트 설비 특성상 수 만개의 운전신호를 관찰하고 그 신호들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이상상황과 고장발생 기기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렵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높은 압력과 온도 그리고 고전압을 사용하는 산업플랜트 설비는 고장발생 확률이 높고 시정조치가 지연되면 대형사고로 진행하여 대규모 매출손실과 정비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상신호 발생 시 고장발생 기기의 색출과 이로 인한 계통 파급영향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적절한 시정조치를 취함으로서 플랜트 운전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 시스템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KR 10-1999-006337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에서 이상신호 발생 시 고장이 발생한 기기를 색출하고 고장발생에 따른 계통 파급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플랜트 설비 계통도(P&ID)에 표시(display)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관련기능을 시스템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 상태가 정상을 유지하는지 감시하고 운전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플랜트 설비 계통도(P&ID)에 그 구간을 다양한 방법(색상차, 굵기 등)으로 표시하여 프로세스 이상구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이상구간이 표시된 계통도를 이용하여 관련성이 있는 구성들끼리 그룹(Group)화하고 해당 그룹 내에서 프로세스 매체 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하여 이상신호 발생 시작점과 고장발생 기기를 색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공정구성이 복잡한 플랜트에서 이상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시정조치를 취하여 고장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설비, 장치, 기기들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하여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받은 상기 운전 상태 정보에서 이상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상신호 발생 시 운전 상태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변동 유발 구성(ex. 설비, 장치, 기기)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시켜 모니터 상에 플랜트 설비계통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고장발생 유발기기를 색출하기 위해 운전계통 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하여 이상신호 발생 원인을 제공하는 기기를 찾아내고, 설비계통도의 이상 기기를 표시하는 이상 기기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계통도를 표시하는 단계는, 산업플랜트 계통흐름의 순환 구간에 해당하며 프로세스 값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한 구간(등치구간 : ex. 등온구간, 등압구간)에 대해서 상기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하면서 상기 구성들이 연결되어지는 구간을 하나의 그룹으로 결성하여 그룹화 하되, 상기 하나의 그룹내에서 운전 상태 정보가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그룹내에 포함된 변동 유발 구성(ex. 설비, 장치, 기기)을 고장발생 기기로 색출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한 구간인 하나의 그룹에는 상기 하나의 그룹내의 구성들의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함으로 인해 상기 구성들의 운전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감지수단은 하나의 감지수단만을 설치하고, 상기 이상 기기 표시단계는 그룹화된 구성들에 대해 모니터 상에서 관리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출력하되, 모니터상에 색상차를 이용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 상태 정보는,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 기기, 설비에 대한 온도정보, 압력정보, 유량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신호는,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의 운전 상태 정보가 정상운전 범위를 벗어난 거승로서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는 신호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에서 이상신호 발생 시 고장이 발생한 기기를 색출하고 고장발생에 따른 계통 파급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플랜트 설비 계통도(P&ID)에 표시(display)함으로서 운전상황을 손쉽게 파악하고 감시 능률을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구역별, 기기별, 구성별 등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는 플랜트 설비 운전에 있어서, 이상신호 발생 시 공정계통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여 분석구간을 설정하고 이상원인 제공 시작점과 파급영향을 플랜트 설비 계통도(P&ID)형태로 표시(display)하여 플랜트 계통 운전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해당위치에서 계통흐름의 역방향과 순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하여 고장발생 기기 색출과 파급영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이상신호 구간 확인과 고장발생 기기 색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서, 감시 사각지대를 제거하고 관리자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키며 고장의 조기발견에 따라 조치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고장의 진전과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처리 및 출력표시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산업플랜트 설비의 일예로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 구성의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 나타낸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 구성에서 운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구간을 구획하여 도시한 도면,
