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33B1 - 접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33B1
KR101271633B1 KR1020110060776A KR20110060776A KR101271633B1 KR 101271633 B1 KR101271633 B1 KR 101271633B1 KR 1020110060776 A KR1020110060776 A KR 1020110060776A KR 20110060776 A KR20110060776 A KR 20110060776A KR 101271633 B1 KR101271633 B1 KR 10127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roller
membe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207A (ko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102011006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설치가 편리면서도 방풍 및 방음 성능이 우수한 접이식 도어를 제공한다. 접이식 도어는, 복수의 도어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부재, 복수의 도어 부재를 상호 힌지 결합하는 도어 힌지 및 복수의 도어 부재와 롤러 부재를 연결하는 롤러 힌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도어{Folding door}
본 발명은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와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접이식 도어는 복수의 도어 부재가 경첩과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연결된 복수의 도어 부재가 접히면서 수납 공간의 내부를 개방하는 도어이다. 이 접이식 도어는 수납 공간이 개방되기 위해 도어 이동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수납 부재의 개폐 수단으로 사용된다.
접이식 도어는 도어 부재가 접히는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를 위해 도어 부재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게 된다. 이 연결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장비와 공정이 요구되며, 연결 결과 슬라이딩 부재와 도어 사이는 비교적 넓은 공간이 생기게 되어 방음 또는 방풍에 장애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의 편리함과 방풍 및 방음이 우수한 접이식 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는, 수납 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복수의 도어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로서,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부재,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를 상호 힌지 결합하는 도어 힌지 및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연결하는 롤러 힌지를 포함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치가 편리면서도 방풍 및 방음 성능이 우수한 접이식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하고 구체적인 본 발명의 효과들이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200)는 복수의 도어 부재(D1~D4), 롤러 부재(210, 230, 250, 270), 고정 부재(500, 550), 도어 힌지(300, 350), 롤러 힌지(400, 450, 470, 490) 및 고정 힌지(600, 650)를 포함한다.
복수의 도어 부재(D1~D4)는 후술할 도어 힌지(300, 3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병풍처럼 접힐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 부재(D1~D4) 중 수납 부재의 측면에 위치한 도어 부재(D1)는 후술할 고정 힌지(600, 650)를 통해 수납 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부재(D1~D4)는 수납 부재(100)의 내부를 개방할 경우에는 접혀 서로 포개질 수 있으며, 수납 부재(100)를 폐쇄할 경우는 접혀있던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일렬로 늘어서면서 수납 공간을 닫을 수 있다.
복수의 도어 부재의 형상은 수납 부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 부재의 개수도 수납 부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어, 복수의 도어 부재의 도어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롤러 힌지(400, 450, 470, 490)는 복수의 도어 부재(D1~D4)와 후술할 롤러 부재(210, 230, 250, 2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롤러 힌지는 복수의 도어 부재(D2, D3)를 상호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복수의 도어 부재(D2, D3)와 롤러 부재(210, 250)를 연결하는 제 1 롤러 힌지(400, 450) 및 복수의 도어 부재(D1~D4) 중 어느 하나의 도어 부재(D4)와 롤러 부재(230, 270)를 연결하는 제 2 롤러 힌지(470, 4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힌지는 복수의 도어 부재 상하에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 1 롤러 힌지(400, 450)는 복수의 도어 부재(D1~D4)의 양단에 위치한 도어 부재(D1, D4)를 제외한 도어들(D2, D3)을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롤러 부재(210, 250)와 복수의 도어 부재(D2, D3)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 롤러 힌지(400, 450)는 홈이 형성된 외부 고정편(410), 외부 고정편(410)의 홈에 끼워지는 내부 고정편(420), 외부 고정편(410) 및 내부 고정편(420)의 회동 중심 지점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외부 힌지관 및 내부 힌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롤러 힌지(400, 450)에는 걸림편(415, 417)이 형성되어 도어 부재(D2, D3)와 롤러 힌지(400, 450)를 채결할 때, 도어 부재(D2, D3)를 