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10B1 - 천장 마감재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10B1
KR101271610B1 KR1020100056530A KR20100056530A KR101271610B1 KR 101271610 B1 KR101271610 B1 KR 101271610B1 KR 1020100056530 A KR1020100056530 A KR 1020100056530A KR 20100056530 A KR20100056530 A KR 20100056530A KR 101271610 B1 KR101271610 B1 KR 10127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ceiling
wall
ma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483A (ko
Inventor
조현진
이상수
김희준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천장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장 마감재는, 천장재와 벽체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메인 마감부와, 상기 메인 마감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벽면에 선 접촉하는 보조 마감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벽체의 벽면 또는 불균일한 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천장 마감재 {CORNI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천장재와 벽체의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실을 구성하는 천장재와 벽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천장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업무용, 공장용 건물 등의 실내 공간 혹은 선박의 선실은 벽체와 천장재를 통해 구획 형성되는데, 일 예로서 선박의 선실 구조는 천장재와 벽체의 상단부를 연결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선박의 선실을 구획하기 위한 천장재와 벽체의 연결 부위 내지 체결 부위는 일반적으로 "천장 돌림띠" 라 불리는 PVC 소재의 천장 마감재를 통해 마감된다.
이러한 천장 마감재는 천장재와 벽체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 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되며, 벽체와의 틈새를 막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천장 마감재는 띠 형태를 취하면서 양측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양측면의 내측으로 연결 브라켓이 결합되며, 한 쪽 측면이 벽체의 벽면으로 밀착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벽체의 불균일한 부위 예컨대, 출입문의 틀 등과 같은 돌출 부위를 마감하기 위해 그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천장 마감재의 일부를 그라인드 가공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 마감재는 연결 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천장재와 벽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고, 한 쪽 측면이 벽체에 밀착되면서 벽체와의 틈새를 제거하는 바, 그 측면과 벽체의 벽면이 면 접촉하게 되므로, 측면과 벽면 사이에 불균일한 틈이 생기게 된다.
이는 선실 마감 작업에 대한 선주의 불만족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실리콘 등으로 측면과 벽면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등의 추가 작업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벽체의 불균일한 부위(돌출 부위)를 마감하는 경우, 천장 마감재의 측면을 그라인드 가공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생산 시수가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의 숙련도가 부족한 경우 측면과 돌출 부위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벽체의 벽면 또는 불균일한 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천장 마감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는, 천장재와 벽체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메인 마감부와, 상기 메인 마감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벽면에 선 접촉하는 보조 마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마감부는 상기 벽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마감부의 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마감 처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는 상기 측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마감부는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마감 처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는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와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3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감부와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 사이에는 제4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5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6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감부에는 상기 천장재와 벽체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이 결합되도록 클립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 마감재는, 선박의 선실에서 상기 천장재와 벽체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에 의하면, 천장재에 대한 연결 브라켓의 연결 부위 및 고정부재의 체결 부위를 메인 마감부를 통해 마감하고, 보조 마감부가 벽체의 벽면에 선 접촉식으로 밀착되면서 벽면과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마감부를 통해 벽체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여 실리콘 등으로 틈새를 메우는 등의 추가 작업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마감부와 벽체 사이의 거리 및 벽체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여 보조 마감부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그라인드 작업 등의 생산 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에 적용되는 보조 마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에 적용되는 보조 마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100)는 해상용 선박에서 선실을 구성하기 위한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구조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장 