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667B1 -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 Google Patents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667B1
KR101270667B1 KR1020120027171A KR20120027171A KR101270667B1 KR 101270667 B1 KR101270667 B1 KR 101270667B1 KR 1020120027171 A KR1020120027171 A KR 1020120027171A KR 20120027171 A KR20120027171 A KR 20120027171A KR 101270667 B1 KR101270667 B1 KR 10127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flow path
unit
path portion
attachme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주)제스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폰 filed Critical (주)제스폰
Priority to KR102012002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03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05Avoiding skin formation; Making foams with po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7Grinding;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콧등이나 눈두덩이와 같은 굴곡이 있는 얼굴 표면에 파운데이션을 바르는 경우, 종래보다 적은 횟수로 얼굴을 두드려도 보다 넓은 부위에 파운데이션이 분포될 수 있는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퍼프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부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고정부, 고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부착면의 법선이 되는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유로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고정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퍼프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는 하는 퍼프 제조 장치를 개시하며, 그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PUFF MANUFACTURING DEVICE AND PUFF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HE PUFF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볼록영역을 퍼프의 외면에 형성함으로써 쿠기 형상의 퍼프를 제조하는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에 관한 것이다.
퍼프는 기초 화장인 파운데이션을 바르는 화장 기구로서, 현재, 시중에는 사각판형, 원판형 등 다양한 형상의 퍼프가 유통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는 스펀지 형상의 발포 성형물로 형성된다. 종래의 평판 형상의 퍼프는 콧등이나 눈주위 등의 굴곡이 있는 얼굴 표면에 파운데이션을 골고루 바르기 위해서 퍼프를 얼굴 표면에 자주 두드려야 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갖는 퍼프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퍼프 가운데 진동장치를 부가시킨 진동 퍼프가 있다. 이러한 진동장치를 부가시킨 진동 퍼프는 파운데이션을 골고루 바르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나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이 편리하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퍼프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퍼프의 재료인 발포 성형물의 특성상 다양한 형상으로 대량 생산이 쉽지 않아 원하는 형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생산성이 떨어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굴곡이 있는 얼굴 표면에 파운데이션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형상의 퍼프를 쉽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프 제조 장치는 퍼프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면의 법선이 되는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고정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퍼프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프 제조 방법은 통체형 발포 성형물을 길이방향으로부터 일정간격 절단하여 스폰지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폰지 유닛을 고정부의 부착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유로부 및 제2 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스폰지 유닛과 상기 부착면 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스폰지 유닛을 상기 부착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부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스폰지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스폰지 유닛에 절삭부를 밀착시켜 상기 스폰지 유닛을 가공하여 퍼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면과 상기 퍼프 사이의 진공압을 제거하여 상기 퍼프를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부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부의 흡입력보다 더 강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프는 외면에 복수 개의 볼록 영역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종래 평판 형상의 퍼프와는 달리, 단면 형상이 볼록하고 완만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외면 일부에 볼록영역이 복수 개 형성되는 쿠키 형상의 퍼프로 구현되기 때문에, 콧등이나 눈두덩이와 같은 굴곡이 있는 얼굴 표면에 파운데이션을 바르는 경우, 종래보다 적은 횟수로 얼굴을 두드려도 보다 넓은 부위에 파운데이션을 분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쿠키 형상의 퍼프를 제공하게 되므로, 종래 평판형 퍼프보다 미려하여 소비자로부터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평판형 퍼프보다 상품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퍼프를 수작업으로 가공하지 않고 자동화 작업으로 제조되므로, 쿠키 형상의 퍼프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퍼프의 생산 시간도 단축시켜 생산 효율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프 제조 장치의 고정부와 절삭부 및 퍼프를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퍼프 제조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퍼프 제조 장치를 B-B 선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퍼프를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과, 상기 구성 요소들의 결합관계 및, 상기 구성 요소들 각각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프 제조 장치의 고정부와 절삭부 및 퍼프를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퍼프 제조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퍼프 제조 장치를 B-B 선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는 퍼프(1)가 고정되는 고정부(10), 고정부(1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30), 공기흡입부(20) 및, 절삭부(40)를 포함한다.
