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553B1 - 폴딩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폴딩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553B1
KR101989553B1 KR1020180143705A KR20180143705A KR101989553B1 KR 101989553 B1 KR101989553 B1 KR 101989553B1 KR 1020180143705 A KR1020180143705 A KR 1020180143705A KR 20180143705 A KR20180143705 A KR 20180143705A KR 101989553 B1 KR101989553 B1 KR 10198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post
elastic member
shaft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Original Assignee
김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원 filed Critical 김영원
Priority to KR102018014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폴딩 도어 조립체가 개시되며, 상기 폴딩 도어 조립체는,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을 따라 상향 개구된 함몰부가 형성된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하는 폴딩 도어용 레일; 상기 함몰부를 따라 상기 폭 방향 이동하는 롤러 구조체 및 상기 롤러 구조체가 하단에 장착되는 포스트를 갖는 포스트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폴딩 도어; 및 상기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 복수개는 상기 폴딩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제 1포스트부 및 상기 제 1 포스트부와 열림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2 포스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딩 도어 조립체{FOLIDING DOOR ASSEMBLY}
본원은 폴딩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딩 도어가 건물매장이나 상가, 자동차 매장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폴딩 도어(Folding Door)란 번역 그대로 접이 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 외벽 대체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폴딩 도어는 여러 개의 개별 도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접거나 펼치는 것에 의해 건물벽체의 내, 외벽 대체용으로 사용되는 도어 조립체이고, 이러한 도어 조립체의 개별 도어들의 움직임은 하부 레일에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은 하향 함몰되어 개별 도어의 휠이 지나갈 수 있는 휠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휠 수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휠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180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줄일 수 있는 폴딩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는,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을 따라 상향 개구된 함몰부가 형성된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하는 폴딩 도어용 레일; 상기 함몰부를 따라 상기 폭 방향 이동하는 롤러 구조체 및 상기 롤러 구조체가 하단에 장착되는 포스트를 갖는 포스트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폴딩 도어; 및 상기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 복수개는 상기 폴딩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제 1포스트부 및 상기 제 1 포스트부와 열림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2 포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롤러 구조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폴딩 도어용 레일의 함몰부가 선택적으로 덮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함몰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롤러 구조체의 움직임이 이물질에 의해 제한되는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폴딩 도어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닫힘 상태 시에 함몰부를 개방하는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폴딩 도어의 열림 상태 시의 포스트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폴딩 도어의 닫힘 상태 시의 포스트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폴딩 도어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열림 상태 시에 함몰부를 폐쇄하는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닫힘 상태 시의 구동부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구동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열림 상태 시의 구동부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구동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레버 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의 롤러 구조체의 접촉 부재와 레버 유닛의 레버의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폴딩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조립체(이하 '본 폴딩 도어 조립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폴딩 도어 조립체는 폴딩 도어용 레일(1)을 포함한다. 폴딩 도어용 레일(1)은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폴딩 도어용 레일(1)은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폴딩 도어(2)의 열림-닫힘 방향,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2시-8시 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함몰부(11)가 형성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폴딩 도어 조립체는 폴딩 도어(2)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딩 도어(2)는 포스트부(21a, 21b)를 복수개 포함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스트부(21a, 21b)는 함몰부(11)를 따라 폭방향 이동하는 롤러 구조체(211)를 포함한다. 