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99B1 -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99B1
KR101270599B1 KR1020090044422A KR20090044422A KR101270599B1 KR 101270599 B1 KR101270599 B1 KR 101270599B1 KR 1020090044422 A KR1020090044422 A KR 1020090044422A KR 20090044422 A KR20090044422 A KR 20090044422A KR 101270599 B1 KR101270599 B1 KR 101270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fermented
fermented red
ginse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621A (ko
Inventor
김종부
이은주
정현진
이성규
박우동
김현정
채인경
Original Assignee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Priority to KR102009004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당뇨 활성을 갖는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홍삼(Red Ginseng)을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로 발효시킨 발효홍삼과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상백피(Moris alba L.), 당귀(Angelica gigas N.), 백복령(Poria cocos Wolf), 총목피(Araliae Cortex)로 혼합 구성된 약용식물추출물을 첨가한 홍삼을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로 발효시킨 발효물로써 혈당강하, 당내성, 인슐린분비 촉진 활성, 항산화, 지질대사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당뇨 및 합병증 예방, 치료에 유용한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항당뇨, 홍삼, 약용식물, 유산균,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 발효

Description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Fermented red ginseng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red ginseng and medical plant extracts exhibiting antidiabetic activity}
본 발명은 항당뇨 개선을 위한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홍삼(Red Ginseng),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상백피(Moris alba L.), 당귀(Angelica gigas N.), 백복령(Poria cocos Wolf), 총목피(Araliae Cortex)를 각각 5 내지 85% 포함하여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로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인의 식생활 문화가 점점 서구화되어져 가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퇴행성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가 당뇨병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부족으로 인하며 인슐린의 부족은 인슐린의 절대량이 부족하거나, 인슐린 이외의 다른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상대적으로 부족 되었을 때 발병되며 당질대사 및 지질대사 그리고 단백질대사의 이상을 초래한다. 당뇨병은 이와 같은 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급성과 만성 합병증의 발생으로 특징 지워지는 다양한 원인과 병인을 지닌 일련의 질환 군으로 아직까지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혈당이 지속되면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므로 당뇨병에 걸리게 되면 세포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이 약화된다. 따라서 항산화작용과 당뇨병과의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당뇨병에 의한 질병 및 대사증후군으로는 뇌졸중, 심근경색증, 혈중 중성지질의 증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 등의 지질대사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홍삼(Red Ginseng)은 인삼을 증숙하여 익혀 말린 것을 말하며, 인삼(Ginseng Radix)은 식품 분류학상 오가피과(Panax)의 인삼속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금까지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혈류증가, 항산화 작용, 항노화 작용, 항암제 등의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의 주된 기능성 성분은 식물의 여러 사포닌 중 인삼 사포닌만을 특별하게 구분하여 명명한 'ginsenoside'라 불리는 인삼사포닌이다. 사포닌의 화학구조는 크게 당부분(glycone)과 비당부분(aglycone)으로 구성된 배당체이다. 이러한 사포닌이 체내에서 흡수될 때는 사람의 장내에 있는 특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체내로 흡수되어진다. 하지만 인삼사포닌을 분해하는 장내미생물은 사람의 체질 및 식습관에 따라 저마다 효능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발효홍삼은 이러한 장내미생물의 차이로 인한 효능과 흡수율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 홍삼을 미리 장내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개인차를 극복하고 체내 흡수율을 증대시키고자 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삼과 홍삼의 약효성분이 인체 내로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는 성분들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장내 미생물, 김치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거나 효소를 처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은 상과에 속한 낙엽고목인 뽕나무(Moris alba L.) 및 그 밖의 동속 식물(뽕나무과 Moraceae)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양혈조습(피의 열을 없애고 수분을 줄여 줌), 거풍명목(풍기운을 없애고 눈을 맑게 해 줌), 말복 지도한(분말로 복용하면 식은 땀을 없앰)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상인, 본초학, 학림사, 1981).
