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348B1 -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348B1
KR101271348B1 KR1020110089387A KR20110089387A KR101271348B1 KR 101271348 B1 KR101271348 B1 KR 101271348B1 KR 1020110089387 A KR1020110089387 A KR 1020110089387A KR 20110089387 A KR20110089387 A KR 20110089387A KR 101271348 B1 KR101271348 B1 KR 10127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container
lid
container li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012A (ko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이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용 filed Critical 이종용
Priority to KR102011008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3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65D45/24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incorporating pressure-applying means, e.g. screws or tog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결합부재에 관하여 개시된 것으로, 용기 몸체(10)의 일측에서 몸체 체결구(3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몸체(30);와, 선단부에 힌지홀(36)이 천공되고 결합부재 몸체의 단부에서 용기 몸체의 타측으로 90°절곡 형성되는 힌지(35);와, 힌지의 힌지홀에 체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결합부재 회전부(40);와, 결합부재 회전부와 직교되도록 수평선상으로 연장되고 용기 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V형으로 하향 절곡되는 가압부(42);와, 용기 뚜껑(20)과 간섭되면서 용기 뚜껑의 모서리에 지지되는 지지홈(41);으로 이루어져, 손걸림부(50)를 연직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압부(42)에 의해 용기 뚜껑(2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원터치형 결합부재를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One-touch coupler for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의 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결합부재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뚜껑의 개폐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밀폐용기는 가정 및 야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거나 혹은 차량 이동의 경우 흔들림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고자 각종 음식물을 냉장고에 저장하는 경우에 있어 전술한 밀폐용기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냉장고용 밀폐용기에 음식물을 저장함에 따라 해당 음식물의 냄새가 냉장고 내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관리 및 취급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용기의 몸체와 뚜껑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는 실린콘 내지 고무 등의 패킹으로 마감하는 한편, 몸체와 뚜껑 사이에 강한 압력이 인가되게 하는 결착구를 사용하여 뚜껑의 개폐시 뚜껑의 상면에 가압과 가압 해지를 반복함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통상의 결착구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결합부재에 의하면, 조작시 한 손만으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필수불가결하게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뚜껑을 개폐시키는 구조이므로, 조작을 함에 있어 불편한 면이 존재한다.
즉, 용기 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 손은 뚜껑이나 용기의 몸체를 잡은 후 나머지 손으로 결착구를 조작하여야만 하는 것은 물론, 그 구조상 뚜껑의 개폐를 위하여 몸체의 측면에서 수평선상으로 일정 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결착구의 회동 영역 또한 측 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의 결착구가 선회하는 회동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 손만으로도 쉽게 밀폐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수반되지 않음에도 뚜껑의 개폐가 간편하게 구현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터치형 결합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결합부재는, 용기 몸체(10)의 일측에서 몸체 체결구(3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몸체(30);와, 선단부에 힌지홀(36)이 천공되고 결합부재 몸체의 단부에서 용기 몸체의 타측으로 90°절곡 형성되는 힌지(35);와, 힌지의 힌지홀에 체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결합부재 회전부(40);와, 결합부재 회전부와 직교되도록 수평선상으로 연장되고 용기 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V형으로 하향 절곡되는 가압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기 뚜껑(20)과 간섭되면서 용기 뚜껑의 모서리에 지지되는 지지홈(41);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걸림부(50)를 연직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뚜껑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손걸림부(50)를 원터치로 용기 뚜껑(20)의 바깥쪽으로 젖혀 용기뚜껑(20) 모서리의 지지를 해제함에 따라 용기 뚜껑(20)의 상면에 인가된 압력이 해제되면서 용기 뚜껑(20)이 