또한, 포스트부(21a, 21b)는 롤러 구조체(211)가 하단에 장착되는 포스트(212)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포스트부(21a, 21b) 각각의 롤러 구조체(211)는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내측(예를 들어, 함몰부(11)) 및 폴딩 도어용 레일(1)의 외측 중 하나 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폴딩 도어(2)는 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 구조체(211)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스트부(21a, 21b) 복수 개는 폴딩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제1 포스트부(21a) 및 제1 포스트부(21a)와 열림 방향(창호의 열림 방향,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2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포스트부(21b)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폴딩 도어 조립체는 커버 유닛(3)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5를 비교하여 참조하면, 커버 유닛(3)은 롤러 구조체(211)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유닛(3)은 폴딩 도어(2)의 열림 상태시에 함몰부(11)가 덮이고 폴딩 도어(2)의 완전 닫힘 상태 및 닫힘 진행시 폴딩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부(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폴딩 도어(2)의 완전 열림 상태라 함은, 도 3을 참조하면, 창호의 개방 영역이 소정 이상(일정 영역 이상)으 확보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스트부(21a)는 폴딩 도어용 레일(11)의 열림 방향 끝부분인 일측부에 위치할 수 있고, 폴딩 도어(2)의 완전 닫힘 상태는 창호의 개방 영역이 없도록, 복수 개의 포스트부(21a, 21b)가 폴딩 도어용 레일(11) 내에서 창호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폴딩 도어(2)의 닫힘 진행이라 함은, 폴딩 도어의 완전 열림 상태에서 제1 포스트부(21a)가 닫힘 방향(창호의 닫힘 방향,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8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이상(미리 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이동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폴딩 도어 조립체에 의하면, 폴딩 도어용 레일(11)이 개방되는 폴딩 도어(2)의 열림 상태 시에는 커버 유닛(3)에 의해 함몰부(11)가 폐쇄되어 함몰부(11)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고, 폴딩 도어(2)의 닫힘 진행시 및 닫힘 상태시에는 커버 유닛(3)과 폴딩 도어(2)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함몰부(11)가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폴딩 도어용 레일(1)에는 함몰부(11)와 창호의 두께 방향으로 이웃하게 샤프트 수용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유닛(3)은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샤프트 수용홈(12)에 장착되는 커버 샤프트(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유닛(3)은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되어 커버 샤프트(31)의 일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에 대해 덮힘 상태가 되거나, 커버 샤프트(31)의 타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에 대한 개방 상태가 되는 날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유닛(3)은 폴링 도어(2)의 열림 방향 끝단인 커버 샤프트(31)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3)는 제1 포스트부(21a)와 접촉된 상태로 폴딩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되는 선형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커버 샤프트(31)에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33)는 구동 샤프트(3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331)는,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허용되되 회전시에는 그의 회전력을 커버 샤프트(31)에 제공하도록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되는 연결 봉부(3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샤프트(31)는 적어도 일부에 창호의 폭 방향으로 슬롯(311)이 형성되는 관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샤프트(31)는 내부에 창호의 폭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봉부(3311)는 관 부재인 커버 샤프트(31)의 내부(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33111) 및 본체(33111)로부터 돌출되어 슬롯(3111)에 삽입되는 돌출부(33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3112)는 연결 봉부(3311)(본체(33111))의 관 부재인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상대적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창호의 폭방향 이동)은 가능하되,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본체(33111)의 헛돔은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331)는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창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가능하되 그의 회전력을 커버 샤프트(31)에 전달, 다시 말해, 구동 샤프트(331)는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창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가능하되 그의 일 방향 회전시 일 방향 회전력을 전달하여 커버 샤프트(31) 및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된 날개부(3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의 타 방향 회전시 타 방향 회전력을 전달하여 커버 샤프트(31) 및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된 날개부(32)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331)는 연결 봉부(3311)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에 나선 방향으로 슬롯(33121)이 형성되는 슬롯 형성 관부(3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3)는 일단은 위치 고정되고 슬롯 형성 관부(3312)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내측 탄성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탄성부재(332)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33)는 선형 구동력 및 내측 탄성부재의 탄성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슬롯(331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버 유닛(3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레버 유닛(333)은 슬롯 형성 관부(3312) 내에 구비되어 내측 탄성부재(332)의 타단을 지지하는 걸림부(33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탄성부재(332)는 걸림부(3331)의 열림 방향을 향하는 면 상에 구비되어 열림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레버 유닛(333)은 걸림부(3331)로부터 슬롯(33121)을 통해 슬롯 형성 관부(3312)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연결부(3333) 및 제1 포스트부(21a)의 닫힘 방향 이동시 접촉되도록 연결부(3333)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레버(3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을 함께 비교하여 살펴보면, 제1 포스트부(21a)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과정에서 제1 포스트부(21a)가 레버(3332)에 접촉하여 접촉된 상태로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3332)에는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선형 