걸림편(415, 417)에 걸리게 한 후 채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상호 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등 설치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제 1 롤러 힌지(400, 450)에 형성된 걸림편(415, 417)은 외부 고정편(410)과 외부 힌지관의 연결부분에 외부 고정편(410)과 수직하며 외부 힌지관과 일체로 형성된 외부 걸림편(415) 및 내부 고정편(420)과 내부 힌지관의 연결부분에 내부 고정편(420)과 수직하며 내부 힌지관과 일체로 형성된 내부 걸림편(41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접히면서 외부로 돌출될 경우(수납 부재(100) 개방)는 제 1 롤러 힌지(400, 450)의 외부 고정편(410)과 내부 고정편(420)은 서로 반대로 회전하여 180°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수납 부재를 폐쇄할 경우는 외부 고정편(410)과 내부 고정편(420)은 서로 포개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 1 롤러 힌지(400, 450)의 고정편(410, 420)에는 나사공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공을 통해 제 1 롤러 힌지(400, 450)와 도어 부재(D2, D3)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제 1 롤러 힌지(400, 450)와 롤러 부재(210, 250)를 연결하는 방법은 힌지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롤러 부재(210, 25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역시 연결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추가적으로, 외부 힌지관과 내부 힌지관의 사이에는 와셔를 두어 고정편(410, 420)의 회전 시 마찰 등을 줄여 고정편(410, 4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 2 롤러 힌지(470, 490)는 복수의 도어 부재(D1~D4)의 양단의 도어 부재(D1, D4) 중 수납 부재(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도어 부재(D4)와 연결되며, 동시에 도어 부재(D4)와 롤러 부재(230, 2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롤러 힌지(470, 490)는 힌지관, 힌지관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편이 힌지관에서 절곡 형성됨으로써, 걸림부분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제 2 롤러 힌지(470, 490)와 도어 부재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제 2 롤러 힌지(470, 490)의 고정편에는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공을 통해 제 2 롤러 힌지(470, 490)와 도어 부재(D4)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제 2 롤러 힌지(470, 490)와 롤러 부재(230, 270)를 연결하는 방법은 힌지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롤러 부재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역시 연결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롤러 부재(210, 230, 250, 270)는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수납 부재(1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0, 15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부재(D1~D4)는 전술한 롤러 힌지(400, 450, 470, 490)를 통해 롤러 부재(210, 230, 250, 270)와 연결될 수 있고, 롤러 부재(210, 230, 250, 270)가 가이들 레일(150, 155)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복수의 도어 부재(D1~D4)도 역시 접히거나 일렬로 늘어서면서 이동할 수 있다.
롤러 부재는 수납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롤러 부재(210, 230)와 수납 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롤러 부재(250, 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롤러 부재(210, 230)는 제 1 롤러 힌지(400)와 연결되는 제 1 상부 롤러 부재(210) 및 제 2 롤러 힌지(470)와 연결되는 제 2 상부 롤러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부 롤러 부재(210)는 롤러 몸체, 롤러 몸체에 설치된 4개의 롤러 및 롤러 몸체에 형성된 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홈에 제 1 롤러 힌지(400)가 끼워지며, 4개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150)의 상면에 접촉 이동하면서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이동할 수 있다.
제 2 상부 롤러 부재(230)는 롤러 몸체, 롤러 몸체에 설치된 2개의 롤러 및 롤러 몸체에 형성된 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홈에 제 2 롤러 힌지(470)가 끼워지며, 2개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150)의 상면에 접촉 이동하면서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의 개수 및 롤러 부재의 구성 요소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도어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하부 롤러 부재는 제 1 롤러 힌지(450)와 연결되는 제 1 하부 롤러 부재(250) 및 제 2 롤러 힌지(490)와 연결되는 제 2 하부 롤러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부 롤러 부재(250)는 롤러 몸체, 롤러 몸체에 설치된 2개의 롤러 및 롤러 몸체에 형성된 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홈에 제 1 롤러 힌지(450)가 끼워지며, 2개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155)의 측면에 접촉 이동하면서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이동할 수 있다.
