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81B1 -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81B1
KR101271081B1 KR1020110112537A KR20110112537A KR101271081B1 KR 101271081 B1 KR101271081 B1 KR 101271081B1 KR 1020110112537 A KR1020110112537 A KR 1020110112537A KR 20110112537 A KR20110112537 A KR 20110112537A KR 101271081 B1 KR101271081 B1 KR 10127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feature
authentication
unit
pup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481A (ko
Inventor
정지훈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자 인식 장치로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 판단하기 위한,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과 상기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RIVER RECOGNI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운전자의 얼굴을 인지하여 차량의 작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및 이들의 표시 장치들이 구비된다.
차량의 편의 내지 안전 장치의 고급화로 인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보안을 위하여 차량의 스마트 키를 통한 개인 인증 방식의 활발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차량용 스마트 키는 개별 인지를 이루는 경우 탑승자마다 상이한 키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키의 장점은 운전자 개별 인식을 통하여 스마트 키의 소지자가 탑승하는 경우 설정된 시트의 위치 및 사이드 미러의 조정을 통하여 안정적인 운전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 하지만, 가족이 공용하는 차량의 경우 차량 스마트 키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트 내지 사이드 미러의 설정을 운전자마다 자동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운전자가 주행 중 머리의 위치가 변동하는 경우 차량 사이드 미러를 통한 인지 영역이 변화되어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감지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통한 운전자의 개인 인증을 이루어 편의를 제공하고, 운전자의 머리, 즉 얼굴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얼굴 인지를 통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를 연동시킬 수 있는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자 인식 장치로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 판단하기 위한,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과 상기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와, 상기 제어부의 운전자 적합성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 시동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차량 시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운전자 적합성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 사이드 미러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미러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의 운전자 적합성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 시트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시트 모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미러 스위치와, 차량의 시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시트 스위치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된 미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위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조정하는 미러 연동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미러 연동 스위치와,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미러 스위치와 시트 스위치에 의하여 조정된 차량 사이드 미러 및 운전자 시트의 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메모리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 판단하기 위한,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과 상기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차량의 무선 통신부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키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키로부터 키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전 설정 키 정보와 비교하여 운전자 키 인증을 실행하는 키 인증 단계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세팅 단계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작동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인증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전송된 키 인증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하는 무선 키 정보 통신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산부에 키 정보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수신된 상기 키 인증 정보를 상기 사전 설정 키 정보를 비교하는 키 정보 확인 단계와, 상기 키정보 확인 단계에서 상기 키 인증 정보와 상기 사전 설정 키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에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키 인증 경고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팅 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운전자 특징을 입력하는 세팅 인증 모드와, 운전자가 차량 시트에서 이동하는 위치의 전후방 이동 범위를 설정하여 차량 사이드 미러의 연동 범위를 설정하는 세팅 연동 모드 중 입력되는 선택 모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세팅 모드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부의 시트 스위치를 통하여 차량 시트의 조정되는 위치 신호를 입력받는 위치 조정 입력 단계와, 상기 세팅 모드 입력 단계에서 입력되는 세팅 모드를 판단하는 세팅 모드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팅 모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세팅 모드가 세팅 인증 모드인 경우, 운전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특징을 확인 저장하는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세팅 인증 감지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상기 세팅 인증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세팅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된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의 눈동자의 색상, 운전자의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추출하는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전자 특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세팅 인증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팅 모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세팅 모드가 세팅 연동 모드인 경우, 운전자의 전후방 이동 영역에서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연동 범위를 확인 설정하는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의 전방 이동 영역에서의 얼굴 이동 영상을 취득하여 전방 이동 영역을 확인하는 전방 이동 확인 단계와,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의 후방 이동 영역에서의 얼굴 이동 영상을 취득하여 후방 이동 영역을 확인하는 후방 이동 확인 단계와, 상기 전방 이동 확인 단계 및 상기 후방 이동 확인 단계에서 취득한 얼굴 이동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얼굴 