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446A -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446A
KR20210145446A KR1020200062347A KR20200062347A KR20210145446A KR 20210145446 A KR20210145446 A KR 20210145446A KR 1020200062347 A KR1020200062347 A KR 1020200062347A KR 20200062347 A KR20200062347 A KR 20200062347A KR 20210145446 A KR20210145446 A KR 2021014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frame
connecto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진
김현철
박병훈
박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446A/ko
Publication of KR2021014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와, 도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도어부에 설치되는 전자기기와, 프레임부와 마주하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로 전원을 전달하는 제1연결부 및 제1연결부와 마주하는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도어부의 이동에 의해 제1연결부에 접촉되고 제1연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장치{DOOR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장치는 현관도어나 중문 등을 포함한다. 현관도어를 통해 집이나 건물을 드나들 수 있으며, 중문을 통해 현관도어에서 거실을 드나들 수 있다. 이외에도 도어장치는 건물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다.
도어장치에 속하는 중문은 외부와 접하는 현관문과 실내 공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문이다.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는 중문이 설치되며, 이러한 중문은 추운 겨울에 거실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여름에는 외부의 더운 공기가 거실로 이동됨을 차단한다.
중문은 미닫이 방식과 폴딩 방식과 회전 방식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중문이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두 개 또는 세 개의 슬라이딩 도어가 서로 겹쳐지거나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종래의 중문은 현관문을 열고 들어와서 거실로 이동하기 전에 설치된 문으로 서의 기능만 하며, 별도의 정보 전달을 위한 장치가 중문에 구비되지 못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1466호(2019.05.15 공개, 발명의 명칭: 미닫이형 프레임리스 중문)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전달을 위한 전자기기가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형 도어장치는, 도어부에 전자기기가 설치되므로 도어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와 프레임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설치되므로 전자기기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도어부와 프레임부에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설치되므로 도어부가 닫힌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이루질 수 있다.
또한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에 전자기기를 포함한 도어부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다양한 방식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설치 및 전원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와 마이크부와 카메라부와 측정부와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므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연결부의 제2연결구는 제1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2연결구가 제1연결부와 떨어진 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가 제2연결구를 탄성 지지하므로 제2연결구의 이동에 의한 충격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는, 도어부에 정보 전달을 위한 전자기기가 설치되므로, 도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와 함께 이동하는 제1연결부가 프레임부에 고정된 제2연결부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전자기기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연결구가 전원공급부와 이격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사용자가 제2연결구에 접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전자기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에 전자기기를 포함한 도어부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므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다양한 방식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설치 및 전원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품을 공용화 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가 제2연결구를 탄성 지지하므로 제2연결구의 이동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켜 제2연결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가 제2연결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는, 도어부(10)와 프레임부(30)와 전자기기(50)와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장치(1)는 도어와 중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가 설치된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나 주택과 같은 건축물에는 현관도어(100)가 설치되어 출입문의 기능을 한다. 현관도어(100)와 거실(102)의 사이에는 전실(104)이 위치한다. 또한 전실(104)의 측면에는 벽면이나 신발장 같은 고정부(106)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실(104)과 거실(102)의 사이에는 도어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장치(1)를 구성하는 프레임부(30)와 도어부(10)는 현관도어(100)와 거실(10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현관도어(100)를 열고 들어온 사용자는 도어부(10)를 열고 거실(102)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어부(10)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는 도어부(1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입구를 개폐하는 폴딩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자동문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0)는, 프레임부(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자기기(50)와 제1연결부(60)가 설치되는 이동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도어(12)에는 디스플레이부(51)를 구비한 전자기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자기기(50)에는 후술할 배터리(56)가 내장되며, 배터리(56)는 이동도어(12)의 측면에 설치된 제1연결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6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기(50)의 배터리(56)를 충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기기(50)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 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도어(12)는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프레임부(30)를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어부(10)는 이동도어(12)에 연이어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14)는 이동도어(12)와 함께 프레임부(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도어(12)에 연이어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어부(10)를 열기 위해 이동도어(12)를 프레임부(30)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도어(12)에 밀려서 슬라이딩도어(14)도 이동도어(12)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며 도어부(10)에 막힌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프레임부(30)는 도어부(1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30)는 제1프레임(32)과 제2프레임(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32)에는 제2연결부(70)가 고정되며,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프레임(32)은 닫힌 상태의 도어부(1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어부(10)에 구비된 이동도어(12)가 제1프레임(32)에 접하며 도어부(1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도어(12)의 측면에 설치된 제1연결부(60)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32)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연결부(70)가 설치된다.
