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79B1 - 교량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79B1
KR101270579B1 KR1020130005274A KR20130005274A KR101270579B1 KR 101270579 B1 KR101270579 B1 KR 101270579B1 KR 1020130005274 A KR1020130005274 A KR 1020130005274A KR 20130005274 A KR20130005274 A KR 20130005274A KR 101270579 B1 KR101270579 B1 KR 101270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main body
lighting device
fitting por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권송이
Original Assignee
이재용
권송이
주식회사 스타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권송이, 주식회사 스타라이팅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3000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반복적인 흔들림에 따른 풀림 현상 및 이로 인한 낙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결속력을 강화된 교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감착구(21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만곡된 형상의 만곡부(110)가 형성된 초승달형상의 단면을 갖는 본체(100)와; 일측이 본체(10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케이블(C)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감착구(210)와, 감착구(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감착구(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220)으로 구성된 클램프(200)와; 본체(10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유닛(300)과;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명유닛(300)을 덮어 보호하는 투과창(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의 만곡부와 감착구의 내주면이 교량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풍력(風力)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결속력을 크게 강화시켜줄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흔들림에 따른 풀림 현상 및 이로 인한 낙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풍력 저항으로 인한 교량케이블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구조물(교량)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조명장치{Illuminating system for bridge}
본 발명은 풍력 저항에 최적화된 구조를 통해 교량케이블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구조물(교량)에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교량케이블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경관 조명으로 사용되는 교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이나 해협 또는 도로 등의 위를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이다.
이러한 교량은 주부재의 모양에 따라 그 구조 형식이 결정되는데, 주부재가 거더인 경우를 거더교(girder bridge), 아치인 경우를 아치교(arch bridge), 트러스인 경우를 트러스교(truss bridge)라 하며, 케이블로 주부재가 지지되는 경우를 케이블교(cable bridge)라고 한다.
이들 중, 케이블교는 아치교(arch bridge), 사장교(cable stayed bridge) 또는 현수교(suspension bridg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교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은 교량 상부구조에서 발생한 내력을 구조적으로 분담하는 보강용 케이블로서, 교량의 설계단계에서부터 그 사용이 반영되어 사용될 케이블의 규격 및 개수 등이 결정된다.
한편, 현재 교량은 지역의 랜드마크로서의 기능이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태의 경관조명등을 사용하여 교량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관조명등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716호, 제10-1016803호, 제10-0950574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33212호가 있다.
종래의 경관조명등의 경우 다양한 각도에서 불어오는 풍력(바람)이 경관조명등으로 작용할 경우 케이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지속적인 흔들림으로 인해 결국에는 교량 구조물의 안정성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교량의 케이블에 경관조명등을 설치하는 작업은 이러한 구조적인 곤란성으로 인해 매우 어려운 교량공사중 하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풍력 저항에 최적화된 구조를 통해 교량케이블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교량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흔들림에 따른 풀림 현상 및 이로 인한 낙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교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명유닛을 갖춘 본체와; 일측이 본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케이블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감착구와, 감착구의 타측에 설치되어 감착구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을 갖춘 클램프로 구성된 교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결합공을 갖추고서, 감착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본체에 설치되는 걸이편에 선택적으로 걸 수 있도록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와, 본체에 설치되는 걸이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감착구에는,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일면에 감착구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만곡된 형상의 만곡부가 형성된 초승달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명유닛을 덮어 보호하는 투과창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만곡부와 감착구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가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끄럼방지구의 내주면은 요철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의 만곡부와 감착구의 내주면이 교량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풍력(風力)으로 인한 교량케이블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구조물(교량)에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풍력(風力)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결속력을 크게 강화시켜줄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흔들림에 따른 풀림 현상 및 이로 인한 낙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손잡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감착구에는 록킹부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가 결합공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풍력을 지속적으로 받더라도 손잡이의 회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풀림 현상에 따른 조명장치의 추락위험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와 같은 불필요한 작업이 해소되므로 시설물관리가 상당히 편리해지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누릴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의 만곡부와 감착구의 내주면에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를 설치해 줌으로서 마찰력을 증가시켜 교량케이블에 설치된 조명장치가 미끄러져 설치위치가 변동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만곡부와 감착구의 내주면이 미끄럼방지구를 매개로 교량케이블의 외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부식으로 인한 녹 발생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미끄럼방지구가 풍력에 의한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여 조명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 방진효과(防振效果)까지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끄럼방지구의 내주면을 요철형태로 형성해 줌으로서, 미끄럼방지구의 압착시 교량케이블의 외면과의 실질적인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좀 더 견실하게 밀착되는 구조를 통해 밀착력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실험을 통한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의 레이놀즈수의 그래프.