구동력)이 작용할 수 있고, 내측 탄성부재(332)가 압축되며 레버 유닛(333)이 열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레버 유닛(333)은 나선 형상의 슬롯(33121)을 따라 이동되며 슬롯 형성 관부(3312)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슬롯 형성 관부(3312)의 회전에 의해 연결 봉부(3311) 및 연결 봉부(3311)와 결합한 커버 샤프트(31)가 회전될 수 있으며, 날개부(32)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폴딩 도어의 열림 상태시 날개부(32)가 일 방향 회전되어 함몰부(11)가 덮여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슬롯(33121)은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시 구동 샤프트(33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버(3332)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시 걸림부(3331)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일단(열림 방향으로의 끝단)이 고정된 상태로 걸림부(3331)의 열림 방향 측에 구비된 내측 탄성부재(332)는 선형 구동력(걸림부(3331)에 의해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포스트부(21a)의 롤러 구조체(212)가 날개부(3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날개부(32)가 덮이면 날개부(32)와 롤러 구조체(212)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폴딩 도어의 구동부(33)는 외측 탄성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탄성부재(334)는 일단이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구동 샤프트(331)와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탄성부재(334)는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소정 이상 진행되기 전에 압축 변형되도록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3332)에 대한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선형 구동력)이 작용시, 레버 유닛(333)은 내측 탄성부재(332)를 압축시키며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레버 유닛(333)에는 내측 탄성부재(332)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의 저항력도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탄성부재(332)의 압축 진행과 함께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레버(3332)에 대한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선형 구동력)이 작용시에는 외측 탄성부재(334)에도 선형 구동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런데, 외측 탄성부재(334)가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소정 이상 진행되기 전에 압축 변형되도록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므로, 레버 유닛(333)에 작용하는 선형 구동력(제1 포스트부(21a)에 의해 작용하는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내측 탄성부재(332)가 소정 이상의 압축이 일어나기 전에 외측 탄성부재(334)가 먼저 압축될 수 있고, 외측 탄성부재(334)가 압축됨에 따라, 도 7과 도 8을 비교하여 참조하면, 외측 탄성부재(334)의 닫힘 방향으로의 끝단인 타단과 연결된 구동 샤프트(334)가 레버 유닛(333)의 소정 이상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전에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진행에 따른 날개부(32)의 닫힘 전에 구동 샤프트(334)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어 레버 유닛(333)의 위치 또한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포스트부(21a)의 롤러 구조체(212)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덮개부(32)에 의해 덮여지는 부분을 완전히 벗어난 후 제1 포스트부(21a)와 레버 유닛(333)의 접촉 및 제1 포스트부(21a)의 롤러 구조체(212)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외력에 의한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및 구동 샤프트(334)의 회전 및 커버 샤프트(31)의 회전이 진행되며 날개부(32)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 탄성부재(334)는 그의 최종 압축 상태(그에 작용하는 선형 구동력에 의한 압축 완료 상태)시의 길이와 그의 압축 전(탄성 복원 후) 길이의 차이, 다시 말해 탄성 변형량(압축 변형량)이 제1 포스트부(21a)의 롤러 구조체(212)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날개부(3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벗어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탄성부재(332)와 외측 탄성부재(334) 각각의 탄성계수 또한 제1 포스트부(21a)의 롤러 구조체(212)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날개부(3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벗어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날개부(32)와 복수 개의 포스트부(21a, 21b), 특히 제1 포스트부(21a)와 날개부(32)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포스트부(21a)는 열림 상태로의 이동 과정에서 폴딩 도어용 레일(1)의 구동 샤프트(331)와 이웃하는 구간, 특히, 레버(3332)가 위치한 부분과 이웃하는 구간을 지날 때 레버(3332)와 접촉되는, 접촉 부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재(2111)는 레버(3332)의 닫힘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2111)에 의해 레버(3332)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며 날개부(32)가 닫힘 상태를 가질 수 있고, 폴딩 도어(2)의 열림 상태시 레버(3332)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지키도록 접촉 부재(2111)가 레버(3332)를 지지함으로써, 날개부(32)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접촉 부재(2111)와 레버(3332)의 접촉 면적은, 접촉 부재(2111)와 레버(3332)의 접촉 상태에서의 제1 포스트부(21a)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시 레버(3332) 및 접촉 부재(2111)의 손상을 방지하고, 접촉 부재(2111)가 레버(3332)에 대해 미끄러져 레버(3332)를 지나 레버(3332)보다 열림 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레버 유닛(333)은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 복원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슬롯(33121)은 레버 유닛(333)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시 구동 샤프트(331)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폴딩 도어(2)의 닫힘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제1 포스트부(21a)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하게 되면 레버(3332)를 닫힘 방향 측에서 지지하고 있던 접촉 부재(2111)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내측 탄성부재(332) 및 외측 탄성부재(334)가 탄성 