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942B1 -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942B1
KR101271942B1 KR1020110061440A KR20110061440A KR101271942B1 KR 101271942 B1 KR101271942 B1 KR 101271942B1 KR 1020110061440 A KR1020110061440 A KR 1020110061440A KR 20110061440 A KR20110061440 A KR 20110061440A KR 101271942 B1 KR101271942 B1 KR 10127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olar cell
door
sliding door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17A (ko
Inventor
차광석
조보람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9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은 도어창과, 도어창을 지지하는 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들,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미닫이 도어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각 도어창들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및 미닫이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고, 각 미닫이 도어의 연결단자는 인접하는 미닫이 도어의 연결단자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개폐 시에도 태양전지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직렬연결구조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실용적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Sliding door assembly having solar cell}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광기전력 소자로써,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전달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청정에너지원으로 꾸준한 연구와 더불어, 이러한 태양전지에 대한 다양한 활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상기한 태양전지의 활용에 있어서, 가정에서 도어창에 상기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가정에서 가장 채광이 좋고 채광면적이 넓은 베란다창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베란다창은 대부분이 개폐 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수시로 변동하는 미닫이 도어구조이기 때문에, 상기한 미닫이 도어구조에 태양전지를 적용하기에는 각 미닫이 도어들에 구비되는 태양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가 구비된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개폐 시에도 상기 태양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은 도어창과, 상기 도어창을 지지하는 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들,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각 도어창들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및 상기 미닫이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미닫이 도어의 연결단자는 인접하는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개폐 시에도 태양전지의 전기적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직렬연결구조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실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Ⅲ-Ⅲ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연결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가변전기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접속레일을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서 컨트롤러를 비롯한 단락신호검출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100a,100b)들과, 프레임(200)과, 태양전지(300a,300b)들과, 연결단자(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은, 각각은 도어창(110a,110b)과, 상기 도어창(110a,110b)을 지지하는 창틀(120a,120b)을 포함하며,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창틀(120a,120b)은 상기 도어창(110a,110b)의 테두리 또는 상기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상기 도어창(110a,110b)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은, 상기 각 도어창(110a,110b)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유리(10)와 유리(10)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지의 광투과성 박막형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A-Si; Amorphous Silicon Cells;300a,300b)로서,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도어창(110a,110b) 하나에 대하여 하나의 셀(cell)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상기 도어창(110a,110b)에 형성될 수 있는 박막형구조와 광투과성구조를 가지고 있는 태양전지라면 모두 가능하고, 하나의 셀이 아닌 복수개의 셀이 연결되어 전체적인 셀구조가 일측이 양극(+)이고 타측이 음극(-)의 구조를 띄는 구조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상기 도어창(110a,110b)에 대하여 일측이 양극(+)이고, 타측이 음극(-)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회로 및 구조가 간단하여, 미닫이 도어구조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며 실용적이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각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상기 각 태양전지(300a,3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서로 대면하는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접촉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창틀(120a,120b)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창틀(120a,120b)의 구조 및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이동경로 등을 고려하여 상기 창틀(120a,120b)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레일단자(410)와, 접속단자(4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단자(410)는 상기 창틀(120a,120b)의 하측 또는 상측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따라 레일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420)는, 상기 레일단자(410)와 대면하는 창틀(120a,120b)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단자(410)와 접촉하면서 상기 레일단자(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창틀(120a,120b)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레일홈(411)과 단자홈(421,422)에 구비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의 개폐 동작 시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레일단자(410)는 상기 창틀(120b)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레일홈(41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일홈(411)은 상기 레일단자(410)의 내측부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단자(410)의 형상 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접속단자(420)는 상기 레일홈(411)과 대면하는 상기 창틀(120a)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단자홈(421,422)에 배치되되, 상기 창틀(120a,120b)에 자유회동하면서 상기 레일단자(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420)는, 상기 단자홈(421)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상기 레일단자(410)와의 마찰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롤러(도 5참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일단자(410)와는 선 