본 발명에 사용된 상백피(Mori radicis cortex, Mulberry root-bark)는 뽕나무(Morus alba L.) 또는 동속 식물(Moraceae)의 뿌리껍질로서 나방에서는 사폐화(폐의 열을 없앰), 라이변(대소변을 잘 보게 함), 산어혈(어혈을 풀어 줌), 하기행수(기운을 내리게 하고 수분을 조절함), 지수청담(기침을 멎게 하고 담을 삭임), 소염, 이뇨 작용 등이 탁월하여 해열진해거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이상인, 본초학, 학림사, 1981).
본 발명에 사용된 당귀(Angelica gigas N.)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예부터 심한 기침, 불임증, 악창, 부스럼, 비중 및 냉병 등을 낫게 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속을 덥게 하고 아픔을 멈추게 하며 오장과 피를 보호하여 새살을 잘 돋아나오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신민교, 원색임상 본초학, 1986).
본 발명에 사용된 백복령(Poria cocos Wolf)은 구멍쟁이 버섯과에 속하는 진 균으로 진정, 이뇨, 강장 등의 목적으로 십전대보탕, 오적산, 오령산, 소풍산 등의 많은 처방에 빈용되고 있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소학관, 중약대사전, 1975).
본 발명에 사용된 총목피(Araliae Cortex)는 두릅나무에 속하는 두릅나무 Aralia elata Seemann의 근피로 규정되어 있으며, 당뇨에 대한 효과, 항균효능, 간독성 완화, 항산화 등이 보고되었다(김인수, 경원대 한의학과 박사논문, 총목피의 항산화 효능 및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2006).
본 발명에서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유산균은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협회(KCCM)에서 API Kit 50CHL을 이용하여 99.9%의 상동성으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으로 동정되었고, 특허기탁 후 기탁번호 KCCM 10929P를 부여받았다. 이 균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2008-0035149에도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당뇨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여 당뇨 및 합병증 예방, 치료에 유용한 약제학적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홍삼(Red Ginseng),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상백피(Moris alba L.), 당귀(Angelica gigas N), 백복령(Poria cocos Wolf), 총목피(Araliae Cortex)의 추출물을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이 당뇨병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혹은 치료에 매우 유용함을 밝혀내었다.
상기 각각의 생약 추출물의 함량은, 홍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5 내지 85중량부, 상백피(Moris alba L.) 5 내지 85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 5 내지 75중량부, 백복령(Poria cocos Wolf) 5 내지 75중량부, 총목피(Araliae Cortex) 5 내지 7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일 구현예에 의하면 in vitro 상에서 항당뇨, 항산화능을 검색한 결과 α-글루코시다제, α-아밀라제 저해활성능은 발효홍삼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에서 제2형 당뇨치료제로 쓰이는 아카보스와 비슷하거나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α-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에서 80% 이상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이 식후 혈당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vo상에서는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에서 모두 대조군보다 포도당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120분 후에는 현저하게 감소되어 거의 공복전의 수준에 도달하여 당내성을 보이고, 발효홍삼 혹은 약물식물 첨가 발효홍삼 처리로 인해 혈당이 감소되었고 인슐린분비 촉진 활성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혈장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지질대사개선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혈당강하, 당내성, 인슐린분비 촉진 활성, 항산화 및 지질대사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당뇨나 이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홍삼(Red Ginseng),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상백피(Moris alba L.), 당귀(Angelica gigas N.), 백복령(Poria cocos Wolf), 총목피(Araliae Cortex)의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홍삼(Red Ginseng)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5 내지 85중량부, 상백피(Moris alba L.) 5 내지 85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 5 내지 75중량부, 백복령(Poria cocos Wolf) 5 내지 75중량부, 총목피(Araliae Cortex) 5 내지 75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홍삼을 포함한 상엽, 상백피, 당귀, 백복령, 총목피의 발효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 균주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 외 기타 장내 미생물 또는 김치 유산균이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액상 상태이거나, 동결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발효 공정 이후에 동결건조 공정을 더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추출 발효물은 약제에 통상 사용되는 부형제, 보존제, 활택제, 안정제, 유화제, 완충제, 향미제 등과 함께 적절한 제형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써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이로 제한시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발효홍삼, 약용식물 추출물 첨가 발효홍삼 조제
홍삼 및 발효홍삼은 (주)NUC전자의 ‘발효홍삼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즉 건삼 300g에 정제수 2L를 넣고 12시간 증숙한 후 4L의 정제수를 더 첨가하여 72시간 숙성시켜 홍삼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이에 발효홍삼제조용 스타터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NUC-C1(기탁번호: KCCM10929P)을 첨가한 후 12시간 발효시켜 발효홍삼추출물을 얻었다. 5종(상엽, 상백피, 당귀, 백복령, 총목피)약용식물은 각각 100g을 1L의 증류수에 가하여 (주)NUC전자 약탕기를 이용하여 2시간 열수추출하였고, 이를 반복하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은 상기에서 추출한 추출물 발효홍삼, 상엽, 상백피, 당귀, 백복령, 총목피를 각각 3:2:2:1: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 0.1~0.3%를 접종 후 40~45℃에서 12시간~5일간 발효시켰다.