제 2 하부 롤러 부재(270)는 롤러 몸체, 롤러 몸체에 설치된 2개의 롤러 및 롤러 몸체에 형성된 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홈에 제 2 롤러 힌지(490)가 끼워지며, 2개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155)의 측면에 접촉 이동하면서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 부재의 롤러의 개수 및 롤러 부재의 구성 요소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도어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어 힌지(300, 350)는 복수의 도어 부재(D1~D4)를 상호 힌지 결합하여 연결하며,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가 접혔을 때 접이식 도어(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접이식 도어의 외부에 위치하는 도어 힌지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접이식 도어 및 수납 부재의 형태 등에 의해 가변적일 수 있다.
도어 힌지(300, 350)는 홈이 형성된 외부 고정편(310), 외부 고정편(31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내부 고정편(320), 외부 고정편(310) 및 내부 고정편(320)의 회동 중심 지점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외부 힌지관 및 내부 힌지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힌지관 및 내부 힌지관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외부 고정편(310) 및 내부 고정편(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힌지(300, 350)의 고정편(310, 320)에는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공을 통해 도어 힌지(300, 350)와 도어 부재(D1~D4)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으나, 그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어 힌지(300, 350)는 고정편(310, 320)이 힌지관에서 절곡 형성됨으로써, 걸림 부분(315, 31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걸림 부분(315, 317)에 도어 부재(D1~D4)가 끼워지게 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힌지(300, 350)의 힌지관을 통해 힌지축이 관통할 수 있으며, 외부 고정편(310)과 내부 고정편(320)의 사이에는 와셔가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어 힌지(300, 350)에는 힌지 핸들(3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접이식 도어(200)를 접거나 펼 때 힌지 핸들(340)을 이용하여 도어 부재(D1~D4)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0, 550)는 수납 부재(10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고정 힌지(600, 650)를 통해 복수의 도어 부재(D1~D4) 중 수납 부재(100)의 측면에 위치한 도어 부재(D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0, 550)를 통해 도어 부재(D1)를 고정함으로써, 접이식 도어(200)가 고정 부분을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150, 1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수납 부재(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고정 부재(500) 및 수납 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고정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고정 부재 모두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고정 힌지(600, 650)가 홈에 끼워지게 되어 수납 부재(100)의 측면에 위치한 도어 부재(D1)가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고정 힌지(600, 650)는 고정 부재(500, 550)와 복수의 도어 부재(D1~D4) 중 수납 부재(100)의 측면에 위치한 도어 부재(D1)를 연결하여, 연결된 도어 부재(D1)가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고정 힌지(600, 650)는 힌지관(610), 힌지관(610)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고정편(6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편(620)이 힌지관(610)에서 절곡 형성됨으로써, 걸림 부분(615)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고정 힌지(600, 650)와 도어 부재(D1)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고정 힌지(600, 650)의 고정편(620)에는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공을 통해 고정 힌지(600, 650)와 도어 부재(D1)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고정 힌지(600, 650)와 고정 부재(500, 550)를 연결하는 방법은 힌지관을 관통하는 힌지축(630)이 고정 부재(500, 55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역시 연결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힌지(300, 350), 고정 힌지(600, 650) 및 롤러 힌지(400, 450, 470, 490)를 포함하는 힌지가 도어 부재(D1~D4)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롤러 부재(210, 230, 250, 270) 및 고정 부재(500, 550)와 도어 부재(D1~D4)간의 연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즉, 힌지의 힌지축을 사용하여 힌지축(330, 430, 630)이 롤러 부재(210, 230, 250, 270) 및 고정 부재(500, 550)에 형성된 힌지홈에 끼우는 단순한 공정만으로도 접이식 도어(200)와 롤러 부재(210, 230, 250, 270) 및 고정 부재(500, 550)의 연결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추가 설비에 따르는 비용 감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어 부재(D1~D4)를 롤러 부재(210, 230, 250, 270) 및 고정 부재(500, 550)에 연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힌지만을 이용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150, 