고정부(10)는 퍼프(1)가 부착되는 부착면(도 2의 퍼프의 대향면)이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면을 관통하는 유로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유로부(11)를 통해 공기가 이동가능하다. 부착면의 주위에는 부착면을 둘러싸고, 회전구동부(30)의 회전중심 축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퍼프(1)를 감싸 지지하는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0)는 퍼프(1)를 절삭부(40)로 가공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퍼프(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로부(11)는 고정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고정부(10)의 일단에서 타단을 관통하는 영역이다. 또한, 유로부(11)는 후술하는 공기흡입부(20)와 이를 테면, 공기흡입구(미도시)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흡입부(20)가 유로부(11)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유로부(11)의 일단으로 개방된 개구부에서도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유로부(11)의 개구부에는 공기흡입력에 의해 퍼프(1)가 밀착된다.
유로부(11)는 부착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공기흡입부(20)의 흡입작용에 의해 퍼프(1)와 고정부(10) 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퍼프(1)를 고정하는 제1유로부(11a)와, 부착면에 제1 유로부(11a)와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역시 공기흡입부(20)의 흡입작용에 의해 퍼프(1)와 고정부(10)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되, 제1유로부(11a)보다 더 강한 진공압을 발생시켜, 퍼프(1)를 부착면을 향해 변형시키는 제2유로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11a)는 고정부(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2유로부(11b)는 고정부(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유로부(11a)와 이격된다. 이 경우, 제2유로부(11b)의 직경은 제1유로부(1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유로부(11b)의 직경을 제1유로부(1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게 되면, 공기흡입시 제1유로부(11a)에 의해 퍼프(1)가 수축되는 면적과 제2유로부(11b)에 의해 퍼프(1)가 수축되는 면적이 서로 간에 다르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에 제조된 퍼프(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에 직경이 다른 볼록영역(1a)이 형성됨으로써, 종래 평판 형상의 퍼프(1)와는 다르게 미려한 쿠키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유로부(11a)는 복수 개의 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유로부(11b)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의 유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유로부(11a)의 유로 가운데 어느 하나의 유로는 고정부(10)의 중앙부근에 배치되고, 제2유로부(11b)의 유로들은 고정부(10)의 중앙부근에 배치된 제1유로부(11a)의 유로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이에 제조된 퍼프(1)는 중앙에 볼록영역(1a)이 형성되고, 다른 볼록영역(1a)들이 중앙을 기준으로 배치되어 쿠키형상의 퍼프(1)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0)는 고정부(10)의 일단부 주변에 배치되며, 유로부(11)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흡입부(20)는 공기 흡입을 위한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흡입부(20)는 고정부(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유로부(11)에 있는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퍼프(1)의 몸체 일부분이 수축된 상태로 퍼프(1)를 고정부(10)에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흡입부(20)는 공기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절부(미도시)는 제1유로부(11a)에 가해지는 공기흡입력과 제2유로부(11b)에 가해지는 공기흡입력을 다르게 설정하여 결국,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의 진공압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에 가해지는 공기흡입력이 다르게 설정되면, 퍼프(1)의 특정 영역이 서로 다르게 수축되기 때문에 직경이 서로 다른 크기의 볼록영역(1a)을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미려한 쿠키형상의 퍼프(1)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a)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부(1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기흡입부(20)의 흡입작용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압의 크기는 제1 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의 내부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유로부(11a) 및 제2유로부(11b)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통해 역시 서로 다른 크기의 볼록영역(1a)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구동부(30)는 고정부(1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회전구동부(30)는 고정부(1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고정부(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고정부(1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은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이 되며, 이는 부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착면의 법선(normal)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부(30)는 모터와 같은 회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부(40)는 그라인더부(41) 및 지지부(42)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인더부(41)는 고정부(10)의 주변에 배치된다. 이러한 그라인더부(41)는 고정부(10)의 흡입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고정부(10)와 함께 회전하는 퍼프(1)에 밀착되어 퍼프(1)를 절삭하게 된다. 이 경우, 그라인더부(41)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원호형의 그라인더부(41)를 이용하여 퍼프(1)에 밀착시켜 절삭하는 경우, 단면 형상이 구면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미려한 쿠키형상의 퍼프(1)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부(42)는 그라인더부(41)와 결합되어 그라인더부(4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42)는 위치조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그라인더부(4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인더부(41)는 지지부(42)의 위치조절에 의해 절삭시키고자 하는 퍼프(1)의 외면 형태를 조절하여 절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은 발포성형물 절단하여 스폰지 유닛(1-1)을 형성하는 단계(S01), 스폰지 유닛을 고정부의 부착면에 밀착시키는 스폰지 유닛 밀착단계(S02), 제1 유로부(11a) 및 제2 유로부(11b)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스폰지 유닛(1-1)을 부착면에 고정시키는 스폰지 유닛 고정단계(S03), 스폰지 유닛 회전단계(S04), 스폰지 유닛(1-1)을 가공하여 퍼프(1)를 형성하는 단계(S05) 및, 퍼프분리단계(S06)를 포함한다.