상기에서 획득한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은 회전진공농축기(Eyela,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의 in vitro system 을 이용한 항당뇨, 항산화 효능분석
본 발명의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의 in vitro system에서의 항당뇨,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항당뇨 효과
1)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α-글루코시다제는 소장점막의 미세융모막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다당류의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효소이다. 이는 소장내의 점막에서 α-글루코시다제의 효소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다당류의 분해를 방해하여 소장에서 글루코스의 흡수를 지연시켜주어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줄 것으로 기대한다.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은 nitrophenol 분석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0.2U/mL α-글루코시다제효소액 50uL, 12mM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100uL, 샘플 50uL 및 0.1M 인산칼륨 완충액(pH 6.8) 50uL와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전배양한 후 0.1M NaOH 100u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아카보스를 사용하였다. 효소활성의 저해정도는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
[1-(시료처리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에서는 제2형 당뇨치료제로 쓰이는 아카보스와 비슷하거나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발효홍삼이 식후혈당 개선제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표 1).
시료 농도
(mg/mL)
α-글루코시다제저해능
(%)
발효홍삼
0.2
6.74±2.21
2
13.06±1.74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
0.2
35.89±5.05
2
74.79±2.02
아카보스
0.2
36.50±4.15
2
61.29±2.55
2) α-아밀라제 저해활성
α-아밀라제 저해제는 소장에서 전분의 소화를 저해하여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혈당 조절 목적으로 이용된다. 시료의 α-아밀라제 저해활성은 환원당 분석법을 응용하여 효소원으로 사람의 타액 아밀라제를 사용하고 기질로서 0.5% 전분을 이용하여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효소액 50uL, 시료 50uL, 0.5% 전분 100uL, 인산칼륨 완충액(pH 6.8) 50uL와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전배양한 후 48mM DNS 발색시약(3,5-dinitrosalicylic acid and 30% sodium potassium tartarate in 0.5M NaOH) 250uL를 넣고 100℃에서 10분간 끓여 발색 시킨 후 충분히 냉각시켰다. 이 반응액에 3배량의 물을 가하고 잘 교반 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제2형 당뇨병 치료 약제인 아카보스를 사용하였다. 효소활성의 저해정도는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α-아밀라제 저해활성(%) =
[1-(시료처리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
발효홍삼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에서는 2 mg/mL농도에서 각각 105.62%, 72.18%의 높은 저해능을 보였으며 아카보스와 비슷한 억제능을 보였다(표 2).