마감재(100)가 선박의 선실 구조에 적용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거용, 업무용, 공장용 건물 등에서 룸을 구획하기 위한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선박의 선실은 벽체(20)와, 그 벽체(20)의 상단부 측에 설치되는 천장재(10)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바, 천장재(10)와 벽체(20)는 불연성 단열재(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인슐레이션" 이라고도 한다)를 스틸 판재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천장재(10)는 벽체(20)의 상단부를 일체로 감싸는 연결 브라켓(30)(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탑 프로파일" 이라고도 한다)을 통하여 벽체(20)와 연결되는데, 그 연결 브라켓(30)에 체결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40)를 통해 벽체(2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 브라켓(30)을 통한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구조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100)는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부위 즉, 천장재(10)에 대한 연결 브라켓(30)의 연결 부위 및 고정부재(40)의 체결 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천장 마감재(100)는 연결 브라켓(30)에 결합되는 천장 돌림 띠로서, 천장재(10)에 대한 연결 브라켓(30)의 연결 부위 및 고정부재(40)의 체결 부위를 커버링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천장 마감재(100)는 연결 브라켓(30)과의 결합 및 절단이 용이하고, 소정의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 소재 예컨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천장 마감재(100)는 연결 브라켓(30)에 결합된 상태로 벽체(20)에 완전 밀착되면서 그 벽체(20)와의 틈새를 제거하고, 벽체(20)의 불균일한 부위(당 업계에서는 통상 "프로파일" 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출입문의 틀 등과 같은 돌출 부위를 간단한 작업으로서 틈새 없이 마감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장 마감재(100)는 기본적으로, 메인 마감부(50), 및 보조 마감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도 1과 함께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마감부(50)는 천장재(10)에 대한 연결 브라켓(30)의 연결 부위 및 고정부재(40)의 체결 부위를 실질적으로 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메인 마감부(50)는 연결 브라켓(3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바, 띠 형태의 베이스면(51)을 지니며, 베이스면(5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측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측면(52, 53)을 형성하고, 그 양단부가 베이스면(5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 마감부(50)에 있어, 벽체(20)의 벽면에 대응하는 면을 제1 측면(52)으로 명명하고, 제1 측면(52)에 반대되는 면을 제2 측면(53)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마감부(50)에는 연결 브라켓(3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클립부재(55)가 형성되는 바, 이 클립부재(55)는 제2 측면(53)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클립부재(55)는 제2 측면(53)으로부터 베이스면(51)을 향해 하향 경사지며 다시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그 하향 경사부와 상향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이 베이스면(5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57)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마감부(50)는 연결 브라켓(30)의 단부가 클립부재(55)와 돌출부재(57) 사이로 끼워지고, 이 때 클립부재(55)가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 브라켓(3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마감부(60)는 메인 마감부(50)와 일체로 형성되며, 벽체(20)에 완전 밀착되면서 그 벽체(20)와의 틈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 마감부(60)는 메인 마감부(50)의 제1 측면(52)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그 측면(52)에서 벽체(20)의 벽면을 향해 수직 방향 즉, 메인 마감부(5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벽체(20)의 벽면에 선 접촉된다.
이러한 보조 마감부(60)는 제1 측면(52)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마감 처리부재(70)와, 제1 마감 처리부재(7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마감 처리부재(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70)는 메인 마감부(50)의 제1 측면(52) 상단부에서 그 메인 마감부(5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메인 마감부(50)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80)는 제1 마감 처리부재(7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그 단부에서 제1 마감 처리부재(7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80)는 벽체(20)의 벽면에 실질적으로 선 접촉하는 부분으로, 벽체(20)의 벽면에 완전 밀착되면서 벽체(20)와의 틈새를 제거하는데, 제1 마감 처리부재(7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마감 처리부재(70)와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연결 부분에는 제1 마감 처리부재(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절단홈(9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80)에는 제1 마감 처리부재(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절단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80)는 제2 절단홈(92)에 의해 폭 방향으로 두 개의 마디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절단홈(91)은 제1 마감 처리부재(70)로부터 제2 마감 처리부재(80)를 절단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절단홈(92)은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브이(V)자 형상의 그루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절단홈(91, 92)은 메인 마감부(50)의 제1 측면(52)과 벽체(20)의 벽면 간 거리에 따라, 제2 마감 처리부재(80) 전체 또는 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80) 