이동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된 미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대응되는 미러 각도를 산출하는 미러 각도 산출 단계와, 상기 미러 각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따른 미러 연동 각도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미러 연동 각도 상태 저장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 확인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운전자 얼굴의 전방 이동을 요청하는 전방 이동 지시 신호를 전방 이동 지시 단계와,운전자가 전방 이동한 경우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을 영상 감지하여 운전자 전방 이동 영상을 취득하는 전방 이동 영상 취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이동 확인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운전자 얼굴의 후방 이동을 요청하는 후방 이동 지시 신호를 후방 이동 지시 단계와, 운전자가 후방 이동한 경우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을 영상 감지하여 운전자 후방 이동 영상을 취득하는 후방 이동 영상 취득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얼굴 인증하는 인증 모드와, 인증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러 연동 모드를 포함하는 작동 모드 중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작동 모드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 판단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인증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인증 모드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인증 감지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하는 인증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구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인증 특징을 추출하는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는 운전자 인증 특징 비교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 인증 특징 비교 단계에서 비교된 특징을 확인하는 인증 특징 확인 단계와, 상기 인증 특징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부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인증 데이터 실행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특징 추출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색상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및 운전자 입술을 사용하여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구역 특징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특징 비교 단계는: 상기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눈동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비교하는 인증 눈동자 간격 비교 단계와, 상기 인증 눈동자 간격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눈동자 간격 동일 판단 단계와, 상기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눈동 색상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비교하는 인증 눈동자 색상 비교 단계와, 상기 인증 눈동자 색상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눈동자 색상 동일 판단 단계와, 상기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구역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구역 면적을 비교하는 인증 구역 면적 비교 단계와, 상기 인증 구역 면적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구역 면적 동일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 판단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연동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연동 모드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연동 감지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하는 연동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연동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구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연동 특징을 추출하는 연동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연동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는 운전자 연동 특징 비교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 연동 특징 비교 단계에서 비교된 특징을 확인하는 연동 특징 확인 단계와, 상기 연동 특징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부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연동 데이터 실행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동 특징 추출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눈동자 연동 특징 및 운전자 입술을 사용하여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구역 특징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동 특징 비교 단계는: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가로 크기를 확인하는 가로 크기 확인 단계와, 인증된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특징의 가로 크기와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가로 크기의 비율을 연산하는 가로 크기 비율 연산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 중 가로 크기 비율 오차 범위와 상기 가로 크기 비율을 비교하는 가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와, 상기 가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세로 크기를 확인하는 세로 크기 확인 단계와, 인증된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특징의 세로 크기와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세로 크기의 비율을 연산하는 세로 크기 비율 연산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 중 세로 크기 비율 오차 범위와 상기 세로 크기 비율을 비교하는 세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눈동자 거리, 눈동자 색상 및 구역 특징을 사용하여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키를 이용하더라도 운전자의 개별 운전 환경을 저장가능하고 이를 통한 개별 운전자에 따른 시트 위치 내지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자동 조정함으로써 운전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통한 개별 인지를 이룸으로써 차량 보안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인증된 운전자의 전후 위치 이동시에도 연동하여 운전자의 구역 특징의 변화를 인지하여 대응되는 사이드 미러 등의 각도 변화를 이룸으로써 운전자의 측면 후방 주시를 보다 원활하게 하여 안전 운전 상태를 확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의 감지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가 활용하는 운전자 얼굴의 특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운전자가 정위치 내지 전후방 위치 이동한 경우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의 감지부로부터의 얼굴 인식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운전자 별 정위치 내지 전후방 위치 이동한 경우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가 설정하는 구역 특징의 변화의 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운전자의 얼굴 위치에 따른 차량 사이드 미러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 장치는 감지부(1)와, 입력부(5)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와, 연산부(40)와, 작동부(50)를 포함한다. 