시료 농도
(mg/mL)
α-아밀라제저해능
(%)
발효홍삼
0.2
58.04±12.83
2
105.62±25.14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
0.2
52.01±12.95
2
72.18±16.07
아카보스
0.2

66.02±15.11
2. 항산화효과
1) α-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시료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stable radical인 DPPH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한 것으로 99% 메탄올에 각 시료를 녹여 농도별로 희석한 희석액 800μL와 메탄올에 녹인 0.15 mM DPPH 용액 200 μL를 가하여 실온에 30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를 1/2로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인 R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합성항산화제인 BHA를 사용하였다.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 각각의 추출물과 BHA의 항산화 효과를 DPPH라디칼로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표 3). RC50값은 발효홍삼,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 각각 231.08, 58.98 μg/mL로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에서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시료 농도
(μg/mL)
DPPH 소거능
(%)
RC50
(μg/mL)
발효홍삼
10 12.62±0.73
231.08±1.38
100 33.59±0.91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
10 14.41±0.74
58.98±0.76
100 80.50±2.81
BHA 1 32.83±1.34
3.33±1.12
10 90.26±2.28
<실험예 2>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의 In vivo system 을 이용한 항당뇨 및 콜레스테롤 개선능 효능분석
본 발명의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의 in vivo system에서의 항당뇨, 지질대사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통계 처리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으며,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정은 SAS program을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1.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체중 180±10g의 SD(Sprague-Dawley)계 수컷 Rat(오리엔트바이오)를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사육실의 환경은 온도 23±2℃, 습도 60±5%,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1주일간 rat용 고형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 환경에 적응시킨 후 3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4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즉 정상군, 당뇨유발군, 발효홍삼군,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으로 분류하였다(표 4).
N 식이형태
정상군* 6
정상식이
당뇨대조군** 6
정상식이
발효홍삼군** 6
정상식이 + 발효홍삼 200 mg/kg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군**
6
정상식이 + 약용식물을 첨가한 발효홍삼 200 mg/kg
*정상군, **당뇨유발쥐
2.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에 의한 당뇨병 유발
스트렙토조토신(N-[methylnitrosocarbamoyl]-D-glucosamine:STZ)은 베타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시켜 인슐린 결핍으로 인한 고혈당을 유발시키는 화합물로써, 이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유발하였다.
실험동물들을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군의 경우 생리식염수를 복강투여 하였고, 정상군을 제외한 다른 군에서는 streptozotocin(STZ, 60mg/kg bw)을 1회 복강투여하였다. 48시간 후 혈당을 측정하여 당뇨 유발을 확인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일반적 관찰 (식이, 체중의 변화)
시료투여군의 경우 3주간 각 시료를 매일 일정한 시간에 경구 투여하였다. 이들 시료는 각각 증류수에 녹여 사용하였으며, 고형사료와 물은 충분히 공급하면서 사육하였다.
식이 섭취량은 3일에 한번 식이 잔량을 측정하여 식이 제공량으로부터 뺀 값을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균 1일 식이섭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당뇨의 증상인 다식, 다뇨, 다갈의 결과로 보인다. 정상군의 경우 실험 시작부터 4주 종료시점까지 평균적으로 24.6±0.5 g/day/rat의 식이섭취량을 나타내었으나 당뇨군의 경우 식이량 40.0±1.5 g/day/rat으로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두 배가량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반면에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 투여군 에서도 거의 두 배가량 식이섭취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식이 효율이 정상군에 비하여 모든 당뇨유발 군에서 현저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 본 실험에서 정상 군에 비해 당뇨유발군의 식이 섭취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체중감소가 나타났는데 이는 당뇨에 의한 체내 대사의 퇴행적인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섭취량 (g/day) 식이효율
정상군 24.6±0.5c
512.9±39.2
당뇨대조군 40.0±1.5b
-86.9±8.3
발효홍삼군 44.6±0.4a