제2프레임(34)은 도어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도어부(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므로 도어부(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34)이 제1프레임(32)에 연결되므로 도어부(10)의 구조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프레임(34)의 길이방향(D) 일측에 제1프레임(32)이 연결되며, 제2프레임(34)의 길이방향(D) 타측에도 다른 프레임이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프레임(32)의 하측에도 길이방향(D)을 따라 별도의 프레임이 추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에 설치되는 전자기기(50)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1)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52)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부(53)와,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54)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측정부(55) 및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50)는 도어부(10)의 개폐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도어(12)나 슬라이딩도어(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부(30)나 고정된 도어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전자기기(50)는 액정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자기기(50)에 포함된 마이크부(53)와 스피커(52)를 통해 현관도어(100)의 외측에 있는 방문자와 대화를 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50)에 포함된 마이크부(53)와 스피커(52)를 통해 현관도어(100)와 스마트형 도어장치의 사이에 위치한 방문자와 대화를 할 수도 있다. 즉 도어부(10)에도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도어부(10)가 잠긴 상태에서, 현관도어(100)를 열고 들어온 방문자와 전자기기(50)를 통해 대화할 수도 있다.
전자기기(50)에 구비된 카메라부(54)는 전실(104)에 위치한 방문자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51)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1)에 출력된 방문자를 보며 방문자와 대화를 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기기(50)에 구비된 측정부(55)는 전실(104)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부(55)에 의해 측정된 전실(104)의 먼지 농도는 디스플레이부(51)나 스피커(52)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50)의 정보를 참고하여 마스크 착용 여부와 외출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50)에는 배터리(56)가 내장되므로,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의 연결이 안되는 경우에도 전자기기(50)가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50)에는 통신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신장치를 통해 인터넷,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60)는 프레임부(30)와 마주하는 도어부(10)에 설치되며, 전자기기(50)로 전원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60)는 제1브라켓(62)과 제1연결구(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62)은 제2연결부(70)와 마주하는 도어부(10)의 측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62)은 제1프레임(32)과 마주하는 이동도어(12)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1브라켓(6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브라켓(62)에 제1연결구(64)가 설치된다.
제1연결구(64)는 제1브라켓(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구(64)는 구 형상이며, 제1브라켓(62)에 복수의 제1연결구(6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구(64)는 전원의 극성 수와, 안정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4개가 제1브라켓(62)에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제1연결구(64)의 개수를 4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환경에 따라서 제1연결구(64)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연결구(64)는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연결구(64)를 통해 전달받은 전원은 전자기기(50)로 전달된다. 제1브라켓(62)이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연결구(64)로 전달된 전기가 제1브라켓(62)을 통해 이동도어(12)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이동도어(12)가 나무와 같은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브라켓(62)은 제1연결구(64)와 함께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7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7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7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70)는 제1연결부(60)와 마주하는 프레임부(30)에 설치되며, 도어부(10)의 이동에 의해 제1연결부(60)에 접촉되어 제1연결부(60)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70)는, 가이드부(71)와 이동지지부(73)와 제2연결구(77)와 전원공급부(80)와 외측탄성부(90)와 절연부(91)와 내측지지부(92)와 제2브라켓(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1)는 프레임부(30)의 내측에 고정되며 프레임부(30)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 입구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가이드부(71)는 도어부(10)가 닫히며 제1연결부(60)로 전원을 공급할 때 프레임부(30)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7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관 형상이며, 제1프레임(32)에 설치된다. 가이드부(71)는 제2연결부(70)에 구비된 제2연결구(77)와 같은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71)는 이동지지부(73)와 전원공급부(8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전원공급부(80)의 전원이 제1프레임(32)으로 전달됨을 차단한다.