또는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동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단자(420b)는 단자홈(422)에 끼워진 구형상으로, 상기 레일단자(410)와 점접촉을 이루면서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단자홈(422)은, 구형상의 상기 접촉단자(420b)의 형상에 대응하고 상기 접촉단자(420b)가 빠지지 않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단자(4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한 원통형의 롤러와, 구형상의 단자를 예로 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접속단자(420,420b)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상기 레일단자(410)와 상기 접속단자(420)가 구비되는 상기 창틀(120a,120b) 사이 즉, 상기 레일홈(411)과 상기 단자홈(421,422)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단자(410)와 상기 접속단자(420) 서로가 탄력적으로 밀착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스프링(430)은 일단이 상기 레일홈(411) 또는 상기 단자홈(421,422)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420,420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공지의 탄력지지스프링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스프링(430)을 상기 접속단자(420,420b)와 상기 레일단자(410) 모두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일단자(410)와 상기 접속단자(4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만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도어창(110a,110b)의 양끝단의 위치가 상기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양단자의 위치도 바뀌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는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각 태양전지(300a,300b) 모두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위치가 이동을 하더라도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 간의 전기적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측 또는 하측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슬라이딩 이동 시에도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 전체가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는, 단부가 상기 태양전지(300a,300b)와 연결되는 전선부(510)와, 스프링(430)과 같은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전선부(510)가 길게 노출된 상태에서도 쳐지지 않고 일정 텐션을 갖고 있도록 하고, 다시 복귀할 때 상기 전선부(510)를 탄력 있게 권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권취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부(510)는 단부에 상기 태양전지(300a,300b)와 연결되는 단자(5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부(510)는 상기 단자(530) 외에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단자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의 구조는 청소기의 전선코드와 같이 탄력적인 권취릴선의 구조와 유사하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그 단자(310;도 2참조)가 상기 전선부(510)의 연결단자(400)와 대응되는 단자형태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전선부(510)가 상기 프레임(200) 내에서 그 길이가 가변될 때 엉키지 않도록, 상기 전선부(5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20;도 4참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가이드홈(220) 외에 가이드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전선부(510)가 안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홈(220)과 가이드돌출부 외 상기 프레임(200)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부가 엉키지 않게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가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의 고장 시 수리 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에 개폐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1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개구할 수 있는 구조이며, 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시 폐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도어방식 또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방식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과 상기 프레임(200)의 구성은 공지의 미닫이구조의 도어와 프레임(2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슬라이딩 이동에도 상기 전체 태양전지(300a,300b)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 외에 접속레일(600a,600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은,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20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400)와 접촉하여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의 구성은 상기 연결단자(400)의 레일단자(410)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의 작동을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 간의 단락정도를 미리 파악하기 위한 단락신호검출부(7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단락신호검출부(730)는, 단락신호부(710)와, 디스플레이부(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신호부(710)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단락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연결단자(400) 또는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 또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락이 의심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20)는, 상기 단락신호부(710)로부터 단락위치 및 단락유무와 같은 단락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락정보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화면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단락신호검출부(730)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과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700)와 연결되어, 상기 단락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컨트롤러(700)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저장충전하고, 전체적인 태양전지(300a,300b)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들이 일반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연속적으로 가동되는 구조를 예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 외 본 실시예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상기 미닫이 도어(100a,100b)의 특정한 위치, 예를 들어 상기 미닫이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적 연결이 온(on)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미닫이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할때는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적 연결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특정부분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가동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100b... 미닫이 도어 110a,110b... 도어창
120a,120b... 창틀 200... 프레임
300a,300b... 태양전지 400... 연결단자
410... 레일단자 420,420b... 접속단자
430... 지지스프링 500a,500b... 가변전기 연결부
600a,600b... 접속레일 700... 컨트롤러
710... 단락신호부 720... 디스플레이부