개방되고, 손걸림부(50)를 원터치로 용기 뚜껑(20)의 안쪽으로 젖혀 용기뚜껑(20) 모서리를 지지함에 따라 용기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용기 몸체(10)를 밀폐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 손만으로도 쉽게 밀폐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몸체의 측면에서 수평선상으로 일정 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결합부재의 회동 영역 또한 측 방향으로 이루어지던 종래기술을 개선하여, 뚜껑의 상면에서 수직선상으로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뚜껑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해당 결합부재가 선회할 수 있는 별도의 회동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적용되는 결합부재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뚜껑의 개폐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밀폐용기(5)의 용기뚜껑을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작하여 지지 및 가압하여 밀폐하고, 원터치로 인가된 압력을 해제하여 밀폐된 용기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결합부재(1)에 관련된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10)의 일측에서 몸체 체결구(3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몸체(30);와, 선단부에 힌지홀(36)이 천공되고 결합부재 몸체의 단부에서 용기 몸체의 타측으로 90°절곡 형성되는 힌지(35);와, 힌지의 힌지홀에 체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결합부재 회전부(40);와, 결합부재 회전부와 직교되도록 수평선상으로 연장되고 용기 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V형으로 하향 절곡되는 가압부(42);와, 용기 뚜껑(20)과 간섭되면서 용기 뚜껑의 모서리에 지지되는 지지홈(4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터치형 결합부재(1)는 결합부재 몸체(30)와 결합부재 회전부(40)로 구성되어 기능을 하는데, 결합부재 몸체(30)는 원터치 결합부재(1)를 용기 몸체(10)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기둥과도 같은 역할을 하므로, 용기 몸체(10)와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몸체 체결구(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체결구(31)를 통해 리벳이나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용접으로도 체결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재 몸체(3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35)를 용기 몸체(10)의 타측 방향으로 90°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힌지(35)에는 결합부재 회전부(40)의 단부가 구속되도록 힌지홀(36)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결합부재 회전부(40)가 힌지(35)의 힌지홀(36)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 회전부(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의 힌지홀에 체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구성요소로, 지지홈(41); 및 가압부(42)를 포함하고, 그 단부에는 손걸림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손걸림부(50)는 용기 몸체(10)로부터 용기 뚜껑(20)을 개폐하기 위하여 일정 가압력의 제공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성요소이며, 용기 뚜껑의 개폐를 위하여 사용자가 손걸림부를 연직 상방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가압부에 의해 지지되던 용기 뚜껑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손걸림부(50)는 가압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부재 회전부(40)를 회전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 유용한 수단이 되는바, 사용자는 한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폐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42)는 결합부재 회전부(40)와 직교되도록 수평선상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용기 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V형으로 하향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부재 회전부(40)가 용기 뚜껑(20)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기 뚜껑(20)의 상면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V형으로 구축된 최소 면적만으로 용기 뚜껑(20)을 가압하게 함으로써 공간 대비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비교적 크지 않은 힘으로도 본 발명의 결합부재를 간편하게 활용 가능함에 따라 보다 적은 힘으로 용기 뚜껑에 가압력을 제공 내지 차단하게 되면서 사용상 편의성이 수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압부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은 용기 몸체(10)의 상단 외주연 및 이러한 용기 몸체 외주연 상면에 위치되는 용기 뚜껑(20)의 외주연 상측에 중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홈(41)은 이렇듯 결합부재 회전부(40)가 용기뚜껑(20)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용기 뚜껑(20)과의 상호 간섭성을 극대화하여 회전 동작이 억지스럽지 않고 유연하게 유도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밀착력과 지지력을 증대시켜 해당 용기 뚜껑(20)이 흔들리지 않게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이는, 결합부재 회전부(40) 자체를 