또한, 운전자 인식 장치(10)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A)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1)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데, 영상 센서로 구현되는 감지부(1)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는 대쉬보드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차량 천장에 장착될 수도 있고, 리어 뷰 미러에 장착될 수도 있는 등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입력부(5)는 탑승자, 즉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하는데, 입력부(5)는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통하여 운전자의 의사가 반영된다. 입력부(5)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미러 스위치(5a), 운전자가 착석하는 차량의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시트 스위치(50b)와, 운전자의 얼굴 위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 제어어 차량 사이드 미러가 조정되는 미러 연동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미러 연동 스위치(5c)와, 개별 운전자에 따른 사이드 미러 내지 시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30)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스위치(5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스위치(5d)는 세팅 모드의 선택을 위한 선택 스위치로 사용되는데, 입력부는 경우에 따라 별도의 세팅 모드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어부(20)는 감지부(1) 및 입력부(5)와 연결되어 소정의 감지 내지 입력되는 감지 신호 및 입력 신호를 연산부(40)로 전달하여 연산 과정을 발생시키거나 저장부(30)에 전달하여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0)는 제어부(20)와 연결되고 운전자 특징을 저장할 수 있는데, 운전자 특징은 개별적인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저장되는 운전자의 정보를 지칭한다. 운전자 특징은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구역 특징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눈동자 특징은 운전자의 취득된 영상 정보 상에서의 눈동자의 간격(Ho)를 나타내고, 운전자 눈동작 색상 특징은 운전자의 눈동작의 색상, 즉 검은색, 푸른색 등과 같은 눈동자의 색상 정보를 나타내고, 운전자 구역 특징은, 운전자의 눈동자가 이루는 선분과 운전자의 입술이 이루는 높이(Vo)와 운전자 눈동자 특징의 눈동자 간격(Ho)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정보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Ho는 눈동자를 포함하는 길이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눈동자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길이(Ho)가 측정되는 기준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는 운전자의 얼굴의 전후 위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그리고 이들의 이루는 구역 면적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된다. 즉, 도 4의 정위치로부터 운전자의 얼굴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의 영상 센서(운전자 감지 센서)와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감지부(1)에서 취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의 크기가 정상 위치에서보다 커진다. 즉, 운전자의 눈동자의 간격은 H1(H1>Ho)의 값을 가지고, 운전자의 눈동작 이루는 선분과 입술이 이루는 수평 선분 사이의 세로 길이는 V1(V1>Vo)의 값을 가지며, 정상 위치에서의 Ho와 Vo가 이루는 구역의 면적인 Do보다 큰 D1의 구역 특징 및 이에 대한 면적을 갖게 된다. 반면, 운전자의 얼굴이 뒤로 이동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얼굴과 감지부(1) 간의 거리가 멀어져, 정위치에서의 운전자가 이루는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구역 면적에 대한 값보다 작은 가로 길이(H2), 세로 길이(V2) 및 구역 면적(D2)을 갖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운전자의 얼굴의 차이, 즉 하기되는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인 운전자의 눈동자 간격을 이루는 가로 길이, 운전자의 구역 특징을 이루는 좌우 눈동자가 이루는 수평 선분과 입술이 이루는 수평선분 간의 세로 길이, 및 이들이 이루는 면적이 각각 다른 운전자의 얼굴이 감지부와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적 사항이 도시된다. 즉, 도 7은 가로길이 세로 길이가 각각 4cm, 4cm인 운전자의 경우, 도 8은 각각 6cm, 4cm인 경우, 도 9는 4cm, 6cm인 경우의 운전자에 대한 전후 위치 변화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들의 각각의 경우 정자세의 위치를 기준으로, 뒤로 이동한 경우, 전방으로 10cm, 20cm 이동한 경우에 대하여 각각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각각의 길이, 특징을 검출한 결과 영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가로 세로 길이의 비율의 변화는 거의 일정한 범위 내에 도달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즉, 운전자의 얼굴의 전후 위치, 즉 감지부(1)와의 거리 차이에 따라 눈동자 간격을 나탸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및 운전자 구역 특징은 가변적이지만, 가로 길이(Ho,1,2)와 세로 길이(Vo,1,2)의 비율은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되고, 비율을 통한 운전자 얼굴의 전후 위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의 연동에 사용될 수 있다.
연산부(40)는 제어부(20)와 연결되고 감지부의 영상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20)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운전자의 특징 정보와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에 장착되는 작동부(50)의 작동 여부가 제어된다. 작동부(50)는 경고부(51), 차량 시동부(53), 미러 모터부(55) 및 시트 모터부(57)를 포함하는데, 경고부(51)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다양한 시청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시동부(53)는 차량의 시동을 위한 스타트 모터 내지 스타트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미러 모터부(55)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현되고, 시트 모터부(57)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모터로 구현된다. 작동부(50)의 경고부(51), 차량 시동부(53), 미러 모터부(55), 시트 모터부(57) 각각은 제어부(20)로부터의 경고 제어 신호, 차량 시동 제어 신호, 차량 사이드 미러 제어 신호, 차량 시트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가동을 이룬다.
특히, 연산부(40)는 영상 처리부(41), 운전자 정보 처리부(42), 키 정보 확인부(43), 운전자 졸음 처리부(44), 운전자 데이터 인증부(45) 및 미러 동기 처리부(46)를 포함하는데, 영상 처리부(41)는 감지부(1)에서 감지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이진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과의 비교를 위한 운전자 정보를 추출 가능하도록 한다.
운전자 정보 처리부(42)는 영상 처리부(41)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정보, 즉 운전자 특징을 추출한다.
키 정보 확인부(43)는 제어부(20)의 키 인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키(A)로부터 송신되는 키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키 정보와 비교한다.