도4는 도2에 나타낸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 구성에서 냉각수 온도 변동을 유발하는 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 구성에서 감시계통 그룹화를 위하여 냉각수 온도 및 압력 변동요인과 파급영향 구간을 구획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따른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의 등온구간 그룹화 결과를 설비계통도에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에 따른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에 등온구간 설정을 기준하여 온도센서 설치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결과를 플랜트 설비 계통도(그래픽 P&ID)에 디스플레이 한 것으로 고장발생 기기와 계통 파급영향을 도시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산업 플랜트 설비 계통도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는 도1에 도시한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는데,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 기기, 설비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들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하여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받은 상기 운전 상태 정보에서 이상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상신호가 발생한 계통 구성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 시키는 단계, 그룹화 된 구간에 이상신호 발생을 표시하는 단계, 계통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하여 고장발생 기기를 색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처리결과를 설비계통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운전 상태를 제공받는 시스템은 플랜트 운전감시를 위해 기 구축된 시스템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으며, 이상신호는 정상운전 범위를 벗어나는 신호를 의미하며 특정 수단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시를 위하여 도2에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의 설비 계통도(P&ID)를 나타내었는데, 냉각수펌프에서 공급된 냉각수는 열교환기(100)를 거쳐 냉각되고 온도조절밸브(110)를 통하여 일정온도로 조절되며 유량조절밸브와 필터를 거쳐 발전기 권선으로 공급된다. 발전기 권선(120)을 경유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는 전술한 공정을 순환하며 냉각시스템을 안정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을 물리적으로 구획하면 도3과 같이 9개 감시구간으로 표시되며 운전 상태 감시를 위하여 각 구간에 온도, 압력, 유량 등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센서를 설치하고 이상신호 발생여부를 감시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플랜트는 각 구간마다 계측기를 설치하고 인력을 이용하여 기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운전 상태를 감시하는 경우는 프로세스 값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구간(등치구간 : 등온구간, 등압구간 등)은 하나의 구간으로 간주하여 한 개의 계측센서 만을 설치하여 신호를 감시하고 이상상태의 표시도 하나의 구간으로 표시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온도감시의 경우를 예로 하여 등온구간을 구획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비계통에 포함된 기기 중 설비계통에 온도변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기를 찾아내어야 하는데, 도4에 도시한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의 경우 열교환기(100), 온도조절밸브(110), 발전기권선(120) 등이 온도변동 유발기기가 된다.
온도변동 유발 기기가 각 감시구간에 미치는 온도영향과 등온구간 구분방법은 도5,6에 나타내었으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분석해보면, 온도변동 유발기기인 열교환기(100)의 출구 배관(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1
)은 등온구간1(200)이 되고, 온도변동 유발기기인 온도조절밸브의 출구 배관(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2
)부터 유량조절밸브와 필터를 거친 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3
, 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4
는 모두 등온구간2(210)에 해당한다.
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5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6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7
에 설치된 유량조절밸브나 필터는 온도변동 유발 능력이 없기 때문에 하나의 등온구간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다음 온도변동 유발기기는 발전기 권선이 되며 발전기 권선을 통과한 냉각수는 냉각수 저장조와 냉각수 펌프를 거쳐 다시 열교환기로 유입되는데 여기서 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8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09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0
에는 온도변동 유발기기가 없어 모두 등온구간3(220)에 속하게 된다.
등온구간4,5(230, 240)은 열교환기 냉각용 외부냉각수가 공급되는 배관이며 또 다른 냉각시스템으로 연결된다.
도7은 도6에 따른 발전기 권선 냉각시스템에 온도센서를 설치한 도면이며 등온구간에는 1개의 온도센서 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감시구간은 9개이지만 등온구간은 5개가 되어 온도센서(T1 ~ T5 ; 300 ~ 340) 설치물량은 40%가 감소한다.
도4, 5, 6 과정을 통하여 구획된 등온구간은 이상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검출센서를 설치함에 있어서, 동일한 운전 상태 정보를 갖는 구간에 대해서는 하나의 검출센서 만을 설치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설계를 제안하며 이는 본 발명의 계통 그룹화를 위한 중요한 인자에 해당한다.
압력정보나 유량정보 등 또 다른 운전 상태정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압력정보나 유량정보를 변동시킬 수 있는 기기를 고려하여 등압구간, 등류구간 을 설정한다. 도5,6에서 보면 압력변동 유발기기는 열교환기, 유량조절밸브, 필터, 권선배관, 냉각수 펌프가 해당되기 때문에 등압구간은 7개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 한 개씩의 검출센서를 설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트 설비의 운전 상태 정보 조건을 고려하여 검출센서를 설치하고 감시구간을 그룹화한 후 이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은 시스템은 입력된 신호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임의의 위치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계통도(P&ID) 상의 감시구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데 이때 시스템은 이미 설정된 등온구간을 참고하여 소속된 모든 감시구간에 이상발생을 표시하게 된다.