전체 또는 일부는 커터 칼이나 작업자의 손으로 제1 및 제2 절단홈(91, 92)을 컷팅함으로써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각 마디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3 절단홈(9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각 마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절단홈(93)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절단홈(93)은 벽체(20)의 불균일한 부위 예컨대, 출입문의 틀 등과 같은 돌출 부위를 마감하기 위해 그 돌출 부위의 돌출 길이 만큼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100)에 의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부위 즉, 천장재(10)에 대한 연결 브라켓(30)의 연결 부위 및 고정부재(40)의 체결 부위를 메인 마감부(50)를 통해 마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인 마감부(50)는 클립부재(55)를 통해 연결 브라켓(30)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그 클립부재(55)와 돌출부재(57) 사이로 연결 브라켓(30)의 단부를 끼우게 되면, 클립부재(55)가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 브라켓(3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보조 마감부(60)의 제2 마감 처리부재(80)는 벽체(20)의 벽면에 선 접촉하며 그 벽체(20)에 완전 밀착되면서 벽면과의 틈새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과정에서, 메인 마감부(50)의 제1 측면(52)과 벽체(20)의 벽면 간 거리에 따라 도 5a에서와 같이 제1 절단홈(91)을 통해 제2 마감 처리부재(80) 전체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마감부(50)와 벽체(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도 5b에서와 같이 제2 절단홈(92)을 통해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일부 마디를 절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마감부(50)와 보조 마감부(60)를 통해 천장재(10)와 벽체(20)의 연결 부위를 마감처리 하는 과정에서, 돌출 부위와 같은 벽체(20)의 불균일한 부위를 마감하는 경우, 도 5c에서와 같이 제3 절단홈(93)을 통해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마디 일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에 적용되는 보조 마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마감부(60)는 도 6a의 제1 변형예에서와 같이, 제1 마감 처리부재(70)와 제2 마감 처리부재(80)의 연결 부분에 제1 절단홈(91)을 형성하고, 제2 마감 처리부재(80)를 제1 마감 처리부재(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일의 마디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마감부(60)의 제2 변형예에서는 도 6b에서와 같이, 제1 절단홈(91)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면서, 제2 마감 처리부재(80)에 제1 마감 처리부재(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절단홈(92)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는 제2 마감 처리부재(80)에 둘 이상의 제2 절단홈(92)을 형성하여 폭 방향으로 세 개 이상의 마디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제2 절단홈(92)을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장 마감재(100)에 의하면, 천장재(10)에 대한 연결 브라켓(30)의 연결 부위 및 고정부재(40)의 체결 부위를 메인 마감부(50)를 통해 마감하고, 보조 마감부(60)가 벽체(20)의 벽면에 선 접촉식으로 밀착되면서 벽면과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마감부(60)를 통해 벽체(20)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여 실리콘 등으로 틈새를 메우는 등의 작업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마감부(50)와 벽체(20) 사이의 거리 및 벽체(20)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여 보조 마감부(60)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그라인드 작업 등의 생산 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 마감재(200)는 전기 제1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제1 마감 처리부재(170)가 메인 마감부(150)의 제1 측면(152)에서 그 측면(15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마감부(16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170)는 제1 측면(15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메인 마감부(15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마감 처리부재(170)의 단부에는 제2 마감 처리부재(180)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170)와 제2 마감 처리부재(180)의 연결 부분에는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1 절단홈(1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마감 처리부재(180)에는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절단홈(192)이 형성되어 있다(7b 및 도 7c 참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 마감재(300)는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2 마감 처리부재를 배제한 상태로, 제1 마감 처리부재(270)가 메인 마감부(250)의 제1 측면(252)에서 그 측면(25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마감부(26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마감부(250)와 제1 마감 처리부재(270)의 연결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4 절단홈(294)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1 마감 처리부재(27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5 절단홈(295)을 형성할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c 참조).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의 불균일한 부위를 마감하기 위해 도 8d에서와 같이 제1 마감 처리부재(270)에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6 절단홈(29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마감부(260)의 폭을 가변하고, 벽체의 불균일한 부위를 마감하기 위해 제1 마감 처리부재(270)의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에 적용되는 보조 마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마감부(260)는 도 9a의 제1 변형예에서와 같이, 제1 마감 처리부재(270)를 메인 마감부(250)의 제1 측면(252) 상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마감부(260)는 도 9b의 제2 변형예에서와 같이, 제1 마감 처리부재(270)를 메인 마감부(250)의 제1 측면(252)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천장 마감재(30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천장재 20... 벽체