운전자 졸음 처리부(44)는 제어부(20)의 졸음 여부 확인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운전자 특징을 연산하여 현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비교하는데, 운전자 졸음 처리 과정은 통상적인 방식, 즉 눈동자의 흰자위가 이루는 화소의 개수 변화를 통한 졸음 여부 확인 방식과 같은 통상적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운전자 데이터 인증부(45)는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운전자 특징과 저장부(30)에 저장된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고, 미러 동기 처리부(46)는 운전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연동 동작을 위한 미러 연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운전자의 얼굴 위치 이동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위치도 함께 변동하는 미러 연동 기능을 실행하도록 이를 제어부(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얼굴 인식 장치 제어 방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자 얼굴 인식 장치 제어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 단계(S1)와 키 인증 단계(S10)와 세팅 단계(S20)와 모드 실행 단계(S30)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 단계(S1), 키 인증 단계(S10) 및 세팅 단계(S20)를 구비하거나 또는 제공 단계(S1), 키 인증 단계(S10) 및 모드 실행 단계(S30)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공 단계(S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얼굴 인식 장치(10)가 제공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상기로 대체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키 인증 단계(S10)를 실행하는데, 키 인증 단계(S10)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키가 적절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키 인증 단계(S10)에서 차량의 무선 통신부(3)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키(A)로부터 전송되는 키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0)로 전달한다. 제어부(20)는 수신된 키 인증 정보를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키 정보와 함께 연산부(40)의 키 정보 확인부(43)로 전달하여 양자의 키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키 인증 단계(S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키 정보 통신 단계(S11)와 키 정보 확인 단계(S13, S15)와 키 정보 인증 경고 단계(S17)를 포함한다. 무선 키 정보 통신 단계(S11)에서 제어부(20)는 스마트 키(A)로부터 전송된 키 인증 정보를 무선 통신부(A)가 수신하도록 수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제어부(20)는 키 정보 확인 단계(S13,15)에서 수신된 키 인증 정보와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키 정보를 키 정보 확인부(43)로 전달하여 소정의 비교 확인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단계 S13,15에서 키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0)는 경고부(51)에 차량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적합한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았다거나 또는 적합한 키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하라는 음향 또는 시각적 표시를 실행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차량 시동부(53)에 작동 중지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 단계 S13,15에서 적합한 키 정보로 인증된 경우 제어 흐름은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세팅 단계(S20)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운전자 특징을 저장한다. 즉, 세팅 단계(S20)는 세팅 모드 입력 단계(S21)와 위치 조정 입력 단계(S23)와 세팅 모드 판단 단계(S25)를 포함하는데, 세팅 모드 입력 단계(S21)에서 입력부(5)를 통하여 운전자 특징을 입력하는 세팅 인증 모드와, 운전자가 차량 시트에서 이동하는 위치의 전후방 이동 범위를 설정하여 차량 사이드 미러의 연동 범위를 설정하는 세팅 연동 모드 중 입력되는 선택 모드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부(5)는 별도의 세팅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도 2a의 메모리 스위치(5d)가 세팅 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세팅 단계는 선택 가능한 두 개의 세팅 모드를 포함하는데, 세팅 모드는 세팅 인증 모드와 세팅 연동 모드를 포함한다. 세팅 인증 모드는 영상 취득된 영상 정보 내 특징을 추출하여 이를 저장부(30)에 저장하여 운전자의 정보인 운전자 특징을 설정 저장하는 모드를 지칭하고, 세팅 연동 모드는 탑승한 운전자의 정보에 대하여 운전자가 최대 전후방으로 얼굴을 이동함에 따라 변동하는 영역을 감지하고 변동 영역 내에서 운전자의 얼굴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차량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변동하여 운전자의 얼굴 변동에 따라 측면 주의 상태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미러 연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전제로서의 운전자의 얼굴 이동 영역을 설정하는 모드를 지칭한다.
따라서, 세팅 모드(S20)는 세팅 모드 판단 단계(S25)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각각 택일적으로 선택되는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S27)과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S29)를 포함한다.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S27)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의 억루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특징을 확인 저장하고,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게(S29)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의 전후방 이동 영역에서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연동 범위를 확인 설정한다.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S27)는 세팅 인증 감지 단계(S271)와 세팅 영상 처리 단계(S273)와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S275)와 세팅 인증 정보 저장 단계(S277)를 포함한다. 세팅 인증 감지 단계(S271)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감지부(1)가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고, 세팅 영상 처리 단계(S273)는 제어부(20)는 연산부(40)의 영상 처리부(41)로 취득된 영상 정보를 전달하여 영상 처리하도록 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연산부(40)의 운전자 정보 처리부(43)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영상 처리된 운전자의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색상 특징,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추출하는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S275)를 실행한다. 여기서, 운전자 눈동자 특징은 영상 처리된 영상 정보 내에서 운전자의 눈동자를 확인하고, 좌우 눈동자 간의 거리인 눈동자 간격을 지칭한다. 이러한 눈동자 간격은 영상 정보의 눈의 흰자위가 이루는 화소를 추출하여 이의 중심을 눈동자로 확인하고 이들의 간격을 연산함으로써 추출될 수도 있다.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은 영상 센서인 감지부(1)가 컬러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취득되는 영상 정보의 RGB 색도를 저장부(30)에 저장되는 RGB 색도를 비교함으로써 RGB 좌표값을 산출하여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 구역 특징은, 영상 정보로부터 입술의 위치를 확보하고 입술이 이루는 선분과 눈동자가 이루는 선분 사이의 수직 길이(Vo)와 추출된 운전자 눈동자가 이루는 선분의 가로 길이(Ho)가 이루는 사각 영역을 면적 구역으로 설정하고 이 면적 구역에서의 면적값을 산출함으로써 운전자 구역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S275)에서 추출된 운전자 특징은 저장부(30)에 운전자 특징으로 저장된다. 즉,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구역 특징과 더불어 단계 S23에서 입력되는 차량 운전석 시트의 위치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 정보가 함께 저장부(30)에 저장된다.
한편, 단계 S25에서 제어부(20)가 세팅 모드는 세팅 인증 모드가 아닌 세팅 연동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S29)를 실시힌다.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S29)는 전방 이동 확인 단계(S291)와 후방 이동 확인 단계(s293)와 얼굴 이동 영상 처리 단계(s295)와 미러 각도 산출 단계(S287)와 미러 연동 각도 상태 저장 단계(S299)를 포함한다.