이러한 퍼프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제1 유로부(11a)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제2 유로부(11b)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제2 유로부(11b)는 제1 유로부(11a)보다 더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스폰지 유닛(1-1)이라 함은 가공되기 전 상태의 퍼프(1)를 말하는 것으로서, 퍼프(1)의 재료가 되는 발포 성형물이 단순히 절단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에 대해 전술한 퍼프 제조 장치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퍼프 제조 장치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의 중복되는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발포성형물을 절단하여 스폰지 유닛(1-1)을 형성하는 단계(S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형 발포성형물(2)을 길이방향으로부터 일정간격 절단하여 스폰지 유닛(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통체형 발포성형물(2)을 절단하는 장치는 톱을 이용한 절삭장치나 칼을 이용한 절단장치일 수 있다.
상기 스폰지 유닛 밀착단계(S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성형물 절단단계(S01)에 의해 절단되는 낱개의 스폰지 유닛(1-1)을 고정부(10)의 유로부(11)의 개구부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퍼프(1)를 유로부(11)의 개구부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기구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폰지 유닛 고정단계(S03)는 고정부(10)와 연결된 공기흡입부(20)를 구동시킴으로써, 유로부(11)를 통한 공기흡입력에 의해 스폰지 유닛(1-1)이 고정부(10)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러면, 스폰지 유닛(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부가 수축된다. 이 경우, 스폰지 유닛(1-1)이 수축되는 부위는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에 연결되는 부위의 외측 표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때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에 가해지는 압력은 서로 다르고, 특히, 제2유로부(11b)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유로부(11a)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를 위해, 직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의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제1유로부(11a) 및 제2유로부(11b)가 고정부(10)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내부에 동일한 진공압을 형성하되, 제2유로부(11b)의 직경만이 제1유로부(11a)보다 더 커 서로 다른 크기의 볼록영역(1a)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폰지 유닛 회전단계(S04)는 고정부(10)와 결합된 회전구동부(30)를 구동시켜 고정부(1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10)의 흡입력에 의해 고정된 스폰지 유닛(1-1)을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스폰지 유닛 가공단계(S05)는 회전하는 스폰지 유닛(1-1)에 절삭부(40)를 밀착시켜 가공하는 단계이며, 이를 통해 퍼프(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퍼프(1)는 원호형의 그라인더부(41)에 의해 절삭되어 단면 형상이 볼록한 원호형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퍼프분리단계(S0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40)를 퍼프(1)에서 이격시킨 후, 회전구동부(3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공기흡입부(20)의 공기 흡입을 정지시켜 퍼프(1)를 고정부(10)에서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퍼프분리단계(S06)를 마치면, 쿠키 형상의 퍼프(1)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퍼프 제조 장치 및 퍼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퍼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장치 및 퍼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C-C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의 사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1)는 발포성형물(2)로 형성되고, 볼록한 외면에 복수 개의 볼록영역(1a)을 형성된 쿠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볼록영역(1a)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간에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볼록영역(1a)은 직경이 서로 다른 제1유로부(11a)와 제2유로부(11b)에 의해 형성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해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와 같은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1)는 종래 평판 형상의 퍼프(미도시)와는 달리, 단면 형상이 볼록하고 완만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외면 일부에 볼록영역(1a)이 복수 개 형성되는 쿠키 형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콧등이나 눈두덩이와 같은 굴곡이 있는 얼굴 표면에 파운데이션을 바르는 경우, 종래보다 적은 횟수로 얼굴을 두드려도 보다 넓은 부위에 파운데이션을 분포시킬 수 있다.