155)과 복수의 도어 부재(D1~D4)간의 간격(H)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방음 및 방풍 효과가 한층 더 우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어 부재(200)가 수납 부재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수납 부재(10))의 양 쪽에서 수납 부재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수납 부재(10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양 쪽의 복수의 도어 부재(710, 730)를 수납 부재(100)의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키고, 수납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서는 양 쪽의 복수의 도어 부재(710, 730)를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접이식 도어는 수납 부재의 양 단에 복수의 도어 부재가 위치하고, 중앙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도어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 부재의 양 단에 고정된 복수의 도어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도어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7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200, 700)는 도어 고정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고정 장치는 접이식 도어가 수납 부재의 수납 공간을 폐쇄할 때, 접이식 도어를 고정하여 접이식 도어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접이식 도어를 잠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수납 부재 150, 155: 가이드 레일
200, 700, 710, 730: 접이식 도어 210, 215: 제 1 상부 롤러 부재 230, 235: 제 2 상부 롤러 부재 250: 제 1 하부 롤러 부재
270: 제 2 하부 롤러 부재 300: 제 1 도어 힌지
350: 제 2 도어 힌지 400, 460: 제 1 상부 롤러 힌지 450: 제 1 하부 롤러 힌지 470, 475: 제 2 상부 롤러 힌지 490: 제 2 하부 롤러 힌지 500, 520: 상부 고정 부재 550: 하부 고정 부재 600, 670: 상부 고정 힌지 650: 하부 고정 힌지

Claims (16)

  1. 수납 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복수의 도어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로서,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부재;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를 상호 힌지 결합하는 도어 힌지; 및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연결하는 롤러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힌지는,
    중앙에 홈이 형성된 외부 고정편, 상기 홈에 끼워지는 내부 고정편, 상기 외부 고정편 및 상기 내부 고정편의 회동 중심 지점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외부 힌지관 및 내부 힌지관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힌지관 및 상기 내부 힌지관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외부 고정편 및 상기 내부 고정편이 형성되는 접이식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힌지는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를 상호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연결하는 제 1 롤러 힌지 및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어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연결하는 제 2 롤러 힌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롤러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 부재는 상기 제 1 롤러 힌지와 연결되는 제 1 상부 롤러 부재 및 상기 제 2 롤러 힌지와 연결되는 제 2 상부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롤러 부재는 상기 제 1 롤러 힌지와 연결되는 제 1 하부 롤러 부재 및 상기 제 2 롤러 힌지와 연결되는 제 2 하부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접이식 도어를 접었을 때 상기 수납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접이식 도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는 힌지 핸들을 구비하는 접이식 도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고정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고정 힌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힌지는,
    힌지관, 상기 힌지관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힌지를 통해서 연결된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어 부재는 고정된 채로 상기 고정 힌지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접이식 도어.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는 상기 수납 부재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양단에 설치된 각각의 복수의 도어 부재에서 상기 수납 부재의 측면과 가장 근접한 도어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힌지를 통해 연결된 접이식 도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도어 부재가 더 설치되는 접이식 도어.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힌지는,
    중앙에 홈이 형성된 외부 고정편, 상기 홈에 끼워지는 내부 고정편, 상기 외부 고정편 및 상기 내부 고정편의 회동 중심 지점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외부 힌지관 및 내부 힌지관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고정편과 상기 외부 힌지관의 연결부분에 상기 외부 고정편과 수직하며 상기 외부 힌지관과 일체로 외부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고정편과 상기 내부 힌지관의 연결부분에 상기 내부 고정편과 수직하며 상기 내부 힌지관과 일체로 내부 걸림편이 형성되는 접이식 도어.