전방 이동 확인 단계(S291)에서 감지부(1)가 운전자의 얼굴의 전방 이동 영역에서의 얼굴 이동 영상을 취득하여 전방 이동 영역을 확인하고, 후방 이동 확인 단계(S293)에서 감지부(1)는 운전자의 얼굴의 후방 이동 영역에서의 얼굴 이동 영상을 취득하여 후방 이동 영역을 확인하고, 얼굴 이동 영상 처리 단계(S295)는 전방 이동 확인 단계(S291) 및 후방 이동 확인 단계(S293)에서 취득한 얼굴 이동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미러 각도 산출 단계(S297)에서 저장부(30)에 사전 설정된 미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대응되는 미러 각도를 산출하고, 미러 연동 각도 상태 저장 단계(S299)에서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미러 각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다른 미러 연동 각도 상태를 저장부(30)에 저장한다.
전방 이동 확인 단계(S291)는 전방 이동 지시 단계(S2911)와 전방 이동 영상 확인 단계(S2913)를 포함하는데, 제어부(20)는 경고부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는 음향 출력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현재 위치에서 얼굴의 전방으로 최대 이동할 수 있는 영역까지의 이동을 요청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소정의 시간 후에 감지부(1)로 하여금 영상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후방 이동 확인 단계(S293)는 후방 이동 지시 단계(S2931)과 후방 이동 영상 확인 단계(S2933)을 포함하는데, 이는 전방 이동 확인 단계(S291)에서의 운전자 얼굴의 전방 이동 대신 후방 이동만이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바, 중복된 기술은 생략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연산부의 영상 처리부(41)로 하여금 이동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하도록 하고(S295) 소정의 과정을 거쳐 영상 정보 내 운전자 특징을 추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에게 영상 변화가 없다는 별도의 표시를 하거나 또는 경고를 실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영상처리 및 특징 추출은 상기 세팅 단계에서와 거의 동일한 상기로 대체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사전 설정 저장된 미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대응되는 미러 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미러 각도는 반복 실험을 통하여 운전자의 소정의 얼굴 위치에서의 사이드 미러를 통한 후방 주시의 최적화된 미러 데이터의 인터폴레이션을 통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Dr)가 전후방 최대 위치 이동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후방 주시를 이루기 위한 사이드 미러의 각도 데이터가 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들의 데이터와 이동 영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현재 탑승한 운전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얼굴의 전후방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미러 모터부(55)를 가동시켜 사이드 미러(55a)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각도 얼굴 이동 거리에 따른 사이드 미러 각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서의 "뒤로" 위치로부터 "앞으로(20cm)"까지의 이동 영역에서의 최대 이동 거리가 총 40cm이고 사이드 미러의 각도 범위가 15도로부터 50도까지인 경우, 현재 운전자에 대하여 세팅된 운전자 특징에 대한 운전자 구역 특징 및 차량 시트 위치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 값을 기준으로, 현재 이동 영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특징 대비 비율을 통하여 어느정도 얼굴의 전후방 위치 이동이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고, 전후방 위치 이동 값에 대응하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저장부(30)에 사전 설정된 미러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뒤로" 위치로부터 "앞으로(20cm)"까지의 이동 영역에서의 최대 이동 거리에 대하여 선형 관계로 도출될 수도 있고, "앞으로(10cm)" 등 수 개의 위치에서의 각도 범위로 분할하여 인터폴레이션을 통하여 도출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계 S297에서 산출된 미러 각도를 저장부(30)에 해당 운전자 특징과 함께 저장하여 추후 운전자가 운전자 인증하여 탑승 및 주행 과정 중, 정해진 위치에서 얼굴을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신속히 사이드 미러의 위치, 즉 각도를 변화시켜 차량 측면 후방 주시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모드 실행 단계(S40)는 실행되어야 하는 작동 모드가 인증 모드인지 또는 미러 연동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작동 모드 판단 단계(S31)를 포함한다. 즉, 인증 모드는 제어부(20)가 감지부(1)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와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얼굴을 인증하는 작동 모드를 지칭하고, 미러 연동 모드는 인증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동 모드를 지칭한다. 작동 모드 판단 단계(S41)에서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인증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인증 모드를 실행한다. 인증 모드는 인증 감지 단계(S310)와 인증 영상 처리 단계(S311)와,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과, 인증 특징 비교 단계(S315)와, 인증 특징 확인 단계(S317)와, 인증 데이터 실행 단계(S319)를 포함한다. 인증 감지 단계(S311)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운전자의 얼굴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인증 영상 처리 단계(S313)에서 제어부(20)는 인증 특징을 추출하도록 연산부(40)의 영상 처리부(41) 및 운전자 정보 처리부(42)로 연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취득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고 이로부터 운전자의 특징 정보를 취득한다.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1)와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3)와,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5)를 포함하는데,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1)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 즉 눈동자 간격을 추출하고,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3)에서 제어부(20)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 정보 처리부(42)는 운전자의 눈동자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 추출 단계(S3135)에서 눈동자 간격이 이루는 가로 거리(Ho)와 좌우 눈동자가 이루는 선분과 입술이 이루는 선부 사이의 세로 거리(Vo)가 이루는 면적 구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후, 제어부(30)는 이들 운전자 인증 특징과 저장부(30)에 사전 저장된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해당 운전자가 저장부(30)에 적합합 운전자인지를 비교하는 인증 특징 비교 단계(S315)를 실행한다. 인증 특징 비교 단계(S315)는 인증 눈동자 간격 비교 단계(S3151)와, 인증 눈동자 간격 동일 판단 단계(S3152)와, 인증 눈동자 색상 비교 단계(S3153)와, 인증 눈동자 색상 동일 판단 단계(S3154)와, 인증 구역 면적 비교 단계(S3155)와, 인증 구역 면적 동일 판단 단계(S3156)를 포함한다. 즉,