도 7은 종래 조명장치의 풍동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의 영각의 변화에 따른 공기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풍동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영각의 변화에 따른 공기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는, 본체(100)와 클램프(200), 조명유닛(300), 투과창(400) 및 미끄럼방지구(500)로 구성된 것으로서, 교량케이블(C)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외부로 방출하는 경관 조명으로 사용된다.
상기 본체(100)는 초승달형상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하우징으로서, 상면에는 조명유닛(300)이 상부를 통해 내측으로 삽탈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일면, 좀 더 상세하게는 교량케이블(C) 외주면에 맞대어지는 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감착구(21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만곡된 형상의 만곡부(110)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만곡부(110)의 곡률은 감착구(210)의 내주면에 곡률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교량케이블(C)에 설치시 케이블(C)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완전히 감싸 하나의 원기둥을 이루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의 내주면이 케이블(C)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풍력(風力)으로 인한 교량케이블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구조물(교량)에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풍력(風力)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결속력을 크게 강화시켜줄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흔들림에 따른 풀림 현상 및 이로 인한 낙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만곡부(110)의 곡률을 감착구(210)의 내주면에 곡률과 동일하게 적용한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만곡부(110)의 곡률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L은 전원공급선 및 통신선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0)의 양단에 설치되어 본체(100)에 내설되는 조명유닛(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교량시설물관리소(미도시)에서 전원공급선 및 통신선(L)을 매개로 조명유닛(300)을 통제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200)는 감착구(210)와 잠금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착구(210)는 호 형상의 금속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측이 반원형의 본체(100)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케이블(C)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잠금수단(220)은 손잡이(221)와 고리(222) 및 걸이편(22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감착구(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감착구(210)의 회동(벌어짐)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손잡이(221)는 감착구(2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지의 부재이다.
상기 고리(222)는 손잡이(2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0)에 설치된 걸이편(22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된 공지의 부재이다.
상기 걸이편(223)은 본체(100)에 설치되어 고리(22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공지의 부재이다.
상기 잠금수단(220)의 사용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케이블(C)의 외면에 본체(100)의 만곡부(110)를 밀착시켜 준 상태에서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감착구(210)를 회동시켜주게 되면 감착구(210)의 내주면이 교량케이블(C)의 외면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착되면, 잠금수단(220)의 손잡이(221)를 회동시켜 고리(222)를 걸이편(223)에 걸어 준 상태에서 종전 회동의 반대방향으로 재차 회동시켜 주게 되면 고리(222)가 걸이편(223)을 당기면서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교량케이블(C)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잠금수단(220) 즉, 손잡이(221)와 고리(222) 및 걸이편(223)을 이용하여 본체(100)와 감착구(210)를 상호 고정한다 하더라도 풍력을 지속으로 받을 경우 결속(고정)상태가 풀리게 되면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낙하될 위험이 상당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손잡이(221)에는 결합공(221a)을 감착구(210)에는 록킹부재(224)를 보강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재(224)가 결합공(221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221)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풍력을 지속적으로 받더라도 손잡이(221)의 회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풀림 현상에 따른 조명장치의 추락위험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와 같은 불필요한 작업이 해소되므로 시설물관리가 상당히 편리해지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누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명유닛(300)은 본체(10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투과창(400)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공지의 조명기구로서, 인쇄회로기판(PCB)과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조명유닛(300)에 의해 자칫 밋밋하면서도 삭막하게 보일 수 있는 교량을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통해 좀 더 미려하면서도 수려하게 연출해 줄 수 있으며, 나아가 헬기와 같은 저공비행물체의 야간비행시 조명을 통해 가시성을 확보토록 할 수 있어 충돌의 위험으로부터 교량을 보호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투과창(400)은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명유닛(300)을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투과창(400)은 본체(10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조명유닛(300)의 조명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과창(400)은 필요에 따라 볼록렌즈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좀 더 먼 거리까지 조명이 방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금속재질의 교량케이블(C)에 본체(100)와 클램프(200)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하더라도 미끄러져 최초설치위치가 변동될 우려가 매우 높으며, 수직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고정성이 더욱 약해지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500)를 보강시켜 주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500)를 설치해 줌으로서 마찰력을 증가시켜 교량케이블(C)에 설치된 조명장치가 미끄러져 설치위치가 변동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의 내주면이 미끄럼방지구(500)를 매개로 교량케이블(C)의 외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부식으로 인한 녹 발생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미끄럼방지구(500)가 풍력에 의한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여 조명유닛(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 방진효과(防振效果)까지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끄럼방지구(500)의 내주면은 요철형태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미끄럼방지구(500)의 압착시 교량케이블(C)의 외면과의 실질적인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좀 더 견실하게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220) 즉, 손잡이(221)을 회동시켜 걸이편(223)에 걸린 고리(222)를 이탈시켜 준 상태에서 감착구(210)를 회동시켜 벌려 준다.