복원될 수 있고, 이때,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 복원에 따라 레버 유닛(333)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며 슬롯 형성 관부(3312)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331) 및 날개부(32)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함몰부(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탄성부재(334)의 탄성 복원에 따라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었던 구동부(33)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며 위치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계수가 외측 탄성부재(334)의 탄성계수보다 크므로, 내측 탄성부재(332)가 외측 탄성부재(334)보다 빨리 탄성 복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함몰부(11) 개방이 먼저 일어난 후, 외측 탄성부재(334)의 탄성 복원에 의한 구동 샤프트(331)의 위치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11)에 대한 개방시에도 날개부(32)와 포스트부(21a, 21b)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걸림부(3331)는 내측 탄성부재(332)의 타단부(닫힘 방향을 향하는 끝단 부분)와 걸림부(3331)가 연결되지 않은 것 대비 내측 탄성부재(332)와 서로에 대해 헛돌지 않고, 상호 외력 작용이 긴밀히 이루어지도록, 그의 열림 방향을 향하는 면이 내측 탄성부재(332)의 타단부(닫힘 방향을 향하는 끝단 부분)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걸림부(3331)는 그의 열림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열림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측 탄성부재(332)는 그의 타단부가 돌출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3331)와 내측 탄성부재(332)의 상호 외력 작용시 불필요한 외력 손실이 방지되면서 높은 효율로 연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걸림부(3331)의 돌출부는 스틱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 탄성부재(332)의 최대 압축 상태일 때의 내측 탄성부재(332)의 열림 닫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탄성부재(332)의 최대 압축 전에 돌출부의 열림 방향 끝단인 일단이 슬롯 형성 관부(3312)의 열림 방향을 향하는 끝단면에 접촉되어 레버 유닛(333)의 이동을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걸림부는 스틱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외측 탄성부재(334)는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고온인 제1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수축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온인 제2 상태에서 열림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설정되는 SMA 스프링(Shape Memory Alloy Spring)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SMA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놓이게 하는 히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히터 유닛은 SMA 스프링이 고온 상태인 제1 상태에 놓이도록 발열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유닛은 SMA 스프링이 저온 상태인 제2 상태에 놓이도록, 발열 기능을 오프(off)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유닛은 접촉 부재(2111)와 레버(3332)의 접촉시 발열할 수 있고, 접촉 부재(2111)와 레버(3332)의 접촉 해제시 발열 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 작용시 외측 탄성부재(334)는 보다 빠르게 수축하여 내측 탄성부재(332)의 압축에 따른 날개부(32)의 덮힘 상태 구현 전에 구동부(33)를 구동 샤프트(331)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날개부(32)와 포스트부(21a, 21b)의 간섭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포스트부(21a)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내측 탄성부재(332)가 외측 탄성부재(334)보다 빠르게 신장될 필요가 있으므로, 접촉 부재(2111)와 레버(3332)의 접촉 해제 후 히터 유닛의 발열이 오프되어 외측 탄성부재의 신장이 이루어져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SMA 스프링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통로가 형성되고, 구동부(33)는 SMA 스프링이 제2 상태에 놓이도록 내부통로에 냉각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부는 접촉 부재(2111)와 레버(3332)의 접촉 해제시 냉각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탄성부재(334)는 냉각 유체의 공급에 의해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 복원 후에 신속하게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3)의 구동이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폴딩 도어용 레일
11: 함몰부
12: 샤프트 수용홈
2: 폴딩 도어
21a: 제1 포스트부
21b: 제2 포스트부
211: 롤러 구조체
2111: 접촉 부재
212: 포스트
3: 커버 유닛
31: 커버 샤프트
311: 커버 샤프트의 슬롯
32: 날개부
33: 구동부
331: 구동 샤프트
3311: 연결 봉부
3312: 슬롯 형성 관부
33121: 슬롯 형성 관부의 슬롯
332: 내측 탄성부재
333: 레버 유닛
3331: 걸림부
3332: 레버
3333: 연결부
334: 외측 탄성부재

Claims (8)

  1. 폴딩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와 창호의 두께 방향으로 이웃하게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하는 폴딩 도어용 레일;
    상기 함몰부를 따라 상기 폭 방향 이동하는 롤러 구조체 및 상기 롤러 구조체가 하단에 장착되는 포스트를 갖는 포스트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폴딩 도어; 및
    상기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 복수개는 상기 폴딩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제 1포스트부 및 상기 제 1 포스트부와 열림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2 포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장착되는 커버 샤프트; 상기 커버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 샤프트의 일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대한 덮힘 상태가 되거나, 상기 커버 샤프트의 타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대한 개방 상태가 되는 날개부; 및 폴딩 도어의 열림 방향 끝단인 상기 커버 샤프트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포스트부와 접촉된 상태로 폴딩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되는 선형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샤프트에 제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커버 샤프트에 대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허용되되 회전시에는 그의 회전력을 상기 커버 샤프트에 제공하도록 상기 커버 샤프트와 연결되는 연결 봉부 및 상기 연결 봉부로부터 상기 열림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에 