-64.5±3.2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군
39.9±1.3b
18.1±7.7
STZ 유도된 당뇨유발 실험동물에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을 첨가한 식이로 3주간 사육한 동물의 체중변화를 나타내었다(도 1). 정상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체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당뇨군의 경우 STZ에 의한 영향으로 체중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조금씩 감소하였다. 한편 당뇨 유발군에 발효홍삼,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을 투여한 군의 경우 최종 체중이 초기 체중보다 낮게 관찰 되었고, 당뇨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STZ 투여는 췌장내의 β-세포 파괴로 1형 당뇨가 유발되어 인슐린 생성의 부족과 그 작용이 저하되며 당대사에 의한 에너지 생산 부족은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인슐린은 단백질대사에 관여하여 골격근으로 아미노산 유입을 촉진시켜 단백질 합성을 증가 시키도록 하는데 당뇨병이 유발된 동물에서는 이러한 인슐린의 작용의 저하로 인하여 세포의 포도당 이용이 저하되어 기아상태의 대사특징을 나타내므로 본 실험의 결과에서도 모든 당뇨 유발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체중 감소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 결과로부터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은 고혈당으로 인해 야기되는 체중감소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장기 무게 측정
4주간의 사육이 끝난 다음 12시간 절식시킨 rat를 ether로 마취시켜 해부하였다. 복부정맥으로부터 Heparin 처리된 주사기로 혈액을 채취하였고, 채혈 후 30분 동안 방치한 뒤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또한 간, 신장, 비장, 췌장, 소장도 적출하여 PBS (인산염으로 완충된 염수)용액에 헹군 후 물기를 제거하여 칭량하였다. 분리된 혈장 및 조직들은 액체질소로 급냉하여 분석 시까지 -70℃에 보관하여 데이터 분석에 이용하였다.
단위체중당 환산한 장기의 중량을 비교한 실험에서는 비장, 췌장, 간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신장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오히려 증가하였고 각 장기무게 별 유의성은 없었다(표 6).
비장 신장 췌장
정상군 0.155±0.032 0.607±0.026 0.421±0.013
2.946±0.157
당뇨대조군 0.149±0.041 1.128±0.145 0.553±0.091
4.388±0.330
발효홍삼군 0.158±0.040 1.037±0.085 0.578±0.015
4.330±0.225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군
0.149±0.028 1.033±0.077 0.475±0.016
4.058±0.180
5. 혈당강하효과
1) 경구내당능(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일반적으로 경구 내당능 검사는 당뇨병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공복혈당검사보다 민감도 면에서 유용하여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 본 실험에서는 12시간 이상 절식시킨 실험동물의 공복 시 혈당을 측정한 다음, 각 군으로 구분하여 시료를 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동량으로 투여하였다. 모든 군에게 40% 포도당을 조제하여 1g/kg bw 농도로 경구투여한 다음 30, 60, 90, 120분 째의 혈당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료의 경구 내당능 검사에 의해 결과는 도 2와 같다. 포도당 투여 30분대에 모든 군에서 가장 높은 포도당 농도를 나타내다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포도당 농도가 감소되었고, 시료 처리군에 비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포도당만 투여한 대조군에서 당내성 시험동안 가장 높은 혈당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효홍삼,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에서는 대조군보다 포도당 농도가 감소되었고, 120분 후에는 현저하게 감소되어 거의 공복전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 중 발효홍삼군에서 가장 좋은 내당능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는 공복 시 혈당 농도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어 발효홍삼 및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은 당질대사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2) 혈당변화
사육기간 동안의 혈당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주 1회 12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꼬리정맥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측정기(ACCU-CHEK Sensor, Germany)로 측정하였다.
혈액 내 포도당의 변화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혈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가 시료 첨가로 인해 혈당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육기간이 증가할수록 혈당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TZ을 복강 주사하여 췌장의 파괴로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어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반면 시료처리로 인해 혈당이 감소되어 이들 시료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6. 인슐린 농도에 미치는 효과
분리한 혈장의 인슐린 농도는 인슐린 kit(Mercodia Rat 인슐린 ELISA, Sweden)를 사용하여 Enzyme immunoassay로 측정하였다.