*인증 눈동자 간격 비교 단계(S3151)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과 저장부(30)에 저장된 운전자의 운전자 눈동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눈동자 간격, 즉 수평 거리(Ho)를 비교하고, 제어부(20)는 단계 S3152에서 간격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152에서 인증 눈동 간격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3153으로 진행한다. 인증 눈동자 색상 비교 단계(S3153)에서 운전자의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과 저장부(30)에 저장된 운전자 눈동자 색상이 동일한 여부를 비교하고, 단계 S3153에서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눈동자 색상이 일치하는 것이 있다면, 단계 S3152 및 단계 S3154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과 동일한 운전자 구역 특징을 갖는 운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각각 단계 S3152, S3154 및 S3156에서 각각의 조건에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경고부(51)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 모드(S3157)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비교 과정에 있어 동일 여부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동일 여부는 소정의 오차를 허용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비교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수치 상의 완벽한 동일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되는 경우 양자의 실질적 동일로 판단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그런 후, 단계 S317에서 소정의 인증 특징을 갖는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부(20)는 이에 기초하여 작동부(50)에 인가되어야하는 소정의 작동 제어 신호 설정 확인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단계 S319에서 단계 S317에서 설정된 작동 제어 신호를 작동부(50)에 인가하여 소정의 인증 데이터 실행 모드를 실행한다(S319). 이와 같은 작동 제어를 통하여 차량의 시트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는 인식된 운전자가 사전 설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11에서 작동 모드가 미러 연동 모드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미러 연동 모드를 실행한다. 연동 모드는 연동 감지 단계(S320)와 연동 영상 처리 단계(S321)와, 연동 특징 추출 단계(S323)과, 연동 특징 비교 단계(S325)와, 연동 특징 확인 단계(S327)와, 연동 데이터 실행 단계(S329)를 포함한다. 연동 감지 단계(S321)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운전자의 얼굴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연동 영상 처리 단계(S323)에서 제어부(20)는 연동 특징을 추출하도록 연산부(40)의 영상 처리부(41) 및 운전자 정보 처리부(42)로 연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취득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고 이로부터 운전자의 특징 정보를 취득한다. 연동 특징 추출 단계(S32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눈동자 연동 특징 추출 단계(S3231)와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 추출 단계(S3233)를 포함하는데, 운전자 눈동자 연동 특징 추출 단계(S3231)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 즉 눈동자 간격을 추출하고,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 추출 단계(S3233)에서 눈동자 간격이 이루는 가로 거리(Ho)와 좌우 눈동자가 이루는 선분과 입술이 이루는 선부 사이의 세로 거리(Vo)가 이루는 면적 구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후, 제어부(30)는 이들 운전자 연동 특징과 저장부(30)에 사전 저장된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해당 운전자가 저장부(30)에 적합합 운전자인지를 비교하는 연동 특징 비교 단계(S325)를 실행한다. 연동 특징 비교 단계(S325)는 가로 크기 확인 단계(S3251)와, 가로 크기 비율 연산 단계(S3252)와, 가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S3253)와, 세로 크기 확인 단계(S3254)와, 세로 크기 비율 연산 단계(S3255)와, 세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S3256)를 포함한다. 가로 크기 확인 단계(S3251)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가로 크기를 확인하는데, 연동 특징 중 운전자 눈동자 특징의 눈동자 간격을 인증된 운전자의 얼굴의 눈동자 간격(Ho)을 비교하여 이들 간의 비율을 연산한다(S3252). 저장부(30)에는 가로 크기 비율에 대한 가로 크기 비율 사전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가로 크기 비율 사전 설정 데이터의 범위 밖의 값을 단계 S3252에서 연산된 비율이 갖는다면, 영상 취득 내지 처리 과정 상에서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흐름을 단계 S3257로 전환하여 경고부(51)를 통한 경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254 및 S3255에서 인증된 운전자의 전후 이동에 따른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눈동자가 이루는 선분과 입술이 이루는 선분 사이의 세로 간격과, 인증된 운전자에 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특징으로부터 얻어지는 세로 크기(Vo)를 확인하고 이를 연산하여 세로 크기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30)에 저장된 세로 크기 비율에 대한 세로 크기 비율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 데이터 범위 밖의 값을 단계 S3255에서 산출된 비율이 갖는다면, 단계 S3256에서 오류로 제어부(20)가 판단하여 경고부(51)에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연동 특징 비교 단계(S325)에서 확인된 연동 특징에 대응되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는 연동 특징 확인 단계(S327)에서 산출된다. 즉, 현재 인증된 운전자가 얼굴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적합한 사이드 미러의 각도 값을 단계 S29에서 산출된 미러 연동 각도 상태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 값에 대응하는 미러 모터부의 미러 모터 제어 신호를 미러 모터부에 인가하여 운전자의 측후방 주시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본 발명은 운전자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구역 특징을 활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졸음 경보 장치와 연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운전자 인식 장치 20...제어부
30...저장부 40...연산부
50...작동부

Claims (18)

  1.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자 인식 장치로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 판단하기 위한,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과 상기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와, 상기 제어부의 운전자 적합성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 시동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차량 시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운전자 적합성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 사이드 미러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미러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의 운전자 적합성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 시트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시트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미러 스위치와,