흔들림없이 고정하는 역할도 병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 회전부(40)의 지지홈(41)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한 것처럼 용기 뚜껑(20)의 모서리에 긴밀하게 끼일 수 있도록 각도를 유지하는 홈으로서, 용기 뚜껑의 모서리에 체결될 때 결합부재 회전부(40) 자체가 스프링 역할을 하여 강하게 용기 뚜껑과 결합부재 회전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원터치형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해당 밀폐용기(5)를 밀폐하고자 할 경우, 결합부재 회전부(40)의 손걸림부(50)를 원터치로 용기 뚜껑(20)의 안쪽으로 젖혀 용기뚜껑(20) 모서리의 지지를 해제함에 따라 용기 뚜껑(20)의 상면에 인가된 압력이 해제되면서 용기 뚜껑(20)이 개방되고, 손걸림부(50)를 원터치로 용기 뚜껑(20)의 안쪽으로 젖혀 용기뚜껑(20) 모서리를 지지함에 따라 용기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용기 몸체(10)를 밀폐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여러 크기와 형태의 모든 밀폐용기에 적용이 가능하여 하여 손쉽게 한 손으로 밀폐용기의 뚜껑에 가압과 해제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한 원터치형 결합부재의 크기나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이상,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원터치형 결합부재 5: 밀폐용기
10: 용기 몸체 20: 용기 뚜껑
30: 결합부재 몸체 31: 몸체 체결구
35: 힌지 36: 힌지홀
40: 결합부재 회전부 41: 지지홈
42: 가압부 50: 손걸림부

Claims (1)

  1. 용기 몸체(10)의 일측에서 몸체 체결구(3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몸체(30);와, 선단부에 힌지홀(36)이 천공되고 결합부재 몸체의 단부에서 용기 몸체의 타측으로 90°절곡 형성되는 힌지(35);와, 힌지의 힌지홀에 체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결합부재 회전부(40);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회전부(40)는 용기 뚜껑(20)과 간섭되면서 용기 뚜껑의 모서리에 지지되는 지지홈(41);과, 용기 뚜껑(2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V형으로 하향 절곡되는 가압부(42);와, 가압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손걸림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1).
KR1020110089387A 2011-09-05 2011-09-05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KR10127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87A KR101271348B1 (ko) 2011-09-05 2011-09-05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87A KR101271348B1 (ko) 2011-09-05 2011-09-05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54 Division 201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12A KR20120064012A (ko) 2012-06-18
KR101271348B1 true KR101271348B1 (ko) 2013-06-04

Family

ID=4668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87A KR101271348B1 (ko) 2011-09-05 2011-09-05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57Y1 (ko) * 2003-09-17 2004-01-03 주식회사 베스틴 수납용기의 잠금장치
KR200436089Y1 (ko) * 2007-01-06 2007-05-16 전병안 밀폐 용기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57Y1 (ko) * 2003-09-17 2004-01-03 주식회사 베스틴 수납용기의 잠금장치
KR200436089Y1 (ko) * 2007-01-06 2007-05-16 전병안 밀폐 용기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12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1148S1 (en) Container
USD556037S1 (en) Lids for cups
JP2013523548A5 (ko)
WO2011129920A3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MX2010012879A (es) Elemento de seguridad para un elemento obturador.
WO2005113409A3 (en) Apparatus for fastening and loosening a lid from a container
US20120248113A1 (en) Resealable Hinged Tab Opener For A Can
FR2932638A1 (fr) Appareil d'accostage et d'ouverture de futs
KR101271348B1 (ko) 밀폐용기의 원터치형 결합부재
KR101402038B1 (ko) 다용도 병따개
KR200404820Y1 (ko)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US8727164B1 (en) Gas release resealable tab mechanism for a beverage container
KR200487891Y1 (ko) 탄성 걸림식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
JP2007246129A (ja)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TW200718469A (en) Laboratory microtube
JP4849089B2 (ja) 食品用容器
JP5059640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CA2822667A1 (en) Retaining collar for liner-containing vessel
JP3159603U (ja) 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開け器
JP6071072B2 (ja) 蓋開閉具
JP4558351B2 (ja) 化粧用容器
KR20130139594A (ko) 밀폐용기의 뚜껑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TWI715407B (zh) 具有蓋子的容器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