예로, 열교환기 고장으로 T1(300)의 온도가 상승했으나 온도조절밸브가 작동하여 T2(310)의 온도는 정상으로 유지될 경우, 시스템은 등온구간 테이블을 확인하여 T1이 등온구간1(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1
포함)에 속하였음을 확인하고 감시 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2
의 이상상황을 설비계통도(P&ID)에 표시한다.
다음 단계로 시스템은 고장기기 색출단계로 진행하는데, 등온구간1의 온도변동 유발기기는 열교환기이기 때문에 1차적으로 고장발생 기기는 열교환기 임을 추정하고, 또 다른 고장기기 추적을 위하여 계통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한다.
열교환기의 전 단계인 발전기 권선 출구 온도(T3 ; 320)와 외부냉각수 입구온도(T4 ; 330) 확인 결과 이상신호 발생이 없기 때문에 고장발생 기기는 열교환기로 결정하여 설비계통도(P&ID)상에 고장발생 기기로 표시한다.
따라서, 설비계통도(P&ID)에는 열교환기가 고장발생 기기로 표시되고 파급영향은 등온구간1(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3
)에 표시되는데, 출력방법은 그래픽 기능을 이용하여 색상을 달리하는 형태로 출력하거나, 깜빡임, 계통 라인의 형태(두께, 점선 등)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도조절밸브 고장이 발생하면 온도조절밸브 출구온도(T2)와 발전기 권선 출구온도(T3 ; 320)가 상승하여 이상신호가 발생하는데, 시스템은 등온구간 테이블에서 T2(310)가 등온구간2(210)에 속하고 T3이 등온구간3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등온구간2(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4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5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6
)와 등온구간3(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7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8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19
)에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설비계통도(P&ID)에 표시한다.
다음 단계로 시스템은 고장기기 색출단계로 진행하는데, 등온구간3의 온도변동 유발기기는 발전기 권선이기 때문에 1차적으로 고장발생 기기는 발전기 권선임을 추정하고, 또 다른 고장기기 추적을 위하여 계통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한다.
발전기 권선의 전 단계인 등온구간2(210)에서 T2 역시 온도가 상승하여 이상신호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은 T2의 온도변동 유발기기인 온도조절밸브를 고장발생 기기로 추정하고, 또 다른 고장발생 기기 검색을 위하여 전 단계인 등온구간1의 온도변동을 확인하는데 이 구간에서는 이상신호 발생이 없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고장발생 기기는 온도조절밸브로 결정하여 설비계통도(P&ID) 상에 고장발생 기기로 표시한다.
따라서, 설비계통도(P&ID)에는 온도조절밸브가 고장발생 기기로 표시되고 파급영향은 등온구간2(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20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21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22
)과 등온구간3(감시구간
Figure 112012079805028-pat00023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24
,
Figure 112012079805028-pat00025
)에 표시되는데, 출력방법은 그래픽 기능을 사용하여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거나, 깜빡임, 계통 라인의 형태(두께, 점선 등)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결과를 플랜트 설비 계통도(그래픽 P&ID)에 디스플레이 한 것으로 고장발생 기기와 계통 파급영향을 도시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산업 플랜트 설비 계통도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방법으로는 계통 라인의 점선 표시 또는 기기와 온도센서, 계통 라인을 모두 점선으로 표시하거나, 다르게는 온도센서만을 점선으로 표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비 계통도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신호 분석 방법에서 플랜트 설비의 계통별 그룹화 중 온도신호로 그룹화된 형태와 압력신호로 그룹화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등압구간에 따른 그룹화에서도 이상신호를 처리하고 고장발생 기기를 색출하는 방법은 앞서 언급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논리적으로 상관관계를 가지는 플랜트 설비의 그룹화를 통해 관리자들이 용이하게 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플랜트 운전감시, 고장원인 분석, 파급영향 분석 등의 상황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열교환기
110 : 온도조절밸브
120 : 발전기 권선
200 ~ 240 : 등온구간 1 ~ 5
300 ~ 340 : 온도센서 1 ~ 5

Claims (3)

  1.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설비, 장치, 기기들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하여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받은 상기 운전 상태 정보에서 이상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상신호 발생 시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설비, 장치, 기기들 중에서 이상신호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설비에 해당하는 변동 유발 구성들을 그룹화시켜 설비 감시를 위한 모니터 상에 플랜트 설비계통도를 그룹화로 표시하는 단계; 및
    이상신호 발생 기기를 색출하기 위해 운전계통 흐름의 역방향으로 이상신호를 추적하여 이상신호 발생 원인을 제공하는 변동 유발 구성을 찾아내고, 설비계통도의 이상 기기를 표시하는 이상 기기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계통도를 표시하는 단계는,