    차량의 시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시트 스위치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된 미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위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조정하는 미러 연동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미러 연동 스위치와,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미러 스위치와 시트 스위치에 의하여 조정된 차량 사이드 미러 및 운전자 시트의 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메모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4. 차량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 판단하기 위한,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과 상기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차량의 무선 통신부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키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키로부터 키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전 설정 키 정보와 비교하여 운전자 키 인증을 실행하는 키 인증 단계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운전자 특징을 저장하는 세팅 단계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작동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얼굴 인증하는 인증 모드와, 인증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러 연동 모드를 포함하는 작동 모드 중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작동 모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인증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전송된 키 인증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하는 무선 키 정보 통신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산부에 키 정보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수신된 상기 키 인증 정보를 상기 사전 설정 키 정보를 비교하는 키 정보 확인 단계와,
    상기 키정보 확인 단계에서 상기 키 인증 정보와 상기 사전 설정 키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에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키 인증 경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운전자 특징을 입력하는 세팅 인증 모드와, 운전자가 차량 시트에서 이동하는 위치의 전후방 이동 범위를 설정하여 차량 사이드 미러의 연동 범위를 설정하는 세팅 연동 모드 중 입력되는 선택 모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세팅 모드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부의 시트 스위치를 통하여 차량 시트의 조정되는 위치 신호를 입력받는 위치 조정 입력 단계와,
    상기 세팅 모드 입력 단계에서 입력되는 세팅 모드를 판단하는 세팅 모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모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세팅 모드가 세팅 인증 모드인 경우, 운전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특징을 확인 저장하는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인증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세팅 인증 감지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상기 세팅 인증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운전자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세팅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된 상기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특징, 운전자의 눈동자의 색상, 운전자의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특징을 추출하는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세팅 인증 특징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전자 특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세팅 인증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모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세팅 모드가 세팅 연동 모드인 경우, 운전자의 전후방 이동 영역에서의 운전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연동 범위를 확인 설정하는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연동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의 전방 이동 영역에서의 얼굴 이동 영상을 취득하여 전방 이동 영역을 확인하는 전방 이동 확인 단계와,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의 후방 이동 영역에서의 얼굴 이동 영상을 취득하여 후방 이동 영역을 확인하는 후방 이동 확인 단계와,
    상기 전방 이동 확인 단계 및 상기 후방 이동 확인 단계에서 취득한 얼굴 이동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얼굴 이동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된 미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대응되는 미러 각도를 산출하는 미러 각도 산출 단계와,
    상기 미러 각도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이동 영역에 따른 미러 연동 각도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미러 연동 각도 상태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인식 장치에는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방 이동 확인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운전자 얼굴의 전방 이동을 요청하는 전방 이동 지시 신호를 전방 이동 지시 단계와,
    운전자가 전방 이동한 경우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을 영상 감지하여 운전자 전방 이동 영상을 취득하는 전방 이동 영상 취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이동 확인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운전자 얼굴의 후방 이동을 요청하는 후방 이동 지시 신호를 후방 이동 지시 단계와,
    운전자가 후방 이동한 경우 상기 감지부가 운전자의 얼굴을 영상 감지하여 운전자 후방 이동 영상을 취득하는 후방 이동 영상 취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 판단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인증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인증 모드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인증 감지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하는 인증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구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인증 특징을 추출하는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는 운전자 인증 특징 비교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 인증 특징 비교 단계에서 비교된 특징을 확인하는 인증 특징 확인 단계와,
    상기 인증 특징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부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인증 데이터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특징 추출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색상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및 운전자 입술을 사용하여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구역 특징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특징 비교 단계는:
    상기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눈동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눈동자 간격을 비교하는 인증 눈동자 간격 비교 단계와,
    상기 인증 눈동자 간격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눈동자 간격 동일 판단 단계와,
    상기 운전자 눈동자 색상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눈동 색상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눈동자 색상을 비교하는 인증 눈동자 색상 비교 단계와,
    상기 인증 눈동자 색상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눈동자 색상 동일 판단 단계와,
    상기 운전자 구역 인증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구역 특징을 비교하여, 운전자 구역 면적을 비교하는 인증 구역 면적 비교 단계와,