이동지지부(73)는 볼 형상인 제2연결구(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도어부(10)가 닫힐 때 도어부(10)와 함께 이동되는 제1연결부(60)에 의해 가이드부(71)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된다. 이동지지부(73)는 가이드부(71)의 길이방향(D)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73)는 받침부재(74)와 이동몸체(75)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74)는 제2연결구(77)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제2연결구(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연결구(77)와 마주하는 받침부재(74)의 내측은 제2연결구(77)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연결구(77)가 받침부재(74)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몸체(75)는 받침부재(74)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부(71)의 내측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전원공급부(80)가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75)의 길이방향(D) 일측에는 받침부재(74)가 연결된다. 또한 이동몸체(75)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부(71)와 내측지지부(92)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연결구(77)는 이동지지부(7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연결부(6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제1연결구(64)가 제2연결구(77)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전원공급부(80)에 접촉되어 전기를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구(77)는 제1연결구(64)와 같은 개수로 설치되며, 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마트형 도어장치에서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점구조로 구 형상의 제1연결구(64)와 제2연결구(77)를 사용하므로, 여닫이 도어와 같이 회전각이 발생하는 접점구조에서도 접점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접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0)는 가이드부(71)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제2연결구(77)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전원공급부(80)는 제2연결구(77)에 접한 상태에서만 제2연결구(77)로 전원을 공급하며, 제2연결구(77)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제2연결구(77)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80)는, 이너코어(81)와 이너커버(82)와 내측탄성부(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이너코어(81)는 가이드부(71)의 내측에 고정되며, 가이드부(71)의 길이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코어(81)는 도채 재질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이며, 이너커버(82)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너커버(82)는 이너코어(81)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너코어(81)의 길이방향(D)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너커버(82)는 이너코어(81)의 외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이너코어(81)로 전달된 전기가 이너커버(8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커버(82)는 캡부재(83)와 커버몸체(84)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재(83)는 제2연결구(77)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연결구(77)에 접하며 전원을 전달한다. 제2연결구(77)와 마주하는 캡부재(83)는 볼록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므로, 제2연결구(77)와 캡부재(83)는 점접촉을 한다.
커버몸체(84)는 캡부재(83)에서 연장되어 이너코어(81)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몸체(84)는 원형관 형상이며, 이너코어(81)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이너코어(81)와 마주하는 커버몸체(84)의 내측에 스토퍼돌기(86)가 돌출될 수 있다. 커버몸체(84)에서 돌출된 스토퍼돌기(86)는 이너코어(81)의 외측에 구비된 가이드홈부(87)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스토퍼돌기(86)는 가이드홈부(87)에 걸려서 커버몸체(84)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커버(82)가 후술할 내측탄성부(85)에 의해 가압될 때, 스토퍼돌기(86)가 가이드홈부(87)의 단부에 걸리므로, 이너코어(81)에서 이너커버(82)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탄성부(85)는 이너커버(82)와 이너코어(81)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너코어(8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너커버(82)를 탄성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탄성부(85)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며, 이너코어(81)의 단부와 캡부재(83)의 사이에 설치된다. 내측탄성부(85)는 도어부(10)를 닫을 때, 제2연결구(77)가 움직이는 유동량을 흡수하면서 제2연결구(77)를 향한 방향으로 이너커버(82)를 탄성 지지하므로 전기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탄성부(90)는 이동지지부(73)의 내측에 위치하며, 전원공급부(8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연결구(77)를 탄성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외측탄성부(90)는 도어부(10)를 닫을 때, 제2연결구(77)가 움직이는 유동량을 흡수하고, 이동지지부(73)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탄성부(90)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며, 외측탄성부(90)의 일측은 이동지지부(73)의 받침부재(74)를 지지하며, 외측탄성부(90)의 타측은 이동지지부(73)의 외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외측탄성부(90)의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제2연결구(77)가 밀리는 경우에만 외측탄성부(90)가 압축된다.