730... 단락신호검출부 900... 미닫이 도어 조립체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각각은 도어창과, 상기 도어창을 지지하는 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들;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각 도어창들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및
    상기 미닫이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미닫이 도어의 연결단자는 인접하는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단자들은,
    상기 창틀의 하측 또는 상측 측면에 대하여 상기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따라 구비된 레일단자인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들은,
    상기 레일단자와 대면하는 상기 창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단자와 접촉하면서 상기 레일단자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단자는, 상기 창틀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레일홈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레일홈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단자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창틀에 자유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인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단자 또는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레일단자와 상기 접속단자 서로가 탄력적으로 밀착 접촉되도록,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도어창의 일측이 양(+)극이고, 상기 도어창의 타측이 음(-)극으로 되어 있어, 상기 미닫이 도어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9. 각각은 도어창과, 상기 도어창을 지지하는 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들;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각 도어창들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상기 미닫이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
    상기 태양전지의 단락정보를 송신하는 단락신호부; 및
    상기 단락신호부로부터 상기 단락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락정보를 외부로 알리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락신호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미닫이 도어의 연결단자는 인접하는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0. 각각은 도어창과, 상기 도어창을 지지하는 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들;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각 도어창들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상기 미닫이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 및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가변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는,
    단부가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를 탄력있게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2. 각각은 도어창과, 상기 도어창을 지지하는 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들;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각 도어창들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상기 미닫이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 및
    상기 미닫이 도어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태양전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레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20110061440A 2011-06-24 2011-06-24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27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40A KR101271942B1 (ko) 2011-06-24 2011-06-24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40A KR101271942B1 (ko) 2011-06-24 2011-06-24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17A KR20130006817A (ko) 2013-01-18
KR101271942B1 true KR101271942B1 (ko) 2013-06-07

Family

ID=4783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40A KR101271942B1 (ko) 2011-06-24 2011-06-24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72B1 (ko) * 2013-03-11 2013-10-17 전종윤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KR101495310B1 (ko) * 2013-03-13 2015-02-27 은성이엔지(주)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690678B1 (ko) * 2015-10-07 2016-12-28 문여진 태양광 발전 창호
KR102252912B1 (ko) * 2015-12-11 202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측 전극 및 이를 적용한 반투명 솔라루프 시스템
KR102440687B1 (ko) 2017-10-13 2022-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광 발전형 슬라이딩 창호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1179A (ja) * 1996-01-29 1997-10-14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装置
JP2004360421A (ja) 2003-05-30 2004-12-24 Shirouma Science Co Ltd 太陽電池を備えた引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1179A (ja) * 1996-01-29 1997-10-14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装置
JP2004360421A (ja) 2003-05-30 2004-12-24 Shirouma Science Co Ltd 太陽電池を備えた引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17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942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2440687B1 (ko) 태양광 발전형 슬라이딩 창호 조립체
KR101575498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포트 도어 개폐장치
AU2012223713B2 (en) Battery holder apparatus and method
KR102233075B1 (ko)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101315272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KR101495310B1 (ko)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20130102287A (ko) 태양광발전 미닫이 창호
KR101180122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미닫이 도어 조립체
US20200181974A1 (en) Sunshade system for indoor brightness and temperature control
KR101325837B1 (ko)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FR3081492B1 (fr) Dispositif d'occultation pour une installation domotique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d'un batiment et installation domotique associee
KR101333890B1 (ko)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316232B1 (ko) 시스템 창호
KR20170141955A (ko) 방충망이 구비된 태양광 블라인드
KR101123661B1 (ko) 버티컬 블라인드
KR20050113678A (ko) 마그네틱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슬라이드방식의 윈도우 블라인딩 시스템
KR200473344Y1 (ko) 태양광 발전기능이 구비된 창문
KR20060109180A (ko) 브라인드 조립체를 채용한 단열창문
CN109067343B (zh) 发电储能系统及储能管理系统
KR20180059258A (ko) 스마트 창호 시스템
CN210181284U (zh) 一种日盲紫外光学镜头
US11598147B2 (en) Roller blind shaft
KR20210145446A (ko) 도어장치
KR20190014674A (ko) 롤링타입 광선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