    산업플랜트 설비 계통흐름의 순환 구간에 해당하며 그룹화 된 산업플랜트 설비의 프로세스 값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한 구간인 등온구간이나 등압구간에 대해서 상기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한 구간 내에 배치된 구성을 연결하여 그룹으로 결성해 그룹화 하되, 상기 그룹 내에서 운전 상태 정보가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그룹 내에 포함된 변동 유발 구성을 고장발생 기기로 색출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한 구간인 하나의 그룹에는 상기 하나의 그룹 내의 구성들의 운전 상태 정보가 동일함으로 인해 상기 구성들의 운전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감지수단은 하나의 감지수단만을 설치하고,
    상기 이상 기기 표시단계는 그룹화된 구성들에 대해 모니터 상에서 관리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출력하되, 모니터상에 색상차를 이용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상태 정보는,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 기기, 설비에 대한 온도정보, 압력정보, 유량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신호는,
    상기 산업플랜트 설비의 운전 상태 정보가 정상운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써,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는 신호에 해당하는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20109412A 2012-09-28 2012-09-28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27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12A KR101271993B1 (ko) 2012-09-28 2012-09-28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12A KR101271993B1 (ko) 2012-09-28 2012-09-28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483 Division 2011-12-15 2011-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993B1 true KR101271993B1 (ko) 2013-06-05

Family

ID=4886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412A KR101271993B1 (ko) 2012-09-28 2012-09-28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9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370A (ko) * 1997-12-24 1999-07-26 앙드레 샤방 산업 설비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0214924A (ja) * 1999-01-27 2000-08-04 Toshiba Corp プラント異常監視装置および異常発生箇所同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370A (ko) * 1997-12-24 1999-07-26 앙드레 샤방 산업 설비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0214924A (ja) * 1999-01-27 2000-08-04 Toshiba Corp プラント異常監視装置および異常発生箇所同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09851A (ja) 診断装置、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82817B2 (ja) プラント監視支援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支援方法
JP6781594B2 (ja) プラント監視装置及びプラント監視方法
EP3153773B1 (en)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WO2014091952A1 (ja) センサ監視装置、センサ監視方法、及びセンサ監視プログラム
JP6523815B2 (ja) プラント診断装置及びプラント診断方法
JP5621967B2 (ja) 異常データ分析システム
KR20210010194A (ko) 딥러닝 기반의 화력 발전소 재과열기 튜브의 누설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351309B1 (ko) 패턴인식 기술을 이용한 제어설비 고장진단 시스템 및 고장진단 방법
US9298182B2 (en) Method of displaying abnormal status in plant operation monitoring system
US11914356B2 (en) Integrity index detecting method for device by means of control output signal
KR101140698B1 (ko) 잠재적 발전정지유발기기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60012A (ja) プラント監視装置およびプラント監視方法
KR20130035554A (ko) 발전 설비의 성능 저하 원인 도출 방법 및 장치
JP6640348B2 (ja) データ解析システム
US20160195872A1 (en) System for Assisting Operation at the Time of Plant Accident and Method for Assisting Operation at the Time of Plant Accident
KR101271993B1 (ko) 산업플랜트 설비 감시를 위한 이상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218812B1 (ko) 주제어설비 접지레벨 감시장치
KR20210000546A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JP6734362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プログラム
KR101263467B1 (ko) 발전소 제어설비 노이즈 감시장치
US20220113715A1 (en) Predictive maintenance method for device by means of control output signal
JP2008140109A (ja) プロセス操作支援装置およびプロセス操作支援方法
JP6737311B2 (ja) 検証プログラム、記録媒体、検証装置、検証方法
Suzuki et al. An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advanced maintenance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