절연부(91)는 전원공급부(80)와 이동지지부(7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전원공급부(8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91)는 전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부도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어부(10)가 개방되어 있을 때, 가이드부(71)를 통해 제2연결구(77)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한다. 도어부(1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연결구(77)에 접촉되는 경우, 제2연결구(77)로 전기 공급이 차단되므로 감전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절연부(9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너커버(82)와 후술할 내측지지부(9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절연부(91)는 관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내측지지부(92)는 이동지지부(73)를 지지하며, 이동지지부(73)와 절연부(91)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92)는 절연부(91)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이동지지부(73)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튜브 형상이다. 내측지지부(92)는 전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지지부(92)와 절연부(91)와 이너코어(81)는 이동이 구속되며, 이동지지부(73)와 이너커버(82)는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브라켓(94)은 제1연결부(60)와 마주하는 도어부(10)의 측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94)은 제2연결구(77)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32)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2브라켓(9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브라켓(94)에 복수의 제2연결구(77)가 설치된다. 판 형상의 제2브라켓(94)이 제1프레임(32)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연결구(77) 및 이동지지부(73)가 제2브라켓(94)에 걸린다. 따라서 제2브라켓(94)의 외측으로 제2연결구(77)와 이동지지부(73)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형 도어장치는, 도어부(1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2연결구(77)로 전원이 공급됨을 차단하고, 도어부(10)가 닫힌 경우에만 제2연결구(77)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1연결부(60)로 전원 공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가 각각 1개씩 설치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가 복수로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부(40)와 도어부(20)를 포함한 스마트형 도어장치(1)는 도어가 설치되기 위한 어느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형 도어장치(1)는 현관도어와 거실 사이, 거실과 부엌 사이, 부엌과 베란다 사이, 거실과 베란다 사이, 거실과 방 사이 및 현관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형 도어장치(1)는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가 이격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탄성부(9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지지부(73)가 이너커버(8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연결구(77)가 캡부재(83)에서 이격되므로, 제2연결구(77)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부(1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연결구(77)에 접하는 경우에도 감전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60)가 제2연결부(70)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가 닫힌 경우, 이동도어(12)에 설치된 제1연결부(60)가 프레임부(30)에 설치된 제2연결부(70)에 접한다. 이동도어(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구(64)가 제2연결부(70)에 구비된 제2연결구(77)를 가압한다. 제1연결구(64)에 밀리는 제2연결구(77)가 이동지지부(73)를 가압하면, 이동지지부(73)에 눌려서 외측탄성부(90)가 압축된다.
따라서 제2연결구(77)가 이너커버(82)의 캡부재(83)에 접하면서 전기를 공급받는다. 외부전원이 이너코어(81)로 전달되면, 이노코어에 접한 이너커버(82)를 통해 제2연결구(77)로 전기가 이동된다. 그리고 제2연결구(77)에 접한 제1연결구(64)를 통해 전자기기(50)로 전기가 이동하며, 배터리(56)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자기기(50)의 작동가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5)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5)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5)에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5)는, 회전되는 방식으로 도어부(2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는, 프레임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자기기(50)와 제1연결부(60)가 설치되는 회전도어(22)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부(40)는 지지프레임(42)과 고정프레임(44)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2)은 도어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프레임(44)은 도어부(20)를 사이에 두고 지지프레임(4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2연결부(70)가 설치된다.