그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케이블(C)의 외면에 본체(100)의 만곡부(110)를 밀착시켜 주고, 벌어져 있는 감착구(210)를 회동시켜 교량케이블(C)을 감싸준다.
상기와 같이 교량케이블(C)이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에 의해 감싸지면 잠금수단(220)의 손잡이(221)를 회동시켜 고리(222)를 걸이편(223)에 걸어 준 상태에서 종전 회동의 반대방향으로 재차 회동시켜 주게 되면 고리(222)가 걸이편(223)을 당기면서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구(500)는 압착되면서 교량케이블(C)의 외면에 좀 더 견실하게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21)의 결합공(221a)으로 록킹부재(224)가 삽입되면서 손잡이(221)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교량케이블(C)에 용이하게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한편, 도 6은 실험을 통한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의 레이놀즈수의 그래프이고, 도 7은 종래 조명장치의 풍동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종래 기술의 영각의 변화에 따른 공기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의 풍동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영각의 변화에 따른 공기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출원인은 2012년 10월 30일에 전북대학교 대형풍동실험센터에 종래의 조명장치와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대한 내풍 안정성 평가를 의뢰하였다.
실험방법은 실험실에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를 설치하고, 설치된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에 종래 조명장치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각각 설치 후,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에서 바람을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에 설치된 조명장치로 가해 공기력을 측정한 것이다.
먼저, 실험에 앞서 원형 실린더의 경우에 풍속에 따라 공기력계수(Cd:항력계수, Cl:양력계수, Cm:모멘트계수)가 달라지는 현상(레이놀즈수 효과)이 발생하므로, 본 실험 대상인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만약 이러한 레이놀즈수 효과가 발생한다면 임계영역을 벗어난 풍속에서 풍동실험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도 6은 그 실험 결과로서, 레이놀즈수 1×105 이상에서는 공기력계수의 변화가 적으므로 임계영역은 1×105를 기준으로 하여 공기력계수 측정을 위한 풍동실험을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각도(deg) 항력계수(Cd) 앙력계수(Cl) 모멘트계수(Cm)
0 1.5331 0.0213 0.0988
15 1.4684 0.1206 -0.0726
30 1.3715 0.2753 -0.0157
45 1.2873 0.1863 0.0143
60 1.1323 0.1407 0.0092
75 0.9735 0.3950 -0.0120
90 0.9111 0.0503 0.0850
105 1.0351 0.1800 0.1255
120 1.1652 0.0189 0.0816
135 1.3349 -0.0211 0.0145
150 1.4241 -0.1610 0.0893
165 1.5013 0.0124 -0.2219
180 1.5471 0.0763 -0.190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조명장치의 경우 영각 0도 기준으로 항력계수(Cd) 1.53이며, 영각 90도일 때 0.911로 가장 낮은 항력계수(Cd)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종래 조명장치를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에 설치할 경우 풍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지속적인 흔들림으로 인해 결국에는 교량 구조물(교량)의 안정성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각도(deg) 항력계수(Cd) 앙력계수(Cl) 모멘트계수(Cm)
0 0.8733 0.0379 0.0439
15 0.8783 -0.0226 0.1012
30 0.8868 0.0083 0.0881
45 0.9050 0.0060 0.1123
60 0.9278 -0.0089 0.1049
75 0.9602 -0.0068 0.1177
90 0.9808 0.0285 0.0860
105 0.9661 0.0381 0.0260
120 0.9412 0.0198 -0.0085
135 0.9206 -0.0538 -0.0413
150 0.9127 -0.0567 -0.0286
165 0.9001 -0.0043 -0.0062
180 0.8872 0.0333 0.0048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경우 영각 0도 기준으로 항력계수(Cd)는 조명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 보다 오히려 약간 더 감소(본 발명의 항력계수(Cd)는 0.873인데 반해 교량케이블의 항력계수(Cd)는 대략 0.9)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명장치가 90도의 영각을 가지고 설치되었을 때 가장 큰 항력계수를 보이며, 이때 항력계수(Cd)는 0.981 이였다.