혈장 내 인슐린 농도는 대조군 1.23 ug/L이고, 당뇨대조군 0.33 ug/L로 대조군과 당뇨 유발군의 차이가 확실히 나타났다. 홍삼처리군에서는 당뇨 대조군 보다 인슐린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표 7). 따라서 STZ에 의해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었다가 이들 홍삼시료의 처리로 췌장 세포의 기능이 다소 회복되어 인슐린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시료의 처리로 인해 혈당이 감소되었는데 이는 인슐린 농도의 증가가 혈당수치에 영향을 미쳤음을 상대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인슐린농도 (ug/L)
정상군
1.228±0.018a
당뇨대조군
0.329±0.005d
발효홍삼군
0.428±0.011b
약용식물첨가
발효홍삼군

0.344±0.007c
7. 지질대사 개선 효과
분리한 혈장의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TC), 중성지질(TG),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자동혈액분석기(Thermo Konelab 20XT, 동아제약)로 측정하였다. 이때 혈장 중의 중성지방은 중성지방 측정용 kit,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H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를 각각 사용하여 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1) 혈장내 총 콜레스테롤 농도
홍삼시료 첨가에 의한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관찰하였을 때, 대조군 60.29 mg/dL에 비해 당뇨군 92.86 mg/dL으로 증가하였다가 홍삼시료 첨가군에서는 62.48~92.40 mg/dL으로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발효홍삼약용(FRGM)군에서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가 가장 감소되었다(도4 A).
2) 혈장내 HDL 콜레스테롤 농도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당뇨군에 비해 시료 첨가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홍삼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내었다(도4 B ).
HDL은 콜레스테롤 역수송 과정, 항산화 및 항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DL의 주요 단백질인 apoA-1 의 합성 증가는 심혈관질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HDL-C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의약품과 건강기능성식품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 혈장내 중성지질 농도
혈장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 53.57 mg/dL이고 당뇨군은 104.47 mg/dL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시료 처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중성지질 함량이 감소하였다(도 4 C).
고중성지질 혈증은 유전적 요인, 당뇨, 비만, 췌장염, 만성 신장질환, 알콜 중독, 스트레스 또는 감염 등과 관련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홍삼 시료들의 중성지질 농도 저하는 당뇨병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 소장의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저해 효과
소장점막은 유문에서 맹장 연결부분까지 잘라 십이지장으로부터 1/3위치의 5cm공장 점막을 취하였다. 소장 점막은 증류수를 4배 첨가하여 homogenizer로 균질화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Dahlqvist의 방법에 의해 maltose와 sucrose, lactose를 기질로 하여, 이당류 가수분해 효소인 maltase, lactase와 sucrase 활성을 각각 정량하였다. 즉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글루코스를 글루코스 oxidase로 산화시켜 gluconic acid와 H2O2로 전환시킨 후, peroxidase로 반응시켜 450nm에서 발색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당류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은 1분 동안 효소에 의해 생성된 글루코스 1μmole를 1unit로 하였으며, units/g protein(specific activity)으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비해 당뇨 유발군은 이당류 분해 효소의 활성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도 5). 그에 비해 시료 투여군들은 당뇨대조군 보다 이당류 분해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혈당상승을 억제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STZ로 유도된 당뇨 동물모델에서는 소장에서 형태학적, 기능적, 대사적인 치환이 일어나며, 게다가 소장내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이 증가되어 소장 내에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당뇨유발군에서는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시료처리로 인해 이들 효소 활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효홍삼 제조기를 이용하여 건삼으로부터 제조한 홍삼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만든 발효홍삼 그리고 제조한 발효홍삼에 5종의 약용식물을 첨가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약용식물 추출물 첨가 발효홍삼 모두 공복시 혈당 농도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STZ 투여로 인해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해 감소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혈당을 감소시켰으며, 그리고 혈장내 중성지질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당질 대사 및 지질 대사 개선에 관여하는 우수한 소재로 생각되었다. 또한 항산화 효능도 우수하여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각각의 식이방법에 따른 실험 동물군의 주간에 따른 체중변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Normal은 정상군, FRG은 발효홍삼군, FRGM은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을 나타낸다.
도 2은 경구내당능검사(OGTT, Oral 글루코스 Tolerance Test)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Normal은 정상군, FRG은 발효홍삼군, FRGM은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을 나타낸다.