    상기 인증 구역 면적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구역 면적 동일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 판단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가 연동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연동 모드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연동 감지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하는 연동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연산부가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나타내는 운전자 눈동자 연동 특징 및 운전자 눈동자 및 입술이 이루는 구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을 포함하는 운전자 연동 특징을 추출하는 연동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연동 특징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운전자 특징을 비교하는 운전자 연동 특징 비교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 연동 특징 비교 단계에서 비교된 특징을 확인하는 연동 특징 확인 단계와,
    상기 연동 특징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부에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연동 데이터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특징 추출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된 운전자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동자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눈동자 인증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운전자 눈동자 연동 특징 및 운전자 입술을 사용하여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을 추출하는 운전자 구역 특징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특징 비교 단계는: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가로 크기를 확인하는 가로 크기 확인 단계와,
    인증된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특징의 가로 크기와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가로 크기의 비율을 연산하는 가로 크기 비율 연산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 중 가로 크기 비율 오차 범위와 상기 가로 크기 비율을 비교하는 가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와,
    상기 가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세로 크기를 확인하는 세로 크기 확인 단계와,
    인증된 운전자 특징 중 운전자 구역 특징의 세로 크기와 상기 운전자 구역 연동 특징의 세로 크기의 비율을 연산하는 세로 크기 비율 연산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 중 세로 크기 비율 오차 범위와 상기 세로 크기 비율을 비교하는 세로 크기 오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 장치 제어 방법.




KR1020110112537A 2011-10-31 2011-10-31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7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37A KR101271081B1 (ko) 2011-10-31 2011-10-31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37A KR101271081B1 (ko) 2011-10-31 2011-10-31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481A KR20130047481A (ko) 2013-05-08
KR101271081B1 true KR101271081B1 (ko) 2013-06-04

Family

ID=4865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537A KR101271081B1 (ko) 2011-10-31 2011-10-31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58B1 (ko) 2019-10-01 2020-03-26 주식회사 사로리스 바이오메트릭스 기반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5671A (zh) * 2018-10-12 2019-02-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小区安全警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458051A (zh) * 2019-07-25 2019-11-15 中移(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的方法、装置、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KR102194511B1 (ko) * 2020-03-30 2020-12-24 에스큐아이소프트 주식회사 대표 영상프레임 결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1961312B2 (en) * 2020-06-29 2024-04-16 Micron Technology, Inc. Automatic generation of profiles based on occupant identif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357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얼굴 인식에 기반한 운전자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10108046A (ja) 2008-10-28 2010-05-13 Toyota Motor Corp 顔認識装置
KR20100111922A (ko) * 2009-04-08 2010-10-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거 입력부가 구비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4291A (ko) * 2009-11-17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357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얼굴 인식에 기반한 운전자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10108046A (ja) 2008-10-28 2010-05-13 Toyota Motor Corp 顔認識装置
KR20100111922A (ko) * 2009-04-08 2010-10-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거 입력부가 구비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4291A (ko) * 2009-11-17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58B1 (ko) 2019-10-01 2020-03-26 주식회사 사로리스 바이오메트릭스 기반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481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75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表示制御方法、視線方向検出システムおよび視線方向検出システム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制御方法
KR101271081B1 (ko) 운전자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079903B (zh) 停车位置调整装置
CN109552340B (zh) 用于车辆的手势和表情控制
US20160236591A1 (en) Method for presetting a vehicle seat
CN105599642A (zh) 座椅自动调节方法、装置及终端
JP2020525884A (ja) 車両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車載インテリジェントシステム、電子機器並びに媒体
JP5092776B2 (ja) 視線方向検出装置及び視線方向検出方法
US10518703B1 (en) Automatic mirror adjustment using an in-car camera system
EP3113073A1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06293909A (ja) 運転者の視線方向検出装置
KR101704244B1 (ko) 원격 주차 장치 및 주차 방법
KR20110028760A (ko) 차량의 미러 각도 자동 조정 시스템 및 방법
CN110789477B (zh) 试驾车辆的控制方法及装置、云平台、车载智能设备
JP6814977B2 (ja) 画像処理装置、検知装置、学習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7789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reoscopic 3D image in vehicle
KR20200145826A (ko) 신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함께 차량 내 카메라를 사용한 무결절 운전자 인증
JP5120044B2 (ja) 運転者監視装置
KR101859761B1 (ko) 차량용 얼굴인증 장치 및 방법
JP2013047019A (ja) 車両用ミラー制御装置
KR101442641B1 (ko) 차량용 좌석 및 미러 조정 장치 및 방법
JP2006015872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および視界調整システム
KR101976498B1 (ko) 차량용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218347A1 (en) Control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facilities
JP2020075570A (ja) 車両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