즉, 이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교량케이블(또는 CFRC 행어 로프)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이로 인한 추가적인 공기역학적인 문제 및 유해 진동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풍력에 의한 흔들림이 상당히 미미하기 때문에 교량의 구조적인 안정성 역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본체 110: 만곡부 200: 클램프
210: 감착부 220: 잠금수단 221: 손잡이
222: 고리 223: 걸이편 224: 록킹부재
300: 조명유닛 400: 투과창 500: 미끄럼방지구

Claims (5)

  1. 조명유닛(300)을 갖춘 본체(100)와; 일측이 본체(10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케이블(C)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감착구(210)와, 감착구(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감착구(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220)을 갖춘 클램프(200)로 구성된 교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20)은,
    결합공(221a)을 갖추고서, 감착구(2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221)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걸이편(223)에 선택적으로 걸 수 있도록 손잡이(2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222)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걸이편(223)으로 구성되며;
    상기 감착구(210)에는,
    결합공(221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221)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부재(2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일면에 감착구(21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만곡된 형상의 만곡부(110)가 형성된 초승달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명유닛(300)을 덮어 보호하는 투과창(400)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만곡부(110)와 감착구(210)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500)가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구(500)의 내주면은 요철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KR1020130005274A 2013-01-17 2013-01-17 교량용 조명장치 KR101270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274A KR101270579B1 (ko) 2013-01-17 2013-01-17 교량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274A KR101270579B1 (ko) 2013-01-17 2013-01-17 교량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579B1 true KR101270579B1 (ko) 2013-06-03

Family

ID=4886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274A KR101270579B1 (ko) 2013-01-17 2013-01-17 교량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071A (ko) * 2017-02-03 2019-10-02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KR102476123B1 (ko) 2022-10-13 2022-12-09 한국이미지시스템(주) 교량용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622B1 (ko) 2005-12-20 2006-12-27 김영환 램프 설치용 크램프
KR20120009294A (ko) * 2010-07-23 2012-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서포트를 갖는 조명기구
KR20120086906A (ko) * 2011-01-27 2012-08-06 손혁준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622B1 (ko) 2005-12-20 2006-12-27 김영환 램프 설치용 크램프
KR20120009294A (ko) * 2010-07-23 2012-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서포트를 갖는 조명기구
KR20120086906A (ko) * 2011-01-27 2012-08-06 손혁준 엘이디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071A (ko) * 2017-02-03 2019-10-02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KR102617758B1 (ko) 2017-02-03 2023-12-26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KR102476123B1 (ko) 2022-10-13 2022-12-09 한국이미지시스템(주) 교량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732B1 (en) Bird diverter
US20060114680A1 (en) Light with support flange
KR101270579B1 (ko) 교량용 조명장치
US8418808B2 (en) Climbing aid
ITMI20130005U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in particolare per tetti
CN1599840A (zh) 风电设备具有警示灯的转子扇叶
KR20120081904A (ko) 발광로프
US20130133264A1 (en) Barrier boom implemented as bendable boom of a vehicle barrier
CN207555331U (zh) 一种出光玻璃易拆卸的led投光灯
BR112020011489A2 (pt) dispositivo de travamento para abas em aeronaves
JP7267544B2 (ja) 標示具
CN201748306U (zh) 反光式防雨雪太阳能led路灯
ES2888902T3 (es) Método para encajar una extensión de punta en una pala de turbina eólica
KR101900404B1 (ko) 승하강식 조명등이 구비된 가로등
KR20090098492A (ko) 출렁다리
CN207404705U (zh) 一种吊装装配式建筑预制构件用吊钩
CN205781436U (zh) 一种穿墙管
CN205875652U (zh) 高大空间吊顶工程脚手架体系
CN211897953U (zh) 道路交通反光标线
WO2020084653A1 (ja) 反射テープ付きワイヤロープ、蛍光テープ付きワイヤロープ及び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
KR200460725Y1 (ko) 초가지붕 고정을 위한 네트 고정체
CN202144964U (zh) 一种led地埋灯
KR200493665Y1 (ko)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CN204345326U (zh) 具有反射装置的led灯具
KR102476123B1 (ko) 교량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