나선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슬롯 형성 관부를 포함하는 구동 샤프트; 일단은 위치 고정되고 상기 슬롯 형성 관부 내부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내측 탄성 부재; 상기 선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선형 구동력을 상기 내측 탄성 부재에 전달하는 레버 유닛; 및 일단은 위치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외측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탄성 부재는 상기 선형 구동력에 의해 압축 변형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레버 유닛의 상기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구동 샤프트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폴딩 도어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유닛은, 상기 내측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레버 유닛의 상기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구동 샤프트가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폴딩 도어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유닛은, 상기 슬롯을 통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슬롯 형성 관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슬롯 형성 관부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인, 폴딩 도어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탄성부재는,
    상기 레버 유닛의 상기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소정 이상 진행되기 전에 압축 변형되도록, 상기 내측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것인, 폴딩 도어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탄성부재는, 그의 최종 압축 상태시에 상기 제1 포스트부의 롤러 구조체가 상기 폴딩 도어용 레일의 상기 날개부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벗어나게 하는 압축 변화량을 갖는 것인, 폴딩 도어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샤프트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폭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관 부재이고,
    상기 연결 봉부는 상기 관 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관 부재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딩 도어 조립체.

KR1020180143705A 2018-11-20 2018-11-20 폴딩 도어 조립체 KR10198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05A KR101989553B1 (ko) 2018-11-20 2018-11-20 폴딩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05A KR101989553B1 (ko) 2018-11-20 2018-11-20 폴딩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553B1 true KR101989553B1 (ko) 2019-06-14

Family

ID=6684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05A KR101989553B1 (ko) 2018-11-20 2018-11-20 폴딩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9491A1 (it) * 2022-05-09 2023-11-09 Wingeco S R L Soglia adattiva per porte scorrevol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988Y2 (ja) * 1992-06-22 1997-03-26 東工シャッター株式会社 ガイドレール及び該ガイドレールの溝部閉鎖装置
JP2001336368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出入り口の下枠部分の構造
KR101271633B1 (ko) * 2011-06-22 2013-06-11 안중식 접이식 도어
KR101734034B1 (ko) * 2017-01-02 2017-05-10 케이에스토스템 주식회사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KR101760014B1 (ko) * 2015-02-04 2017-07-31 주식회사 노프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988Y2 (ja) * 1992-06-22 1997-03-26 東工シャッター株式会社 ガイドレール及び該ガイドレールの溝部閉鎖装置
JP2001336368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出入り口の下枠部分の構造
KR101271633B1 (ko) * 2011-06-22 2013-06-11 안중식 접이식 도어
KR101760014B1 (ko) * 2015-02-04 2017-07-31 주식회사 노프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KR101734034B1 (ko) * 2017-01-02 2017-05-10 케이에스토스템 주식회사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9491A1 (it) * 2022-05-09 2023-11-09 Wingeco S R L Soglia adattiva per porte scorrevoli
WO2023218490A1 (en) * 2022-05-09 2023-11-16 Wingeco Srl Adaptive threshold for sliding do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6049B2 (en) Washing machine
KR101989553B1 (ko) 폴딩 도어 조립체
KR101064697B1 (ko) 도어용 힌지장치
US20070209411A1 (en) Door Locking Wwitch of 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EP2451334B1 (en) A dishwasher with automatically opening door
CN107558118B (zh) 洗衣机
JP7351486B2 (ja) 格納式ドアハンドル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操作方法
EP3077237B1 (en) Air vent dial for automobile
JP6849225B2 (ja) 低嵩高ヒンジ
TW202001066A (zh) 用於家具的減速鉸鏈
EP1469147A2 (en) A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US6336541B1 (en) Actuation device having improved working speed
EP3636333A1 (en) Air dryer, electric system and production process of an electric system
KR101327034B1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20130132017A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200408365Y1 (ko) 식기 세척기용 세제 공급장치
KR101190952B1 (ko)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KR101876126B1 (ko) 여닫이 문의 문틀과 기밀유지장치
KR102004428B1 (ko) 냉장고
WO2019171225A1 (en) Cartridge rotary damper comprising a linear damper
KR102311406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372390Y1 (ko)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KR20230117782A (ko)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CA2711348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KR101458095B1 (ko) 글로브박스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