  16. 제 1항, 제 12항 또는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도어가 상기 수납 부재의 수납 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접이식 도어를 고정하는 도어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KR1020110060776A 2011-06-22 2011-06-22 접이식 도어 KR101271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776A KR101271633B1 (ko) 2011-06-22 2011-06-22 접이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776A KR101271633B1 (ko) 2011-06-22 2011-06-22 접이식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07A KR20130000207A (ko) 2013-01-02
KR101271633B1 true KR101271633B1 (ko) 2013-06-11

Family

ID=4783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776A KR101271633B1 (ko) 2011-06-22 2011-06-22 접이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3B1 (ko) * 2018-11-20 2019-06-14 김영원 폴딩 도어 조립체
KR20230018021A (ko) 2021-07-29 2023-02-07 홍지창 접이식 도어
KR20230018020A (ko) 2021-07-29 2023-02-07 홍지창 접이식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470B1 (ko) * 2015-01-05 2016-12-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컨테이너의 접는 방법 및 그 접이식 컨테이너
KR101730612B1 (ko) * 2016-06-16 2017-04-26 주식회사 노프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KR200487510Y1 (ko) 2017-01-16 2018-10-01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폴딩 도어의 단열 도어 프레임
KR102208528B1 (ko) * 2017-02-24 2021-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 장치
KR200486680Y1 (ko) * 2017-05-15 2018-06-20 강윤구 폴딩도어
KR102101494B1 (ko) 2017-10-25 2020-04-17 주식회사 두테크 접이식 도어
CN109025690A (zh) * 2018-08-12 2018-12-18 西南石油大学 一种新型卡槽式换位折叠窗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904U (ja) * 1997-05-15 1998-05-29 神谷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建築用蝶番
KR200332911Y1 (ko) * 2003-08-21 2003-11-10 정기웅 화장실용 접이식 도어
KR200340684Y1 (ko) * 2003-11-20 2004-02-05 동우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도어의 안내롤러장치
JP2006328750A (ja) 2005-05-25 2006-12-07 Tatatomi Noro 戸および戸連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904U (ja) * 1997-05-15 1998-05-29 神谷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建築用蝶番
KR200332911Y1 (ko) * 2003-08-21 2003-11-10 정기웅 화장실용 접이식 도어
KR200340684Y1 (ko) * 2003-11-20 2004-02-05 동우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도어의 안내롤러장치
JP2006328750A (ja) 2005-05-25 2006-12-07 Tatatomi Noro 戸および戸連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3B1 (ko) * 2018-11-20 2019-06-14 김영원 폴딩 도어 조립체
KR20230018021A (ko) 2021-07-29 2023-02-07 홍지창 접이식 도어
KR20230018020A (ko) 2021-07-29 2023-02-07 홍지창 접이식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07A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633B1 (ko) 접이식 도어
US8437123B2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system with same
KR101630298B1 (ko) 접이문용 힌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문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CN101936117B (zh) 推拉平开门窗
EA028982B1 (ru) Раскладно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двери или окна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JP2009275468A (ja) 回転部材ヒンジ装置
CN201763156U (zh) 推拉平开门窗
KR200387585Y1 (ko) 접이식 도어용 호차
KR200467041Y1 (ko) 도어 조립체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KR20070112359A (ko) 폴딩도어
JP2005113522A (ja) 筐体の扉構造
KR200473952Y1 (ko) 접이식 도어용 힌지 브래킷
KR102602330B1 (ko) 접이식 도어
KR101710775B1 (ko) 도어용 경첩
KR20150071855A (ko) 방화문의 경첩장치
US20170211311A1 (en) Rotatable and hung safety window assembly
KR102522760B1 (ko) 접이식 도어
KR101399067B1 (ko) 힌지 유닛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KR102089603B1 (ko) 스텝리스 슬라이드 레일
KR102181562B1 (ko)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JP6124557B2 (ja) 引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