나아가, 쿠키 형상의 퍼프(1)는 종래 평판형 퍼프(미도시)보다 미려하여 소비자로부터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평판형 퍼프(1)보다 상품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퍼프 제조 장치 및 퍼프 제조 방법은 퍼프(1)를 수작업으로 가공하지 않고 자동화 작업으로 제조되므로, 쿠키 형상의 퍼프(1)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퍼프(1)의 생산 시간도 단축시켜 생산 효율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퍼프 1a; 볼록영역
10; 고정부 20; 공기흡입부
30; 회전구동부 40; 절삭부
41; 그라인더부 42; 지지부

Claims (8)

  1. 퍼프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면의 법선이 되는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고정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퍼프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는 퍼프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부착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퍼프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퍼프를 고정하는 제1 유로부;
    상기 부착면에 상기 제1 유로부와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직경이 상기 제1 유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퍼프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퍼프를 상기 부착면을 향하여 변형시키는 제2 유로부를 포함하는 퍼프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부착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퍼프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퍼프를 고정하는 제1 유로부;
    상기 부착면에 상기 제1 유로부와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상기 제1 유로부의 진공압보다 더 강한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퍼프를 상기 부착면을 향하여 변형시키는 제2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의 진공압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공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퍼프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착면을 둘러싸며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돌출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퍼프 제조 장치.
  5. 통체형 발포 성형물을 길이방향으로부터 일정간격 절단하여 스폰지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폰지 유닛을 고정부의 부착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유로부 및 제2 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스폰지 유닛과 상기 부착면 사이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스폰지 유닛을 상기 부착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부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스폰지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스폰지 유닛에 절삭부를 밀착시켜 상기 스폰지 유닛을 가공하여 퍼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면과 상기 퍼프 사이의 진공압을 제거하여 상기 퍼프를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부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부의 흡입력보다 더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퍼프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는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압은 동일하되, 상기 제2 유로부는 상기 제1 유로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퍼프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부는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압이 상기 제1 유로부의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압보다 더 큰 퍼프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퍼프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며, 외면에 복수 개의 볼록 영역이 형성된 퍼프.
KR1020120027171A 2012-03-16 2012-03-16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KR10127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71A KR101270667B1 (ko) 2012-03-16 2012-03-16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71A KR101270667B1 (ko) 2012-03-16 2012-03-16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667B1 true KR101270667B1 (ko) 2013-06-05

Family

ID=4886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71A KR101270667B1 (ko) 2012-03-16 2012-03-16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843A (ja) * 1995-07-31 1997-02-10 Inoac Corp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0418B1 (ko) 2005-04-30 2006-02-22 아람휴비스(주) 화장용 후로킹 퍼프 및 그 제조 장치
KR100562067B1 (ko) 2005-04-29 2006-03-17 아람휴비스(주)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 장치
KR20090100723A (ko) * 2008-03-21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퍼프에 파운데이션을 흡식시키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843A (ja) * 1995-07-31 1997-02-10 Inoac Corp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2067B1 (ko) 2005-04-29 2006-03-17 아람휴비스(주)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 장치
KR100550418B1 (ko) 2005-04-30 2006-02-22 아람휴비스(주) 화장용 후로킹 퍼프 및 그 제조 장치
KR20090100723A (ko) * 2008-03-21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퍼프에 파운데이션을 흡식시키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640B2 (en) Deformable ear tip for earphone and method therefor
EP3556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 surface
JP6491479B2 (ja) 使用者の皮膚又は外部組織に接触する器具の摩擦低減及び快適さの向上をもたらす工学表面
CN107708583B (zh) 微晶磨皮装置
KR101270667B1 (ko) 퍼프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퍼프
US8936461B2 (en)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ing
CN205009030U (zh) 化学机械抛光装置用承载头及其隔膜
JP2017528260A (ja) マイクロ皮膚剥離処置を行うトリートメントヘッド
JP5830080B2 (ja) 多孔金属箔のロール成形方法
KR101139241B1 (ko) 프레스 금형용 파티클 제거장치
CN108818626A (zh) 切削机构
CN105034236A (zh) 耳机套的一体成型方法及一体成型耳机套
JP5953597B2 (ja) 金属箔成形のための成形ロール
JP5589116B2 (ja) 多孔金属箔のロール成形装置
CN205148100U (zh) 一种内凹的手持海绵抛光轮
JP6104875B2 (ja) 矢用羽根材料の加工装置
CN205148102U (zh) 一种手持多孔海绵抛光轮
CN114559607A (zh) 弹性体制品制造方法及成形模具构造
US20200268564A1 (en) Low particulate surgical spear
CN215240138U (zh) 一种针阀体压力室研磨工装
CN109310172A (zh) 假发用毛发的加工方法、假发制造方法及假发
JPH071473A (ja) バリ取り方法およびバリ取り装置
CN201079112Y (zh) 电动拔毛器头部
JP2006272698A (ja) 真空成形型
CN101069983B (zh) 盆器制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