회전도어(22)에 전자기기(50)와 제1연결부(60)가 설치되므로, 회전도어(22)와 함께 전자기기(50)와 제1연결부(60)가 이동되며, 고정된 고정프레임(44)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연결부(70)가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도어(22)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2연결부(70)의 표면에는 전기 공급이 차단되며, 회전도어(22)가 닫힌 경우에만 제2연결부(70)를 통해 제1연결부(60)로 전기가 공급된다. 제1연결부(60)의 제1연결구(64)와 제2연결부(70)의 제2연결구(77)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회전되는 동작에서도 제1연결구(64)와 제2연결구(77)의 접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연결부(60)와 제2연결부(70)는 미닫이 방식과 여닫이 방식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용 접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탄성부(90)와 내측탄성부(85)를 사용하는 제2연결부(70)는, 외측탄성부(90)의 기본상태에서는 충전접점이 연결되지 않고, 외측탄성부(90)의 수축상태에서 충전접점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부(10,20)에 정보 전달을 위한 전자기기(50)가 설치되므로, 중문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10,20)와 함께 이동하는 제1연결부(60)가 프레임부(40)에 고정된 제2연결부(70)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전자기기(50)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측탄성부(90)에 의해 지지되는 제2연결구(77)가 전원공급부(80)와 이격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사용자가 제2연결구(77)에 접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좌우 개방) 방식으로 도어부(10)가 개폐되는 경우와, 여닫이(앞뒤 개방)방식으로 도어부(20)가 개폐되는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5: 도어장치
10: 도어부 12: 이동도어 14: 슬라이딩도어
20: 도어부 22: 회전도어
30: 프레임부 32: 제1프레임 34: 제2프레임
40: 프레임부 42: 지지프레임 44: 고정프레임
50: 전자기기 51: 디스플레이부 52: 스피커 53: 마이크부 54: 카메라부 55: 측정부 56: 배터리
60: 제1연결부 62: 제1브라켓 64: 제1연결구
70: 제2연결부 71: 가이드부 73: 이동지지부 74: 받침부재 75: 이동몸체 77: 제2연결구 80: 전원공급부 81: 이너코어 82: 이너커버 83: 캡부재 84: 커버몸체 85: 내측탄성부 86: 스토퍼돌기 87: 가이드홈부 90: 외측탄성부 91: 절연부 92: 내측지지부 94: 제2브라켓
100: 현관도어 102: 거실 104: 전실 106: 고정부
D: 길이방향

Claims (18)

  1.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상기 프레임부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을 전달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1연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도어부는 현관도어와 거실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되는 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제1연결부가 설치되는 이동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이동도어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이동도어와 함께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를 더 포함하는 도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제1연결부가 설치되는 회전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연결부가 고정되며,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도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도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2연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형상의 제1연결구;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 입구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
    상기 이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제2연결구;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연결구로 전달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이동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구를 탄성 지지하는 외측탄성부;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도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제2연결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위치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이너코어; 및
    상기 이너코어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너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커버;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코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코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이너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내측탄성부;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커버는, 상기 제2연결구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연결구에 접하며 전원을 전달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너코어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이동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절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장치.
KR1020200062347A 2020-05-25 2020-05-25 도어장치 KR20210145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47A KR20210145446A (ko) 2020-05-25 2020-05-25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47A KR20210145446A (ko) 2020-05-25 2020-05-25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46A true KR20210145446A (ko) 2021-12-02

Family

ID=7886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47A KR20210145446A (ko) 2020-05-25 2020-05-25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54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3090A1 (en) Smart peephole
KR2009012600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KR20210145446A (ko) 도어장치
CN105077835A (zh) 穿戴用品及其温度调节方法、装置
KR200491432Y1 (ko) 슬라이딩 개폐 구조의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
KR101271942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20160128644A (ko) 디지털도어락 원격제어장치
WO2013066121A2 (ko)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개폐장치
KR20160044634A (ko) 무선충전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CN204496100U (zh) 一种与移动设备数据连接的内窥镜及内窥镜系统
US11476650B2 (en) Electrical user
CN110242188A (zh) 具有一体式电力输送系统的门/窗
US11349250B2 (en) Recessed electrical user
KR20170105431A (ko) 보안 시스템
CN219699303U (zh) 矿用手持终端的收纳设备
CN220894328U (zh) 一种滑动背夹式酒精检测仪
KR102347122B1 (ko) 사생활 침해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364425B1 (ko) 케이블 수납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347120B1 (ko) 케이블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304412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매립형 콘센트
CN208487402U (zh) 一种bwl-d5b型机械式力矩限制设备
KR20220037289A (ko) 동작 감지 센서를 갖는 도어캠
CN101945555B (zh) 壳体的滑动门装置以及使用该滑动门装置的影像音响设备
KR20210149353A (ko) 도어 시스템
KR20160046605A (ko) 접철식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