30... 연결 브라켓 40... 고정부재
50... 메인 마감부 51... 베이스면
52... 제1 측면 53... 제2 측면
55... 클립부재 57... 돌출부재
60... 보조 마감부 70... 제1 마감 처리부재
80... 제2 마감 처리부재 91... 제1 절단홈
92... 제2 절단홈 93... 제3 절단홈
294... 제4 절단홈 295... 제5 절단홈
296... 제6 절단홈

Claims (13)

  1. 천장재와 벽체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메인 마감부; 및
    상기 메인 마감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벽면에 선 접촉하는 보조 마감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마감부는 상기 벽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마감부의 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마감 처리부재와,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마감 처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는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는 상기 측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는 상기 측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와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절단홈이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절단홈이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처리부재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3 절단홈이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감부와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 사이에는 제4 절단홈이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5 절단홈이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처리부재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6 절단홈이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감부에는 상기 천장재와 벽체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이 결합되도록 클립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천장 마감재.
  13. 제1 항에 있어서,
    선박의 선실에서 상기 천장재와 벽체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것인 천장 마감재.
KR1020100056530A 2010-06-15 2010-06-15 천장 마감재 KR10127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30A KR101271610B1 (ko) 2010-06-15 2010-06-15 천장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30A KR101271610B1 (ko) 2010-06-15 2010-06-15 천장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83A KR20110136483A (ko) 2011-12-21
KR101271610B1 true KR101271610B1 (ko) 2013-06-11

Family

ID=4550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30A KR101271610B1 (ko) 2010-06-15 2010-06-15 천장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1725B (zh) * 2018-06-28 2024-02-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固定连接装置及具有其的模块化单元舱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083Y1 (ko) 1995-09-14 1999-06-01 김용환 천정 돌림테 고정구
KR20000003120A (ko) * 1998-06-25 2000-01-15 김용배 건축내장용 천장재
KR100722165B1 (ko) 2006-04-29 2007-05-30 스타코 주식회사 천정재 pvc 마감덮개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083Y1 (ko) 1995-09-14 1999-06-01 김용환 천정 돌림테 고정구
KR20000003120A (ko) * 1998-06-25 2000-01-15 김용배 건축내장용 천장재
KR100722165B1 (ko) 2006-04-29 2007-05-30 스타코 주식회사 천정재 pvc 마감덮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83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2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building panel
CN106522496B (zh) 外装构造
KR101119604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US10941570B2 (en) End cap for ceiling panel and ceil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CA3054647C (en) Wall structure for building, attachment apparatus, and board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CA2818150A1 (en) Construction framing member with integrated thermal brea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U2018289851B2 (en) Wall structure for building, attachment apparatus, and board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JP6362997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271610B1 (ko) 천장 마감재
KR101765673B1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JP4888278B2 (ja) 基礎の防蟻構造
JP2013133693A (ja) カギ爪付き座金
JP2020117963A (ja) 壁板支持具、及び壁構造
KR20140127580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JPH0320540B2 (ko)
JP6334117B2 (ja) 屋根の棟構造
JP6186661B2 (ja) 棟違い屋根用けらば部材
KR101988607B1 (ko) 유니트 블록 연결식 거푸집
JP6966209B2 (ja)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JP4828209B2 (ja) 外部床構造
JP4391196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敷居装置
JPH10152968A (ja) タイル支持具
JP6802648B2 (ja) 外壁構造
JP5496870B2 (ja)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取付枠及びその施工方法
JP6312240B2 (ja) 型枠パネル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