도 3은 각각의 식이방법에 따른 실험동물군의 주간에 따른 혈당측정결과 변동을 나타낸 막대 그래프로서 Normal은 정상군, FRG은 발효홍삼군, FRGM은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을 나타낸다.
도 4는 각각의 식이방법에 따라 3주간 식이한 후 혈장 내 지질측정 결과값을 나타낸 막대 그래프로서 총콜레스테롤 함량(A), HDL-콜레스테롤(B) 및 중성지질(C) 함량을 도시한 것으로서 Normal은 정상군, FRG은 발효홍삼군, FRGM은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을 나타낸다.
도 5는 각각의 식이방법에 따라 3주간 식이한 후 소장점막내의 이당류가수분해효소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로서 Normal은 정상군, FRG은 발효홍삼군, FRGM은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군을 나타낸다.

Claims (3)

  1. 발효홍삼(Fermented Red Ginseng),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상백피(Moris alba L.), 당귀(Angelica gigas N.), 백복령(Poria cocos Wolf) 및 총목피(Araliae Cortex)의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함유하며, 혈당강하, 당내성, 인슐린분비 촉진 활성, 항산화 및 지질대사개선 효과가 있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발효홍삼(Fermented Red Ginseng)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엽(Mulberry leaves, Mori folium) 5 내지 85중량부, 상백피(Moris alba L.) 5 내지 85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 5 내지 75중량부, 백복령(Poria cocos Wolf) 5 내지 75중량부, 총목피(Araliae Cortex) 5 내지 75중량부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KCCM10929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090044422A 2009-05-21 2009-05-21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KR101270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22A KR101270599B1 (ko) 2009-05-21 2009-05-21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22A KR101270599B1 (ko) 2009-05-21 2009-05-21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21A KR20100125621A (ko) 2010-12-01
KR101270599B1 true KR101270599B1 (ko) 2013-06-03

Family

ID=4350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22A KR101270599B1 (ko) 2009-05-21 2009-05-21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3770A (zh) * 2015-09-29 2016-01-06 罗奕珺 一种中药组合物用于制备治疗心肌梗死药物中的用途
KR102109023B1 (ko) 2019-12-16 2020-05-11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KR102123838B1 (ko) 2019-12-16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mg5012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664B1 (ko) * 2011-07-11 2013-06-1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86A (ko) * 2000-02-25 2001-09-06 정두순 당뇨병의 한방혈당강하치료 완화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86A (ko) * 2000-02-25 2001-09-06 정두순 당뇨병의 한방혈당강하치료 완화제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동의생리학회지, 18(5), 2004.10., pp.1331-1336 *
대한동의생리학회지, 18(5), 2004.10., pp.1331-133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3770A (zh) * 2015-09-29 2016-01-06 罗奕珺 一种中药组合物用于制备治疗心肌梗死药物中的用途
KR102109023B1 (ko) 2019-12-16 2020-05-11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KR102123838B1 (ko) 2019-12-16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mg5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21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32272A (ja) 複合生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糖尿病または糖尿病合併症の治療または予防用組成物
KR101113931B1 (ko) 한약재 추출물이 혼합된 발효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101270599B1 (ko)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된 홍삼 및 약용식물 추출물 함유 발효홍삼 조성물
KR20090021644A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JP5421348B2 (ja) ラクトバシルス属微生物で発酵させた菊芋発酵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糖尿病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CompositioncontainingextractofJerusalemartichokefermentedbyLactobacillussp.forpreventingandtreatingdiabetesmellitus)
WO2011052935A2 (ko) 토복령, 여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1226824B1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15998838B (zh) 一种具有降血糖协同增效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108885B1 (ko) 항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활성을 갖는 번행초 추출물
KR100952188B1 (ko)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KR100759773B1 (ko)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99398B1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50079913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56086B1 (ko) 인진쑥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식후과혈당 억제용 조성물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78150B1 (ko)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KR100962292B1 (ko) 뽕잎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75469A (ko) 민들레 및 돼지감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활성 조성물
KR20090120738A (ko) 탱자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당뇨병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KR20060025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543341B1 (ko) 혼합 생약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